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풍궁 와당문 한나라 기와무늬 열폭 병풍 - 청계 안정환
10 9 8 7 6 5 4 3 2 1
2 1
4 3
6 5
8 7
10 9
50 瓦當文 와당문 (10幅 屛風)
0×0cm×10
50-1 周豊宮瓦當文 주풍궁와당문
周(주)나라 수도 豊鎬(풍호)에 있었던 宮殿(궁전)의 와당문
50-1-1 衎간
瓦와當당面면逕경六육寸촌四사圍위作작朱주雀작元원武무
靑청龍룡白백虎호之지錢전中중 有유一일字자曰왈衎간
와당의 얼굴 지름과 길이가 여섯치며 사방에는 朱雀元武(주작원무) 靑龍白虎(청룡백호)를 새겼다. 돈 같이 새겨진 가운데에 한 글자가 있으니衎(간) 자이 다.[ 拜은 衎(간) 자와 동일하고 和樂의 뜻이다]
50-1-2 도 麋미 陶도陵능共공廚주銅동一일合합 容용一일千천拜배유 共공廚주銅동鼎정
容용一일千천中중八팔千천一일兩량二이十십重중十십斤근
積적古고款관識지云운此차 定정陶도泰태王왕陵능廟묘 鼎정銘명也야도麋미
二이縣현屬촉右우扶부風풍盖개 二이邑읍合합共공此차器기 哀애帝제二이年년
封봉定정陶도共공 王왕爲위共공皇황帝제此차鼎정元원所소得득于우
嘉가慶경七칠年년秋추送송焦초山산配배周주鼎정
註解 적고간지에 이르기를 이 정도는 공왕능묘의 솥에서 새겨진 글이다. 유미견은 견현에 속해있다. 부풍의 오른쪽에 대개 두읍에서 이 그릇이 나왔다. 哀帝(애제) 2년에 정도의 공왕으로 책봉되어 공황제 가 되었으니 이 솥은 원래 嘉慶(가경) 七年(칠년) 가 을에 얻은 것이다. 焦山(초산)에 보내서 周(주)나라 솥과 나란히 있었다.
50-1-3 漢한壽수考고甎전旣기壽수考고作작長장樂낙 漢한瓦와多다長장樂락萬만歲세之지交교
한나라 왕당에 長樂未央(장락미앙) 많은데 장락은 만세의 문양이다.
※ 未央(미앙)은 한나라 궁전의 이름이다.
50-2-1 長樂未央 장락미앙 (오래 즐기는 한나라 궁전)
此차瓦와無무中중心심 圓원輪륜以이而이字자 之지四사方방繪회以이 雲운物물
이 와당에는 중심이 없는데 둘레에는 而字(이자)이 고 글의 四方(사방)에는 구름의 무늬를 그려 놓았다.
50-2-2 百萬石倉 백만석창 (백만의 돌 창고)
桂계未미谷곡云운以이 石석爲위稟품倉창 故고暫잠氏씨有유 藏장書서石석倉창
계미곡 선생이 말하기를, 돌로서 창고를 만들어 놓 았는데 잠씨는 석창에 책을 넣어 두었다.
※ 桂未谷(계미곡)은 淸(청)나라 곡부사람, 소학과 금석문 대가
50-2-3 (饑기)作작文문戊무尊존彝이戈과
주린 아버지께 술잔과 방패를 드려 성하게 하다.
50-2-4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六畜蕃息 육축번식 : 여섯 종류의 짐승을 번식함
桂계未미谷곡引인急급就취篇편云운六육畜축蕃번息식豚돈豕시豬저
계미곡의 저서를 급히 펼쳐보면, 여섯종류의 번식으 로 소, 말, 개, 돼지, 닭, 양이라.
※ 桂未谷(계미곡)은 淸人(청인)으로 曲阜人(곡부 인) 乾隆進士(건륭진사)요, 字(자)는 冬卉(동훼) 이요 號(호)는 未谷(미곡)으로 小學(소학)에 精通(정통)하고, 金石文(금석문) 篆字刻(전자각)에 能(능)하였다.
50-3-1 秦瓦 진와 (진나라 와당)
衛 위
瓦와文문이 古고質질하니 眞진秦진制제也야 始시皇황本본紀기云운에
盡진淂득毒득 等등과 制제尉위竭갈衛위尉위之지名명한다.
註解 중국 역사책 이십오사(二十五史)에 보면, 진 시황 本紀(본기)가 있다. 거기에 盡淂毒等(진득독 등)과 衛尉竭(위위갈)이라 되어 있다. 制尉竭(제위 갈)이라 쓴 것은 잘못 쓴 것. 衛尉竭(위위갈)이 古書(고서)에 나와 있다.
50-3-2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千秋宮當 천추공당
영원한 궁당당하고, 夏(하) 나라 宮(궁)의 一名(일명) 이다.
50-3-3 都司空瓦 도사공와 : 都司空(도사공)의 기와
予여見견都도司사空공數수腫종榻탑本본하니 皆개瘦수勁경하고 有유法법하니 與여翻번板판에 擁옹腫종者자가 不불同동이라.
내가 도사공이 만든 몇 종류의 ‘탑’ 본을 보니, 모두 파리하나 굳세게 보이고 법이 있어, 판을 뒤집어 보 니 종기가 부풀어 있는 같지는 않았다.
50-4-1 漢半瓦 한반와 (한나라 반쪽기와)
延年 연년
延연年년은 半반瓦와이니 橫횡逕경이 寸촌七칠强강이요
程정勉면之지云운하되 錢전別별 駕가에 淂득自자漢한城성으로
此차與여上상林림二이半반瓦와하니 皆개非비殊수瓦와라
註解 해를 이어온 반쪽 기와와 옆으로 일곱치 정도 이다. 정면지가 말하기를 전별하는 수레에 한성으로 부터 이 上林(상림)이라는 두 개의 반쪽 기와를 얻었는데, 다 특수한 기와는 아니다.
50-4-2 黃山 황산
漢한地지里리志지의 槐괴里리에도 黃황山산宮궁이라 孝효畵화二이年년에 作작
하야 今금의 興흥平평縣현治치西서南남十십里리에 黃황山산宮궁이 是시也야.
註解 한나라 지리지의 槐里(괴리)편에 黃山宮(황 산궁)이 있다. 효화 2년에 지은 것이다. 지금 흥평현 서남쪽 십리쯤에 황산궁이 있으니 이것이다.
50-4-3 戈과父부戌술盃배 涇경陽양出출土토地지晩만商상器기
사내가 쓰던 ‘창’과 마개 덮인 술잔, 涇陽(경양)에서 출토 된 것인데 늦은 상나라(은나라)의 그릇이다.
50-4-4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宮 궁
此차瓦와는 止지一일宮궁字자이다 未미定정이며
何하宮궁이며 未미知지何하代대라
註解 이 기와에는 집 궁[宮] 자 하나만 쓰여 있다. 어느때 궁전인지 정할 수 없으며 어느 시대인지도 모른다.
50-5 漢上林瓦 한상림와 (한나라 상림의 기와)
上林(상림)은 秦(진)나라 궁원으로 한무제가 지음.
50-5-1 上林農官 상림농관 (진나라 농관)
平평準준書서에 上상林림 與여古고府부에 大대農농과 太태僕복에
各각置치農농官관하니 此차蓋개水수衡형하고,
上상林림所소置치는 以이田전官관田전者자也야예라
한나라 무제때 법률서적, 물가서적, 上林(상림)과 고부에 태농과 태복이 있는데 거기에는 각기 농관을 두었다. 이것은 水衡(수형)이고 상림에 둔 것은 田官田者(전관전자)이다.
※ 太僕(태복)은 軍政官(군정관)
50-5-2 舟父甲卣車唯丙父丁 주부갑유 차유병부정
사내가 쓰던 ‘배’와 투구와 술잔, 수레는 오직 丙父(병부) 장정의 것.
50-5-3 延年 연년 : 해를 잇고 이어온 세월.
50-5-4 上林 상림 : 한무제가 지은 궁전.
上상林림二이字자는 橫횡列열에 內내線선一일層층이요
外외邊변一일層층은 俱구完완備비하니 非비殘잔瓦와요 盖개半반瓦와也야라
上상字자 末말畵화卽즉 潛잠內내線선에 用용之지라
註解 상림(上林) 두 글자는 옆으로 되어 있으니 안 쪽선 한 층 위에 올려 놨다. 밖의 한 층은 완전히 갖 추어진 것이므로 두쪽가리에서 반만 남은 것이 아니 요 본래 반쪽기와 이다. 윗 상[上] 자 위 끝으로 그려 진 그림으로 잠긴 선이다.
50-6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50-6-1 永奉無强 영봉무강 : 영원히 무강하기를 빈다.
此차廟묘殿전瓦와故고로 用용永영奉봉字자
혹以이爲위永영壽수無무强강者자의 誤오也야라
이것은 사당의 기와인고로, 永奉(영봉)이라는 글자 를 썼고, 永壽無疆(영수무강)의 잘못일 수도 있다.
50-6-2 狼干萬延 랑간만연
狼干(랑간)은 琅玕(랑간)으로, 옥소리나는 예쁜돌을 萬(만)개나 이어 놓은 것.
桂계未미谷곡의 瓦와文문 曰왈 狼랑干간萬만延연이나 狼랑干간卽즉琅랑干간也야라
註解 계미곡 선생이 모아 놓은 瓦文(와문)에 말하 기를 狼干萬延(랑간만년)이라 하니 이 狼干(랑간) 이 곧 琅玕으로 예쁜 옥돌이라는 뜻.
50-6-3 叔숙尹윤作작旅여鼎정遼료寧영容용左좌山산에 灣만子자新신生생土토하니
初초周주器기也야라
註解 숙윤이가 만든 旅(여)의 솥으로 요령성 용좌 산 만자에서 새로 출토된 것이니 周(주)나라 초의 그 릇이다.
50-6-4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轉嬰柞舍 전영작사 : 어렸을 때 살든 떡갈 나무집
轉전字자柞작字자反반書서字자요 櫻앵은 疑의卽즉 鵬붕字자요 轉전字자는 疑의 卽즉 囀전字자라, 轉전字자柞작舍사는 疑의卽즉甘감泉천의 五오柞작宮궁之지瓦와 也야라, 五오柞작은 皆개連연 抱포上상枝지의 覆복蔭음數수 畝무也야歟여져
轉字(전자)와 柞字(작자)는 반대 쓴 글씨고, 嬰字(영자)는 의심컨대 鵬字(붕자)인 듯 싶다.( 轉嬰)
柞舍(작사)는 의심컨대 甘泉(감천)의 五柞宮(오작 궁)기와 인 듯하다. 五柞(오작)은 連抱上枝(연포상 지)의 몇 이랑을 덮은 것인데 連抱上枝(연포상지)는 抱(포)를 연결한 위에 가지지붕을 받히는 건축물 구 조다.
50-7 魯公作文 노공작문 : 노공이 글을 짓고
王尊彝 왕존이 : 왕의 술 그릇[술통이]
50-7-1 吳孫氏甎 오손씨전 : 오나라 손씨의 벽돌이다.
在재乙을亥해孫손氏씨造조 : 을해년 손씨가 만들었다.
大대泉천五오日일 錢전文문王왕枚매日일疑의是시百백
일자는 의심컨대, 이 일백 백[百] 자이다.
50-7-2 延年益壽 연년익수
此차漢한人인吉길利이語어, 或혹亦역爲위延연年년殿전之지瓦와
이것은 한나라 사람의 吉利(길리) 길하다는 말이다. 혹은 또한 延年(연년) 殿(전)의 기와일까?
50-7-3 延年益壽 연년익수
黃황図}도의 未미央앙宮궁에 有유延연年년殿전하니 或혹卽즉此차之지瓦와라
황도의 미앙궁에 延年殿(연년전)이 있으니 혹은 이 연년전의 기와인 듯 하다
※ 黃図}(황도) : 임금이 사는 도시.
50-8-1 億年無強 억년무강
辛신亥해九구月월에 疏소山산의 拓척于우, 乃내帝제朱주氏씨黃황小소松송瓦와, 億억年년無무強강이다 或혹謂위是시는 王왕奔분妻처의 億억年년陵능瓦와라
신해 9월에 소산의 임금 주씨 黃小松(황소송)의 기 와에서 탁본한 억년무강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것 은 漢王(한왕)이 王奔(왕분)의 妻(처) 億年陵(억년 능) 와당이라 한다.
50-8-2 方春蕃萌 방춘번맹
바야흐로 봄이 되니 번성하게 싹이 트다.
味미祥상 所소施지稱칭이라 東동方방者자는 春춘에
東동宮궁所소用용之지瓦와라 如여太태子자宮궁甲갑觀관畵화堂당
어디에 썼는지 자세하지 않다. 동방자는 봄이니 東宮(동궁)에 쓰여진 기와이다. 太子宮(태자궁)에 甲觀畵室(갑관화실)과 같도다.
※ 甲觀(갑관) : 한나라 태자궁의 이름.
50-8-3 倗붕万만作작義의妣비寶보尊존彝이
임금 부인의 보배로운 술그릇.
50-8-4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萬物咸城 만물함성
漢한后후宮궁의 長장秋추殿전瓦와也야라 後후漢한의 馬마后후 記기注주에 長장 久구也야라, 秋추爲위萬만物물成성熟숙之지, 初초故고로 以이名명書서焉언이라
※ 馬后後漢明德馬皇后(마후후한명덕마황후)
한나라 후궁인 기와이다. 후한시 마후황후의 기록 주적에 長久(장구)하다고 되어 있다. 가을은 만물 이 성숙하는 초기 인고로, 이렇게 이름한 것이다.
50-9 漢瓦 한와 (한나라 와당)
50-9-1 千秋萬歲 천추만세
黃황國국의 未미央앙宮궁中중에 有유萬만歲세宮궁하니 武무帝제造조汾분陰음에 有유萬만歲세宮궁이라, 宣선帝제元원年년韋위此차宮궁之지瓦와也야라
황도의 미왕궁에 만세궁이 있다. 한무제가 汾陰(분 음)에다 만세궁을 세웠다. 宣帝(선제) 첫해에 이 궁 전의 기와를 이것으로 이어쌓다.
50-9-2 鼎婦, 竝子婦 섬정부섬, 병자부섬
경박한 여자들과 부인과 자식들이 사용하던 솥.
商상代대의 銅동器기라 有유鼎정簋궤卣유
상나라 동기라 솥과 제기와 술통이 있다.
50-9-3 平樂阿宮 평락아궁 : 평화롭게 즐기는 아궁
三삼輔보黃황図}도上상林림苑원의 二이十십一일觀관中중에 有유平평樂락觀관이라
三輔黃図}(삼보황도)의 上林苑(상림원)에 스물 한 개의 觀中(관중)에 平樂觀(평락관)이 있다.
※ 三輔(삼보) : 한무제 태조 원년에 長安(장안)을 세 구역으로 나눈 지방관의 이름이다. 동쪽의 京兆尹(경조윤), 북쪽의 左馮翊渭城(좌빙우위성), 서쪽의 右扶風(우부풍)으로 나누었다.
50-9-4 高安萬歲 고안만세 : 높고 편안함이 만대에 이어짐
勉면 之지 云운 錢전 別별 駕가 淂득 此차, 于우 漢한 城성하니
案안 漢한 書서컨대, 佞녕 幸행 傳전 釮재 董동 與여, 爲위 高고 安안 矣의라.
此차 當당 卽즉, 私사 芽아 之지 瓦와라.
註解 勉之(면지)가 말하기를 이별할 적에 이것을 漢城(한성)에서 얻었다 하니 漢書(한서)를 본바, 총 애를 받아서 이것을 전해 받았다. 高安(고안)당 候(후)가 되었고, 이와당인즉 신적으로 만든 것이다.
※ 勉(면) : 莊子(장자)의 德充符(덕충부)에 나오는 弟子(제자)가 勉이라
佞幸(녕행) : 아첨하여 총애 받음
高安(고안) : 지명
50-10 宋元嘉甎 송원가전 (송나라 원가의 벽돌)
字俱反書(자구반서) : 글자가 반대로 쓰여 있다.
50-10-1 太歲己巳 宋元嘉六年 태세기사 송원가륙년
太歲(태세)라 함은 古代天文學中(고대천문학중)에 假說的星名(가설적성명)으로 南朝(남조)의 송나라 劉義隆(유의륭) 文帝(문제)로써 서기 424~453년의 시대다.
※ 元嘉(원가) : 南朝時代(남조시대) 宋(송)나라 文帝(문제)의 年號(년호)이다.
此차 甎전 亦역 陳진 抱포 之지 所소 藏장 一일 面면이다 宋송 元원 嘉가 六륙 年년 一일 面면에 太태 歲세 己기 巳사라 考고컨데 宋송 文문 帝제 元원 年년 也야라.
註解 이 벽돌은 집에 펼쳐놓아 소장된 일면이다. 송나라 원가 6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한 면에는 태 세기사라 되어 있다. 조사 해보니 宋(송)나라 문제의 첫해였다.
50-10-2 小子作每己卣銘 소자작매기유명
소자가 이것을 만든 것인데 술통에 새긴銘 (명)이다.
50-10-3 秦瓦 진와 (진나라 기와)
與天無極 여천무극 : 하늘과 더불어 끝이 없다
此차瓦와의 極극字자는 渻성作작函함 漢한鏡경有유之지라
其기中중心심四사界계의 線선直직交교하고 內내無무圓원心심이라.
註解 이 기와의 極(극)자는 函(함)자 만으로 되어 있는데, 漢(한)나라의 거울에 있다. 그 중심 사방경 계는 곧은 선으로 교차하고 있고 안에는 ◯원심이 없다.
安定煥撫古 안정환무고 : 안정환이 옛것을 어루만진 작품이다.
'서 예 방 > 청계 안정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유선경 다반향초 - 청계 작품 (0) | 2021.09.15 |
---|---|
법성게 각 (法性偈 刻) - 청계 (0) | 2021.06.09 |
도자기 작품 - 청계 (0) | 2021.04.30 |
대법륜사 삼성각, 재실 돈화문 편액 - 청계 (0) | 2021.04.27 |
각주구검 서각 - 청계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