본문 바로가기

서 예 방300

남경서회전 - 부산시청 제4회 남경서회전 (南耕書會展) 일시 : 2021. 3. 15(월) - 3, 20(토) 장소 : 부산시청 제1전시실 남경문화원 원장 李鍾珉 (이종민) 프로필 / 아호 : 남경 - 한학의 대가 석정 김성균 선생 문하 입문 - 대한민국미술대전의 초대작가 심사위원(2회) 역임 - 부산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전국서도민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세계서법문화예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청남휘호대회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부산비엔날레 휘호대회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추사선생 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 - 대한민국서예휘호대회 초대작가 - 부경서도대전 심사위원 역임 - 부산시, 경상남도의 문화재위원 2021. 3. 15.
대한평수토찬비(大韓平水土讚碑) - 미수 허목 대한평수토찬비(大韓平水土讚碑) 대한평수토찬비는 중국 형산비(衡山碑)의 대우수전(大禹手篆) 77자 가운데 48자를 가려서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육향산 정상부의 육향정 바로 밑에 위치하며, 척주동해비와 근거리에 함께 있다. 조선현종 때인 1660년(현종 원년) 삼척부사로 부임한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당시 허목이 중국형산(衡山)에 있는 하(夏)나라 시조 우제(㝢帝)가 썼다는 형산비에서 대우수전 77자 가운데 48자를 모아 목판에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守令)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현종 원년(1661) 목판에 새기어 읍사(邑司)에 보관되어 오다가 240여년 후인 광무 8년(1904) 칙사(勅使) 강홍대와 삼척군수 정운.. 2021. 3. 14.
추전서당(秋田書堂) - 사천시 곤명면 추전서당(김화수)은 경남 사천시 곤명면 다솔사길 157-1에 있다. cafe.daum.net/chujeun 추전서당 추전김화수거사의 카페입니다. 추전김화수거사는 왕죽화와 사군자의 대가이며 국전심사위원을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중앙동에서 추전 미술관을 운영중입니다. 이 카페를 통하여 cafe.daum.net 추전(秋田) 김화수(金禾洙) 서화가는 사천시의 전통 유교가문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한학자이자 서예가로, 사군자와 문인화의 대가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추전 김화수 화백은 사천의 다솔사 인근에서 추전서당을 열어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 blog.naver.com/chujeun3050 추전미술관 (추전 김화수 화백의 詩 書 畵 文 茶) : 네이버 블로그 시서화의 세계로 초대.. 2021. 3. 14.
송공단(宋公壇) 편액 - 박정희 대통령 송공단(宋公壇) 은 조선후기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을 비롯하여 왜란 때 순절한 여러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단(祭壇)으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시장에 있다. 宋公壇(송공단) 박정희 대통령 편액 - 부산 동래시장 鳶鳴 / 두인(頭印) 宋公壇 一九七二年 三月 二十五日 大統領 朴正熙 / 正熙(낙관) 七十三翁石佛謹鐫 鳶鳴(연명) / 솔개연, 울명 / 두인(頭印) : 수인首印. 서화작품의 우측 머리 부분에 찍는 인장(印章)으로 두인은 작품에 임하는 작가의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글귀로 작가의 개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宋公壇(송공단) 一九七二年 三月 二十五日 (1972년 3윌 25일) 大統領 朴正熙 / 落款 正熙(대통령 박정희 / 낙관 정희) 七十三翁石佛謹鐫(칠십삼옹석불근전) 칠십삼세노인 .. 2021. 3. 6.
관세음보살상 - 그림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二五五二(불기 2552)년 般若智(반야지) / 崔原榮 印(최원영 인) / 圖炚(도광) ========================================================================= 촛불 심지에 나타난 보살상 및 여러 문양 2021. 2. 18.
백접도(百蝶圖) - 백마리 나비 그림 백 마리의 나비를 그린 백접도(百蝶圖)이다. 百蝶圖 (백접도) 乙亥之夏 金良畫 於 上海 (을해지하 김량화 어 상해) / 1995년 여름에 김량화 상해에서 벽에 걸려 있는 액자의 유리 반사빛으로 선명한 그림을 얻기가 어려운게 아쉽네요. 百蝶圖(백접도) - 장수를 위한 나비 그림 백접도(百蝶圖)는 수많은 나비가 있는 그림이고, 초충도(草蟲圖)는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이다. 백접도(백 마리 나비 그림)은 영원히 오래 살기를 바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노인들의 장수를 기원하는 선물용 백수도(百壽圖)나 축수도(祝壽圖)로 그려진 그림이다. 나비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패랭이꽃은 호랑나비의 날개와 비슷하여 장수를 축하하는 그림(祝壽圖)의 대표적인 꽃이다. 황촉규(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닥풀꽃) 역시 톱니처럼 생긴 잎사귀.. 2021. 2. 16.
화조도 6폭 병풍 화조도 6폭 백납병(百衲屛) 병풍 - 素泉(소천) 작품 소장한지 50년이 넘는 소천(素泉) 선생의 6폭 화조도 병풍이다. 영인본이지만 오래 되어서 원본이 없을 수도 있고, 영인본도 이것만 남아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이분의 작품을 기록으로 남겨두기로 한다. 병풍의 꽃과 새는 가정의 평안과 화목, 부부 간의 애정을 상징하는데 꽃과 새를 그린 병풍은 주로 여자가 기거하는 안방에 놓았다. 사군자(四君子)인 매난국죽(梅蘭菊竹) 병풍은 동양화의 소재가 되어 왔는데 각각 봄(매화, 雪梅), 여름(난초, 蘭草), 가을(국화, 秋菊), 겨울(대나무, 靑竹)을 뜻한다. 사군자 8폭 병풍은 매난국죽(梅蘭菊竹)에 소나무, 포도, 목련, 연, 목단 등을 소재로 한다. ▲ 화조도 병풍 병풍은 바람을 막거나 공간을 가리기 .. 2021. 2. 13.
강암 송성용 선생의 서예혼 강암(剛菴) 선생은 서예의 역사다.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 1913-1999)선생은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상정리 요교마을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부친 유재(裕齋) 송기면(宋基冕 1882-1956) 선생에게서 한학과 서예를 배웠다. 유재 송기면 선생의 '樂天堂(낙천당)' 현판 글씨 송기면 (宋基冕, 1882~1956)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군장(君章). 호는 유재(裕齋). 전북 김제 출신. 아버지는 응섭, 어머니는 전주최씨로 세영의 딸. 초년에는 이정직의 문하에서 문장·서화·역산 등을 두루 배웠고, 만년에는 전우의 문하에서 성리와 의리에 관한 학풍을 받아들여 학문적 기반을 형성. 그는 심성설(心性說)에서 전우의 기본명제인 '성존심비(性尊心卑)'·'성사심제(性師心弟)' 설을 추종·계승, 전개시.. 2021. 2. 10.
友人會宿(우인회숙) - 남천 友人會宿(우인회숙) - 唐 李白 詩 (당 이백 시) 友人會宿(우인회숙) - 李白 詩(이백 시) 滌蕩千古愁 (척탕천고수) 留連百壺飮 (유련백호음) 良宵宜淸談 (양소의청담) 晧月未能寢 (호월미능침) 醉來臥空山 (취래와공산) 天地卽衾枕 (천지즉금침) 錄(록) 李白 詩(이백 시) 友人會宿(우인회숙)辛丑(신축 肇春(조춘=早春 이른봄) - 李南泉 書(이남천 서) / 李聖勳(이성훈) ※ 淸談(청담) = 且談(차담) ============================ 우인회숙(友人會宿) / 친구들과 함께 묵다 이백(李白 701~761, 당나라 시인) 출생 - 사망 : 701년 ~ 762년 자 : 太白(태백) 호 : 靑蓮居士, 醉仙翁(청련거사, 취선옹) 滌蕩千古愁 留連百壺飮 (척탕천고수 유련백호음) 良宵宜且談 皓月未能寢.. 2021. 2. 10.
용,구,인(龍龜忍), 달마(達磨) 도자기 작품 - 청계 1980년대 청계 안정환 선생의 용,구,인(龍龜忍) 도자기 작품입니다. 龍(용) 작품 - 청계 龜(구) 작품 - 청계 忍(인) 작품 - 청계 =================================================================== 달마(達磨) 작품 - 청계 大道無言 見性成佛 庚辰 上春 晴溪 / 安定煥印, 晴溪 대도무언 견성성불 경진(2000년) 상춘(음력1월) 청계 / 안정환인, 청계 날마다 즐겁고 아름다운 날 大道無言(대도무언) 큰 깨달음이나 진리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 대도(큰길,한길)에 지극함은 말로는 표현 할 수 없다. 見性成佛(견성성불) 자기가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깨달아 부처가 된다. 흔히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 하는데, .. 2021. 2. 10.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 무원 俊禪子(준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서산대사 청허 휴정의 "준선자(俊禪子)에게"라는 선시입니다. 특히 3구 "무언각회수" / 4구 "산정백운생"이 절창이다. (말없이 고개돌리니 / 산위에는 흰구름만 피어오른다.) ※ 절창(絶唱) : 뛰어나게 잘 지은 시. 우리가 만나고 헤어지는 것은 마치 흰구름이 일었다 사라지는 것과 같습니다. 모든 것이 이 자연의 순리에 따라 만나야 할 사람이 만나고 헤어져야 할 사람이 떠나갑니다. 그렇지만 이별은 슬픈 것입니다.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悲歡一枕夢(비환일침몽) 聚散十年情(취산십년정) 無言却回首(무언각회수)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슬픔과 기쁨은 한 베개의 꿈이요 만남과 헤어짐은 십 년 정일레(라). 말없이 고개 돌리니 산머리에 흰 구름만 이네. 二千十九年(2019년).. 2021. 2. 8.
石之長時靜(석지장시정) - 蘭(난) 蘭(난) 石之長時靜(석지장시정) 돌의 몸은 장시간 고요하고 蘭之氣淸 (난지기청) 난의 기운은 맑은데 靜則壽(정즉수) 고요하면 수하고(오래가고) 淸則香(청즉향) 맑으면 향기롭다. 己丑年 之秋節 金井山 主人 安晴溪 기축년(2009년) 지추절(가을) 금정산 주인 안청계(청계 안정환) 2021. 2. 5.
금석서예가 안광석 유고 기록 금석서예가(金石書藝家) 청사(晴斯) 안광석(安光碩) 선생 유고(遺稿) 기록이다. 현재 부산시 전각장으로 활동중이신 청계 안정환 선생님의 춘부장이시다. 秦瓦鹿紋(진와록문) 와당 문양 / 중수교두, 춘추전국청와인동물수문양 - 晴溪 安定煥 刻(청계 안정환 각) 진나라 시대의 사슴문양은 상서로음과 평화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문양이다. 中獸交頭 (중수교두) “처음이 중요하다” 라는 뜻으로 짐승들이 머리를 서로 순환(교두)한다. ※ 엇걸릴 교(交), 머리 두(頭) 머리와 꼬리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는 뜻으로, 한쪽의 끝이 한쪽의 시작(머리)가 되어 순환하는 交頭結尾(교두결미)의 뜻을 가지는 와당이다. 春秋戰國靑瓦人動物樹紋样(춘추전국청와인동물수문양) 釜山市 無形文化財 第二十四號 篆刻匠 安晴溪 安(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4.. 2021. 1. 14.
성지교, 백양교 휘호 - 청계 부산시 초읍동 부산어린이대공원내에 있는 성지교, 백양교 다리 휘호 그 동안 어린이 대공원 성지곡 수원지에 있는 성지교, 백양교 다리를 무심히 그냥 지나쳤는데 다리 명칭 휘호(揮毫)를 부산시 전각장이신 安定煥(안정환) 선생님이 쓰신 작품인 것을 최근에야 알게 되어 기록으로 남겨 둡니다. 청계 안정환 선생님은 부산에 있는 金剛公園(금강공원) 정문 현판(懸板)을 쓰신 분입니다. 성지교(聖知橋) - 청계 안정환 (晴溪 安定煥) 작품(作品) 호랑이가 담배 피던 시절에 청계선생님 사모님이 백양교에서 휘호 기념사진 한 컷을 남겼네요. ㅋㅋ 백양교(白楊橋) - 청계 안정환 (晴溪 安定煥) 작품(作品) 부산어린이대공원에 답사(踏査)를 하여 선명한 사진을 추가해야 겠다. ※ 휘호(揮毫) : 붓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글씨를.. 2021. 1. 14.
김시민 장군 기념비 휘호 - 청계 충무공 김시민 장군 기념비 - 천안시 삼거리 공원앞 충무공 김시민 장군상 휘호(揮毫) - 청계 안정환 (晴溪 安定煥) / 2014년 5월 휘호(揮毫) ※ 휘호(揮毫) : 붓을 휘두른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 충무공 김시민 장군 동상 건립 제막식 / 2014. 5.30 오후2시 김시민 장군은 임진왜란 진주 대첩을 승리로 이끈 구국 영웅이다. 천안시는 장군의 이러한 애국 충정을 기리기 위해 이 행사를 개최했다. 성무용 시장은 “이번 제막식이 우리 고장.. 2021. 1. 14.
진와록문, 장락무극상안거 - 청계 秦瓦鹿紋(진와록문) / 長樂毋極常安居(장락무극상안거) - 銅刻(동각) 秦瓦鹿紋(진와록문) - 晴溪 安定煥 刻(청계 안정환 각) 진나라 시대의 사슴문양은 상서로음과 평화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문양이다. 진나라 사람들이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동물인 사슴은 상서로움과 평화를 상징하였다. 와당에 표현된 사슴의 모습은 매우 다양하다. 앉거나, 서 있거나, 뛰어다니는 자세, 새끼 사슴이 함께 등장하거나 다른 동물들과 어울려 등장하기도 한다. 長樂毋極常安居(장락무극상안거) - 晴溪 安定煥 刻(청계 안정환 각) 언제나 즐거운 일 끝없고 늘 편안한 거처 / 오래도록 즐겁고 항상 편안하게 잘 살아라. blog.daum.net/yescheers/8599434 각종 와당 문양 전각 - 청계 꽹과리(Kkwaenggwar.. 2021. 1. 11.
향원익청(香遠益淸) - 청계 향원익청(香遠益淸) - 서각(書刻) 香遠益淸(향원익청) - 晴溪 刻(청계 각) / 安定煥(안정환) 香 향기 향 / 遠 멀 원 / 益 더할 익,넘칠 일 / 淸 맑을 청 -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 중에서 향원익청(香遠益淸) 꽃의 향기가 멀리까지 풍기고 더욱 맑다. 군자의 덕행이 먼 곳까지 미치는 것 같다. 향원익청(香遠益淸)이라는 말은 연꽃의 향기는 멀수록 맑음을 더한다는 뜻으로 주렴계의 ‘애련설(愛蓮說)’에 나오는 구절이다. 주렴계는 애련설에서, 도연명은 국화를 사랑했고 당나라 이후에 사람들은 모란을 사랑했다. 국화는 숨어서 사는 자요 모란은 부귀를 상징한다. 나는 유독 진흙에서 나왔으나 물들지 않고 맑은 물에 씻겼으나 요염하지 않고,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아(香遠益淸) 멀리 바라볼 수 있으.. 2020. 12. 24.
용구(龍龜) 갈필(葛筆) - 청계 용, 구(龍, 龜) 글은 부산시무형문화재 제24호 전각장 안정환(釜山市無形文化財 第二十四號 篆刻匠 安定煥) 선생이 직접 만드신 갈필(葛筆) 작품이다. / 2020. 12. 22 ※ 갈필(葛筆)은 칡의 줄기나 뿌리로 만든 붓을 말한다. 龍 (용) 龍飛蒼海神光射 (용비창해신광사) 용이 넓은 바다(동해)를 날으니 신비한(신령스러운) 빛이 나온다. 龍騰萬里雲 (용등만리운) 용이 멀리 구름 위를 오른다. 龍天福吉祥 (용천복길상) 용이 하늘을 오르듯 큰 행운과 좋은 일이 생긴다. - 용천(龍天)이란 용이 하늘에 오른다는 의미이다. - 복(福)은 좋은 운수나 큰 행운으로 풀이된다. - 길상(吉祥)이란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金井山房 主人 安晴溪 (금정산방 주인 안청계) / 낙관 : 安定煥(안정환) 晴.. 2020. 12. 22.
기선(棋禪) - 무원 棋禪 (기선) 長樂萬年 (장락만년) 棋禪(기선) 無圓(무원) / 李敦燮(이돈섭) ------------------------------------------------------------------------------------------------------------------------- 長樂萬年 (장락만년) 즐거움이 오래도록 끝이 없다. 棋禪(기선) 바둑과 선은 하나다. ※ 棋禪一如(기선일여) 바둑과 선은 둘이 아니다. 바둑의 승부는 기술이 아닌 촌각(寸刻)의 흔들림에 결판이 난다. 무념무상(無念無想)의 경지에서만이 걸림없는 수(手)를 둘 수 있다고 하니 "무심" 그 고요함만이 바둑의 극치를 이루는 길이다. 선(禪) 수행자들이 생사를 초월하는 것처럼, 바둑은 반상에서 혼신을 다해 경쟁하다가 승.. 2020. 12. 17.
금강경 - 혜거스님 10폭 병풍 금강경 - 혜거(慧炬) 대종사(大宗師) 스님 10폭 병풍 금강경의 정식 명칭은 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金剛摩訶般若波羅蜜經)이다. (원문) 如是我聞 一時 佛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俱 (음독) 여시아문 일시 불재사위국 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구 (해석)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슈라바스티)의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무리 1,250인과 함께 계셨다. 이후 원문(음독)은 본문 하단부 전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혜거스님 (大宗師, 대종사) 1944년 4월 18일, 전라남도 영암 소속 : 금강선원 (주지)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소재 경력사항 2020.04 ~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원장 2005.03 ~ 탄허불교문화재단 이사장 2001.06 ~ 한국전통불교.. 2020. 12. 16.
죽(竹) - 효강(曉崗) 죽(竹) - 효강(曉崗) 기개가 넘친 죽(竹) / 효강(曉崗) 박득봉 (朴得鳳) 玉立蕭蕭竹數竿 (옥립소소죽수간) 아름답게 서있는 모습, 우수수 들리는 대나무 몇 그루 / 옥처럼 서있는 쓸쓸한 대나무 몇그루 風枝露葉帶淸寒 (풍지로엽대청한)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 이슬 맺힌 잎사귀는 맑고 서늘한 기운을 띠고 있구나 / 바람이는 가지와 이슬맺힌 앞사귀 맑고 찬 기울 둘렀네. 己巳晩秋 (기사만추) 扵 內院寺(어 내원사) 水閣主人(수각주인) 曉崗(효강) / 박득봉 (朴得鳳) *** 기사만추 : 1989년 늦가을 / 어 내원사 : 내원사에서 (扵는 於의 속자) 玉立蕭蕭竹數竿 (옥립소소죽수간 ) 아름답게 서있는 모습, 우수수 들리는 대나무 몇 그루 風枝露葉帶淸寒 (풍지로엽대청한)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 이슬 맺힌 잎.. 2020. 12. 16.
학(鶴) - 수안스님 학(鶴) - 수안스님 날이 날마다 새롭게 피여나소서 戊辰冬至(무진동지) 殊眼(수안) ---------------------------------------------------------------------------- 선화가(禪畵家) 수안(殊眼) 스님 1940년 경남 통영 출생 1957년 석정스님 은사로 출가 1964년 월하 스님을 계사로 수계 (비구계) 이후 통도사 송광사 백련사 묘관음사 등 전국 선원에서 정진 1979년 "이리 이재민 돕기 선묵전" 으로 선화가(禪畵家)로 알려짐 국내·국외전 수십회 통도사 축서암 주지 사회복지재단 통도사 자비원장 통도사 축서암 주석(감원) 현재 영축산 문수원 주석 =========================================================.. 2020. 12. 16.
관음보살(觀音菩薩) - 탁본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像) 탁본(拓本) / 관음보살(觀音普薩) 탁본(拓本)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像) 탁본(拓本) - 수월(水月) 김만술(金萬述) 근대(近代)의 조각가(彫刻家) 수월거사(水月居士) 김만술(金萬述) 선생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像) 탁본(拓本) 작품이다. 김만술(金萬述) 선생은 경북 경주 출신으로 근대의 조각가이며 호는 수월(水月)이며 별호는 수월거사(水月居士)이다. 1942년에서 1944년까지 일본 동경 하나코 지츠조(日名子實三) 조각연구소에서 조각을 공부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경주를 중심으로 조각가로 활동했다. 1942년과 1944년 조선미술전람회에 ‘김광작’이라는 이름으로 「박군의 상」, 「와다나베씨의 상」을 각각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8ㆍ15광복 이후에는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2020. 12. 16.
관음보살대의왕 - 경봉스님 觀音菩薩大醫王(관음보살대의왕) - 경봉스님(대선사) 觀音菩薩大醫王 (관음보살대의왕) 甘露甁中法水香(감로병중법수향) 灑濯魔雲生瑞氣 (쇄탁마운생서기) 消除熱惱獲淸凉(소제열뇌획청량) 관세음보살께서는 크나큰 의왕이시니, 불사의 감로병 중에 법의 향기 가득하네. 마구니의 구름에서도 서기를 나게 하시니 온갖 번뇌 걷어내어 청량함을 얻게 하네. 관세음보살님 대의왕이시라, 감로정병에서 법수의 향기 피어오르네, 마군의 구름 씻어주는 서기가 뿜어져 나오니, 뜨거운 번뇌 사그러들고 청량함이 온몸에 번져가네. 마구니(魔마귀마) 뜻 마(魔,악마. 마귀. 귀신)의 사전적 의미는 몸과 마음을 소란하게 하여 도를 닦는 데 방해되는 여러 형태의 장애를 가리키는 불교용어이다. 마구니는 어떠한 형태를 가진 귀신들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속에.. 2020. 12. 16.
달마대사 - 직지인심 달마대사(達磨大師) 직지인심(直指人心) 直指人心 (직지인심) 見性成佛 (견성성불) 達磨大師 尊像 (달마대사 존상) 家和萬事成 祈願 (가화만사성 기원) 歲在 辛巳年 初夏之節 玉峯 宋石復 筆 (세재 신사년 초하지절 옥봉 송석복 필) / 2001년 음력 4월(초여름) ※ 歲在(세재)는 간지(干支)를 따라서 정한 해의 차례를 말한다. 세차(歲次)와 세사(歲舍)도 같은 뜻이다. 初夏(초하)는 음력 4월을 달리 부르는 말이며,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유하(維夏)라고도 한다 直指人心 見性成佛 (직지인심 견성성불) 참선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바르게 보면, 그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 -------------------------------------------------------------.. 2020. 12. 16.
초룡쟁주(草龍爭珠) - 청계 草龍爭珠(초룡쟁주) / 金井山主人 禮安 作 (금정산주인 예안 작) / 晴溪 安定煥(청계 안정환) - 포도줄기가 넝쿨져 구슬같은 포도송이가 다투어 매달리고 있다. 의역을 한다면 자연스럽고 태평스러운 세상을 느낄수 있다. - 풀용이 구슬을 다툰다. - 용 같은 포도넝쿨이 포도알을 싸안고 있다. - 초원의 용이 여의주를 두고 서로 다투네. 2020. 12. 9.
德莫高于(덕막고우) - 청계 제30회 국제서화예술전 - 부산전 (第30回 國際書畵藝術展 - 釜山展) 德莫高于(덕막고우) 부산시(釜山市) 전각장(篆刻匠) 안청계(安晴溪) 서(書) / 晴溪 安定煥(청계 안정환) 이 작품은 중국 전한시대의 정치가, 문인이며 학자였던 賈宜(가의)라는 분의 글로 그의 저서인 新書(신서) 문장을 전서체로 쓴 것이다. / 가의(賈宜 BC 200 ~ BC 168 漢의 政論家) ​ 德莫高于博愛人 政莫高于博利人 故(생략) 政莫大于信 治莫大于仁 ​(덕막고우박애인 정막고우박리인 고(생략) 정막대우신,치막대우인) 덕은 사람들을 널리 사랑하는 것보다 높은 것이 없고 정(치)는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보다 높은 것이 없다. ​ (고로) - 생략된 글자 ​ 정(政)은 믿음보다 큰것은 없고 치(治)는 인보다 큰 것이 없다.. .. 2020. 11. 14.
陟州東海碑(척주동해비) / 東海頌(동해송) 晴溪(청계) 安定煥(안정환) - 眉叟(미수) 許穆先生 詩(허목선생 시) 東海頌(동해송) 陟州東海碑(척주동해비) / 東海頌(동해송) 瀛海漭瀁(영해망양) 百川朝宗(백천조종) 其大無窮(기대무궁) 東北沙海(동북사해) 無潮無汐(무조무석) 號爲大澤(호위대택) 積水稽天(적수계천) 渤潏汪濊(발휼왕예) 海動有曀(해동유애) 明明暘谷(명명양곡) 太陽之門(태양지문) 羲伯司賓(희백사빈) 析木之次(석목지차) 牝牛之宮(빈우지궁) 日本無東(일본무동) 鮫人之珍(교인지진) 涵海百産(함해백산) 汗汗漫漫(한한만만) 奇物譎詭(기물휼궤) 宛宛之祥(완완지상) 興德而章(흥적이장) 蚌之胎珠(방지태주) 與日盛衰(여일성쇠) 旁氣昇霏(방기승비) 天吳九首(천오구수) 怪夔一股(괴기일고) 颷回且雨(표회차우) 出日朝暾(출일조돈) 轇軋炫煌(교알현황) 紫赤滄滄(자.. 2020. 11. 14.
서예 5체 학습자료 서예 5체에 관한 학습자료를 도원장 선생님 블로그에서 공부하기 위해 갖고 왔습니다. 출처 : blog.daum.net/imrdowon/8468534 1. 해서체 학습자료 2. 행서체 학습자료 3. 예서체 학습자료 4. 초서체 학습자료 5. 전서체 학습자료 1. 해서체 자료 상세 목록 1-1-1. 영자팔법; http://blog.daum.net/imrdowon/8467953 1-1-2. 해서의 서법 ; http://blog.daum.net/imrdowon/8468553 1-1-3. 구성궁예천명 44 결구 ; http://blog.daum.net/imrdowon/8467954 1-1-4. 44 결구법 해설 (1) ; http://blog.daum.net/imrdowon/8467963 1-1-5. 44 결구법.. 2020. 11. 10.
사진협회 회원전 - 제25회 금샘예술축제 o 부산시 금정구 문화예술인 협의회 사진협회 회원전 o 전시기간 : 2020. 10. 30(금) - 11. 5 (목) o 전시장소 : 금정문화회관 소전시실 2020.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