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7

안산김씨 열녀정문 정려문 홍살문 의정부시 산곡동 거문돌 마을입구에는 열녀 안산 김씨와 평산 신씨의 정려문이 있다. 안산 김씨와 평산 신씨는 류씨 집안에 시집온 동서지간이었다. 안산 김씨는 선조 때 의금부사를 지낸 류영겸의 아내이고, 평산 신씨는 류영겸의 아우 가선대부 이조참판 류영순의 아내.. 2008. 7. 27.
광주안씨 서령공파 파조(안철산) 숙부인 안산김씨 좌명공신 숭정대부 이조전서 연성군 위정공 김정경 有明朝鮮 佐命功臣 吏曹典書 蓮城君 謚 威靖 金公 神道碑銘 유명조선 좌명공신 이조전서 연성군 시 위정 김공 신도비명 推忠奮義 翊戴同德 佐命功臣 崇政大夫 行 吏曹典書 蓮城君 謚 威靖 金公 神道碑銘并序」資憲大夫 禮曹判書 弘文館提學 經筵日講官 申錫愚 撰」 綏祿大夫 永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 洪顯周 書并篆」 추충분의 익대동덕 좌명공신 숭정대부 행 이조전서 연성군 시위정 김공 신도비명병서 자헌대부 예조판서 홍문관제학 경연일강관 신석우가 글을 짓고, 수록대부 영명위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홍현주가 글씨와 함께 전액을 쓰다. 공은 부인을 세 번 맞이하였으니, 판서 신익지, 신양군 노영, 남평군 왕화의 딸이다. 5남 1녀를 낳았다. 별장 지는 신씨 소출이요, 상호군 관, 별장 척.. 2008. 7. 18.
전주이씨 시조 배위(配位) 경주김씨(안산김씨 상계) 시조(始祖) 한(翰) 전주이씨의 시조의 휘(諱)는 한(翰)이요, 호는 견성(甄城)이다. 신라의 사공(司空)벼슬을 지냈다. 배위(配位) 경주김씨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10세손 군윤(軍尹) 은의(殷義)의 딸이다. 연대 작가 미상의 <완산실록(完山實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야사(野史.. 2008. 7. 18.
동음사 (직장공후 촌로공파) 기본정보 이 름 : 동음사 소재지 : 이동면 연곡리 735 문의처 : 031)538-2063 문화예술담당 지정일 : 1986.04.09 지정현황 : 향토유적 제34호 동음사는 안산김씨(安山金氏) 선조 촌로(村老) 김성대(金聲大)선생과 아우 성재(省齋) 김성발(金聲發), 동구(東邱) 김성옥(金聲玉) 선생, 그리고 청풍김씨(淸.. 2008. 7. 17.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 http://blog.daum.net/platanus2005/13193830 -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 - 1-1. 지역별 4색붕당(노소남북)의 분당 흐름 ┌ 영남사림파(경상도) : 동인 ㅡ>┌ 조식계열(남명학파, 경상右도) : 북인 ㅡ>┌ 대북 | | └ 소북 | └ 이황계열(퇴계학파, 경상.. 2008. 7. 12.
단군성전 등 한국인의 성보, 단군성전, 여러성씨 재실 사진 등 2008. 6. 21.
강릉김씨 족보 (안산김씨 상계기록) 安山金氏 上系 (경주김씨, 강릉김씨, 김령김씨, 인천이씨, 신라삼성연원보) 1世2世3世4世5世6世7世8世9世10世(김알지) (大輔公)(세한) 이찬(아도) 파간(수류) 각간(욱보) 각간(구도) 파진찬군주味鄒(미추) 김씨최초왕 거서간추봉갈문왕伐休王妃 조분왕외조조분왕사위 祇摩王妃(벌휴왕비) 추.. 2008. 6. 21.
족보이야기 족보 이야기 족보박물관, 4월착공, 12월 완공 '윤곽 잡혔다' [뉴시스] 2009년 02월 26일(목) 오후 02:50 【대전=뉴시스】대전시 중구(구청장 이은권)는 이달 25일 민속자료 족보박물관 건립 설계 용역 중간보고회를 이은권 중구청장과 이복이 뿌리문중협의회장, 교수 등 추진위원과 관계공무원 .. 2008. 6. 1.
성씨의 역사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 -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었으므로 강(姜)씨라고, - 황제(黃帝)의.. 2008. 6. 1.
촌수따지는 법 (계촌법) 남자 (直系) 현조부 (玄祖父) |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3촌 5촌 7촌 9촌 부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 2008. 6. 1.
인천이씨 고려 11세기 정치 (안산김씨 외가) 원인재 자리는 원래 이곳이 아니다. 현 인천여고 부근에 있던 것을 연수택지개발공사로 철거하게 되자 인천이씨 대종회가 나서서 이곳 묘소 자리로 옮긴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천시로부터 자연녹지로 지정된 토지 일부를 불하 받아 부지를 조성했고, 지방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돼 .. 2008. 5. 31.
김씨의 본관 363본 (현존) 김씨의 본관 363본 (현존) 성(姓)의 하나. 한국의 274개 성 가운데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김씨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에 499본,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623본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존하는 것은 363본이며 그 중 인구수가 확인된 것은 112본 정도이다. 거의 모든 김씨는 가락국 수로왕.. 2008. 5. 28.
신라김씨 분관 신라김씨의 분관 과 상계 미상의 성씨 한글이나 한자의 본관중에 같은 지명이 나오는 수가 많음. 이는 서로의 시조가 틀려서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경주김씨에는 대안군은열, 영분공명종, 나주군 경주김씨안로백파등이 있기에 그러하며 선산을 예로들면 선산(일선)은 선궁계(고려초공.. 2008. 5. 12.
안산김씨 뿌리찾기 1권 우리조상님의 살아오신 발자취를 찾아보았습니다 세계표 및 약력소개 붙임파일 참조하세요 용량관계로 1권 2권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태종무열왕릉 뿌리찾기_안산김씨_1권[1].hwp 뿌리찾기 安山金氏 系譜 제1권 입니다 목 차 제1권 1. 안산김씨 교감공파 세계 현황 - - - - - - - - 1 2. 안산김씨 교감공파(청.. 2008. 5. 9.
안산김씨 뿌리찾기 2권 우리조상님의 살아오신 발자취를 찾아보았습니다 세계표 및 약력소개 붙임파일 참조하세요 용량관계로 1권 2권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뿌리찾기 安山金氏 系譜 제2권 입니다 목 차 제1권 1. 안산김씨 교감공파 세계 현황 - - - - - - - - 1 2. 안산김씨 교감공파(청산파) 세계 소개 - - --- 2 - 문헌.. 2008. 5. 9.
안산김씨 직계조 태종무열왕 후손 ? 가승계보(안산김씨족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원성왕 - - 경순왕 - 은열 - 긍필(시조) 일부 문헌상 계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태종무열왕 - - - 긍필(시조)입니다. 안산김씨는 태종무열왕 후손 ? http://blog.daum.net/yescheers/3936791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의 제29대.. 2008. 5. 3.
문화와 예술의 도시 안산 그리고 성호기념관 문화와 예술의 도시 안산 그리고 성호기념관 / 문화유산해설사 이영희(2) 옛 문헌에 기록된 경기도 안산은 “물위에 떠 있는 한 떨기 연꽃같이 상서로운 땅”, “신선들이 사는 삼신산보다 더 좋은 곳”, “기후와 인심이 순후하여 사람들의 마음씨가 곱고 말(馬)이 살찌는 땅“으로 칭송되었다. 오늘.. 2008. 5. 3.
관혼상제 (신주,위패, 지방,축문쓰기) 예절에 대한 소개하려고 합니다. 근세에 와서는 유교사상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장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러나 봉사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공민왕 이년에 포은 정몽주 선생이 제정한 제례규정에는 대부 이상의 .. 2008. 5. 1.
안산김씨는 태종무열왕 후손 ? 참고로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 하여 신중하게 접근하면서 적어봅니다. 가승계보(안산김씨족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원성왕 - - 경순왕 - 은열 - 긍필(시조)입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일부 문헌상 계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태종무열왕 - - - 긍필(시조)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문헌.. 2008. 4. 30.
족보 보는법 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은 젊은세대들이 족보(族譜)에 관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정작 낡은 유물이나 봉건사상쯤으로 도외시하는 한자(漢字)와 고어(古語)등 교육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조상의 얼이 담.. 2008. 4. 26.
고려성원록 왕씨족보(안산김씨 김정경) 1798년 刊 '고려聖源錄' 女系 후손까지 모두 수록 지배계층 인맥 밝힐 자료 고려시대 왕족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층의 인맥 분포를 통해 사회.정치상황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획기적으로 기여할 국보급 유물 '고려성원록(高麗聖源錄)'이 남한에서도 발굴됐다. 고려 왕족이었던 개성 왕.. 2008. 4. 26.
족보종류, 족보용어, 시호 절차 1. 족보의 기원(起原) 족보(族譜)는 다른말로 보첩(譜牒)이라고도 하며 그 효시는 중국의 6조(六朝) 시대에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이 처음이며 우리나라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18대왕 의종(毅宗)때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족.. 2008. 4. 26.
벽장에서 걸어나온 조선시대 관문서들 대전광역시와 대전광역시교육청이 후원하고 예사랑회가 주관하는 <조선의 관문서전>이 9월 26일부터 대전 한밭도서관 1층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조선의 관문서전>에는 예사랑회 회원들이 수집한 과거 답안지인 과지, 국왕이 신하에게 내리는 명령인 칙명, 호주가 가족 상황을 적어 지방 .. 2008. 4. 26.
신비의 수도원 메테오라 신비의 수도원 메테오라 마테오라는 그리스 중부에 위치해 있는 유명한 관장지이다. 이곳이 유명한 이유는 아름다운 자연경치도 있지만, 그 자연경치를 더욱 밝혀주고 있는 신비의 수도원이 있기 때문이다. 메테오라(혹은 마테오라Meteora)는 '공중에 떠 있는 수도원'이라는 뜻으로, 바다속의 기암군이 .. 2008. 4. 20.
다리달린 물고기 와와어 와와어(娃娃魚/왜왜어/wawayu) 학명: Andrias davidianus 영명: Chinese Giant Salamander 네 발 달린 도룡뇽과 비슷하게 생긴 와와어는 물속에서 ‘와와’ 소리를 낸다고 해서 ‘와와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기울음 소리를 낸다하여 일명 ‘아기고기’라고도 한다. 네발에는 5섯개의 발가락이 달려.. 2008. 4. 20.
황금첨탑의 쉐다곤 파고다 황금첨탑의 쉐다곤 파고다 쉐다곤 파고다는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위치하여 있다. 탑이라는 단어는 인도어 타파에서 유래된 말인데, 영어식으로 발음하면 파고다가 된다. 따라서 쉐다곤 파고다를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쉐다곤 탑골 수도원 정도가 될 것이다. 쉐다곤 파고다에 있는 탑들은 우리가 흔히 보고 상상하는 탑들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어, 보는 것 만으로 이색적일뿐 아니라 황금색으로 도금을 하여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그야말로 황금첨탑을 보는 것 같은 착각마저 들게 한다. 미야만인(人)들의 상징물이자 세계 불자들의 성지순례지로, 원래는 금판(金板)이 붙지 않았으나, 1990년대부터 관리위원회에서 일반인들에게 금판 기증을 권유하면서 붙이기 시작하였다 2008. 4. 20.
풍운아 홍국영 풍운아 홍국영(洪國榮) 1748∼1781(영조 24∼정조 5)) - 권력무상, 홍국영의 비극적인 최후 홍국영, 그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아마 한 인물에 대해 이처럼 분명하게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도 드물것이다. 어떤 사람은 그가 정조즉위에 기여한 공을 높이 평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 2008. 4. 20.
호랑이의 역습과 조선의 대책 호랑이의 역습과 조선의 대책 조선시대 사람들을 가장 두려움에 떨게 하였던 대표적인 자연재해가 호환(虎患), 즉 호랑이로 인한 피해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700 여건이 넘는 기록이 등장하는데, 특히 영조당시 호랑이와 관련된 기록은 100여건에 이른다. 물론 영조가 오래동안 왕위를 지킨 이유도 .. 2008. 4. 20.
삼족오 태양의 새 三足烏 1999년 김대중 정부시절에 만든 ‘3호 봉황국새’에 금이 갔다는 감사원의 발표 이후 한때 국새손잡이에 이 ‘삼족오’를 새기자는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또 최근 각종 고구려 관련 드라마가 나오면서 삼족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추세에 비춰 ‘삼족오’가 고구려 .. 2008. 4. 20.
거북선의 위력 일본 수군을 공포로 몰아넣은 거북선의 위력 거북선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실전전투에서도 상당한 전과를 올렸던 위력적인 전함이었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이후 실증사학이 강세를 나타내면서, 거북선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하였다. 물론 거북선에 대해서는 제대로 고증을 하지 않고 다소 과장적.. 2008.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