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학 방/고려,조선관직관청7 공신(功臣)의 분류 공신이란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주던 칭호이며, 이는 중국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서 신라시대에 이미 녹공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때에는 왕건이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3등급으로 구분하여 각각 공을 세운 정도에 따라 상을 내렸으며, 공신당(.. 2011. 11. 19. 조선시대 무관의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무관의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관직제도에 관한 것은 당연히 경국대전에 실려 있다. 무관들의 관직을 살피는 것이니, 또한 "병전(兵典)"에 실려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품계(品階)와 산계(散階)의 개념을 확실히 알아야 한다. 과거나 음서 등의 어떤 경로 등으로 통해서.. 2011. 11. 6. 상신(相臣)과 문형(文衡) 의정부(議政府)의 행정수반인 상신(相臣) ◈ 상신(相臣)은 조선시대 의정부의 최고관직(정1품)으로서 영의정.좌의정.우의정 등 삼의정(三議政)의 통칭이다. 삼의정은 국가의 최고의결권자로서 백관을 통솔하고 국정을 총람했다. 이는 합의체였으므로 삼의정 중 어느 한 사람이 반대하여도 왕은 정책결.. 2010. 9. 20. 고금관작대조표, 통덕랑, 통정대부, 가선대부 등 봉작표 조선시대 문무산계 (통덕랑, 통정대부, 가선대부) 통덕랑, 통정대부, 가선대부 모두 봉작을 말하는 것인데요. 봉작이란 특정 벼슬이 아니라 그 벼슬의 등급을 말하는 의미입니다. 대략적으로 쉽게 설명하면 품계를 더욱 세분화시켜 나누어 놓았다고 보면 됩니다. 봉작표 급 품 계 봉 작 급 .. 2009. 1. 13. 고려, 조선 관청 (가나다순) 가각고(架閣庫) : 고려 때 궁중의 도서·전적(典籍)을 밭아보던 관청(官廳). 가례도감(嘉禮都監) : 조선 때 와으이 성혼·즉위, 또는 왕세자·왕세손의 결혼·책봉 같은 일을 맏아본 임시 관청(官廳). 가옥(假獄) : 고려 광종 때 전옥서 이외에 임시로 설치한 옥. 각감청(閣監廳) : 조선 때 역대 임금의 초.. 2008. 10. 9. 고려, 조선 관직 (가나다 순) 가감역관(假監役官) : 조선시대 때 토목(土木)·영선(營繕)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가덕대부(嘉德大夫) : 조선시대 때 종1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官階). 가선대부(嘉善大夫) : 조선시대 때 관계(官階). 종2품으로 문·무반·종친이 받음. 가의대부(嘉義大夫) : 조선시대 때 관계(官階). 종2품으로 .. 2008. 10. 9. 동정직 산직(散職)에 대하여 고려의 산직체계를 보면 문반5품·무반4품 이상에는 검교직(檢校職)을, 그 아래와 남반(南班)·이속(吏屬)·향리(鄕吏)·승관(僧官)에 걸쳐서는 동정직을 두었다. 실직(實職) 관직명 뒤에 동정이란 단어를 붙여 구분했다. 고려의 관직체계는 내부에 참상(參上)·참외(參外), 품관(品官)·품외(品外)로, .. 2008. 10.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