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75

건축한계와 차량한계 / 도시철도건설규칙 건축한계와 차량한계 1. 차량 한계 가. 개요 :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선로에 부수되는 건조물 및 시설물과 차량의 사이 에 적당한 여유 간격이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 운전하고 있는 차량의 단면적 크기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여 이 범위로부터 차량의 일부가 돌출되는 일이 없도록 차량의 크기를 규정한 것을 차량한계라 한다. 나. 차량 한계 차량한계는 차량 단면의 최대 치수를 제한 한 것으로 차량의 어떠한 부분도 이 한계에 저촉되면 안된다. 철도의 궤도 중심에서의 차량한계는 좌우 1700[mm]이며 열차 표시에 대한 한계는 1,800[mm]이다. 궤도면상 높이의 차량한계는 일반차량의 경우 4,800[mm]이며 전차량의 집전장치를 편경우에 있어서 6,000[mm]이다. 2. 건축한계 가. 개요 : 선로변에.. 2023. 7. 20.
선로작업(상례) 서식별 준비 과정 2023. 5. 29.
선로작업계획의 단계별 협의과정 2023. 5. 29.
상례작업의 절차 및 안전운행협의서 서식 ======================================== 2023. 5. 29.
철도운행안전관리자 역할과 업무요령 ======================================================================================== 철도운행안전관리자 체크리스트 철도운행안전관리자 작업책임자 2023년 월 일 1. 차단작업 구 분 업 무 내 용 확 인 비고 철도운행 안전협의 - 운전명령 및 선로작업계획 사전 확인 - 철도운행안전협의서 작성 - 철도운행안전 협의 * 협의결과에 따른 일정 및 작업량 작업책임자와 조정 작 업 착수 전 - 철도운행안전협의결과 전파 작업시행승인 전까지 작업원은 위험지역 밖에서 대기 * 협의결과를 작업원 및 열차감시원 등에게 정확히 전파 * 철도차량운행시설물 사용중지 대상, 차단작업구간(진입허가 구간), 열차운행상황(인접선 포함) 등 - 작업원 안전관리사항.. 2023. 5. 29.
철도 선로작업의 종별 2023. 5. 29.
철도보호지구행위제한 근거 및 서식 2023. 5. 29.
철도운전취급규정 용어 정의 2023. 5. 29.
철도운행관리자 업무절차 2023. 5. 29.
찰도운행 안전협의, 무전기 통화, 최초열차 확인, 적합성 검사 초작업 안전협의 승인 완료 후 시공사측 통보 (미승인 시 반드시 시공사(작업자) 통보)금일 철도운행안전협의 이상없이 완료, / 작업현장에서 뵙겠습니다. □ 차단작업(01:00) 작업승인 요청 약식 무전기 통화 예시 철도운행안전관리자 : "철도 ○○역 / 한국코아 철도운행(안전)관리자 000 이상."역무(로컬취급)담당자 : "네 말씀하십시요"철도운행안전관리자 : "작업준비 완료 / 작업승인 요청합니다."역무(로컬취급)담당자 : " 아직 관제에서 승인이 안되었습니다. 대기하세요"철도운행안전관리자 : "네 대기하겠습니다." 관제사 해당역장에게 작업승인 통보 후.역무(로컬취급)담당자 : " 한국코아 나오세요 이상."철도운행안전관리자 : " 한국코아 수신 "역무(로컬취급)담당자 : "승인번호 XXXX 관제사 OO.. 2023. 5. 29.
궤도 보수작업 시행절차 2023. 5. 29.
작업수행 매뉴얼 (안전협의 순서 통화 예시) 2023. 5. 29.
공사 착수계 1. 검토 목적 2. 관련 근거 가. 공사계약서 나. 전기공사업법 라. 산업안전보건법 마. 책임감리현장 참여자업무지침서 사. 공사 및 용역관리규정 제92조 3. 검토 내용 1. 계약내용의 확인 가. 계약금액 : \ 원 나. 공사기간 : 일 다. 시 공 사 : (%) 라. 계약이행방식 : 공동이행 2. 현장기술자의 적격여부 판단 현장기술자 관련 기준 내 용 적격 여부 현장대리인 * 전기공사업법 시행령 제12조 ㆍ성명: 000 ㆍ자격: 전기공사기사 ㆍ기술등급: 특급 ㆍ전기공사기사 취득 후 전기분야 9년 종사 적 정 안전관리자 공사 및 용역관리규정 제92조 ㆍ성명: 000 ㆍ자격: 산업안전산업 기사 적 정 품질관리자 공사 및 용역관리규정 제92조 ㆍ성명: 000 ㆍ기술등급: 특급 ㆍ자격: 전기공사기사 적 정 .. 2023. 5. 29.
전기화재, 감전사고 1. 화재사고시 대처방안 1) 화재현장 관찰요령 가) 발생시간 (1) 전기와 연관된 화재는 일반적으로 실내화재이므로 목격자가 있는 상황에서 발화하지 않으면, 최초발화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나서 연소확대로 연기나 불꽃이 외부로 분출시 최초의 발견이 된다. (2) 실내와 실외의 기압이 같은 일반적인 경우는 출입구가 열려있는 경우가 아니면 화재가 어느 정도 확대되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해서 실내와 실외의 기압차에 의하여 연기 등 연소물질이 밖으로 새어나오게 된다. (3) 담뱃불에 의한 화재일 경우에는 퇴실시간이 더욱 중요하다. 나) 목격자 조사 (1) 방화나 실화의 피의자가 최초의 목격자가 될 수 있으므로 선뜻 나서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2) 대부분의 목격자는 화재건물의 지붕이나 창문 등을 통해 연기나 불꽃.. 2023. 5. 29.
장마철 건설안전 보건관리 1. 장마철이란? 일반적인 의미로 장마란 “오랫동안 계속해서 내리는 비”를 의미하며 6월 중순에서 7월 하순의 여름에 걸쳐 동아시아에서 습한 공기가 전선을 형성 하여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많은 비를 내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로 그 시기를 “장마철”이라고 함 2. 장마철 확인 사항 1) 공사장 주변 도로나 건축물 등에는 지반침하로 인한 이상 징후는 없는지 확인 2) 공사장 주변에는 추락 또는 접근 금지를 위한 안내표지판, 안전휀스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3) 축대나 옹벽 균열부의 우수 유출에 따른 배면 토사유실로 인한 지반침하 발생여부 확인 4) 주위의 배수로·배수공 등이 막혀있는 곳이 없는지 확인 5) 우기시 감전에 대비한 배전반, 분전반, 이동전선 등의 적정 설치여부 6) 낙뢰에 대비한 안전대책 수립 .. 2023. 5. 29.
작업장 안전교육, 감전재해 안전교육 1. 안전교육 (1) 시공자는 안전관리 소홀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여야하며, 안전관리 실시계획 수립 시에는 정기(일일, 주간), 수시 점검계획, 특별(해빙기, 우기, 동절기, 태풍, 적설 등) 점검계획, 안전관리 교육계획 (월 1회이상)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시공자는 현장조직 및 기능공의 견실 시공 의식고취를 위하여 아래 사항에 대하여 현장 정기교육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기록비치하여야 한다. ① 매일작업 전 특별교육을 실시하고 특별교육 시에는 전일 작업분석, 평가를 하고 금일 작업 시 유의사항을 지시하여야 하며, 무재해 운동의 위험예지훈련 실시 및 안전구호 제창을 하여야 한다. ② 현장직원 및 기능공에 대한 정기교육 계획(주1회)을.. 2023. 5. 29.
철도차량 운전면허 / 철도 보선장비 국가전문자격 철도분야 운전면허증 종류 □ 고속철도차량 운전면허 □ 디젤차량 운전면허 □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노면전차 운전면허 □ 철도장비 운전면허 철도차량 운전면허는 철도안전법에 따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철도차량 운전면허시험을 주관한다. 고속철도차량 운전면허를 제외하고 응시 자격을 얻기 위한 교육훈련은 일반응시자와 운전면허 소지자로 나누고 있지만[, 일반응시자에게는 제2종 전기차량(기관사 면허증) 하나만 열려 있다. ◇ 고속철도차량 운전면허 면허를 소지한 자는 200km/h 이상의 고속철도차량과 철도장비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무경력자는 응시가 불가능하고 디젤, 제1종 전기, 제2종 전기면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취득하고 해당 면허로 3년 이상의 운전 경력을 갖고 면.. 2023. 4. 20.
배산(盃山) - 부산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과 수영구 망미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해발 256.3m산으로 산의 모양이 술잔을 엎어 놓은 모양으로 생겨 배산이라고 불렀다. 연산1동 쪽의 일각에서는 묘봉산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한다. 주봉인 배산 정상부를 포함해 산의 대부분이 연제구 연산동에 포함되고, 일부분은 수영구 망미동과 인접해 있다. 배산에서 고분군이 발견되었고 배산성이라는 성터가 있는데 거칠국의 유적지로 추측하고 있다. 주변 주민들의 등산로로 인기가 높다. 부산대학교 유동석 교수는 성 유적의 흔적과 관련지어 이 산의 이름에 잔 배 자를 쓰는 것이 모양 때문이 아니라 '잣('성'의 옛말)'이 '메'와 만나 자음동화(그 중에서도 비음화)가 이루어지고, 한자 표기로는 잔 배 자를 쓰는 바람에 잔메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배산에서.. 2023. 4. 15.
釜山醉墨會 作品展 (부산취묵회작품전) 釜山醉墨會 作品展(부산취묵회작품전) - 제28회 - 일시 : 2023. 4. 10(월) - 4. 15(토)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3전시실 自勝自强 (자승자강) - 海丁 申朱澈 (해정 신주철)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다.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에서 유래된 말이며, 노자 도덕경 제33장은 자신을 알고, 만족할 줄 알라는 경구(警句)로 채워져 있다. 享齊先生 詩 梅軒雪月(향재선생시 매헌설월) - 무원 이돈섭 마지막 구절이 좋아요 細細淸香滿面春(세세청향만면춘) 가늘고 맑은 향기 얼굴에 풍겨오네 雪裏高標絶點塵 (설리고표절점진) 玉爲筋骨水爲神 (옥위근골수위신) 參橫月白乾坤靜 (삼횡월백건곤정) 細細清香滿面春 (세세청향만면춘) 눈속에 고매한 성품 티끌한점 없고 골격은 옥이요 물같이 맑은 정신.. 2023. 4. 13.
천황산, 재약산 - 영남알프스 천황산(재약산 사자봉), 재약산(재약산 수미봉) 천황산(天皇山, 재약산 사자봉)의 높이는 1,119.1m이고, 주봉(主峰)은 사자봉이다. 남쪽에 재약산(載藥山, 주봉은 수미봉 1,018m)과 맥이 이어져 있다, 밀양 얼음골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상부터미널에서 하차후 10분 정도 걸으면 샘물산장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천황산까지 1시간, 재약산까지 약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천황산을 재약산으로 일컫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동은 천황산이 일제강점기 때 붙은 이름이라 하여 '우리 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사자봉을 재약산 주봉으로, 재약산을 수미봉으로 부르면서 생겨났다. ======================================================= 2023. 4. 10.
위위케이크 - 부산 동래역 위위케이크 스튜디오 - 동래 명륜자이 아파트 상가 202호 동래 레터링 케이크 전문점 lettering cake(레터링 케이크)의 레터링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문자를 특별하게 도안하는 일을 말하는데 위위케이크점애서는 각종 기념일 문구 등을 예쁘고 다양한 색상으로 디자인 해주고 있습니다. 찾아 오시는 곳 ◎ 티맵 네비게이션 : 위위케이크 스튜디오 ◎ 카카오맵 네비게이션 : 위위케이크 스튜디오 ☎ 010 - 5099 - 7850 ◇ 도시철도: 동래역 하차 4번출구 200m (3분) ◇ 버스: 명륜교차로 하차 자이아파트 100m ☞ 명륜자이아파트 상가주차장 무료 ☞ 동래역 공영주차장: 30분기준 900원 ☞ 메가마트 주차장: 10분당 500원 https://blog.naver.com/wewicake 위위케.. 2023. 4. 8.
성심당 케익부띠끄 전국 3대 빵집으로 소문난 성심당 대전 본점 근처에 있다. 성심당에서 따로 케이크류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곳으로 상품은 홀케이크와 타르트, 갈레트와 마들렌 등의 기본적인 제과류와 아이싱쿠키, 머랭쿠키, 초콜릿과 마카롱이다. 대전시 중구 대종로 480 중앙로역 2번 출구에서 136m 2023. 3. 26.
성심당 본점 (빵집) 전국 3대 빵집으로 소문난 대전 성심당 빵집이다. 1956년 대전역 앞 작은 찐빵집에서 시작된 성심당은 대한민국 제과업계를 대표하는 향토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인기 메뉴인 튀김소보로와 다양한 종류의 빵들을 만나 볼 수 있다. 베이커리, 피자, 튀김소보로, 케익부띠끄, 밀방앗간, 옛맛솜씨, 커피bar, 디저트코너, 즉석 샌드위치 코너 등이 있다. 대전시 중구 대종로480번길 15 중앙로역 2번 출구에서 182m 2023. 3. 26.
영축산, 신불산 - 2023. 2.28 영남알프스 9봉중 1일 2산 영축산, 신불산 2봉 인증하기 ○ 영축산, 신불산 2봉 소요시간 : 총 6시간(휴식 1시간 포함) 11.7km -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 영축산 : 4.4km 2시간 - 영축산 - 신불산 : 2.9km 1시간 30분 - 신불산 -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4.4km) : 2시간 40분 ○ 영남알프스 3봉 등산 코스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하단지구 주차장 - 영축산 - 신불재 - 신불산 - 신불재 -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주차장 원점회귀 ※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하단지구 주차장은 09시 이후 주차가능하므로 9시이전 산행시 갓길 주차 ======================================================= 영축산과 신불재 갈림길에 있는 장승 / 장승에 적혀 있는 游.. 2023. 2. 28.
간월산 - 영남알프스 2023.2.25 간월산(肝月山)은 영남알프스 산군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069m이다. 2023년부터 영남알프스 9봉 완등 인증대상사업에서 문복산이 제외되어 영남알프스 8봉으로 조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 산행일시 : 2023. 2. 25. 13:00 - 산행기점 : 등억온천단지 클라이밍장 - 간월재 - 간월산 정상 - 원점회귀 - 산행거리 : 왕복 9.21km / 3시간 50분 영남알프스 9봉은 가장 높은 가지산(加智山 해발1,241m)을 비롯하여 운문산(雲門山 1,188m), 신불산(神佛山 1,159m), 천황산(天皇山 1,189m), 영축산(靈鷲山 1,081m), 간월산(肝月山 1,069m), 고헌산(高獻山 1,034m), 재약산(1,108m), 문복산(文福山 1,015m) 등 9봉이.. 2023. 2. 25.
고헌산 - 영남알프스 23.2.24 고헌산은 영남알프스 9봉에 속해 있는 울산광역시 두서면과 울주군 상북면에 걸쳐 있는 1034m의 산이다. 고헌산은 옛날 언양현(彦陽縣)의 진산(鎭山)이다. 영알(영남알프스) 9봉은 울산 울주군, 경남 양산시와 밀양시,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등 5개 기초자치단체에 몰려 있는 해발 1000m 이상 9개 산군(山群)을 영남알프스 9봉이라 한다. 영남알프스는 가장 높은 가지산(加智山 해발1,241m)을 비롯하여 운문산(雲門山 1,188m), 신불산(神佛山 1,159m), 천황산(天皇山 1,189m), 영축산(靈鷲山 1,081m), 간월산(肝月山 1,069m), 고헌산(高獻山 1,034m), 재약산(1,108m), 문복산(文福山 1,015m) 등 9봉이다. 참고로 문복산은 2023년부터 9봉 인증대상 사업에서 제.. 2023. 2. 24.
운문산 -영남알프스 운문산(雲門山)의 정상 표지석에는 일명 호거산 운문산(一名 虎踞山 雲門山) 이라고 되어 있다. 운문산은 경북 청도군 운문면과 경남 밀양시 산내면(山內面) 경계에 있는 높이 1,188m의 산이다. 일명 호거산 운문산(一名 虎踞山 雲門山) 정상표지석 / 해발 1,188m - 운문산 등산코스(편도 3.3km) : 삼양리 산76 - 아랫재(1.8km) - 운문산 정상(1.5km) * 삼양리 상양마을 또는 하양마을에서 산행 / 2023. 2. 12 - 시간 : 왕복 4시간 - 4시간 30분정도 (왕복 6.6km 원점화귀) - 산행 들머리 : 밀양시 산내면 삼양리 산76 (차량 진입방지봉 설치) * 삼양리 상양마을 또는 하양마을에 주차를 하고 산행 * 운문산 등산로 표기는 삼양리가 아닌 자연부락 명칭인 상양마을이나.. 2023. 2. 12.
가지산 - 영남알프스 가지산(迦智山)은 1,241m로 울산시 울주군, 경남 밀양시, 경북 청도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가지산 정상 최단코스 / 석남터널 입구 등산로 / 2023. 1. 29 - 산행거리 : 편도 3.4km / 왕복 6.8km - 산행코스 : 석남터널 입구 - 중봉 - 가지산 정상 - 중봉 - 석남터널 원점회귀 가지산 - 영남알프스 (tistory.com) 가지산 - 영남알프스 가지산(迦智山)은 1,241m로 울산시 울주군, 경남 밀양시, 경북 청도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가지산 정상 최단코스 / 석남터널 입구 등산로 / 2022. 4. 17 - 산행거리 : 편도 3.4km / 왕복 6.8km - 산행코스 : ankim.tistory.com ---------------------------------------.. 2023. 1. 29.
백양산 불태령, 주지봉 백양산(白楊山)은 부산 부산진구(釜山鎭區)와 북구(北區) 사이에 있는 높이 642m의 산이다. 남쪽 기슭에 가까운 산허리에는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선암사(仙岩寺)가 있다. 백양산은 옛 기록에 선암산·운수산 등으로도 불리는데 산 이름은 모두 사찰 이름과 관련이 있다. 백양산은 백양사(白楊寺)라는 사찰이 있어 붙은 이름이며, 동쪽 산록 아래 선암사가 있어 선암산으로도 불리고, 서쪽 사면의 산 아래 계곡에는 운수사가 있어 운수산으로도 불리었다. 버드나무의 일종인 흰 사시나무가 많아서 백양사라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는데 백양사(白楊寺)에서 유래한다고 보는 것이 맞는 듯 하다. 참고로 백양산에 있는 불웅령(616m)의 표지석은 철거하고 다시 세워야 한다. 불태령(佛態嶺)의 態(태)자를 熊(웅).. 2023. 1. 4.
2023년 연하장 근하신년 - 견포우음(犬浦偶吟) 2023년 연하장 근하신년 / 새해에는 건강하시기를 謹賀新年 (근하신년) 비 개이니 풀빛은 하늘빛이 배어 푸르고 따스한 바람 타고 매화 향기 재 너머에서 오네 그져 새해에는 건강하시기를 二千二十二年 歲末(세말, 2022년 연말) / 無圓 (무원) 鞠躬(국궁) 몸을(허리) 굽혀 인사 ================================================================== 謹賀新年(근하신년): 삼가 새해를 축하드립니다. - 근하(謹賀): 삼가 축하하다 - 신년(新年): 새해 ※ 삼가: 겸손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정중하게 謹賀新年(근하신년)이란 새해 복을 비는 인사를 이르는 사자성어이다. 謹 삼갈 근 / 賀 하례할 하 / 新 새 신 / 年 해 년 근하신년은 연하장에서 비롯된 것으.. 2022.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