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승계보(안산김씨족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원성왕 - - 경순왕 - 은열 - 긍필(시조)
일부 문헌상 계보는 김알지 - - 지증왕 - - 태종무열왕 - - - 긍필(시조)입니다.
안산김씨는 태종무열왕 후손 ?
http://blog.daum.net/yescheers/3936791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신라의 제29대 왕(재위 654-661) 신라 중대(中代)의 첫왕. 휘(諱)는 춘추(春秋) 진지왕자 이찬 용춘(龍春)의 아들로 진덕여왕이 죽은뒤 신라왕실에 성골(聖骨)이 다하여 진골(眞骨)의 몸으로 즉위하여 이 후는 진골이 계승하여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은 즉위전에 김유신(金庾信)과 같이 선덕. 진덕의 두여왕을 보필하여 반도 통일의 대업을 도모하고 특히 당나라에 대하여서는 군사를 청하여 삼국통일(三國統一)을 꾀하였다
왕은 즉위하자 원년(654)에 이방부령(理方府令) 양수(良守)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을 상세히 살피게 하고 이방부격(理方府格)60여조를 수정하게 하였으며 당으로 부터 개부의동삼사 신라왕(開府儀同三司新羅王)에 책봉 되었다.
660년(무열왕 7)에는 당나라가 백제 정벌에 나서자 왕자 법민(法敏)과 김유신으로 하여금 정병 5만으로써 응원케 했다 661년(무열왕 8) 5월에는 당이 고구려 정벌의 대군을 발하였으나 왕은 반도통일의 대업을 보지못하고 죽었다.
<표준영정 제 12호>
1975년 김기창이 문화재관리국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영정으로 경주 통일전에 소장되어 있다.
김춘추는 미남이고 능변(能辨)이라 좋은 인상을 주는 사람이라고 하였으며 당나라에 가서도 그의 인품과 수완으로 외교의 성공을 보았다.
안산김씨는 신라 태종무열왕 직계후손 ?
김춘추(金春秋)무열왕(武烈王)계보(係譜)
시조(始祖) 김알지(金閼智) 대보공(大輔公)시조대왕(始祖大王) |
↓ |
춘추(태종무열왕) 신라제29대 (재위654~661) |
春秋(太宗武烈王) |
↓--------------↓----------------------↓---------------↓-----------↓----★(下) |
법민(문무왕) 인문(대장군,태대각간) 문왕(장군,이찬) 개원(상대등) 지경(이찬) |
法敏(文武王) 仁問(大將軍,太大角干) 文汪(將軍,伊찬) 愷元(上大等) 智鏡(伊찬) |
↓ ↓ |
정명(신문왕) 대충(시중) |
政明(神文王) 大忠(侍중) |
↓-----------↓------------↓ ↓ |
이홍(효소왕) 흥광(성덕왕) 사종(각간) 사인(상대등) |
理洪(孝昭王) 興光(聖德王) 嗣宗(角干) 思仁(上大等) |
↓-----------↓-----------↓----↓ ↓ |
승경(효성왕) 헌영(경덕왕) 중경 수충 유정(이찬,상대등) |
承慶(孝成王) 憲英(景德王) 重慶 守忠 惟精(伊찬,上大等) |
↓---------------------↓ |
주원(명주군왕) 내흥(각간) |
周元(冥州君王) 奈興(角干) |
↓--------------------------↓----------☜-----↓ ↓ |
종기(명주군왕) ♣강릉김씨 헌창(시중) 신(시중) 경징(대아간) |
宗基(溟州君王) 憲昌(侍中) 身(侍中) 慶徵(大阿干) |
↓----------- ↓ ↓---------↓ ↓ ↓ |
정여(상대등) 장여 범문 분 자사(대내마) 영(상공) |
貞茹(上大等) 璋茹 梵文 汾 紫絲 榮 |
↓ ♣신성김씨 ↓ ↓ |
양(대각간) 동정(대내마) 종유(아간) |
陽(大角干) 東靖 宗儒 |
↓ ↓--------↓-----------------↓----☜ ↓ |
흔(대장군) 영진 영길 영견 궁일(군윤) |
昕(大將軍) 英珍 英吉 英堅 宮一 |
↓ ↓--------↓ ↓ ↓-----------↓ |
식희 선강 선희 견웅 은의(군윤) 강의(좌복야) |
式希 善康 善希 堅雄 殷義 康義 |
↓ ↓ ♣이천김씨 ↓ ↓ ↓ |
춘용 순식 징우 (여출)이한 경영(아진찬) |
春用 順式 徵佑 (女出)李翰 慶英 |
↓ ♣강릉왕씨 ↓ ♣전주이씨시조 ↓ |
기예 양 욱성(한림) |
奇禮 陽 頊成 |
↓ ↓ ↓ |
소 상기 승흥(아찬) |
召 上奇 承興 |
↓ ↓ ↓ |
방감 인존 헌 (사도) |
方鑑 仁存 獻 |
↓ ↓ ↓ |
수문 영석 지주(각간) |
守文 永錫 支柱 |
↓-----------☜ ↓ ↓ |
광순 정순(문하성사) 윤 긍필(안산개국후) |
光純 正純 閏 兢弼 |
♣황주김씨 ↓ ↓ |
혁승 은부(안평공) |
革升 殷傅 |
↓ ♣안산김씨 |
계소 |
繼紹 |
↓--------------------------------------↓ |
광갑 광병 |
光甲 光丙 |
↓ ↓ |
사혁 ♣진천김씨 덕손 |
斯革 德孫 |
↓------------↓ ↓ |
승로 천익 경렴 |
承露 天益 慶廉 |
↓ ↓ ↓ |
백훈 덕종 득인 |
佰壎 德宗 得仁 |
↓ 강릉김씨 ↓ |
맹아 태선 |
孟雅 泰先 |
↓ ↓ |
봉 계공(병판) |
鳳 계恭(兵判) |
♣입북진천김씨 ♣가평김씨 |
김춘추(金春秋)태종무열왕 |
↓--------------------------↓----------↓----------↓----------↓ |
범민, 인문, 문왕,개원,지경,★인태(해찬), 개화(파간) 문급(문급) 차득(아간) |
仁泰(海찬) 皆和(波干) 文給(文級) 車得(阿干) |
신라김씨 분관 선원도 / 계보연구 - 경주김씨계보연구회
신라 무열왕릉 안내도 무열왕릉 입구
무열왕릉 비각 무열왕릉
무열왕릉 비
경주 남산 최고 명당 자리에 위치한 통일전.
담장 옆에서 본 목련은 또 다른 느낌...
흥국문(興國門) 현판 : 나라를 일으키라는 뜻
두번째 정원에는 사적비(무열왕,문무왕,김유신장군) : 삼국통일기념비
왼쪽은 태종 무열왕의 사적비
가운데는 문무대왕의 사적비
마지막은 태대각간 김유신의 사적비
두번째 정원에서 본전이 있는 서원문(誓願門) 삼국 통일의 정신을 이어받아 남북 통일을 기원
서원문을 들어서면 본전인 '통일전'이 그 위용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궁궐 건축 양식을 따랐으나 울긋불긋한 단청을 칠하지 않고 서까래는 연갈색으로, 기둥과 벽은 하얀색으로 칠하여 무척이나 깔끔한 인상을 주는 전각
통일전(統一殿)이란 현판 아래 전각의 문 또한 순수하게 하얀색
태종 무열왕의 영정 얼굴은 비교적 자애롭게 그려져 있고
중간에 모셔진 문무대왕의 눈꼬리는 올려져 날카롭게 표현되어 있다. 무열왕과 문무대왕의 영정은 운보 김기창 화백의 작품이다.
오른쪽은 태대각간 김유신의 영정으로 장우성 화백의 작품이다. 영정이 유리 액자에 보관되어 있어 유리의 반사 빛이 생긴다.
본전을 돌아가며 사면에 회랑이 길게 이어져 있는데 전각의 옆과 뒷편 회랑을 따라 삼국 통일의 격전을 생생히 보여주는 17점의 기록화 전시
회랑의 양쪽 코너에는 누각이 두개 있는데 통일전 경내와 저 아랫 마을까지 보인다.
태종 무열왕이 661년에 세상을 떠나자, 태자 법민은 왕위를 이어받아 신라 제 30대 문무왕이 된다. 654년에 이미 병부령이 되었고, 660년에는 김유신 장군과 함께 신라군을 지휘하여 백제 정벌을 한 경험이 있는 태자 법민이 36세에 새로운 왕으로 등극하는 모습은 당당했을 것이다. 그러나 백제부활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된 663년까지 힘든 시간을 보냈을 것이며, 이후에도 계속된 고구려와의 교전으로 인해 피곤한 나날을 보냈을 것이다. 664년에 김유신 장군이 나이 70세가 되어 관직에서 물러나려 하자 극구 만류한 것은 그의 어려운 처지를 짐작하게 한다. 여기까지 오른 목적은 단 하나, 문무대왕의 영정을 보기 위해서이다. 영정을 그리기 위해 화가는 오랫동안 그 인물에 대해 연구한다고 한다. 치솟은 눈썹, 날카로운 눈빛, 반듯한 코, 굳게 닫힌 입술, 당당한 풍채 상상했던 모습처럼 멋지다. 한편 태종 무열왕의 영정은 문무대왕보다 부드러운 인상이다.
문무왕이 서울에 머문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김유신 장군은 경주에 머물면서 왜국에 사신을 보낸다. 왜국은 668년 9월 26일 한 배 가득한 선물을 보내어 오고, 사흘 후에는 새로 건조된 배 한 척을 또 선물로 보내온다. 그는 병석에 있으면서도 고구려 침공으로 인해 느슨해진 신라의 후방으로 왜국이 침공해 오는 것을 염려했던 것이다. 왜국은 왜국대로 고구려를 정복한 신라와 당나라군이 침공해 올 것을 염려했던 것은 물론이다. 머리가 잘려진 귀부(龜趺)는 처절했던 과거의 아픔을 기억이라도 하는 듯 땅바닥에 바짝 엎드려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670년은 왜국이 국호를 일본으로 한다고 알려온 해이다. 김춘추는 태종 무열왕이므로 김유신은 문무왕의 외삼촌인 된다. 그런데 화랑세기 필사본에 따르면 춘추가 결혼을 하지 못한 이유는 원래 부인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춘추와 문희의 결혼식은 현재의 포석정에서 행해졌다고 한다. 울타리가 쳐진 것보다 훨씬 넓었던 것이다. 당에서 그에게 나무 쇠뇌를 만들게 하여 화살을 쏘았는데 30보 나갔다. 황제가 그에게 물었다. “내가 듣기에 너희 나라에서 쇠뇌를 만들어 쏘면 1천 보를 나간다고 하는데, 지금은 겨우 30보밖에 나가지 않으니 어찌된 일이냐?” 구진천이 대답하였다. “재목이 좋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나무를 가져온다면 그것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에 천자가 사신을 보내 재목을 구하자 곧 대나마 복한(福漢)을 보내 나무를 바쳤다. 다시 만들게 하여 쏘았는데 60보를 나갔다. 그 까닭을 물으니 대답하였다. “신도 역시 그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아마 바다를 건너는 동안 나무에 습기가 스며들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천자는 그가 일부러 제대로 만들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무거운 벌로써 위협하였으나 끝내 자기의 재주를 다 드러내지 않았다. 저 멀리서 무당들이 굿을 하고 있다. 동해의 신에게 호소하는 것일까 아니면 대왕암에 있는 문무왕에게 호소하는 것일까? 문무왕이 세상을 떠난 그 다음 해 신문왕은 문무왕이 끝내지 못하고 간 절을 완공하고, 그 절의 이름을 감은사(感恩寺)라고 했다. 아버지의 은혜에 감사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감은사에는 동해의 용이 된 문무왕이 드나들 수 있도록 건물 하부에 지하층이 만들어져 있다. |
'안산김씨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김씨 상계조상 소개 (0) | 2008.08.15 |
---|---|
안산김씨 인구 분포도 (0) | 2008.07.29 |
안산김씨는 태종무열왕 후손 ? (0) | 2008.04.30 |
안산김씨 소개 책자 (0) | 2008.04.20 |
안산김씨 조상을 찾아서 (상계기록) (0) | 2008.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