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7

고려사의 재발견 윤관과 부국강병책 반란과 정변의 불씨 남긴 여진 정벌 책임론 고려사의 재발견 윤관과 부국강병책 박종기 국민대 교수 j9922@kookmin.ac.kr | 제344호 | 20131013 입력 윤관의 묘.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에 있다. 사적 제323호. 묘역에는 묘와 영당(影堂), 교자총(較子塚), 신도비(神道碑), 재실(齋室) 등이 있다. .. 2013. 10. 19.
국역 고려사 열전 / 인종(仁宗) 후비 인종(仁宗) 후비 < 국역 고려사 : 열전 > 1. 폐비(廢妃) 이씨(李氏) 폐비 이씨는 조선국공(朝鮮國公) 이자겸(李資謙)의 셋째 딸이다. 다른 성씨가 왕비가 되면 자신의 권세와 총애가 반감될 것을 우려한 이자겸이 자기 딸을 왕비로 들이겠다고 청하는 통에 인종이 어쩔 수 없어 맞아들여 .. 2013. 10. 19.
순조, 네가 일찍 태어났더라면 /남양주 내원암(下) 50〉순조, 네가 일찍 태어났더라면… ■ 남양주 내원암 (下) 데스크승인 2013.10.02 14:20:49 탁효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부처님 영험으로 뒤늦게 왕자 얻었으나 아들 복 없던 정조의 꿈, 끝내 미완으로 정조는 아들을 갖기를 누구보다 갈망했다. 세상의 모든 왕들이 그러했지만, 특.. 2013. 10. 18.
득남, 왕실여인들의 ‘로또’ / 남양주 내원암 (上) 득남, 왕실여인들의 ‘로또’ 〈49〉 남양주 내원암 - (上) 데스크승인 2013.09.17 13:52:28 탁효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왕자만 낳아라, 세상을 얻을 것이니…” 손 귀해진 조선후기 왕자발원 원당 급증 딸을 낳으면 여자들은 운다. 니 팔자도 나처럼 이렇게 고되겠구나 싶어서 울.. 2013. 10. 18.
힐러리 차에도 딱지 뗀 英 '열혈 주차단속' 화제 힐러리 차에도 딱지 뗀 英 '열혈 주차단속' 화제 연합뉴스 | 입력 2013.10.16 11:56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미국 민주당의 차기 대선 주자로 꼽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영국 런던 방문 중 주차 단속에 걸려 딱지를 떼인 사실이 드러났다. 1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2013. 10. 16.
경주김씨 은열공파 대안군 묘지석 경주김씨 은열공파 대안군 묘지석 조선시대 신분사 관련 자료의 비판 - 성관, 가계, 인물관련 위조자료와 위서를 중심으로 - 이수건 조선시대(朝鮮時代) 신분사(身分史)관련(關聯) 자료의 비판 - 이수건 2페이지 김은열 묘지명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김은열 묘지명 그 내용을 검증해 보면 .. 2013. 10. 15.
조선시대 신분사 관련 자료조작 - 이수건 조선시대(朝鮮時代) 신분사(身分史)관련(關聯) 자료조작(資料造作) 이수건(李樹健), 이수환저(李樹奐著) 일(一). 머리말 이(二). 성관(姓貫)의 유래와 조선후기 성관(姓貫)의식의 변화 삼(三). 성관(姓貫)·가계(家系)·인물(人物) 관련 자료의 위조와 위서(僞書) 사(四). 맺음말 일(一). 머리.. 2013. 10. 15.
한국 족보의 진위(眞僞)에 대한 올바른 이해(理解) 한국 족보의 진위(眞僞)에 대한 올바른 이해(理解) -한국 족보에 대한 사학자(史學者.一部)의 견해- 한국 족보들에 대한 검토 일부 족보들은 세록실록 지리지에 의한 성씨조를 제쳐 놓고 처음부터 잘못된 성관지식과 조작된 자료를 갖고 성과 본, 조상의 세계(世系)와 파계(派系)를 기록하.. 2013. 10. 13.
광개토대왕명 호우 (호우총)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광개토대왕명호우 1946년 처음으로 우리 손으로 발굴된 경주 돌무지덧널무덤 140호분. 흥미롭게도 신라의 고분에서 고구려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 호우총 (壺杅塚) 사적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는 경주 노서리 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에 속하는 .. 2013. 10. 13.
신라 금관 - 위대한 문화유산 [위대한 문화유산] 화려한 장식과 독특한 외관이 돋보이는 신라의 유산 금관 5세기부터 7세기까지 신라에서 발견되는 금관은 정교한 세공기술, 독특한 외관과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예술품이자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선정 위대한 문화유산 100 - 금관(金冠) ▲ 국보188호 천마총 금관 한국의 문화유산 가운데에는 세계에 당당하게 내놓을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신라시대 황금보검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신라 금관은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 금관은 어떤 유물 전시회에 내놓아도 찬란하기 이를 데 없어 조명을 한몸에 받습니다. 보물 제635호 황금보검 정식 명칭은 금제감장보검(金製嵌裝寶劍)http://blog.daum.net/yescheers/8598466 지금은 신라 금관의 존재가 상식처럼 되어.. 2013. 10. 12.
내 나이가 어때서 / 곰돌이 7080 통기타 교실 ♬힐링 음악 내 나이가 어때서 곰돌이 7080 통기타 교실 ♬힐링 음악 야야~야 내나이가 어때서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마음은하나요 느낌도 하나요 그대만이 정말 내사랑인데 눈물이 나네요 내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어느날 우연히 거울속에 비춰진 내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 2013. 10. 11.
유물 복제 전문가 김진배씨 “복제품? 진품 혼 담아낸 ‘또 하나의 유물’입니다” 등록 : 2013.07.18 19:50 금속유물 복제의 최고 전문가로 꼽히는 김진배씨가 경주 자신의 공방에서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의 복제품을 만들고 있다. 그가 만든 이 문화재의 또다른 복제품은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 2013. 10. 9.
노벨문학상, 고은 시인이 탈까 (10월 10일 발표) 노벨문학상, 왜 고은 시인이 유력하다고 하나? 노벨문학상, 누가 탈까 ②SBS 김수현 기자 입력 2013.10.09 11:48 왜 고은 시인이 매년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것일까요? 앞선 글 '도박사이트가 노벨문학상을 예측한다고?'에서 썼듯이 노벨문학상 수상자 선정 과정은 철저히 비밀.. 2013. 10. 9.
취업난에.. 돌아오지 않는 국비 유학생들 취업난에.. 돌아오지 않는 국비 유학생들 국민일보 입력 2013.10.09 04:58 정부 지원금을 받아 해외유학을 떠난 국비유학생 중 절반 정도는 국내 고학력 취업난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에서 취업하거나 자비로 유학생활을 이어가며 진로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 2013. 10. 9.
흰구름 가는 길 / 나훈아 (배경 코스튬 플레이) 흰구름 가는 길 / 나훈아 배경 코스튬 플레이(costume play) 멀리도 가까이도 아닌 저만큼에서 고향의 흙냄새는 언제나 나를 부르네 기나긴 세월속에 사랑은 시들어도 고향은 아늑한 엄마의 품이련가 아- 먹구름 흰구름 나를 두고 흐르네 멀리도 가까이도 아닌 저 언덕위에 다정한 친구들은 .. 2013. 10. 6.
두메산골 / 배호노래 (배경 갓바위, 불굴사) 두메산골 / 배호노래 / 배경 갓바위, 불굴사 약사여래불 두메 산골 / 노래 배호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고향 찾아서 너보고 찾아왔네 두메나 산골 도라지 꽃피던 그날 맹세를 걸고 떠났지 산딸기 물에 흘러 떠나가고 두번 다시 타향에 아니가련다 풀피리 불며불며 노래하면서 너와 살련다 혼.. 2013. 10. 6.
경순왕 상계 계보(알지 1세 - 은열 29세), 신라왕 계보도 始祖 金閼智(김알지) 追尊始祖大王(추존시조대왕) 三國史記(삼국사기)에 따르면 新羅第四代(신라제4대) 昔脫解王(석탈해왕) 九年(9년) 西紀 六五年(서기 65년) 乙丑(을축) 三月四日(3월 4일) 三國遺事(삼국유사)에는 八月四日(8월4일) 밤에 脫解王(탈해왕)이 들으니 慶州(경주)의 雞林(계림).. 2013. 10. 5.
연성군 김정경 국불천위 제사 2013. 8.21 (음 7.15) 괴산군 위정사 연성군 김정경 불천위 제사 괴산군 연성군 김정경 제례 행사모습(국불천위) 2013. 8.21(음력 7.15) 연성군 정경 할아버지 불천위 제사가 충북 괴산군 장연면 위정사에서 있었다. 안산김씨 대종회 임원과 소종회장이 참석해서 기제를 지냈다. 매년 음력 7월 15일.. 2013. 10. 4.
추억의 LP여행 - 송창식 편 / 우리는 추억의 LP여행 - 송창식 (上) 기타 선율에 실어보낸 고단한 삶 가수들 조차도 노래잘하는 가수로 찬사를 보냈던 송창식. 그가 들려준 서정적이고도 신명나는 노래가락들에 자유로왔던 70년대 젊은이들은 없었다. 포크의 태동기부터 현재까지 30여년동안 걸어온 음악세계는 성악, 팝송, 포.. 2013. 10. 3.
추억의 LP여행 - 윤형주 편 / 축제의 노래 [추억의 LP 여행] 윤형주 上 포크 대중화의 기수 뭇 소녀의 꿈에 들다 1970년대에 포크를 향유했던 중장년층은 윤형주를 비롯해 한대수, 송창식, 양희은, 김세환, 이장희, 김민기, 사월과 오월, 이연실, 서유석, 김정호 등 포크 뮤지션들이 일으킨 청바지, 통기타, 생맥주 문화에 대한 원초적.. 2013. 10. 3.
트윈폴리오 - 웨딩 케익 트윈 폴리오(송창식, 윤형주)는 1968년 2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활동한 팀이다. 그룹이 해체된 이유는 윤형주의 학업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완고한 교육자 집안의 반대 속에 어렵게 음악 활동을 했던 윤형주가 연세대 의대에서 경희대 의대 본과로 학교를 옮기는 사태가 발생되었기 때.. 2013. 10. 2.
손금으로 보는 건강운, 재물운 손금에서 자신의 건강상태와 재물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손은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한 부분으로 뇌 신경과 연결되어 있어서 뇌의 정신적 상태를 기능적으로 반영하여 인간을 이롭게 하는 기관이다. 왼손의 손금은 선천운이며 오른손의 손금은 후천운을 볼 수 있는데 .. 2013. 10. 1.
인터넷 용어 풀이 사전 인터넷 용어는 왜 짧은 것일까?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로 SNS인 Twitter, Facebook, Blog 등을 하는 과정에서 빠른 의사표현이 필요하다 보니 말줄임 현상이 생겼다. 인터넷에서 줄임말 등이 확산되는 것은 언어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외에 ‘연령계층의 무리짓기’와 ‘심리적 해방감’ 때문이.. 2013. 9. 29.
누가 이 자리에서 도인이 될 것인가…영주 부석사 누가 이 자리에서 도인이 될 것인가… ■ 영주 부석사 데스크승인 2013.09.18 12:07:35 글ㆍ사진=일감스님(본지 주간) ‘부석’ 바위의 전설을 듣는 아이들의 머릿속에는 수많은 상상력과 미래가 펼쳐지지만 부석사에 오면 누구나 한 번은 기대보고 싶은 곳이 무량수전이다. 유홍준 전 문화재.. 2013. 9. 28.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 동영상 음악 바로가기 http://youtu.be/3uGjVRAqvRM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 궂은비 내리는 날 그야말로 옛날 식 다방에 앉아 도라지 위스키 한잔에다 짖은 색스폰 소리 들어보렴 새빨간 립스틱에 나름대로 멋을 부린 마담에게 실없이 던지는 농담사이로 짖은 색스폰 소리 들어보렴 이제와 새삼 .. 2013. 9. 27.
백프로 / 현자 백프로 / 현자 백프로 / 현자 사랑은 화끈해야 돼 사랑은 솔직해야 돼 백 프로 맘에 쏙 드는 사람이 어디 있다고 혼자 할 순 없잖아 외로움이 무서워 사랑은 단 둘이 단 둘이 해야해 그래도 행복하기엔 밤이 너무 짧은 것만 같아 백 프로 맘에 든 사람 어떻게 찾으려고 그러나 뜨겁지 못하.. 2013. 9. 27.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송골매) - 장기하와 얼굴들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송골매) - 장기하와 얼굴들 1. 가고 오지 못한다는 말을 철없던 시절에 들었노라 만수산을 떠나간 그 내 님을 오늘 날 만날 수 있다면 * 고락에 겨운 내 입술로 모든 얘기 할 수도 있지만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2. 돌아 서면 무심타는 .. 2013. 9. 26.
밤에 떠난 여인 - 하남석 동영상 보시려면 아래주소 클릭하시면 연결됩니다. http://youtu.be/1mPgI0ZE_KA 밤에 떠난 여인 / 하남석 하얀 손을 흔들며 입가에는 예쁜 미소 짓지만 커다란 검은 눈에 가득 고인 눈물 보았네 차창가에 힘없이 기대어 나의 손을 잡으며 안녕이란 말한마디 다 못하고 돌아서 우네 언제 다시 만.. 2013. 9. 26.
조선의 선비들 인문학을 말하다 조선의 문신들과 선비들은 살아서는 대제학을 지내고 죽어서는 불천위에 오르는 것을 최고의 영예로 삼았습니다. 이 책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소하게 여기고 있는 불천위 문화를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어 잔잔한 감동을 줍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여기에 .. 2013. 9. 26.
미분양 넘치는데 집값이 왜 뛰지? ① 미분양 넘치는데 집값이 왜 뛰지? 헤럴드경제 | 입력 2013.09.25 11:31 ②분양 대박나도 주변시세 꽁꽁 ③전셋값 올라도 매매전환 미미 … 실수요 중심 시장재편 과도기 탓 가을 주택시장에 이상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 미분양이 넘치는 지역에 시세가 오르고, 100% 청약 성적을 거둔 분양 아.. 2013.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