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 사 방149

전국 시도별 주소 한자 표기 전국 시도별 주소 한자 표기 들어가는 이야기 각 시도별 주소 한자 표기 전국의 행정구역 및 법정 주소지 명칭의 한자 표기를 정리했습니다. 자신의 거주지 주소에 대한 한자 표기 확인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지명 명칭 이해로 우리 강토에 대한 애정의 시발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하.. 2014. 2. 22.
소치 2014 운석 금메달 미래가치 10억원 소치 2014 동계올림픽 운석 금메달의 미래가치 2014. 2.15일 금메달을 따는 선수에게만 추가로 수여되는 '운석 메달' 의 가치를 분석한다. 경기 종목은 7개이지만, 단체전이 있어 모두 10개의 운석 금메달이 수여 된다. 15일 우승자는 금메달을 2개 받게되는 것이다. 일반 금메달 한개 + 운석 금.. 2014. 2. 15.
운석금메달 15일수여 가격 상상초월, 소치 금메달 가격 60만원 [소치2014] 금메달 가격 60만원, 운석 금메달은 가격산정 불가 2014. 2.15일 금메달을 따는 선수에게만 추가로 수여되는 '운석 메달'은 당일 경기종목이 7개이지만, 단체전이 있어 모두 10개의 운석 금메달 수여된다. 15일 우승자는 금메달을 2개 받게 되는 것이다. 일반 금메달 한개 + 운석 금메.. 2014. 2. 14.
푸틴 딸 예카테리나 결혼 소식 몇년전(2010년) 한국 청년과의 결혼설 소식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막내 딸 "예카테리나 푸티나" 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2014 소치올림픽 개막식에 푸틴대통령과 함께 있는 미모의 여성(아래사진)이 푸틴의 딸 "예카테리나 푸티나" 라고 잘못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 2014. 2. 9.
러시아 지도 러시아 : 러시아 연방(Russian Federation) 극동에서 동부 유럽에 걸쳐 있는 나라이다. 12세기 모스크바공국에 기원을 두며 1917년 러시아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대제국을 이루다 1924년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 거듭났다. 1990년 고르바초프의 냉전종식 정책으로 각 공화국들에 .. 2014. 2. 8.
푸틴 막내 딸 예카테리나 소치올림픽 개막식 참석오보 푸틴대통령의 당차고 위엄있는 2014 소치올림픽 개막선언! 푸틴 대통령 옆자리에 있는 미모의 여성은 푸틴의 딸 "에카테리나 푸티나" 일까요. 前 봅슬레이 선수 '이리나 스크보르초바' 일까요. 여러 인터넷 뉴스에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 푸틴 딸, 눈길을 끌다" 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면 .. 2014. 2. 8.
우리나라 지도 자세히 알아보기 우리나라 지도 자세히 알아보기 여러 종류의 한국지도를 자세하고 다양하게 볼 수 있도록 모아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전국지도는 필요해서 찾아 보려면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아서 넷상에 공개된 다양한 지도를 올려드립니다. 지역별 상세지도는 인터넷 검색하면 자세하게 나오니 별.. 2014. 2. 2.
압독국(押督國)과 주선국(州鮮國)은 같은 나라 2014. 1. 30일 일명 까치설(설전날)에 고향가는 길에서 만나본 신상리 고분군의 압독국 이다. 신상리 고분의 소재지는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경산휴게소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지나는 사람들 대부분이 신상리 고분군이라는 안내표지를 일반 공원으로 알고 있는 듯 하다. 경북 경산지역은 신.. 2014. 2. 1.
고려지명과 조선지명 혼재 - 무비지 지도 <무비지 지도> 고려와 조선이 같은 지도에 ... 명나라 무비지, 조선지명과 고려지명이 같이 혼재되어 그렸음을 볼 수 있다. 朝鮮圖 武備之卷 二 (조선도 무비지권 2 ) 지도를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 개성이 하북 하간(河澗)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중국기록과 일치) 서북 대각.. 2014. 1. 22.
일제의 중국인 3천명 학살시 조선인은 모두 살려주었다. 중국인 3천명 학살된 일제만행 현장 가보니 연합뉴스 최종수정 2014-01-17 20:21 중국 랴오닝성 푸순시 핑딩산 학살기념관에 세워진 희생자 추모비 더블 클릭하시면 지도를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중국, '핑딩산 사건 현장' 역사교육장으로 복원 (선양=연합뉴스) 신민재 특파원 = "일제의 참혹.. 2014. 1. 18.
30년 만에 필리핀 정글에서 나온 오노다 히로 영웅인가? 일본 패잔병, 30년 만에 필리핀 정글에서 나와 ▲ 패전 후 30년 만에 투항한 일본군 소위 오노다 히로. 1974년 2월 20일 | 일본 패잔병, 30년 만에 필리핀 정글에서 나와 “명령이 없으면 산에서 내려갈 수 없다.” 29년 4개월을 산속에서 보낸 사람의 첫 마디였다 . 1974년 2월 20일 저녁,필리핀 루방섬에서 그를 찾아나선 한 일본인 청년과 조우했을 때 오노다 히로(小野田寬郞) 전 일본 소위의 반응이었다. 오노다가 조국을 떠나 멀리 루방섬에 배치된 것은 태평양 전쟁의 패색이 짙던 1944년 9월 이었다. “전멸하는 한이 있더라도 절대로 투항하지 말라” 는 상관의 명령을 아로새기며 루방섬에 상륙(1945년 3월)한 미군과 전 투를 벌였지만 결국 40여명만 살아남아 정글로 도주했다. 일본의 항.. 2014. 1. 18.
신라고분에 외국인 명칭 - 데이비드총(塚) 신라고분 이름이 왠 외국 이름? - 데이비드총(塚) 신라고분(新羅古墳)에 외국이름(外國名)이 붙어 있다. 데이비드총(David塚) 가운데 봉황로를 기준으로 왼쪽이 노서동고분군이며 오른쪽이 노동동고분군이다 고분을 발굴하고 나면 '00호 고분'이라는 이름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된.. 2014. 1. 8.
日왕실도서관에 단군史書가 있다 한민족의 뿌리 - 단군조선을 찾아서 <9> 사료 찾아 일본으로 미스터리로 남은 증언 "日왕실도서관에 단군史書가 있다" 해방 전 12년 동안 서릉부 사서였던 故 박창화 씨 '단군사료'존재 증언 숨겼는지 없는건지 알 길은 없지만 1920년대 공문에 단군 말살의 흔적 日 강탈해간 사료 끈질.. 2013. 12. 21.
박창화의 필사본 화랑세기에 대한 진위논쟁 박창화의 필사본 화랑세기에 대한 진위논쟁 『花郞世記』는 8세기 초에 신라의 김대문이 저술한 책으로, 화랑에 관한 내용이다. 삼국사기 열전 <설총> 조에 “김대문이 伝記 몇 권을 지었는데 그 가운데 고승전, 화랑세기, 樂本, 漢山記가 아직도 전하고 있다”고 서술되어있다. .. 2013. 12. 21.
南堂 朴昌和와 그의 遺稿에 대한 몇 가지 문제 南堂 朴昌和와 그의 遺稿에 대한 몇 가지 문제 朴 南 守(국사편찬위원회) Ⅰ. 머리말 Ⅱ. 南堂 朴昌和의 행장 Ⅲ. 「南堂 朴昌和先生 遺稿」에 대한 몇 가지 문제 Ⅳ. 머리말 Ⅰ. 머리말 1989년과 1995년에 발견된 󰡔�花郞世紀󰡕�는 2007년 그 殘本이 발견됨으로써 새.. 2013. 12. 21.
원황실 유배지 대청도, 한반도로 移置(이치) 되었다. 원황실 유배지 대청도, 한반도로 移置(이치) 되었다. 백령도와 바다 한가운데 있는 대청도, 소청도의 지리적 설명이 현재의 대청도와 같지 않음을 본다. 조선조에 배치된 주민의 전설에 어느나라 왕자가 이곳에 유배되었다는 이야기가 내려온다고 한다. 그런데 원래 이 지역은 뭍으로 연.. 2013. 12. 19.
기록으로 본 개성 고려 왕릉들은 가짜다. 기록으로 본 개성 고려 왕릉들은 가짜다. (Suspicious on the Goli royal tombs in kaesung) 개성에 허름하고 초라한 역대 고려왕들의 무덤이라는 고려왕릉은 어떻게 된것일까? 혹자들은 명색이 고려가 황제국을 자칭했는데 황제릉이 저렇게 초라 할 수 있나 하는 서지적 증거 없는 단발성 추측기사들.. 2013. 12. 15.
<고려왕조실록>을 조작하여 고려사를 남긴 조선의 기록 <고려왕조실록>을 조작하여 고려사를 남긴 조선의 기록 고려사의 내용중 고려조에서 내려오던 <고려왕조실록>이 있음을 알게 된다. 조선초 1392년, 과거부터 내려오던 고서를 전부 수거 焚書(분서)하기 시작하고 고려왕족을 멸족 시키기 시작한다. 태조,태종조와 더불어 세종 ~단종.. 2013. 12. 15.
고종황제의 비자금이 사라진 날 - 역사저널 그날 고종황제의 비자금이 사라진 날 ■ 방송일시 : 2013년 12월 07일 밤 9시 40분, KBS 1TV ■ MC : 최원정 아나운서 ■ 패널 : 신병주 교수 / 이해영 영화감독 / 류근 시인 ■ 스페셜 게스트: 이윤상 교수 / 김성혜 육군박물관 부관장 ■ 빅데이터 :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 글, 구성 : 홍은영 작가 .. 2013. 12. 7.
환단고기와 남당유고의 정체 환단고기와 남당유고의 정체 환단고기 (桓檀古記) 1979년 발행 환단고기 숙대 영인본 광무 원년(1897년) 초판발행 1911년 30부 / 재판발행 1979년 100부 --------------------------------------------------- 남당유고 (南堂遺稿) 남당유고(南堂遺稿) 고려사 열전 남당유고(南堂遺稿) 고구려 사략 이유립 (1907-86).. 2013. 12. 4.
화랑세기는 소설임을 박창화가 밝혔다 화랑세기는 소설임을 박창화가 밝혔다 영원히 끝나지 않을 듯 싶던 길고 지루했던 화랑세기 진위논쟁이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다. 여기에서 박남수 편수관의 연구와 인터넷의 화랑세기 위서론의 주장을 심층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화랑세기가 진본이라고 주장해 왔던 많은 사.. 2013. 11. 29.
피와 눈물을 외면한 댓가 / 러일전쟁, 정확한 역사인식 피와 눈물을 외면한 댓가 작성자 : 이동식 2005-06-11 100년 전 동아시아에서 있었던 국제전, 곧 1904년에 발발해서 1905년에 끝난 러시아와 일본간의 러일전쟁에 대해서, 우리들은 일본이 러시아와 싸워 이겨서 한반도에 대한 종주권을 확립한 전쟁쯤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시각은.. 2013. 11. 24.
대한제국 국새·고종 어보 등 인장 9점 美서 압수 대한제국 국새·고종 어보 등 인장 9점 美서 압수 기사입력 2013-11-21 15:07 최종수정 2013-11-21 15:29 향천심정서화지기 한·미 수사 성과, 내년 6월 이후 국내 반환 예정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한국전쟁 기간 미군이 덕수궁에서 불법 반출한 대한제국 국새와 어보 등 인장 9점이 지난 18.. 2013. 11. 21.
임나일본부설은 허구, 주류세력 아닌 단순 용병 임나일본부설은 허구, 주류세력 아닌 단순 용병 한반도 지배 주장 日, `무덤` 때문에 거짓 들통 백제 도우러 온 일본 전사집단…대부분 한반도 귀화 서남해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왜(倭)계 무덤의 주인이 한반도에 용병으로 왔던 일본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남 해남서 발굴된 용.. 2013. 11. 19.
20㎏짜리 초대형 기와의 미스터리 20㎏짜리 초대형 기와의 미스터리 토지박물관이 2007.11.16일 남한산성에서 발굴하여 발표한 통일신라시대 기와(왼쪽)와 조선시대 기와의 무게 비교. [토지박물관 제공] 저울에 올려 놓으니 19㎏을 오르락내리락 한다. 1천년 이상을 땅 속에 묻혔다가 막 꺼냈을 때는 무게가 20㎏을 넘었다고 .. 2013. 11. 16.
경주 불국사는 어느 시대 건물일까? 고려우왕때 경주를 옮긴 기록이 고려사에 있다. 즉 현재의 경주는 옮겨진 경주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이야기는 불국사,다보탑,석가탑등의 양식이 고려양식 일수도 있다는 반증이 된다. 1969~73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청와대·정부가 주도한 경주 불국사 복원 공사 현장. ‘.. 2013. 11. 15.
‘채무왕’ 윤택영 후작의 부채(負債) 수난기 [전봉관의 ‘옛날 잡지를 보러가다’②] ‘채무왕’ 윤택영 후작의 부채(負債) 수난기 ‘순종 임금의 장인이 300만원을 떼먹고 북경으로 줄행랑을 놓는데…’ *** 참고로 처음 빚 50만원(현재 500억원)은 황실과 사돈 맺기 위한 운동비 였다. 전봉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국문학 junbg@ka.. 2013. 11. 10.
DMZ 철망너머 궁예의 꿈이 잠들어 있다. / 후고구려 DMZ 철망너머 궁예의 꿈이 잠들어 있다 <6.25 60주년 특별기획-철원 DMZ 역사의 현장을 찾아가다> "후고구려의 수도 ´태봉국도성´ 발해 포함 대제국 건설의 기지" 이충재 기자 "DMZ(비무장지대)는 남과 북이 단일민족임을 뜻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DMZ 내 유적에 대한 남북공동조사.. 2013. 11. 9.
태봉국 도성 (上) /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6> 태봉국 도성(上) “저기가 비무장지대가 맞나요?” 강원 철원 홍원리 필승전망대. 의외였다. 비무장지대란 높고 깊은 산악지대, 즉 사람들의 발길이 닿을 수 없는 곳에 있다는 게 일반상식인데…. 게다가 이곳은 ‘철의 삼각지대’가 아닌가. “적(북한·중.. 2013. 11. 9.
대동방국의 기치, 태봉국 도성(下)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7) 태봉국 도성(下) 입력: 2007년 06월 29일 - 대동방국의 기치… 궁예는 역사의 패륜아일까- 태봉국 도성 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원선 철로 흔적. 최근 유홍준 문화재청장과 함께 도성을 답사하면서 찍은 사진이다. “신라는 운수가 다하고~뭇 도적이 고슴도치 털처.. 2013.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