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 예 방300

몽유선경 다반향초 - 청계 작품 신위(申緯)의 호는 자하(紫霞)이다. 1831년 봄(3월)에 자신의 거처에 “茶半香初室(다반향초실)”이란 당호를 걸었다. 다반향초 내용은 몽유선경(夢遊仙扃)이라는 시에 나오는데 "차를 반쯤 마시고 향을 음미한다(사른다)"는 뜻으로, 초의시집에 다반향초 서문을 써준 것은 1831년 4월이다. 다반향초는 다양하게 해석하는데 그 뜻은 비슷하다. 차를 반쯤 마셨어도 향은 처음과 같다. 차를 마신지 반나절이 지났으나 그 향은 처음과 같다. 차를 반쯤 마셨는데 향기는 처음 그대로 이다. 다반향초는 차가 끝까지 같은 향을 유지하듯이, 우리 스스로의 삶도 한결 같은지 뒤돌아 보야야 한다. 늘 한결같은 원칙(原則)과 태도(態度)를 중시(重視)해야 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晝寢. 夢遊仙扃 云綠陰如水鶯聲滑 芳草和煙燕影消 覺.. 2021. 9. 15.
담박과 영정 - 부채작품 담박(澹泊)과 영정(寧靜)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고사성어 가운데 ‘담박(澹泊)’이라는 말이 있는데, 담박이라는 말은 諸葛亮 誡子書(제갈량 계자서) 라는 글에서 유래되었다. * 諸葛亮(제갈량) = 제갈공명(諸葛孔明) 계자서(誡子書)는 중국의 유명한 재상이며, 정치가로 알려진 촉한(蜀漢)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이 54세가 되던 해에 8살 된 아들 첨(瞻)에게 가르치기 위해 지은 글이다. 중국에서 계자서는 자식을 올바르게 훈육하기 위한 가르침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지침서이다. 제갈량은 계자서에서 “무릇 군자(君子)는 고요함으로 자신을 수양하고, 검소함으로 덕(德)을 키운다. 담박하지 않으면 뜻을 밝힐 수 없고 고요하지 않으면 먼 곳에 이르지 못한다. 非淡泊無以明志 非寧靜無以致遠 (비담박무이명지 비녕정무이치원).. 2021. 8. 19.
相愛(상애), 義(의) - 부채작품 相愛 (相愛也, 상애야) / 서로 사랑하자 / 無圓(무원) 李敦燮(이돈섭) 義(의) / 見利而 讓義也(견리이 양의야) / 利(이)를 앞두고 讓步(양보)하는 것이 義(의)다. / 無圓(무원) 李敦燮(이돈섭) ☆ 見利(견리) : 이익(利益)을 봄 ☆ 讓義(양의) : 양보하는 것이 의롭다(옳다). 상 (相) 애 (愛) 의 (義) 2021. 8. 18.
정향 (靜香) - 무원 靜香(정향) - 無圓 李敦燮(무원 이돈섭) 啼鳥雲山靜 落花溪水香 (제조운산정 낙화계수향) 새는 울어도 산은 고요하고 / 떨어진 꽃잎에 냇물은 향기롭네. 啼鳥雲山靜 (제조운산정) / 출전(出典) : 대숙륜시(戴叔倫詩) 啼鳥雲山靜 落花溪水香 (제조운산정 낙화계수향) 지저귀는 새소리에 구름 낀 산은 더욱 고요하기만 하고 꽃잎이 시냇물에 떨어져 떠 내려가니 물도 향기롭구나! 당(唐)나라 대숙륜(戴叔倫)의 시(詩)중의 한 구절이다. 대숙륜(戴叔倫, 732~789)의 자(字)는 유공(幼公)으로 윤주금단(潤州金壇) 현재의 江蘇省(강소성)사람이다. 무주(撫州)지사를 지냈으며 시집은 300수가 있다. 2021. 6. 9.
곡즉전 (曲則全) - 해정 곡즉전 :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말 - 해정 신주철 // 굽어서 온전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語見老子 二十二章 (어견노자 22장)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幣則新 少則得 多則惑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소즉득 다즉혹) 굽히면 온전해지고, 구부리면 곧아지며, 패이면 채워지고, 낡으면 새로워지며, 덜어내면 얻어지고, 많으면 미혹된다. 辛丑 肇春之吉 (신축 조춘지길) 九十二叟(구십이수) 海丁(해정) ===================================================================== 曲則全 (곡즉전) - 蓮松 (연송) 2021. 6. 9.
법성게 각 (法性偈 刻) - 청계 法性偈刻 (법성게각) / 청계 안정환 字曰 法性偈 刻印 釜山市 無形文化財 篆刻匠 安定煥 (자왈 법성게 각인 부산시 무형문화재 전각장 안정환) 의상대사(義湘大師) 법성게(法性偈) 신라의 의상(義湘, 625~702) 대사가 중국에 가서 화엄경(華嚴經)을 공부한 후 화엄경의 핵심내용을 7언 30구 210자로 표현한 게송이 "법성게"이다. 그리고 이 30구의 게송을 도표화 한 것이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이고, 줄여서 법계도(法界圖)라고도 한다. 30구의 게송을 54각(角)의 네모꼴로 도표화한 도인(圖印)이다. 이를 해인도(海印圖)라고도 한다. 2021. 6. 9.
국제 서화 디자인 / 2021전 제10회 (사)대한민국서화 디자인 협회전 10주년 기념 국제서화 디자인 - 2021전 - 일시 : 2021. 6. 7(월) - 6. 13(일)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 1, 2, 3전시실 부산시장 축사 출품작가 / 초청작가 大韓獨立萬歲(대한독립만세) / 율산 이홍재 대한독립만세 3.1절 102주년 세계평화기원 대한국인 - 율산 이홍재 봄 / 국당 조성주 어느 봄날 국당 봄을 쓰다. 대한민국 출품자 금샘 / 매암 공희순 금정(金井)은 금빛의 샘 즉, 암상금정(巖上金井)에서 비롯되어 금정산이란 지명이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금정산성 북문에서 고당봉 쪽으로 300여m쯤 오르면 고당샘이 나오고, 이곳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100여m쯤 내려가면 바위군 맨 끝에 우뚝 솟은 바위 정수리에 언제나 금빛 물이 고여 있.. 2021. 6. 7.
작약 꽃 작약 꽃 모란(목단)과 작약 구분하는 법 모란을 목작약이라고 부르고, 작약을 초목단이라고도 할 정도로 모란과 작약은 서로 비슷하다. 꽃만 보면 모란과 작약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쉽게 설명하면 작약은 풀이고, 모란은 나무이다. 모란은 작약과의 낙엽 활엽 관목(목본)이고, 작약은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초본) 이다. 모란과 작약의 개화 시기는 모란은 4~5월에 꽃이 피고, 작약은 5~6월에 꽃이 핀다. 목단화(牧丹花) - 운석 김도영 (daum.net) 목단화(牧丹花) - 운석 김도영 목단화(牧丹花) 화제(畫題) 두인(頭印) : 長樂(장락) 小園一闢花王國(소원일벽화왕국) / 작은 정원이 한번에 꽃 왕국을 열었고, 綠葉紅朶錦繡成(녹엽홍타금수성) / 푸른잎과 붉은 꽃송이 비단수를 blog.daum.net 모.. 2021. 5. 9.
녹죽상중하 탄허선사 - 남천 呑虛禪師(탄허선사)의 禪詩(선시) 綠竹霜中夏(녹죽상중하) 綠竹霜中夏 (녹죽상중하) 푸른 대나무는 서리 속에서도 여름이요,(여름처럼 푸르고) 靑松雪裏春 (청송설리춘) 푸른 솔은 눈 속에서도 봄이로구나.(봄날같이 파랗도다) 人能持此節 (인능지차절) 사람이 이 절개를 가지고 있다면, 何慮撼風塵 (하려감풍진) 어찌 바람과 티끌에 흔들릴까 염려하겠는가. 錄 呑虛禪師(록 탄허선사)의 禪詩(선시) 綠竹霜中夏 靑松雪裏春(녹죽상중하 청송설리춘) 李南泉(이남천) 書(서) / 낙관 李聖勳印(이성훈인) 南泉(남천) 녹죽(綠竹)은 상중하(霜中夏)요 / 푸른 대나무는 서리 속에서도 여름이요, 청송(靑松)은 설리춘(雪裏春)이라. / 푸른 솔은 눈 속에서도 봄이라. 이 세상 설핏 살아도 푸르게만 살리라. ===============.. 2021. 5. 4.
제7회 녹묵회전 - 부산시청 제7회 녹묵회전 (第7回 鹿墨會展) - 전시기간 : 2021. 5. 3(월) - 8(토) - 전시장소 : 부산시청 제2, 3전시실 출품회원 명단 2021. 5. 4.
백송 천연염색 아트연구회 두번째 백송 천연염색 아트연구회 - 전시기간 : 2021. 5. 3(월) - 5. 9(일) - 전시장소 : 부산시청 제1전시실 2021. 5. 4.
인생교훈 - 명언 ◇ 人生 十四最 (인생 십사최) / 인생 14대 교훈 ◇ 知足常樂 (지족상락) 만족할 줄 알면 항상 즐겁다. ◇ 治家格言 (치가격언) 가정을 다스리는격언 / 집안을 다스리는 격조 높은 말씀 ◇ 莫生氣(막생기) 성을 내지 마라 人生 十四最 (인생 십사최) / 인생 14대 교훈 一. 人生最大的敵人是自己 (일. 인생최대적적인시자기) 1. 인생 최대의 적은 자기자신이다. 二. 人生 最大的失敗是自大 (이. 人生 최대적실패시자대) 2. 인생 최대의 실패는 스스로 잘낫다는 생각이다. 三. 人生最大的無智是欺騙 (삼. 인생최대적무지시기편) 3. 인생 최대의 어리석음은 남을 속이는 것이다. 四. 人生最悲哀的是嫉妒(妬) (사. 인생최비애적시질투) 4. 인생에서 가장 슬픈 일은 질투다. 五. 人生最大的錯誤是自棄 (오. 인생최.. 2021. 5. 3.
갤러리 영 유화 작품 들 부산의 구서동역사내에 위치한 "갤러리 영"의 전시 판매 작품들 사진입니다. 미술품에 대한 조예가 없어 설명은 드릴 수 없고 대표적인 이미지만 올려 봅니다. 전시장 입구에는 수석과 서각작품이 있다. 서양화가 황해수 작가님은 각종 표창을 받고, 서양화 심사위원으로 위촉도 많이 받으신 분이다. 부산의 용두산공원과 남항을 그린 작품이네요. 보리밭 작품도 있네요. 수반(水盤)의 수석에 금붕어를 그려 놓으니 물고기가 없어도 운치가 좋아요. 2021. 5. 1.
8폭 한문성경 병풍 폐기 고찰 8폭 한문성경(漢文聖經) 병풍(屛風)의 폐기(廢棄) 고찰(考察) 한때는 사랑을 받은 작품이었겠지만, 폐기 직전에 놓여 있는 8폭병풍의 산수화 2점 및 성경 시편 글씨 6점이 있는 병풍을 기록으로 남겨 봅니다. 요즘 문인화 병풍, 자수병풍 등이 집안에서 거추장스럽고 귀찮은 물건이 되면서 조기에 생명력을 다하고 폐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듯 합니다. 아래 병풍은 한문성경 시편 23편의 내용을 적은 작품입니다. 성경 병풍 - 1폭 산수화 黃田(황전) 작품 병풍의 훼손이 심하여 폐기로 결정을 하더라도 병풍의 글이나 그림이 좋아 보이고, 병풍의 틀이 잘 짜여져 있다면 다시한번 살펴보자는 의미에서 이글을 적어 봅니다. 참고로 유명 표구사에서 고서와 오래된 병풍을 복원, 수리하는 과정에 아주 귀한 작품들이 발견되기도 한.. 2021. 5. 1.
주풍궁 와당문 - 한와 10폭 병풍 - 청계 주풍궁 와당문 한나라 기와무늬 열폭 병풍 - 청계 안정환 10 9 8 7 6 5 4 3 2 1 2 1 4 3 6 5 8 7 10 9 50 瓦當文 와당문 (10幅 屛風) 0×0cm×10 50-1 周豊宮瓦當文 주풍궁와당문 周(주)나라 수도 豊鎬(풍호)에 있었던 宮殿(궁전)의 와당문 50-1-1 衎간 瓦와當당面면逕경六육寸촌四사圍위作작朱주雀작元원武무 靑청龍룡白백虎호之지錢전中중 有유一일字자曰왈衎간 와당의 얼굴 지름과 길이가 여섯치며 사방에는 朱雀元武(주작원무) 靑龍白虎(청룡백호)를 새겼다. 돈 같이 새겨진 가운데에 한 글자가 있으니衎(간) 자이 다.[ 拜은 衎(간) 자와 동일하고 和樂의 뜻이다] 50-1-2 도 麋미 陶도陵능共공廚주銅동一일合합 容용一일千천拜배유 共공廚주銅동鼎정 容용一일千천中중八팔千천一일兩량二이十십.. 2021. 4. 30.
도자기 작품 - 청계 도자기 작품 2021. 4. 30.
해현경장(解弦更張) 등 부채(扇) - 무원 解弦更張 (해현경장) 解弦更張 (해현경장) - 無圓(무원) 거문고의 줄을 바꾸거나 고쳐 맨다. / 제도나 규범 등을 개혁한다. (解 풀 해, 弦 시위 현, 更 고칠 경, 張 베풀 장) 느슨해진 것을 긴장하도록 다시 고치거나, 사회 정치적으로 필요한 제도나 규범 등을 개혁하거나 개선시킨다는 뜻을 갖고 있다. 해현경장은 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에 나오는데, 동중서(董仲舒)의 말에서 ‘해현경장’이 유래했으며, 제도를 개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개현경장(改弦更張)’ 혹은 ‘개현역장(改弦易張)’으로도 쓴다. 해현경장은 중국 한나라에 동중서가 무제에게 올린 현량대책에서 유래되었는데 인재를 등용하여 발전을 도모하고자 할 때에 인용 되었던 고사성어이다. 한(漢)나라 사람 동중서(董仲舒)는 젊.. 2021. 4. 29.
대법륜사 삼성각, 재실 돈화문 편액 - 청계 함박산 대법륜사(大法輪寺)의 삼성각(三聖閣) 편액(扁額) 서각(書刻) 대법륜사는 경남 김해시 금관대로 1088-28 (흥동)의 함박산 자락에 자리잡은 사찰이다. 대법륜사 뒷산은 함박산으로 165m이며, 한 줄기로 이어진 임호산은 179.6m이다. 김해 대법륜사 삼성각 大法輪寺(대법륜사) 三聖閣(삼성각) 편액(扁額) - 청계 안정환(晴溪 安定煥) / 2000년 3월 대법륜사 아미타대불은 2018년 12월 4일 점안식를 올린 거대한 불상이다. 아미타대불부처님 몸 안에 몸속 법당은 3층으로 조성되었다. 몸속 법당의 1층은 24평이고, 높이는 20m이다. okyeo108.tistory.com/ 김해 사찰 대법륜사 부산 사찰 광명선원 달라이 라마존자 접견실 (2009.12.24) okyeo108.tistory.c.. 2021. 4. 27.
각주구검 서각 - 청계 각주구검(刻舟求劍) 서각(書刻) 刻舟求劍(각주구검) - 晴溪刻(청계각) / 낙관 安定煥印 晴溪(안정환인 청계) (刻 새길 각 / 舟 배 주 / 求 구할 구 / 劍 칼 검) 각주구검은 세상 형편도 모르고 낡은 것만 고집하는 미련하고 어리석은 사람이나 그 행동을 비유로 이르는 말이다. 주로 융통성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거나, 시대가 변했는데도 오로지 옛날 것만 고집하는 사람을 빗대어 쓰이기도 한다. 겉뜻 : 배에 흠집을 새겨 칼을 구한다. 속뜻 : 융통성이 없고 무식하거나 고집이 세다. 출전 : 신대람(愼大覽) 찰금편(察今篇) 옛날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칼을 떨어뜨렸는데, 이 사람이 칼을 찾는다면서 칼을 빠뜨린 지점을 배에 표시를 해두었다. 배가 도착한 뒤에 이 사람은 표시를 해둔.. 2021. 4. 27.
제31회 국제서화예술전 - 부산전 제31회 국제서화예술전 (第31回 國際書畵藝術展) □ 한국(부산)전시​ ○ 기간 : 2021. 4.12.(월) - 4.18.(일) ○ 장소 : 釜山市廳 1 ,2, 3 展示室 (부산시청 1 ,2, 3 전시실) ○ 주최 : 國際交流書道協會 (韓國) / 국제교류서도협회 (한국) ○ 전시내용 : 서예, 한국화, 민화 등 한국과 일본의 전통 서화 교류전 □ 일본(도쿄) 전시 ○ 기간 : 2021. 5.12.(수) - 5.16.(월) ○ 장소 : 東京都美術館 (동경도미술관) ○ 주최 : 國際書畵藝術協會 (일본) / 국제서화예술협회 (일본) 安氏 蘭亭序 印影 釜山市 無形文化財 第二十四號 篆刻匠 安 晴溪 刻 (안씨 난정서 인영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4호 전각장 안 청계 각) 2021. 4. 13.
난정서 인영 전각작품 - 청계 난정서 인영(蘭亭序 印影) 전각(篆刻) 작품 청계(晴溪) 선생의 난정서 인영(印影) 작품은 다양한 크기의 인장석(印章石)에 백문(음각)과 주문(양각)의 기법으로 난정서 전문을 세긴 작품이다. * 인장석(印章石)은 돌(石)로 만든 인재(印材)를 말한다. * 인재(印材) : 도장(圖章)을 만드는 인장재료(印章材料)이다. 난정서(蘭亭序)는 중국 동진(東晋)의 왕희지(王羲之)의 행서첩이다. 동진 묵제의 영화9년(353) 3월 3일 회계산음(저장성 소흥) 난정에서 당시의 명사 41명이 모여 계추를 하고 유상곡수(流觴曲水)의 유흥을 하고 시흥에 젖었다. 그때 지은 시집의 서를 왕희지가 썼고 옛날에는 『임하서(臨河序)』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난정서』라고 하며 또 『계첩(稧帖)』이라고도 한다. 당태종은 왕희지를 숭배하.. 2021. 4. 13.
용구(龍龜) 수석 전각 - 청계 ◎ 龍(용) : 입신출세, 입신양명, 훌륭한 사람이 되라 / 前(전) / 앞면 ◎ 龜(구) :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려라 / 背(배) / 후면 ☆ 龍龜(용구) : 공명부귀(功名富貴) ◇ 입신출세(立身出世) : 세상에 몸을 우뚝 세우고 출세를 한다. ◇ 입신양명(立身揚名) : 자신의 뜻을 확립하고 이름을 드날린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유명해진다. ◇ 공명부귀(功名富貴) :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치고,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다. 龍 - 晴溪 安 (용 - 청계 안) / 前面(전면) □ 용(龍)의 상징과 의미 ◇ 용(상상의 동물)은 임금, 천자(天子)를 상징 ◇ 비범한 사람이나 훌륭한 사람을 상징 / 입신양명(立身揚名) ◇ 등용문 : 용문을 오르다. 입신출세의 관문을 비유 ◇ 만물을 생성하고 어울리게 하는 덕(.. 2021. 4. 11.
한나라 기와무늬 열두폭 병풍 - 오세창 오세창 한나라 기와무늬 열두폭 병풍 (1938) 한와전문 십이곡병풍 1,2 3,4 5,6 7.8 9,10 11,12 ======================================================= ===================================================================================== 동은(東隱) 오영화(吳濚華) 병풍 (오세창 조카) 2021. 4. 9.
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한석봉 望盧山瀑布(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한석봉(한호,韓濩)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병풍은 이태백(李太白, 701년~762년)이 여산폭포(廬山瀑布)의 거대하고 신비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詩)의 일부분을 10폭 병풍으로 만들었다. 병풍은 조선 최고의 명필가인 한호(韓濩, 1543 -1605)의 작품으로 우리에게는 한석봉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호(1543 -1605)의 호는 석봉(石峯)과 청사(淸沙)이다. 한석봉의 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望盧山瀑布(여산폭포를 바라보며) 中亂潨射左 右洗青壁飛 중란중사좌 / 우세청벽비 하늘에서 어지러이 튀는 물줄기 / 좌우로 이끼 낀 푸른벽 씻어 내리네. 倏如飛電來 隱若白虹起 숙여비전래 / 은약백홍기 느닷없이 번개불 치는 것 같고 / 흰 무리 숨어 있다 일어난 것 같네. .. 2021. 4. 3.
동명 노동우 선생 작품 동명(東明) 노동우(盧東佑) 작가 (1931-2014.12.1) 아호(雅號) : 매산(梅山), 동명(東明) / 경남 김해 출생 / 동의대 행정대학원 수료 부산연산로터리클럽 회장(1995년), 명예회장 제17회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특선 (서예) 호남미술대전(서예부문) 특선 3회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종합대상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초대작가 대한민국서화예술대회 초대작가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심사위원 제29회∼제32회 대한민국서예대전 심사부위원장 東明 盧東佑 八秩 書畵個人展 (동명 노동우 팔질 서화개인전 / 2010. 12.) * 八秩 (팔질) : 80세 되는 해 / 팔순(八旬), 산수(傘壽) 동명 노동우 선생(1931-2014.12.01)) / 꼭 한번 뵙고 싶었던 분인데 이렇게 사진으로 만나뵙게 되.. 2021. 3. 31.
세시이명과 별칭, 간지의 고칭 서예. 낙관 시 세시이명과 별칭(歲時異名과別稱), 간지(干支)의 고칭(古稱) 세시이명(歲時異名)이란 서예 작품의 낙관 시에 작품의 완성시기를 연(年)월(月)순(旬,열흘)으로 구분표기하는 별칭 방법이다. 연도는 천간별칭(天干別稱)과 지지별칭(地支別稱)으로 구분하고, 월별(세시)과 순별(旬別,10일) 별칭으로 구분을 하여 1년 12달의 월(月)과 계절(季節)을 본 이름 외에 달리 표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의 월별 표기는 음력기준이고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요즘 서예작품들은 연도표시를 간지로 표기하여 쉽게 작품의 제작년도를 알 수 있다. 세시(歲時)는 매년 돌아오는 한 해 중의 특정한 시기를 일컫는 말로 흔히 '세시풍속(歲時風俗)' 할 때의 그 세시(歲時)를 말한다. / * 시시풍속 : 해마다 일.. 2021. 3. 30.
반야심경 금니사경(金泥寫經) - 大汕(대산) 惠鳳(혜봉) 스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금니사경(金泥寫經) 반야심경은 가장 넓고 큰 지혜로운 깨침에 이르는 불변의 진리를 기록한 불교 경전으로 - 반야는 지혜란 뜻이고 이 지혜는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근본 이치로서의 최상의 지혜 - 바라밀다는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이며, 저 언덕이란 이상의 경지인 불도를 닦아 행한 곳을 의미 - 심은 본심, 본질이란 뜻으로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하고, - 경이란 성인이 설하신 불변의 진리를 기록한 책을 뜻한다. 그러므로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넓고 큰 지혜로써 부처님과 보살이 닦은 경지의 언덕에 이르는 근본이 되는 진리의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위 반야심경 사경은 1979년 9월 10일 우암정사(憂岩精舍) 선열당(禪悅堂) 건물의 축성을 축하하는 서사(書寫) 작품으로 대한.. 2021. 3. 23.
봄꽃 사진 봄꽃이 예쁘게 피었습니다. 2021. 3. 20.
2021 한일 국제서화교류전 - 부산취묵회 2021 韓日 國際書畵交流展-釜山醉墨會( 한일 국제서화교류전-부산취묵회) - 일시 : 2021. 3. 15(월) - 3. 21(일)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3전시실 2021. 3. 15.
BE BORN - BURNING STORY - 인두화 BE BORN - BURNING STORY - 인두화 이야기 / 金承會(김승회) 작품 전시회 - 일시 : 2021. 3. 15(월) - 3, 20(토)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2전시실 "인두화"는 달구어진 인두로 그린 그림으로 나무, 대나무, 상아 따위의 표면에 인두로 지져서 그린 그림. 또는 그 기법을 말한다. - BE BORN : 태어나다 / - BURNING STORY : 불타는 이야기 * WOOD BURNING STORY : 인두화 이야기 우드버닝(Wood burning)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나무를 태워서 그리는 그림이다. 인두를 주로 사용하여 그리는 그림이라 인두화라고 불리며, 요즘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버닝펜이란 기계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납땜용 전기인두는 우드버닝용 버닝펜보다 온.. 2021.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