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7

기자조선 기자조선의 성(城)으로 추정되는 영평부(永平府) 세계일보 기사전송 2008-08-19 13:30 올림픽 준비에 혈안이 되어있는 중국은 마치 비상사태와 같은 상황이다. 관광객은 일단, 테러와 관련이라도 지으려는 태세다. 대련공항에서부터 카메라를 압수당하고 나니 손발이 잘린 셈이 되었다. 일행.. 2008. 10. 9.
고조선 BC 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한국 최초의 국가. 《삼국유사》를 쓴 일연(一然)이 단군신화에 나오는 조선(朝鮮)을 위만조선(衛滿朝鮮)과 구분하려는 의도에서 '고조선'이란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고, 그뒤에는 이성계(李成桂)가 세운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서 이 용어가 널리 쓰였다.. 2008. 10. 9.
고려시대 왕 계보도, 고려왕릉 옥수수 밭에 쓸쓸히…초라한 ‘고려 왕릉’ 분단 후 첫 북쪽 왕릉 12기 최근 모습 공개 일제·한국전 거치며 도굴·파괴 흔적 그대로 북한 개성 교외 만수산 기슭 언덕에 있는 고려 8대 임금 현종의 선릉. 병풍석이 묻힌 채 민묘처럼 퇴락한 무덤을 훼손된 석물들이 쓸쓸히 지키고 서 있다.. 2008. 10. 9.
오행 상식, 풍수지리 용어 1. 오행(五行) 및 육갑(六甲) ■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범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 ■ 음양오행도 천간은 양에 속하면서 음과 양을 가지고 있다. - 양간(陽干) : .. 2008. 10. 9.
황제국가 고려를 위하여 천추태후 헌애왕후[獻哀王后, 천추태후] 964(광종 15)∼1029(현종 20). 고려 제5대 경종의 비. 종실 대종(戴宗, 추존호)의 딸이며, 목종의 어머니이다. 뒤에 경종의 비가 된 헌정왕후(獻貞王后)의 언니로 성은 외가를 따라 황보(皇甫)로 하였다. 경종이 죽은 뒤 김치양(金致陽)과의 추문이 알려져 김치양은 성종에 의해.. 2008. 10. 9.
고려, 조선 관청 (가나다순) 가각고(架閣庫) : 고려 때 궁중의 도서·전적(典籍)을 밭아보던 관청(官廳). 가례도감(嘉禮都監) : 조선 때 와으이 성혼·즉위, 또는 왕세자·왕세손의 결혼·책봉 같은 일을 맏아본 임시 관청(官廳). 가옥(假獄) : 고려 광종 때 전옥서 이외에 임시로 설치한 옥. 각감청(閣監廳) : 조선 때 역대 임금의 초.. 2008. 10. 9.
고려, 조선 관직 (가나다 순) 가감역관(假監役官) : 조선시대 때 토목(土木)·영선(營繕)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가덕대부(嘉德大夫) : 조선시대 때 종1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官階). 가선대부(嘉善大夫) : 조선시대 때 관계(官階). 종2품으로 문·무반·종친이 받음. 가의대부(嘉義大夫) : 조선시대 때 관계(官階). 종2품으로 .. 2008. 10. 9.
동정직 산직(散職)에 대하여 고려의 산직체계를 보면 문반5품·무반4품 이상에는 검교직(檢校職)을, 그 아래와 남반(南班)·이속(吏屬)·향리(鄕吏)·승관(僧官)에 걸쳐서는 동정직을 두었다. 실직(實職) 관직명 뒤에 동정이란 단어를 붙여 구분했다. 고려의 관직체계는 내부에 참상(參上)·참외(參外), 품관(品官)·품외(品外)로, .. 2008. 10. 9.
왕씨족보 (안산김씨 원성,원혜태후, 원평왕후) 북한 화보 '조선' 3월호가 고려태조 왕건 가문의 족보책을 공개했다. 화보는 북한에서 고려 왕씨의 족보책이 최초로 공개되기까지 사연을 사진과 함께 소개했다. 화보에 따르면 1992년 9월 개성시에 살고 있던 태조 왕건의 31대 후손인 왕지송 노인은 오랜 세월 소중히 보관해 오던 .. 2008. 10. 7.
안산김씨 상조 벼슬 소개 안산김씨 계보연구 2-2권.hwp 용량관계상 2-1권은 사이버 참배 및 종훈(宗訓) 본문 후편에 있음 안산김씨 계보 연구 (安山金氏 系譜 硏究) 2009. 4. 5 안산김씨 블로그 http://blog.daum.net/yescheers 고려시대에는 현종에게 딸을 셋이나 왕비로 보낸 김은부(金殷傅)가 있다. 고려사열전에 보면 김은부.. 2008. 10. 7.
안산김씨 원성태후, 원혜태후, 원평왕후, 효사왕후, 인평왕후 김은부 가계도 원성왕후 및 원혜왕후는 태후로 추존됨 * 원성태후 : 덕종, 정종, 인평왕후(문종 왕비), 경숙공주 * 원혜태후 : 문종, 평양공 왕기, 효사왕후(덕종 왕비) * 원평왕후 : 효경공주 원성태후(元成太后) 시대 고려 생몰년 ?-1028(현종19) 본관 안산김(安山金) 시호 광선(廣宣) 활동분야 .. 2008. 10. 7.
삼별초 왕으로 옹립 승화후 온은 평양공기(안산김씨 외손) 후손 고려 삼별초가 왕으로 옹립했던 승화후 온이라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 승화후 온(承化侯 溫)은 당시 왕이었던 원종과는 좀 먼 친척 관계입니다.고려 8대 왕 현종의 아들 평양공 기(平壤公 基)가 승화후의 직계조상입니다. 평양공 기는 안산김씨 원혜태후 소생으로 문종의 친동생입니다. 계보는현종(顯.. 2008. 10. 7.
연성군 김정경 신도비, 김성대 묘비 연성군(안산군) 김정경 신도비 (金定卿 神道碑) 해석문 김정경 : 1345(충목왕 1)∼1419(세종 1) 유명조선 좌명공신 이조전서 연성군 시위정 김공 신도비명 위정공 묘 신도비 (소재지 : 하남시 감북동) 추충분의 익대동덕 좌명공신 숭정대부 행 이조전서 연성군 시위정 김공 신도비명병서 자헌대부 예조판서 홍문관제학 경연일강관 신석우가 글을 짓고, 수록대부 영명위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홍현주가 글씨와 함께 전액을 쓰다. 당과 같은 모습에 높이가 4척이며 광주 고을 서쪽의 현천에 해방을 등진 언덕은 곧 연성군 김공 정경의 묘소이다. (* 광주 현천 = 하남시 감북동 안촌마을) ** 감북동 = 가무나리 자연부락 본관은 안산이고, 선계는 고려좌복야 긍필에서부터 나왔다. 시중 위와 판삼사 원상과 목사 성경이 공의.. 2008. 10. 6.
안산군(연성군) 장인 왕화, 원상 사위 창원부원대군 왕우(공양왕 아우) 고려 왕실의 비운이랄까 생몰년 : ?-1394 시대 : 고려 분야 : 왕실 > 왕족 > 왕족 왕화(王和)에 대하여 왕화(王和) ?∼1394(태조 3). 고려의 왕족. 개성왕씨(開城王氏). 할아버지는 순화후 유(淳化侯 유)이고, 아버지는 학성부원군 향(鶴城府院君珦)은 공양왕의 숙부이며 고려 신종의 6대손이.. 2008. 10. 6.
우리 안산김씨 고문서 경매에 나오다니 우리 안산김씨 문중에서 구입해서 보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족보란 조상님의 숨결이 살아 있어 선조님께서 내몸처럼 소중히 보관하시던 귀한 보책이 이유불문 (분실,도난,매각 등) 이렇게 초라한 모습으로 나타나 후손된 입장에서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래도 천만 다행인 .. 2008. 9. 26.
경주이씨 청호공 따님(김맹전 숙인) 원래 있던 조선시대 공주편은 "조선 정종 딸 고성옹주 안산김씨 김한 출가" 에 통합 '09.3.22 경주이씨 청호공 이희 사위 김맹전 묘 통훈대부(정3품) 사재감정 김맹전 지묘 (사재정공 휘 맹전 지묘) * 묘소 : 안산시 선부동 석수골 * 숙인 경주이씨 묘소 : 광주(廣州) 현천리(玄川里) = 하남시 감.. 2008. 9. 20.
한국의 왕족 성씨 일람표 고구려 동명성왕 백제 온조왕 발해 고왕 대조영 고려 왕건 영정 경순왕 김부 영정 조선 태조 이성계 고조선시대 단군조선 : 성씨 없다. 기자조선 : 청주한씨, 태원선우씨, 행주기씨 삼한시대 부여 : 해씨 (소멸) (고씨, 부여씨로 이어짐) 마한 : 청주한씨 진한 : (육촌) 알평 : 경주이씨, 합천.. 2008. 9. 20.
동원김씨 분관록 신라김씨 시조 계림 시조 김알지 족보 동원김씨 분관록 新羅金氏(신라금씨)의 金寧金氏(김녕김씨)忠毅公派 (충의공파)家系圖(가계도) 新羅金氏 (신라 금씨) 桓제국에서 저멀리 근동 지역인 카스피해을 중심한 제국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후에 일켰는 세계 4대문명인 유프라테스 메소포타미야 문명인 슈메르 문명이다,슈메르란 어원이 ‘검은 머리’인 것을 보면 그들이 이민족인 황인종인 것이 분명하고 그 당시 흑해인 카스피해은 담수지인 관계로 관계수리시설로 농사를 지는 풍부한 의식주을 바탕한 경제에 저 멀리 西進한 배달겨례인들이 지배한 자랑스런 우리 영토이다,따라서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이 저 동쪽끝인 신라 경주에서 발견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어김없이 스키토시베리안의 같은 또는 한 문화를 영유하고 보유한 같은 민족내지 또.. 2008. 9. 20.
연성김씨 (안산김씨와 관계) 연성김씨(蓮城金氏) : 시조 : 김선필(金宣弼) 에 의하면 연성김씨는 사실은 안산김씨라 하였고, 에는 시조가 선필이라 하였다. 선필은 부정을 역임하였고 그는 안산김씨 시조 긍필의 아우이며, 상호군 은부의 후손이라고 전한다. (* 긍필의 아들이 은부인데 은부의 후손이라는 위 내용은 기록 부재로 생긴 전해지는 말인 듯 하다) 그러나 그 사적이나 세계는 미상이다. 연성은 경기도 안산의 옛 이름이다. 성씨정보 (참고 사이트) http://surname.kr/surname.html 연성김씨 인구분포도 시조 선필의 벼슬 부정[副正]에 대하여 고려시대 사(司) ·시(寺) 등이 붙은 관아에 둔 종4품의 관직. 1308년(충렬왕 34) 전의시(典醫寺)에 1명, 1310년(충선왕 2) 서운관(書雲 觀)에 1명, 내알사(內.. 2008. 9. 20.
종훈 (宗訓) 및 로고 (심볼마크 Symbol Mark) 종 훈 (宗訓) * 종조목족 (宗祖睦族) : 선대(시조)할아버지께서 화목한 가족을 강조 하셨습니다. (화목 :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 * 화합단결 (和合團結) : 화목하게 어울리고 마음과 힘을 한곳에 모으라고 하셨습니다. * 상부상조 (相扶相助) : 서로 서로 도와가며 살라고 하셨습니다. 안산김.. 2008. 8. 23.
고려 현종,덕종,정종,문종과 안산김씨 관계 ⊙ 고려 현종(顯宗) 992~1031 고려 제8대 왕(재위 1010~1031), 휘(諱)는 詢, 자는 안세(安世), 시호는 원문(元文), 태조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욱(郁)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경종의 둘째 비(妃)인 헌정왕후(獻貞王后)(孝肅太后)이다 비는 성종의 두 딸 원정왕후(元貞王后)와 원화왕후(元和王后),.. 2008. 8. 22.
재상지종 (공신재상 가문) - 안산김태후 권문세족 재상지종 [ 宰相之宗 ]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공신•재상의 가문. 고려(高麗)충선왕(忠宣王) 즉위교서(卽位敎書) - 왕실종친과 혼인관계를 맺을수있는 15성의 재상지종 - (1) 신라왕손(新羅王孫), 김혼일가(金琿一家) 赤爲敬順太后 叔伯之宗 (2) 언양김씨일종(彦陽金氏一種) (3) 정안임씨(定安任氏) (4) 경원이태후(慶源李太后) (5) 안산김태후(安山金太后) (6) 철원최씨(鐵原崔氏) (7) 해주최씨(海州崔氏) (8) 공암허씨(孔巖許氏) (9) 평강채씨(平康蔡氏) (10) 청주이씨(淸州이씨) (11) 당성홍씨(唐城洪氏) (12) 황려민씨(黃驪閔氏) (13) 횡천조씨(橫川趙氏) (14) 파평윤씨(波平尹氏) (15) 평양조씨(평양조씨), 병루대공시지종(竝累代功臣之宗) (資料 : 高麗史) (원문)彦陽金氏一宗定.. 2008. 8. 22.
태안군 이팽수 배위 안산김씨 泰安君(태안군) 李彭壽 墓 (이팽수 묘) 前面(전면) 에는 종4열의 大字(대자) 로 ‘有 明朝鮮國 贈嘉德大夫泰安君行承憲大夫 泰安君兼五衛都摠府都摠管 諱彭壽之墓 贈郡夫人 縣夫人 安山金氏之 墓 (유명조선국 증가덕대부 태안군행승헌대부태안군겸오위도총부도총관 휘팽수지묘 증군부.. 2008. 8. 19.
안산김씨 상계조상 소개 1세 신라 김씨의 시조 알지(閼智) 신라4대 석탈해왕(서기65년3월) 어느 날 금성(경주)서쪽에서 들려오는 닭 우는 소리가 수상하여 왕이 호공을 시켜 알아본즉 금 빛나는 궤짝이 나무에 걸려있고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있어 가져와 열어 본즉 그 안에 사내 아이가 들어 있어 탈해왕이 기뻐하고 금궤에서 .. 2008. 8. 15.
경주김씨 계보연구회 방문기 <경주김씨 계보연구회 방문기> 일부 이미지 미 현시로 원문이미지에 가깝게 복원하였습니다. (2008. 3. 25. 항용(제) 소개 ) 1. 일시 : 2008. 3. 19(수). 16:30--21:30 . 방문자 : 김항용 2. 장소 : 서울시 서대문구 중림동 313-6050 3. 교통편 : 지하철 2호선, 6호선 <충정로역> 5번 출구.--중림파출소,.. 2008. 8. 15.
대안군 은열공 소개 대안군(大安君 諱 殷說) 소개 <대안군 영단> 경기도 연천군 장단면 고랑포리의 경순대왕릉 가는 길 입구 우측에 대안군 은열공 영단이 있다. '령단봉안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보국대안군은 관조시며 명현조시고 태사공은 파조 1세시며 명현이신데 奉祀(봉사)함에 .. 2008. 8. 15.
청산면 장위리(장사래) 충북 옥천군내 마을 단위 쌀 생산량 최고 청산면 장위리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수는 모두 2백28명이다. 가구의 수는 86호. 면 소재지가 아닌 마을로 따지면 큰 규모이다. 통일벼가 한창 재배될 당시에는 이 마을 한군데에서만 7천2백개의 벼(40kg 기준)가 나와 웬만한 면단위 보다도 생산량이 많다고 .. 2008. 8. 10.
한국불교 법난사 및 미수(彌授)의 유식사상 [한국불교법난사] ⑤고려시대 문벌귀족의 불교훼손 귀족과 결탁 청정수행 타락·기득권 유지 권력유지·재산도피 위해 사원 장악 교단 세속화·귀족불교로 자정 부재 이념·경제적 불교 악용 고려는 지방의 호족들을 중앙의 귀족으로 흡수하려는 정책을 폈다. 그 결과 신라 육두품과 개경에서 가까.. 2008. 8. 10.
고려사(현종-문종) 안산김씨 관련 고려 현종(顯宗) 992~1031 고려 제8대 왕(재위 1010~1031), 휘(諱)는 詢, 자는 안세(安世), 시호는 원문(元文), 태조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욱(郁)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경종의 둘째 비(妃)인 헌정왕후(獻貞王后)(孝肅太后)이다. 비는 성종의 두 딸 원정왕후(元貞王后)와 원화왕후(元和王后), .. 2008. 8. 3.
안산김씨 인구 분포도 안산김씨 살고 있는 지역과 인구 분포도 입니다. 1985년 3,751가구 16,472명에서 2000년 4,656가구 14,975명으로 가구수는 늘고 인구는 감소하였습니다. 고려 문벌귀족으로서 정상적인 가구수 증가와 인구증가에서 산아제한 정책 등을 너무 잘지킨 것으로 안김입장에서 본다면 안타까운 일입니다.. 2008.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