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도(達磨圖) - 晴溪
달마도(達磨圖) - 晴溪 달마도(達磨圖) - 晴溪 달마도(達磨圖) - 晴溪 달마도(達磨圖) - 晴溪 김명국의 달마도(達磨圖) / 지본수묵, 83 x 58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선종의 흐름도 살아 생전시에 마하가섭에게 전해진 부처님의 마음을 전해 받은 것을 조사라고 호칭한다. 전래된 조사님의 이름만 열거해보면 가섭 제1대 조사(祖師) 제2조 아난, 제3조 상나화수, 제4조 우바국다, 제5조 제다가, 제6조 미차가, 제7조 파수밀, 제8조 불타난제, 제9조 복수밀다, 제10조 협존, 제11조 부나..
2020. 7. 28.
사군자(四君子) 8폭 병풍
매난국죽(梅蘭菊竹) 사군자(四君子) 8폭 병풍 사군자(四君子)는 매난국죽(梅蘭菊竹)으로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말한다. 유교 문화권에서 군자에 비유되어 왔으며, 군자란 완전한 인격을 가졌다는 뜻이다. 이 네 가지 식물들은 동양화의 소재가 되어 왔는데 각각 봄(매화, 雪梅), 여름(난초, 蘭草), 가을(국화, 秋菊), 겨울(대나무, 靑竹)을 뜻한다. 사군자 8폭 병풍은 매난국죽(梅蘭菊竹)에 소나무, 포도, 목련, 연, 목단 등을 소재로 한다. 전통 회화에서는 보통 8폭병풍이나 12폭 병풍에서 첫 번째나 두 번째 폭에 봄을 상징하는 매화를 그린다. 추위를 견디고 다른 꽃보다 일찍 피었다 하여 매화를 화형(花兄) 또는 백화형(百花兄)이라고 불렀는데, 가장 먼저 꽃이 핀 것을 과거에서 장원급제한 것과 동..
2020.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