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갑진년 연하장 - 용호구
龍虎龜(용호구) 吉祥如意, 和氣滿堂(길상여의, 화기만당) 龍虎龜(용호구) 家和萬事成, 富貴平安(가화만사성, 부귀평안) 甲辰 元旦 安 晴溪(갑진 원단 안 청계) ---------------------------------- 元旦(원단) 설날 아침. 세단(歲旦). 원조(元朝). 정단(正旦). 정조(正朝). 순화어는 `새해 아침' 이다. 단(旦)은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며 ‘원단’은 설날 아침 또는 설날을 뜻한다. 예전에는 음력으로 1월 1일 아침이었겠지만, 지금은 해가 바뀌는 양력 1월 1일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양력 1월 1일을 원단(元旦)이라고 부르고 음력 1월 1일을 춘절(春节)이라고 한다. 유의어(類義語, 뜻이 비슷한 말)로는 歲旦(세단), 新元(신원), 元辰(원신), 元日(원일), 元..
2023. 12. 30.
왕궁리 유적 - 백제왕궁 박물관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백제의 궁터 유적은 1998년 9월 1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백제 후기 궁궐의 구조와 기능, 축조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전북 익산 용화산 남측 끝자락의 구릉에 자리 잡고 있다. 《삼국사기》, 《관세음응험기》,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대동지지》, 《전라도읍지》, 《금마지》 등의 문헌에 마한 또는 백제 무왕, 보덕국 안승 또는 후백제 견훤의 왕궁이 있었다는 각기 다른 기록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1989년부터 30년 넘게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백제 후기 무왕(재위 600∼641) 때 조성된 궁성의 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일정기간 궁으로 사용되다 백제 말~신라 초에 그 터에 탑, 금당(부처를 모신 공간), 강당으로 구성된 사찰이 들어섰던 것으..
2023.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