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75

성산일출봉 - 제주도 성산일출봉 2022년 3월 17일 해발 180m인 성산 일출봉은 약 5,000년 전 제주도 수많은 분화구 중에서는 드물게 바닷속에서 수중폭발한 화산체이다. 용암이 물에 섞일 때 일어나는 폭발로 용암은 고운 화산재로 부서져 분화구 둘레에 원뿔형으로 쌓여 있다. 원래는 화산섬이었지만 신양해수욕장 쪽 땅과 섬 사이에 모래와 자갈이 쌓여 육지와 연결이 된 것이다. 일출봉 정상에는 지름 600m, 바닥면의 높이 해발 90m에 면적이 214,400㎡(성산일출봉 분화구의 면적)나 되는 분화구가 자리한다. 이곳에서 이장호 감독의 영화 '공포의 외인구단'의 한 장면이 촬영되기도 했다. 농사를 짓기도 했는데 지금은 억새밭을 이루며 우도가 손에 잡힐 듯 보인다. 예로부터 이곳 성산일출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일출광경은 영주10.. 2022. 3. 17.
한라산 백록담 한라산 동쪽코스인 성판악탐방로는 관음사탐방로와 더불어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 을 오를 수 있는 탐방로이다. 한라산 탐방로 중에는 가장 긴 9.6㎞이며, 편도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성판악탐방로는 총 9.6㎞ [성판악→진달래밭(7.3㎞)→정상(동능 2.3㎞)] / 왕복 19.2km 한라산의 높이는 해발 1947m이다. 아직도 1950m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당초 1966년 국토지리정보원 측정에서는 1950m로 나왔지만, 2005년 정밀 측량 결과 1947m로 정정되었다. 한라산의 해발 고도를 처음으로 측정한 인물은 독일인 지크프리트 젠테 박사이다. 독일 신문에 여행기를 연재하기도 했는데 1902년에 수은 고도계로 1950m로 최초 측정하였다. 성판악관리사무실(해발750m)에서 출발하여 속밭,.. 2022. 3. 17.
기적비(공적비) 제막식 식순 기적비(공적비) 제막식 개요 □ 일 시 : 2022년 3월 0일 00시 □ 장 소 : 00군 00면 □ 참석자 : 00김씨 000파 000문중, 초청인사 및 마을 주민 □ 식 순 1. 개식(개회사) 2. 내빈소개 - 내빈소개 및 선조에 대한 묵념 3. 고유제 4. 기적비 제막 5. 건립경과 및 000선생 약력소개 6. 비문 및 비명 낭독 7. 식사(인사말) 8. 축사 - 내빈축사 - 주민대표 축사 - 초청인사 대표 축사 9. 폐식 *** 오찬 행사 기적비(紀蹟碑) = 사적비(事蹟碑) 어떤 사건이나 사업에 관련된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한 비(碑)를 기적비(紀蹟碑)라고 한다. 기적비(紀蹟碑)는 통상적으로 어떤 사건의 시말(始末)이나 행사의 내력, 인물에 관련된 행적을 기록한 것으로 넓은 의미의 사적비(事蹟碑).. 2022. 3. 7.
천황산(재약산 사자봉), 재약산(수미봉) 천황산(재약산 사자봉), 재약산(재약산 수미봉) 천황산(天皇山, 재약산 사자봉)의 높이는 1,119.1m이고, 주봉(主峰)은 사자봉이다. 남쪽에 재약산(載藥山, 주봉은 수미봉 1,018m)과 맥이 이어져 있다, 밀양 얼음골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상부터미널에서 하차후 10분 정도 걸으면 샘물산장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천황산까지 1시간, 재약산까지 약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재약산 수미봉은 밀양 표충사에서 올라가도 됩니다. 천황산을 재약산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영남알프스 산군 중 하나로 사자평 억새와 습지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산세가 부드러워 가.. 2022. 3. 5.
청룡와당, 백호와당, 주작와당, 현무와당 - 진와, 한와 청룡와당, 백호와당, 주작와당, 현무와당 - 진와, 한와 (秦瓦, 漢瓦) 汉式艺术|秦砖汉瓦之美 汉式心理文化... 12-23 14:39 大 한식 예술 | 진벽돌 한기와의 아름다움 한식 심리문화... 12-23 14:39 대 秦砖汉瓦,并非专指“秦朝的砖,汉代的瓦”,而是泛指秦汉时期的青砖与古瓦。它们历千年而不朽,以精美的文字、奇特的动物形象、充满活力的生活场景,再现了当时人们的现实世界与美好愿景。一枚瓦片就是一页鲜活的历史,一块砖就是一部耐人寻味的传奇故事。 瓦当:宫殿上的“徽章” 我们只要想一下秦兵马俑的千军万马与气势万钧,就可以理解秦代制陶技术的高超了。用这种技术去制造宫殿上的陶瓦,不难想见它们的坚固与华美。 精美的陶瓦被广泛用于秦阿房宫的营建。那些用于收束瓦缝,护持椽头,遮风挡雨的圆形瓦片被称为“瓦当”,因为瓦当向外,所以或印图案,或刻文字,兼具建筑与装饰.. 2022. 2. 17.
국립 인간극장 <3> 전각 - 안정환 전각장 국립 인간극장 전각 - 안정환 전각장 추사 전각 200년 계보 … 그의 손끝에서 전통이 새겨진다 김민주 기자 min87@kookje.co.kr, 이우정 PD 입력 : 2022-02-08 19:56:43 / 본지 8면 https://youtu.be/Hp8Gmg4LV2s - 전각 시조인 김정희 계보 전승 - 2015년 부산시 무형문화재 지정 - 금강공원·영락정 현판 등 제작 - 돌 등에 글·그림 새겨 깎는 전각 - 과거 임금 옥새 등 도장에 활용 - 전자서명 보편화 속 자취 감춰 - “바쁜 와중에도 이수자 된 장남 - 전통 계승의 뜻 헤아려줘 대견” 추사 김정희는 글과 서예에 능했다. 그의 글과 그림은 종이를 벗어난 곳에까지 새겨졌다. 추사는 당대 최고의 금석학자(금속성 재료에 새긴 금석문 연구)로 손꼽힌다.. 2022. 2. 11.
위호첨익 - 신년 휘호 위호첨익(爲虎添翼) / 휘호(揮毫): 붓을 휘둘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림 또는 그 글씨나 그림. 위호첨익(爲虎添翼)은 爲虎傅翼(위호부익)과 같은 말이다. 위할 위, 호랑이 호, 부착할 부, 날개 익 호랑이에 날개를 달아 주다. 즉, 이미 강한 것을 더 강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맹수인 호랑이에게 날개를 달았으니, 얼마나 더 강해지겠는가. 검은 호랑이에 날개를 달듯이 새해는 펄펄 날으소서 / 무원 위호부익(爲虎傅翼) 【한비자 난세(難勢) 제40편】 한비자는 전국시대의 철학자로 본명은 한비(韓非)이다. 전국시대 말기 한(韓)나라에서 한왕(韓王) 안(安)의 서자, 즉 왕자의 신분으로 태어났다. 법치주의를 주장했으며 법가를 집대성한 철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보통이라면 '한자(韓子)'라고 해야겠지만, 후에 .. 2022. 2. 1.
발왕산(發王山) - 평창군 발왕산(發王山) - 평창군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珍富面)과 대관령면(大關嶺面) 경계에 있는 높이 1,458 m의 산이다. 케이블카 타고 만나는 신비의 겨울왕국으로 겨울이 되면 그 아름다움이 더욱 배가 되는 산이다. 옛날 도승이 이 산에 팔왕(八王)의 묘자리가 있다 하여 팔왕산(八王山)으로 불리우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발행된 지형도에 발왕산(發旺山)으로 기재되었다. 2002년에 다시 발왕산(發王山)으로 변경되었는데 발왕산(發王山)은 왕이 태어날 기를 가진 산’이란 뜻이니 이곳에 발을 들여놓기만 해도 왕의 기운을 받을 수 있다. 발왕산의 남쪽 사면은 급경사이며, 북쪽의 용산리 일대는 완경사를 이루어 전국 최대 규모의 용평스키장이 조성되어 있다. 이 곳 스키장은 많은 분들이 찾는 곳이니 이 곳을 다녀간 분들중에.. 2022. 1. 11.
대관령 양떼목장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대관령 산자락에서 1988년 여름에 대관령양떼목장이 시작되었다. 도시에서의 답답함과 스트레스를 잠시 잊고 즐거운 추억을 많이 만들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겨울철에는 양들을 방목을 하지 않고 축사에 두고 있어 먹이만 주고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를 검색하세요 대관령양떼목장 www.yangtte.co.kr/ 대관령양떼목장 – 한국의 알프스 대관령양떼목장입니다. 떠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설레는 일이 아닐까 하는데요. 그것이 여행이 되든, 아니면 근교 드라이브가 되더라도 기존에 항상 보는 곳, 먹는 것, 그리고 느끼는 것과는 다른 것을 느낄 수 있어서 www.yangtte.co.kr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마루길 483-32 | 전화번호 : 03.. 2022. 1. 11.
호(虎) 연하장 - 무원 무원 선생님깨서 보내주신 임인년(2022년) 호(虎) 연하장입니다. 고맙습니다. 虎 (호) 虎 字也 (호 자야) 검은 호랑이가 세상 잡귀를 다 몰아 갔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李無圓 拜 (이무원 배) 一家平安 添百福 (일가평안 첨백복) / 가족이 무탈하고 온갖 복이 오세요. 壬寅年 無園 拜 (임인년 무원 배) 2022. 1. 5.
호시우보 연하장 - 청계 청계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신년 연하장입니다. 감사합니다. 虎視牛步 (호시우보) 謹賀 (근하) 삼가 축하함 虎視牛步 (호시우보) 호랑이 눈으로 보고 소처럼 나아간다. / 安晴溪 拜(안청계 배) 호시우보(虎視牛步)라는 말은 사물을 볼 때는 호랑이가 먹이를 보듯 예리하고 냉철하게 보고 행동할 때는 소가 걷듯 신중하고 우직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호랑이 같이 예리(銳利)하고 무섭게 사물(事物)을 보고 소같이 신중(愼重)하게 행동(行動)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신중(愼重)을 기(期)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 2022. 1. 5.
칠암사계카페 - 기장군 칠암 칠암사계 카페 빵집 부산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에 ‘칠암사계’라는 대형 카페를 열었는데 칠암 앞바다 조망이 가능한 곳이다. 베이커리가 유명한 이유는 이흥용 명장과 고성호 건축가가 칠암에서 느끼는 사계절을 컨셉트로 건물을 설계했기 때문이다. 칠암사계는 커피업체와 연계해 ‘블랙스톤’이라는 칠암사계만의 커피와 이에 맞는 베이커리를 개발했다. 이 곳 카페에는 소금빵을 먹기 위해 많이 방문을 한다. 소금빵은 따뜻한 아메리카노와 같이 먹으면 좋다. 원래 기장의 칠암항은 아나고(붕장어) 횟집으로 유명한 곳인데 카페가 생겨서 성업중이다. 칠암사계카페 / 051-727-4900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1길 7-10 영업시간 : 월-금 10시~20시, 주말/공휴일 10시~21시 ======================.. 2021. 12. 20.
전포 양곱창 - 망미동 홍순덕 전포양곱창 양곱창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이름난 집이다. 1972년 부산 전포동에서 문을 연 뒤 지금의 망미동으로 옮긴지 25년이 지났고 양곱창은 빨간 양념으로 유명하다. 홍순덕 전포양곱창은 일반 백탄 화로보다도 높은 열을 내는 열탄을 쓴다. 하지만 불이 바로 고기에 닿지 않고 복사열로 익힌다. 양념이 타기 쉽기 때문이다. 홍순덕 전포양곱창 찾아가는 길 / 전화 051-756-0543 부산 수영구 과정로 16번길 23 (망미2동) 부산도시철도 3호선 망미역 4번 출구에서 망미고가도로 따라 직진 후 좌측 2021. 12. 20.
생아구 전문점 - 양포항 성안점 생아구 전문점 - 양포항 성안점 (울산광역시 중구 백양로 23) 채널A 2021년 12월 7일 361회에서 아귀(아구)요리로 갑부가 된 김영섭 사장의 양포항 성안점을 소개했다. 갑부사장의 식당은 명촌점, 호계점, 성안점 3개의 지점인데 3개 매장의 연 매출은 18억원이다. *** 사전적 의미 표준어는 "아귀", "아귀찜"이지만, 아귀라는 발음이 어려워 "아구", "아구찜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갓 잡은 싱싱한 생 아귀에 화끈한 불맛 입힌 아귀불고기는 한 번 먹으면 절대로 잊을 수 없다는 마성의 음식이라고 소문이 났다. ○ 양포항 영업시간 - 영업시간 : 매일 11:00 – 22:00 ○ 메뉴 - 생 아구불고기 : 30,000 – 50,000원 - 생 아구찜 : 30,000 – 50,000원 - 생 아구탕.. 2021. 12. 19.
예화(刈禾) - 진헌집(眞軒集) 예화(刈禾) - 김처암(金處岩) 篛笠磨鐮翁 坐傍泉上石 (약립마렴옹 좌방천상석) 須更回首看 刈盡黃雲色 (수경회수간 예진황운색) ‣측기식 5 언 절구 入声운 / 측기식 5 언 절구 입성운 대삿갓에 낫 갈아 든 늙은 농부가 샘물 위 바위 곁에 앉아 있는데, 고개 돌려 잠시 또 바라보노니 누런 벼 빛깔들이 다 베어졌네. ---------------------------------------------------------------------- 【어휘이해】 안동김씨 청음(淸陰) 김상헌(좌의정,증영의정) 후손 김백촌 刈禾 벼 베기 水邊已刈禾穀 물가에 이미 베어 놓은 화곡(禾穀) 篛笠 대나무 껍질과 대오리로 엮어 만든 삿갓모 青篛笠 푸른 대삿갓 “서새산 앞에는 백로가 나는데, 복사꽃 물에 떠서 흐르고 쏘가리가 살졌.. 2021. 12. 11.
진헌집 (眞軒集) 2권 - 김처암 진헌집(眞軒集)의 진헌은 김처암(金處岩)의 호입니다. 김처암(金處巖) 선조는 1755(영조 31)∼18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중려(仲礪), 호는 진헌(眞軒)으로 고조부는 증 대사헌 촌로공 성대(聲大), 증조부는 제주목사 죽헌(竹軒) 석보(錫保), 조부는 상성(相星)이고, 아버지는 진사 양직(養直)이며, 어머니는 동부승지 신의립(辛義立)의 딸이다. 1795년(정조 19) 응제시(應製試)에서 선발된 생원으로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 2위로 급제하였다. 1806년(순조 6) 사헌부 지평(정5품)으로 있을 때는 시파를 공격하는 안동김씨 김달순(金達淳, 이조판서,우의정)을 엄하게 탄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순천에 유배되었다. 1809년에 풀려나 벼슬이 사헌부 집의(종3품)에 이르렀다.. 2021. 12. 9.
진헌집 (眞軒集) 1권 - 김처암 진헌집(眞軒集)의 진헌은 김처암(金處岩)의 호입니다. 김처암(金處巖) 선조는 1755(영조 31)∼18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중려(仲礪), 호는 진헌(眞軒)으로 고조부는 증 대사헌 촌로공 성대(聲大), 증조부는 제주목사 죽헌(竹軒) 석보(錫保), 조부는 상성(相星)이고, 아버지는 진사 양직(養直)이며, 어머니는 동부승지 신의립(辛義立)의 딸이다. 1795년(정조 19) 응제시(應製試)에서 선발된 생원으로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 2위로 급제하였다. 1806년(순조 6) 사헌부 지평(정5품)으로 있을 때는 시파를 공격하는 안동김씨 김달순(金達淳, 이조판서,우의정)을 엄하게 탄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순천에 유배되었다. 1809년에 풀려나 벼슬이 사헌부 집의(종3품)에 이르렀다.. 2021. 12. 9.
오방불번과 인로왕번 오방불번(五方佛幡)과 인로왕번(引路王幡) 동서남북과 중앙의 방위에 거는 오방불번은 일반 법회 때 사용한다. 불전(佛展)의 장엄을 위하여 법회 시 기둥이나 당간 혹은 탑 상륜부에 매달아서 많은 이들이 보고 느껴 불교에 귀의하도록 하는 효과를 주었다. 법회의 성격에 따라 독특한 번을 사용하는데 가운데 쓰인 문구로 구분이 가능하다. 1. 南舞 西方 極樂世界 阿彌陀佛 (나무 서방 극락세계 아미타불) / 서쪽에 거는 번(幡) 2. 南無 南方 歡喜世界 寶勝如來佛 (나무 남방 환희세계 보승여래불) / 남쪽에 거는 번(幡) 3. 南無 中方 華藏世界 毘盧遮那佛 (나무 중방 화장세계 비로자나불) / 중앙에 거는 번(幡) 4. 南無 東方 滿月世界 藥師如來佛 (나무 동방 만월세계 약사여래불) / 동쪽에 거는 번(幡) 5. 南.. 2021. 12. 5.
월악산 - 제천시 월악산(月岳山)은 시간관계상 산행은 하지 못하고 산아래 약 30km정도를 둘러보았는데 산세가 좋았습니다. 월악산은 충청북도 제천시, 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97m의 산이다. 월악산의 남쪽 포암산(布巖山, 962m)에서 시작하는 달천이 월악산을 끼고 흐르면서 만든 계곡을 월악계곡 또는 송계계곡(松界溪谷)이라 부른다. https://www.knps.or.kr/portal/main.do 국립공원 https://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1400&menuNo=7020097 월악산 국립공원 대표적인 월악산 탐방코스 영봉코스 (덕주사) 영봉코스 (동창교) 영봉코스(신륵사) 영봉코스 (보덕암) 월악산은 충청북.. 2021. 12. 2.
충주호 장회나루 유람선 - 단양군 충주호 장회마루의 유람선은 구담호(195명), 노들호(77명), 노들2호(77명) 3척을 운행한다. 이용요금은 성인 14,000원이다. 충주호유람선은 같은 장소에 2곳이 있는데 한곳은 충주호유람선선착장, 다른 한곳은 장회나루선착창으로 대형관광선도 운행하고 있으며, 승선하기 전에 승선명단을 작성하고 표를 구입하면 된다. 충주호유람선을 승선하면 제비봉 - 노들평지(노들봉) - 신성봉 - 두향이묘 - 강선대 - 구담봉 - 옥순봉 - 채운봉 - 현학봉 - 삿갓바위 - 흔들바위 - 옥순대교 12경을 둘러볼 수 있다. 장회마루 맞은편 제비봉 2021. 12. 2.
도담삼봉 - 단양군 단양 도담삼봉(丹陽 島潭三峰) 충북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남한강 상류에 3개의 기암(奇岩)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단양팔경 중 제1경으로 손꼽히는 도담삼봉은 일찍이 조선의 개국공신이었던 정도전(鄭道傳)의 유년시절을 함께 한 벗이기도 하다. 삼봉(三峰)은 본래 강원도 정선군의 삼봉산이 홍수 때 떠내려 왔으며, 그 후 정선에서는 매년 부당하게 단양에 세금을 요구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들은 어린 소년 정도전이 “우리가 삼봉을 떠내려 오라고 한 것도 아니요. 오히려 물길을 막아 피해를 보고 있어 아무 소용도 없는 봉우리에 세금을 낼 이유가 없으니 필요하면 도로 가져가시오.”라고 정선군 사또에게 항의를 한 후부터 세금을 내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훗날 정도전은 호를 ‘삼봉’이라고 지을 정도로 도담삼봉에 .. 2021. 12. 2.
가은산 - 제천시 충북 제천시 수산면 상천리와 성리에 걸쳐 있는 가은산(加隱山)은 금수산(1,015.8m) 지맥이 남쪽으로 뻗으면서 형성한 동서로 긴 타원형의 분지 지형 산으로, 높이는 575m이다. 가은산(加隱山)은 간신히 몸만 피난한다는 뜻으로, 달리 가음산(加陰山)이라고도 표기한다. 한편 가는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내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마고할미가 나물을 뜯으러 왔다가 반지를 잃어버려서 온 능선과 골짜기를 샅샅이 찾아다니다가 아흔아홉 번째 골짜기에서 반지를 찾게 되었다. 반지를 찾은 마고할미는 “이 산에 골짜기가 하나만 더 있었더라면 한양이 들어설 골짜기인데, 내가 이곳에 눌러 앉아 살려고 해도 한양이 될 땅이 못 되니 떠나가겠다.”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한다. 이로 인해 ‘가는산.. 2021. 12. 2.
오세창 전서, 한용운 행서, 안광석 목전각 - 성보박물관 月沼觀心淸若鏡 (월소관심청약경) 雲房養氣潤如珠 (운방양기윤여주) 달 비친 소택에서 마음을 바라보니 맑기가 거울 같고 절에서 기운을 기르니 빛나기가 구슬과 같구나 任午 春(임오 춘) 七十九叟(칠십구수) 葦滄(위창) 임오년(1942) 봄 79세 늙은이 위창 낙관(落款) 吳世昌金石長壽(오세창금석장수) 葦滄之鈺(위창지옥) 낙관 吳世昌(오세창) 葦滄(위창) 위창 오세창(1864~1953) 필 서화 7언 절구 79세 작품 佛光滿照吾心矣 (불광만조오심의) - 韓龍雲(한용운) 부처님의 빛이 나의 마음 가득히 비치도다.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필첩 山川雲雨 (산천운우) - 청사 안광석 필 목전각 산은 내를 만들고 구름은 비를 만든다. 청사(晴斯) 안광석(安光碩, 1917~2004) --------------.. 2021. 11. 17.
서운암 대웅전 편액 - 동곡 일타 스님 부산 금련산 서운암 대웅전 편액, 주련 - 동곡 일타(東谷 日陀) 대종사 스님 금련산 서운암은 부산 수영구 망미동 수미초등학교 정문앞에 있는 작은 사찰로 1940년 성월당 수인스님(1898-1997)이 창건한 사찰이다. 性月堂(성월당) 兪守仁(유수인) 大禪師(대선사) 이후 수인스님은 부산 영주암 주지(1954-1956년), 운문사 주지(1955-1965년)를 지내고 중앙종회의원, 능인학원 이사, 단일계단 비구니 증사 등을 역임하고, 세수 99세, 법랍 89세로 1997년 서운암에서 입적하였다. 작은 규모의 서운암에 걸려있는 대웅전 편액의 글씨를 멀리 도로변에서 바라보니 날렵하고 멋진 명필이라 가까이 가서 살펴보니 대웅전 편액과 주련의 글씨가 유명한 동곡당 일타스님의 작품이라 소개를 합니다. 서운암의 대웅.. 2021. 11. 14.
2021 온천천 가을정원 2021년 금정구 온천천 가을정원 2021. 11. 7.
순천 낙안읍성 순천 낙안읍성 (順天 樂安邑城)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남대리 낙안읍성 일대에 있는 민속마을. 사적 제302호이다. 넓은 평야지대에 쌓은 총길이 1,420m, 높이 4m, 너비 3~4m의 네모형 석성으로 1~2m 크기의 정사각형 자연석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쌓아 끊어진 곳이 없이 웅장하다. 1397년(태조 6) 일본군이 침입하자 김빈길이 의병을 일으켜 처음 토성을 쌓았고, 1626년(인조 4) 임경업이 낙안군수로 부임했을 때 현재의 석성으로 중수하였다. 동내, 서내, 남내 등 3개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마을은 옛 모습 그대로를 지키고 있는 전통마을로 108세대가 실제로 생활하고 있어 남부지방 특유의 주거양식을 볼 수 있으며 부엌, 토방, 툇마루 등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다. 가옥 9동(중요민속자료 92~.. 2021. 11. 7.
팔영산(八影山) - 전남 고흥 팔영산(八影山) - 전남 고흥 전남 고흥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팔영산(608m)은 기암괴석이 많고 산세가 험준해 연중 등산객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2011년 도립공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위왕이 세숫대야에 비친 것을 보고 찾아 나선 신하들이 발견했다고 해서 팔전산이라고 부르던 것을 그림자 영(影)자로 바꿨다고 하며 또 일설에는 팔영산의 그림자가 한양까지 드리워져서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제1봉인 유영봉, 성주봉, 생황봉, 사자봉, 오로봉, 두류봉, 칠성봉, 제8봉인 적취봉까지 이어지는 바위 능선 종주 코스가 유명하고, 최고봉은 적취봉에서 500m쯤 떨어져 있는 깃대봉(제9봉·608.6m)이다. 등산 코스는 여러 곳이 있지만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팔영산 야영장에서 출발해 흔들바위와 유영봉(제.. 2021. 11. 7.
순천만국가정원과 순천만 습지공원 대한민국 제1호 순천만국가정원과 순천만 습지공원은 서로 연계되어 있어 둘 중 한 곳에서 입장권을 구입하면 당일한정 다른 곳에 무료입장이 된다. 스카이큐브 통합권(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갈대열차)을 구입하여 구경할 수 있습니다. 2021. 11. 7.
우두산 의상봉, 출렁다리 - 경남 거창 우두산(牛頭山)은 경남 거창에 있는 1046m의 산으로 산의 형세가 소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은 유별나게 아름답다 하여 별유산이라기도 부른다. 우두산은 9개 봉우리로 우두산 상봉(上峰, 1046m)이 가장 높은 주봉(主峰)이지만, 주변 나무들에 가려 제2봉 의상봉(義湘峰, 표지석 1038m, 지도상 1032m)이 인기있는 봉우리이다. 의상봉을 오르는 가파른 급경사 계단은 고소 공포증이 있는 분은 힘들겠지만, 오르면 나면 후회없는 멋진 조망을 볼 수 있다. 우두산 상봉을 지나 마장재까지의 산능선 암릉구간은 멋진 절경을 자랑하며 저멀리 가야산 조망이 가능하다. 의상봉 1038m 우두산 상봉(정상) 1048m 의상봉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가 참선하던 곳으로 의상봉 산 중턱에 고견사.. 2021. 10. 30.
덕유산 자연휴양림 국립 덕유산 자연휴양림 덕유산 국립공원 인접지역으로 무주구천동 계곡 입구 가까이에 있다. 낙엽송 및 잣나무 조림목이 울창하고 주변경관이 수려하여 휴식공간 최적지로서 휴양림내 임도는 숲속 자전거 타기를 즐길 수 있고 인근지역에 무주리조트, 덕유산 국립공원, 나제통문, 무주양수발전소, 적산산성 등 관광명소가 있어 사계절 이용 가능하다. 국립덕유산자연휴양림 바로가기 www.foresttrip.go.kr›indvz 주소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구천동로 530-62 박달나무집 11인실, 3명이 사용 해보니 넓고 좋다. 전자레인지가 없어 조금 불편하지만, 대형냉장고 2개 비치되어 있다. 안쪽으로 주방이 분리되어 있다. 작은 방이 하나 있는데 탈의실 용도나 여성 전용이나 아이들방으로 사용하면 되겠다. 왼쪽 이불장.. 2021.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