秦瓦鹿紋(진와록문) / 長樂毋極常安居(장락무극상안거) - 銅刻(동각)
秦瓦鹿紋(진와록문) - 晴溪 安定煥 刻(청계 안정환 각)
진나라 시대의 사슴문양은 상서로음과 평화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문양이다.
진나라 사람들이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동물인 사슴은 상서로움과 평화를 상징하였다.
와당에 표현된 사슴의 모습은 매우 다양하다.
앉거나, 서 있거나, 뛰어다니는 자세, 새끼 사슴이 함께 등장하거나 다른 동물들과 어울려 등장하기도 한다.
長樂毋極常安居(장락무극상안거) - 晴溪 安定煥 刻(청계 안정환 각)
언제나 즐거운 일 끝없고 늘 편안한 거처 / 오래도록 즐겁고 항상 편안하게 잘 살아라.
blog.daum.net/yescheers/8599434
각종 와당 문양 전각 - 청계
꽹과리(Kkwaenggwari)에 다양하게 세겨진 와당(瓦當) 문양(文樣)은 전각장 청계 안정환 선생의 작품이다. 작품 왼쪽에 釜市無形文化財 第二十四號 篆刻匠 晴溪 安定煥 (부산시무형문화재 제24호
blog.daum.net
blog.daum.net/yescheers/8599443
宜富當貴千金(의부당귀천금) 와당 - 부채(扇선)
진나라, 한나라 시대 동물(짐승) 문양 와당(瓦當) - 부채 작품 釜山市無形文化財 二十四號 篆刻匠 安定煥 作 (부산시무형문화재 24호 전각장 안정환 작) 宜富當貴千金 (의부당귀천금) / 秦瓦鹿紋 (
blog.daum.net
==========================================================================
歲寒圖(세한도) 서각작품 / 청계 안정환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는 추사 선생이 59세인 1844년 제주도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 제자인 우선(藕船) 이상적(李尙迪)이 보내준 책을 받고, 그 정성에 감격하여 그려준 그림이다.
원본 세한도는 세로 23㎝, 가로 69.2㎝정도였는데 추사와 청나라·조선 문인 20명의 ‘댓글’ 등이 이어지면서 15m에 육박하는 두루마리 장권(전체 크기 33.5×1469.5cm)이 되었다.
세한도 / 벚나무 세로 45cm X 가로 180cm
'서 예 방 > 청계 안정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지교, 백양교 휘호 - 청계 (0) | 2021.01.14 |
---|---|
김시민 장군 기념비 휘호 - 청계 (0) | 2021.01.14 |
향원익청(香遠益淸) - 청계 (0) | 2020.12.24 |
용구(龍龜) 갈필(葛筆) - 청계 (0) | 2020.12.22 |
초룡쟁주(草龍爭珠) - 청계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