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경고 4가지
공자의 논어(論語) 자한(子罕)편 4장에 “자절사(子絶四)에서 "무의(毋意), 무필(毋必), 무고(毋固), 무아(毋我)"라고 하여 네 가지를 버리라고 경고했다. 공자는 네 가지를 끊었으니, 사사로운 의견이 없고, 반드시 이러해야 된다는 것이 없고, 고집하는 것이 없고,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이 없었다는 뜻이다.다른 사람과 함께 공감하고 협력을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공자의 말은 시대를 뛰어넘는 경고다. 공자가 살면서 피하라고 말한 4가지 1. 무의(毋意, 사사로운 의견): 자신만의 생각에 매몰되지 않는 것자신의 사사로운 의견이나 생각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상황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남의 속마음을 제멋대로 생각해 지레짐작하지 마라. 2. 무필(毋必, 반드시 이러해야 한다는..
2025. 5. 5.
논어 위정편 공자 인생관
論語 爲政篇(논어 위정편) 爲政 第二 제4장 공자의 인생관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가 되어 자신의 입장을 가졌고, 40세에는 미혹됨이 없었으며, 50세에 하늘이 내게 명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았고, 60세가 되니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70세에는 내 마음이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도 도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었다." 論語集註(논어집주) 爲政 第二(위정 제2) 4. 子曰 吾十有五而…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
2017. 8. 29.
마음으로 읽는 동양고전
마음으로 읽는 동양고전 賢人의 실천 강령으로서 人,智, 身의 수양을 위한 동양의 고전들입니다. 01. 智者, 成之於順時. 愚者, 敗之於逆理. 지자, 성지어순시. 우자, 패지어역리. 지혜로운 사람은 하늘이 정해주는 때를 알아 성공을 거두고, 어리석은 사람은 하늘의 이치에 역행하여 실패를 하게 된다. 02. 無欲速, 無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즉 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을 탐하지 마라. 너무 서두르면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게 되고, 작은 이익을 탐하게 되면 큰일을 망치게 된다. 03. 知足者, 貧賤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 지족자, 빈천역락. 부지족자, 부귀역우. 매사 겸허하고, 현실에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비록 가난하고 낮은 위치에 있어도 ..
2012.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