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75

전국 지명 한자 표기 및 우리나라 지도 전국 지명 한자 표기 및 우리나라 지도 서울특별시 江南區 강남구 - 開浦洞 개포동 論峴洞 논현동 大峙洞 대치동 道谷洞 도곡동 三成洞 삼성동 細谷洞 세곡동 水西洞 수서동 新沙洞 신사동 狎鷗亭洞 압구정동 驛三洞 역삼동 栗峴洞 율현동 逸院洞 일원동 紫谷洞 자곡동 淸潭洞 청.. 2011. 11. 27.
판사님과 절도범 - 유머 판사님과 절도범 재판정에 선 전과 7범의 절도범에게 판사가 엄정히 꾸짖으며 물었다. "피고는 도대체 사회에 기여되는 일을 한번이라도 한 적이 있습니까?" 도둑이 대답했다. "물론입니다요. 판사님" 판사 : 뭐, 뭐라구요? 대체 그게 뭡니까 ? 도둑 : 여러 경관들에게 일거리를 주었지요. 그것도 수회에 걸쳐서요. ㅋㅋㅋ 남편이란 존재는 이래저래 골치 덩어리 집에 두고 오면 .......... 근심덩어리 같이 나오면 .............. 짐 덩어리 혼자 내보내면 ........... 걱정덩어리 마주 앉자 있으면 ....... 웬 수 덩어리 얄미운 남자 50대 ....... 사업한다고 대출받는 남자 60대 ....... 이민 간다고 영어배우는 남자 70대 ....... 골프 안 맞는다고 레슨 받는 남자 .. 2011. 11. 24.
보신각종(普信閣鐘) 우리 할아버지 작품이었네 보신각종(普信閣鍾)은 서울시 종로에 있는 종각인 보신각에 있던 종이다. 이 나이 되도록 보물 2호 보신각종에 직계 할아버지의 손길(제조,提調)이 닿아 있는지도 모르고 살았습니다. ㅠㅠ 탑골공원에 있는 국보 2호 원각사 10층석탑에서만 할아버지의 흔적을 찾던 내게 깜작 선물 이었던가 봅니다. 보신각종의 타종은 1985년까지 섣달그믐 자정에 종을 울리는 행사를 하였으나 종의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 경복궁, 구 국립중앙박물관 우측에 보관되어 있던 보물 2호 보신각 종 ▲ 2004년 12월 20일, 보신각 종을 용산 신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는 장면 용산에 신축한 신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하기 위해 비각을 허물고 크레인으로 옮기고 있다. ▲ 신 박물관으로 이전된 보물 2호 보신각 종 현재 .. 2011. 11. 22.
부산 기장군 불광산 장안사 불광산 장안사 * 규 모 : 크기(정면 3칸, 측면 3칸) * 유 래 신라 문무왕 13년(673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쌍계사라 했다가 애장왕 때 장안사라 개칭하였다고 함.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1631년 태의대사가 중건하였고, 1948년 각현스님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 위 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 - 교통정보 * 자가용 : 국도14호선(울산 ↔ 반송) → 하근마을 → 장안사 * 열 차 : 좌천역 하차 * 시외버스 : 하근마을 하차(해운대↔울산노선) * 마을버스 : 기장9번 마을버스 이용 장안사 하차 불광산(659m) 자락에 있는 고찰로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673년(신라 문무왕 13)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쌍계사라 부르다가 809년 장안사로 고쳐 불렀다. 15.. 2011. 11. 20.
등려군(鄧麗君) - 첨밀밀(甜蜜蜜) 鄧麗君 (등려군) 출생 : 1953. 1. 29 (대만) 사망 : 1995. 5. 8 신체 : 165cm, 47kg 혈액형 : O형 가족 : 4남 1녀 중 넷째 수상 : 1974 일본 신인가수상 등려군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타이완의 윈린현 바오중향에서 장제스(장개석) 군대를 따라 타이완으로 이주한 허베이 출신의 아버지와 산.. 2011. 11. 20.
공신(功臣)의 분류 공신이란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주던 칭호이며, 이는 중국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서 신라시대에 이미 녹공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때에는 왕건이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3등급으로 구분하여 각각 공을 세운 정도에 따라 상을 내렸으며, 공신당(.. 2011. 11. 19.
원각사 제조(圓覺寺 提調) 김개 할아버지 1465년 원각사 제조(圓覺寺 提調)로서 원각사의 조성을 지휘하신 숭록대부(崇祿大夫)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김개 할아버지의 자취를 찾아 봅니다. 탑골공원의 국보 2호인 원각사 10층석탑을 보면서 직계선조 할아버지를 그려 봅니다. 원각사의 창건(조선 성종 2년 : 1471) 내력을 적은 대원각사비의 뒷면 비음기 에서도 김개 할아버지 함자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왕조 실록 세조 33권, 10년(1464 갑신 / 명 천순(天順) 8년) 5월 3일(을묘) 2번째기사 흥복사에 거동하다·원각사 창건의 일을 의논하다 ------------------------------------------------------- 흥복사(興福寺)에 거둥하여 왕세자(王世子)와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 대군(臨瀛.. 2011. 11. 19.
흥천사종 제조 중추원사 김개 할아버지 1465년 원각사 제조(圓覺寺 提調)로서 원각사의 조성을 지휘하시고숭정대부(崇政大夫) 1467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임명되고 계사년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제수되신 김개 할아버지의 흥천사종 제조관련 자료입니다. ======================================================================================= 흥천사종(興天寺鍾)은 흥천사동종 (興天寺銅鐘) 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지정종목 : 보물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460호 문화재 지정일 : 2006년 1월 17일 유형 : 유물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성격 : 불구, 종류/분류 : 범종 제작시기/일시 : 1462년(세조 8) 수량 : 1구 재질 : 구리.. 2011. 11. 19.
건원릉 신도비 비음기 연성군 기록 탁본 기존에 알고 있는 사항이지만, 기록을 위해서 건원릉 신도비 뒷면 비음기에 기록된 "좌명공신 연성군 김정경" 할아버지에 대한 내용을 찾아 보았습니다. 태조 건원릉 신도비 (太祖 建元陵 神道碑) "좌명공신 연성군" 김정경 음각된 부분 태조 건원릉비 (신도비) 탁본 : 해석문 및 판독문은 본문 아래에 등재합니다. 건원릉 홍살문 홍살문 (紅살門) 이란 ?붉을 홍(紅), 살은 한글로 화살의 살, 문은 붉은 화살이 박혀있는 문(門)이라는 뜻으로 옛날에 가장똑바른 것이 자 또는 화살이었는데 화살은 한 목표지점을 향해 똑바로 날아가야 하기 때문에 곧고 바르게 만들었답니다.문에도 그런 의미에서 곧은 화살을 달아 놓아 사람의 곧은 마음을 표현 한 것입니다. 능(陵), 원(園), 묘(廟), 대궐, 관아(官衙) 따위의 정면에.. 2011. 11. 18.
연성군 김정경 蓮城君金定卿 - 안산김씨 연성군 김정경 (蓮城君 金定卿) 조선왕조 건국 초기 때 원종공신과 선무공신으로, 본관은 안산(安山)이다. 신라(新羅) 경순대왕(敬順大王)의 4왕자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아드님인 시조 김긍필(金兢弼)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김 위(金渭)이고, 조부는 김원상(金元祥)이며, 아버지는 진주목사를 지낸 김성경(金星慶)이고, 어머니는 한국부인(韓國夫人) 평양조씨(平壤趙氏)이다. 배위(配位)는 화혜택주 왕씨(和惠宅主王氏)이다. 조선 태조를 도와 개국하는 데 협력하여, 개국공신 다음가는 포상 직위인 원종공신으로 책봉되어, 연성군(蓮城君)에 책봉되었다. 1400년 (정종 2년) 경진(庚辰), 한성부윤에 있을 때 제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진압하고, 좌명공신에 책봉되었다. 1410년 (태종 10년) 경.. 2011. 11. 18.
會者定離 去者必返 (회자정리 거자필반) 會者定離 去者必返 (회자정리 거자필반) 뜻 음 : 會 (모일회), 者 (놈자), 定 (정할정), 離 (헤어질리) 去 (갈거), 者 (놈자), 必 (반드시필), 返 (돌아올반) 풀이 : 만나는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게 되고, 떠난 사람은 반드시 돌아 온다는 말입니다. 출전 法華經(법화경). 『법화경』은 묘법연화경.. 2011. 11. 16.
서울(청계천) 등 축제 서울 등 축제 사진입니다. 2011 서울 등 축제 기간 : 2011.11.04(금) ~ 2011.11.20(일) 장소 :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 청계천 일대 관련정보 : 행사정보, 가는방법, 체험안내 부가정보 : 점등 17:00 ~ 소등 23:00 2011. 11.9 촬영 2011. 11. 10.
조선명필 한석봉 묘 북한 개성 인근서 발견 조선명필 한석봉 묘 북한 개성 인근서 발견 연합뉴스 기사입력 2010-04-25 19:00 조선시대 명필로 유명한 석봉(石峯) 한호(韓濩.1543~1605)의 묘가 그의 고향인 개성 인근에서 발견됐다. 2010.4.25일 북한의 대남 라디오 `평양방송'에 따르면 개성 고려박물관 연구사들이 최근 개성시와 인접.. 2011. 11. 7.
문광공(대제학) 김원상 흡곡 묘소 심방기 문광공께서는 고려 충렬왕때 판삼사 진현관 대제학을 지내신 분으로 묘소가 보첩에 기록되어 있었지만, 1339년 돌아가신 후 400여년이 지나 성묘를 위해 후손 양재(養材), 양식(養植) 주관하에 묘소를 찾았으나 부인박씨 묘소는 찾았지만 문광공 및 황려군부인 민씨 묘는 실전하는 지경에 .. 2011. 11. 6.
대제학공파 휘 지 묘갈명 (합천파) 안산김씨 대제학공파 묘갈명 내용입니다. 진주목사공 춘령 지묘 숙부인 김해김씨 5대조 휘 정경(定卿) : 이조판서 연성군 고조 휘 척(滌=조) : 별장 증조 휘 지(地) : 홍문관 대제학 조부 휘 자양(自楊) : 진주목사 고(考 =父) 연(璉) -- 벼슬길에 나가지 아니함 자(子) 춘령(春齡) -- 목사 (진주.. 2011. 11. 6.
조선시대 무관의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무관의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관직제도에 관한 것은 당연히 경국대전에 실려 있다. 무관들의 관직을 살피는 것이니, 또한 "병전(兵典)"에 실려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품계(品階)와 산계(散階)의 개념을 확실히 알아야 한다. 과거나 음서 등의 어떤 경로 등으로 통해서.. 2011. 11. 6.
조선시대 김취려(金就礪), 김말(金秣) - 김맹전 (안산 전통인물) 김취려(金就礪) : 조선 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정(而精), 호는 잠재(潛齋)·정암(靜庵). 이조판서를 지낸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김광오(金光澳), 아버지는 김휘(金暉)이다. [활동사항] 김취려는 퇴계(退溪) 이황.. 2011. 11. 6.
서산군 이혜(瑞山君 李譿) - 왕족 서산군 이혜 (瑞山君 李譿) ? - 1451년 4월 10일 조선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혜(譿)이다. 태종의 손자이며, 세종, 효령대군, 성녕대군의 친 조카이다. 태종의 손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적 3남이다. 세종대왕의 조카이다. 정효전 등과 기생을 놓고 다투었다가 탄핵을 .. 2011. 11. 3.
전교 68명중 68등 - 박찬석 총장 이야기 전교 68명중 68등이었다. 나의 고향은 경남 산청이다. 지금도 비교적 가난한 곳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가정형편도 안되고 머리도 안되는 나를 대구로 유학을 보냈다. 대구중학을 다녔는데 공부가 하기 싫었다. 1학년 8반, 석차는 68/68, 꼴찌를 했다. 부끄러운 성적표를 가지고 고향에 가는 어린 마음에도 그 성적을 내밀 자신이 없었다. 당신이 교육을 받지 못한 한을 자식을 통해 풀고자 했는데, 꼴찌라니... 끼니를 제대로 잇지 못하는 소작농을 하면서도 아들을 중학교에 보낼 생각을 한 아버지를 떠올리면 그냥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잉크로 기록된 성적표를 1/68로 고쳐 아버지께 보여드렸다. 아버지는 보통학교도 다니지 않았으므로 내가 1등으로 고친 성적표를 알아차리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대구로 유학한.. 2011. 11. 2.
칭구야 힘내잉! 칭구야 힘내잉! 힘내고 한잔해! 다음엔 더 좋은일 있을꺼야! 주왕산 비경 (단풍놀이 2013.11.2) "여성 상위시대의 남자들" 20대 ... 다른 여자 쳐다봤다고 혼나고,, 30대 ... 술 먹고 외박했다고 혼나고,, 40대 ... TV채널 다른데 틀었다고 혼나고,, 50대 ... 화장하고 있는데 어디 갈꺼냐고 묻다가 혼.. 2011. 10. 30.
말썽피워도, 대학 중퇴해도… IT천재 부모는 자식 믿었다 말썽피워도, 대학 중퇴해도… IT천재 부모는 자식 믿었다 김희섭 기자 fireman@chosun.com 잡스·게이츠·저커버그… 3人의 천재 키워낸 부모들의 '4가지 교육법' 잡스 養父 '맹부삼천지교' - NASA 데려가 IT 꿈 키워주고 명문 보내려 집 팔아 이사까지 게이츠 父 "하고싶은 일 해라" - 자기 직업인 변호사 강요.. 2011. 10. 26.
이뭣고 다리와 남존여비 시심마교[是甚麻橋] = "이뭣고다리" 다리 왼쪽에는 『是甚麽橋』, 오른쪽에는 『이뭣고다리』라고 음각이 되어 있습니다. "이뭣고다리"는 속리산 문장대에서 법주사 방향으로 내려 오는 길목 의 복천암 앞 계곡에 놓여진 자그마한 다리 이름입니다. 복천암 위치 (중간) 시심마교(是甚.. 2011. 10. 12.
돌아가신 아비 선친(先親)을 남에게 이를 때 돌아가신 아비 선친(先親)을 남에게 이를 때      앞에서 어떤 질문자가 --------------------------------- 『자신의 선친을 이름과 함께 남에게 말하거나 글로 쓸 때 어떻게 써야 하나? 선친 ○○○(홍길동)씨는 생전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와 같은 문장을 예로 들어 설명해 주시오.』 --.. 2011. 10. 9.
통도사 자장암의 금와보살 / 홍룡사 통도사 자장암의 금와보살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대웅전은 원래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을 가리키지만, 이곳 통도사의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건물 뒷면에 금강계단을 설치하여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다. 그 때문에 통도사라는 절 이름도 금강계단을 통하여 도를 얻는다는 의미와 진리를 깨달아 중생을 극락으로 이끈다는 의미에서 통도라고 하였다 한다. 지금 건물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었고,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조선 인조 23년(1645)에 다시 지은 것이다. 적멸보궁 금강계단 :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 (적멸보궁) 통도사는 10여년 전부터 자주 들리는 곳인데 오래전 인증샷 으로 찍은 가족 사진.. 2011. 10. 9.
잠자는 공주 - 신유 신유 - 잠자는공주 세상이 미워졌나요 누군가 잊어야만 하나 날마다 쓰러지고 또다시 일어 서지만 달라 진건 없는가요 세상길 걷다가 보면 삥돌아 가는 길도 있어 하루를 울었으면 하루는 웃어야 해요 그래야만 견딜 수 있어 앵두빛 그 고운 두볼에 살며시 키스를 해주면 그대는 잠에서 .. 2011. 10. 7.
2011년 인서울 대학순위 2011년 중앙일보 교육개발연구소에서 발표한 국내대학 랭킹(1위~30위)입니다! 2010년 랭킹과 비교했을 때 TOP4, 1위~4위에는 순위변동이 없습니다. 1위 카이스트 (대전) 2위 포스텍 (포항) 3위 서울대 (서울) 4위 연세대 (서울) 올 해 국내대학랭킹의 가장 큰 이슈는 성균관대학교가 고려대학교와 함께 공동 5위.. 2011. 10. 2.
시계바늘. 세상살이 뭐 다 그런거지 뭐 신유 - 시계바늘 사는 게 뭐 별거 있더냐 욕 안 먹고 살면 되는거지 술 한잔에 시름을 털고 너털웃음 한번 웃어보자 세상아 시계바늘처럼 돌고 돌다가 가는 길을 잃은 사람아 미련따윈 없는 거야 후회도 없는거야 아~~아~~아~~아~~ 세상살이 뭐 다 그런거지 뭐 (((간주중))) 돈이 좋아 여자가 .. 2011. 10. 1.
SKY 능가하는 한국 명문대 SKY 능가하는 한국 명문대 시리즈 ▶청 와 대 여기 재학 중에는 사회에서 인정받는다. 하지만 이곳을 졸업하면 대부분 좋은 소리 못 듣고 산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한국 최고의 명문대다 청 와 대 졸업생의 말을 들어보자 “맞습니다. 맞고요.” ▶해 운 대 여름 계절학기에만 수업을 하는 특이한 곳. .. 2011. 9. 30.
바닷가의 추억 (조용필) / 키보이스 록그룹 바닷가의 추억 - 조용필 노래 동영상 바로가기 http://youtu.be/AcMBHl7anhA 바닷가의 추억 / 키보이스(1970) 노래 바닷가에 모래알처럼 수많은 사람중에 만난 그사람 파도 위에 물거품처럼 왔다가 사라져간 못잊을 그대여 저 하늘 끝까지 저 바다 끝까지 단둘이 가자던 파란 꿈은 사라지고 바람이 .. 2011. 9. 24.
고향에 찾아와도 (최진희/임수정) 고향에 찾아와도 동영상 바로가기 http://youtu.be/J_0FBwTrLXw 고향에 찾아와도 1. 고향에 찾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두견화 피는 언덕에 누워 풀피리 맞춰불던 옛 동무여 흰구름 종달새에 그려 보던 청운의 꿈을 어이 지녀 가느냐 어이 세워 가느냐 2. 산은 옛 산이로되 물은 옛 물이 아.. 201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