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11

시퀀스(Sequence) 주요 용어 시퀀스(Sequence) 주요 용어 ○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나 시간 지연 등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순차적인 제어동작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On/Off 형태의 제어를 시퀀스제어라고 하며 순차제어 또는 순서제어라고하며 무조건적 시퀀스제어(교통신호,광고)와 조건적 시퀀스제어로 나눌 수 있다. ○ 여자(부세, Energized, 勵磁) : 계전기의 입력단자에 정격 전압이 인가되어 계전기의 전자석이 접극자를 흡인하여 접점이 구성된 상태를 여자라 한다. ○무여자(소자,소세, Demagnetized, 無勵磁)) : 전자석(coil)에 전류를 차단하면 자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를 무여자라 한다. ○ 자기유지(Self Holding) : 계전기가 여자하면 계속 동작기능을 유지하는 것. ○ 자.. 2024. 1. 14.
2024 갑진년 연하장 - 용호구 龍虎龜(용호구) 吉祥如意, 和氣滿堂(길상여의, 화기만당) 龍虎龜(용호구) 家和萬事成, 富貴平安(가화만사성, 부귀평안) 甲辰 元旦 安 晴溪(갑진 원단 안 청계) ---------------------------------- 元旦(원단) 설날 아침. 세단(歲旦). 원조(元朝). 정단(正旦). 정조(正朝). 순화어는 `새해 아침' 이다. 단(旦)은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며 ‘원단’은 설날 아침 또는 설날을 뜻한다. 예전에는 음력으로 1월 1일 아침이었겠지만, 지금은 해가 바뀌는 양력 1월 1일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양력 1월 1일을 원단(元旦)이라고 부르고 음력 1월 1일을 춘절(春节)이라고 한다. 유의어(類義語, 뜻이 비슷한 말)로는 歲旦(세단), 新元(신원), 元辰(원신), 元日(원일), 元.. 2023. 12. 30.
2024 갑진년 연하장 - 청룡승백호 靑龍乘白虎(청룡승백호) 청룡이 백호의 등에 올라타다. 靑龍乘白虎(청룡승백호) 來年(내년)은 청룡의 해 라네요. 청룡이 백호의 등에 올라탄 기백으로 새해을 맞이하시고 새해에는 그저 건강하시고 항상 웃음이 넘치는 해 였으면 합니다. 癸卯年(계묘년) 歲暮(세모)에 李無圓(이무원) 鞠躬(국궁) 몸을(허리) 굽혀 인사 =========================== 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 2024년 설날 연하장 送舊迎新(송구영신) 多事多難(다사다난)했던 辛卯年(신묘년)을 뒤로하고 希望(희망)찬 갑진청룡(甲辰靑龍)의 해를 맞이합니다. 지난해의 오(誤)는 너그러이 묻어주시고 새해 에는 많은 사랑 부탁드리면서 高堂(고당)에 平安(평안)과 健康(건강)과 웃음이 항상 같이 하시기를 祈願(기원).. 2023. 12. 30.
효자 이기영 기적비 - 경주이씨 효자 경주이공 기영 기적비 (孝子 慶州李公 琦榮 紀蹟碑) *** 기적비(紀蹟碑): 인물에 관련된 행적을 기록한 비(사적비,事蹟碑) 효자 이기영 기적비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본관은 경주 증좌찬성 예신(禮臣 )의 후손이며, 증가선대부 중추부사 성보의 5대손으로 종언의 아들이다. 단기 4206년(1874년,계유) 출생하여 단기 4292년(1959년,기해) 87세로 졸하였다. 15세에 부친이 졸하자 80여세까지 한번도 빠지지 않고 성묘하고, 사모하면서도 늙어서도 정성을 다하여 효행이 널리 알려졌다. 공의 효성을 찬양하려고 공을 아는 사람들이 그의 집 연파당에 찾아와서 여러해 동안에 수백수의 칭송 글을 지은 것이 한권의 “챵효운집”이 되었으니 그 중의 한수를 들면 “팔십이 된 해에도 어버이를 추모하여 초하루 보름에.. 2023. 12. 6.
서각, 그림각 만남전 - 영호남 교류전 제11회 서각, 그림각의 만남전 및 영호남 교류전 일시: 2023.11.21(화) - 12.23(토) / 솜리문화예술회관 2층 전시실 전시장소: 익산역 서부통로 주최: 마한서각회 전통기법으로 나무, 돌, 금속, 갑골 등 단단한 물질에 글자나 문양(그림)을 새겨서 구현하는 미술기법을 전각(篆刻)이라 하고, 나무에 끌이나 칼로 글과 무늬를 새기는 것을 서각(書刻)이라고 합니다. 새한도 / 석담 이학렬 / 은행나무 350x1200 입장의 동일함 / 송경 송정규 행로난 / 석담 이학렬 장풍파랑 / 석담 이학렬 새한도 / 석담 이학렬 믿음 소망 사랑 / 송결 송정규 수처작주 입처계진 / 일로 서창환 더불어 숲 / 송결 송정규 강하고 담대하라 / 송결 송정규 무 / 향은 남명숙 달마 / 명재 이덕구 달마 / 명재 .. 2023. 12. 1.
내장산 내장사 내장사 2023.11.06 내장사(內藏寺) 전북 정읍시 내장산 동쪽 기슭에 있는 절. 선운사(禪雲寺)의 말사.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다. 동쪽으로 장군붕(將軍峰) ·연자봉(燕子峰) ·신선봉(神仙峰), 남쪽으로는 영취봉(靈鷲峰) ·연지봉(蓮池峰), 서쪽으로는 불출봉(佛出峰) ·서래봉(西來峰) 등에 에워싸여 있어 봄에는 꽃, 여름에는 녹음,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雪景)으로 사시 풍광명미(風光明媚)를 자랑하는 명승지이다. 입구인 일주문(一柱門)에서 북쪽으로 약수터를 지나 산길을 오르면 옛 벽련암지(碧蓮庵址)에 이르는데, 이곳이 옛 내장사의 자리로 고내장(古內藏)이다. 옛 내장사는 660년(백제 의자왕 20) 환해(幻海)의 초창(初創)으로 세워졌으며, 현재의 사찰은 본래 영은사(靈隱寺) 자리인데, 636.. 2023. 11. 6.
내장산 내장사 단풍 내장산 내장사 단풍 - 2023.11.06 내장산(內藏山) 전북 정읍시 내장동과 순창군 복흥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영은산(靈隱山)이라고도 하는데 높이 763.5 m이다. 노령산맥의 중간 부분에 있으며 신선봉(神仙峰:763.5 m)을 중심으로 연지봉(蓮池峰:720m)·까치봉(680m)·장군봉(670m)·연자봉(660m)·망해봉(640m)·불출봉(610m)·서래봉(580m)·월령봉(420m) 등이 동쪽으로 열린 말발굽 모양으로 둘러서 있다. 주요 지질은 백악기 말의 화산암류이고 주요 암석은 안산암으로 절리(節理)가 나타나 산꼭대기에는 가파른 절벽, 산 경사면에는 애추(崖錐)가 발달되어 있다. 식물은 참나무류·단풍나무류·층층나무류 등의 낙엽활엽수림이 주종을 이루고 능선에는 비자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나타난다.. 2023. 11. 6.
장내신호기, 철도정거장 배선 용어 정의 장내신호기는 역 구내로 열차가 진입하는 선로에는 전철기와 평면 교차 등이 있고, 또 차량의 입판 등이 있기 때문에 함부로 열차가 구내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역 입구 선로에는 신호기를 설치하여 열차가 구내에 들어가도 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상치 신호기(Fixed Signal)는 신호확인이 쉽도록 지상 또는 지하의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기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주신호기와 종속신호기, 신호부속기로 분류된다. 주 신호기(Main Signal)는 일정한 방호구역을 가지고 있는 신호기이다. 장내 신호기(Home Signal)는 정거장에 진입할 열차에 대하여 정거장 구내로 진입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이다.​- 장내신.. 2023. 10. 29.
달빛소리 수목원, 황순원 소나기 나무 달빛소리 수목원 - 2023.10.28 달빛소리 수목원 입구 2018년 문을 열었다는 달빛소리 수목원은 개인이 운영하는 수목원으로 내부에 있는 카페에서 음료를 주문하면 입장료는 면제됩니다. ◇ 입장료 : 대인 3,000원, 소인 2,000원 ◇ 전화 : 063-834-9065 / 전북 익산시 춘포면 천서길 149 ◇ 시간 :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매주 월요일 정기휴무) 황순원 소나기 나무 달빛소리수목원에 입장하면 낮은 언덕길에서 당산나무를 만나게 되는데 황순원 소설인 소나기 나무라고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마을의 수호신 당산나무로 수령 500년의 느티나무로 예로부터 사람들에게 '첫사랑' 나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목화꽃 2023. 10. 29.
책임감리 제도 및 감리 용어 정의 ■ 감리 정의 책임감리(責任監理)정부투자기관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 등이 발주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건설공사에 대하여 감리전문회사가 당해 공사의 설계도서, 기타 관계 서류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품질관리 · 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한 기술지도를 하며, 발주자의 위탁에 의한 감독 권한을 대행하는 것. 공사감리의 내용에 따라 계약단위별 공사 전부에 대하여 시행하는 전면책임감리와, 교량, 터널, 배수문 등 계약단위별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시행하는 부분책임감리로 구분한다. 발주기관이 직접 감독해야 할 부분을 감리전문회사에게 위임해 전 공정을 책임 감독하는 것. 감리전문회사가 해당 공사의 설계도서 및 기타 관계서류의 내용대로 시공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품질관리·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2023. 8. 21.
계룡산 동학사, 남매탑(男妹塔) 동학사(東鶴寺)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의 계룡산국립공원 내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724년(신라 성덕왕 23) 상원조사(上願祖師)의 제자인 회의화상이 절을 짓고 이름을 청량사(淸凉寺)라 하였다. 고려시대인 920년 도선국사가 사찰을 중창하였고 이후 동학사로 개칭하였다. 이후 조선 시대에 1457년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이 단종과 안평대군, 김종서(金宗瑞) ·사육신(死六臣)의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진다. 간화선을 떨친 경허가 이 곳에서 강사 자격으로 교학 강의를 했다. 또한 초기에 수행하며 깨달음을 얻은 절로도 알려져 있다. 6.25 전쟁 때 거의 파괴된 것을 1975년 새로 지었다. 현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의 운문사같은 비구니(성인 여승) 사찰이다. 갑.. 2023. 8. 20.
변산반도 채석강 (彩石江) 채석강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에 있는 해식절벽과 바닷가로 1976년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4년 명승 '부안 채석강 · 적벽강 일원'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현재 변산반도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변산반도 서쪽 끝의 격포항(格浦港) 오른쪽 닭이봉(鷄峰계봉)일대의 1.5㎞의 층암절벽과 바다를 총칭하는 지명으로 변산팔경 중의 하나인 채석범주(彩石帆舟)가 바로 이곳을 말한다. 채석강은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 격포항 오른쪽 닭이봉 밑에 면적 12만 7372㎡이다. 옛 수군(水軍)의 근거지이며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관하의 격포진(格浦鎭)이 있던 곳이다. 지형은 선캄브리아대의 화강암, 편마암을 기저층으로 한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으로 바닷물에 침식되어 퇴적한 절벽이 마.. 2023. 8. 13.
새만금 방조제 새만금 방조제 전라북도 군산시와 김제시, 부안군을 이어주는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다. 길이는 총 33.9km이며 이는 2위인 네덜란드 자위더르 방조제의 32.5km보다 1.4km 더 길다. 크게 5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1. 부안군과 가력도를 잇는 4.7km의 1호 방조제, 2. 가력도와 신시도를 잇는 9.9km의 2호 방조제, 3. 신시도와 야미도를 잇는 2.7km의 3호 방조제, 4. 야미도와 군산시 비응항을 잇는 11.4km의 4호 방조제, 5. 비응항부터 군산시 내초동을 잇는 새만금북로 5.2km의 구간이다. 1호 방조제는 부안군, 2호 방조제는 김제시, 3-4호 방조제와 새만금북로는 군산시 영역에 속해있다. 새만금이라는 이름은 김제시 김제평야의 다른 이름인 만금평야(만경평야의 '萬'과 .. 2023. 8. 13.
세계잼버리 종교체험 - 원불교 익산성지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종교체험 세계 각국의 1만여 청소년들이 원불교 익산성지를 찾는다. 오는 8월 1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서 원불교 익산성지와 원광대학교 방문을 공식 과정활동 프로그램으로 발표했다. 5만여 명이 참가(대원 4만, 지도자 1만)하는 세계 청소년들의 축제에 원불교 성지가 포함된다는 것은, 세계 청소년들에게 정신개벽을 주창한 소태산 대종사의 경륜을 전하는 교화의 장이 열리는 것이다. 이로써 8월 2일부터 매일 800여 명의 청소년들이 세계잼버리 종교체험 과정활동으로 익산성지를 다녀간다. 출처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원불교는 영광군 백수읍 길룡리 영촌마을에서 태어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이 창시한 종교로 세계에 500여 개의 교당.. 2023. 7. 30.
왕궁리 유적 - 백제왕궁 박물관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백제의 궁터 유적은 1998년 9월 1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백제 후기 궁궐의 구조와 기능, 축조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전북 익산 용화산 남측 끝자락의 구릉에 자리 잡고 있다. 《삼국사기》, 《관세음응험기》,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대동지지》, 《전라도읍지》, 《금마지》 등의 문헌에 마한 또는 백제 무왕, 보덕국 안승 또는 후백제 견훤의 왕궁이 있었다는 각기 다른 기록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1989년부터 30년 넘게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백제 후기 무왕(재위 600∼641) 때 조성된 궁성의 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일정기간 궁으로 사용되다 백제 말~신라 초에 그 터에 탑, 금당(부처를 모신 공간), 강당으로 구성된 사찰이 들어섰던 것으.. 2023. 7. 29.
익산 쌍릉 (무왕, 선화비릉) 익산 쌍릉 (益山 雙陵) 전북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시대 무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 말기의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남북으로 2기의 무덤이 나란히 있어 쌍릉이라 부르며, 북쪽의 것은 대왕묘, 남쪽의 것은 소왕묘라고 한다. 북쪽 대왕릉 (무왕 무덤) 마한(馬韓)의 무강왕(武康王)과 그 왕비의 능이라고도 하며, 백제 무왕(武王)과 선화비(善花妃)의 능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도굴된 기사가 있고, 1917년에 학술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 결과 그 구조는 원분(圓墳)으로 부여 능산리(陵山里)에 있는 백제 왕릉과 동일 형식에 속하는 판석제 굴식돌방으로 밝혀졌다. 이미 도굴되어 부장품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으나.. 2023. 7. 29.
익산 미륵산 - 익산시 금마면 익산 미륵산 산행은 여러코스가 있지만, 네비로 "미륵산 주차장"이나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제길6"을 검색하면 되고, 주차비는 무료이다. 미륵사지주차장에서도 미륵산 정상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약 700m정도 더 걸어야 한다. 미륵산(彌勒山)은 금마에서 북쪽으로 8리 정도의 거리에 금마면, 감기면, 낭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430m의 산이다. 옛날에는 이산의 동쪽에 이어져 있는 높이 350m정도의 낮은 산봉까지를 포함하여 용화산이라 불렀으나 지금은 미륵사지가 있는 북쪽은 미륵산이라 하고, 나머지 지역은 용화산이라 한다. 미륵이나 용화는 모두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는 명칭으로, 원래는 용화산이라 하던 것이 미륵사가 지어지면서 그 주변산을 미륵산이라 칭한 것이라 보인다. 등산 코스는 왕복 2시간 약 5km.. 2023. 7. 29.
영빈 진주강씨 묘역 영빈 강씨(令嬪 姜氏, ? ~ 1483년 3월 7일(음력 1월 20일)는 조선 세종의 후궁이다. 세종과의 사이에서 화의군 이영(和義君 李瓔)을 낳았다. 본관은 진주이다. 본래 궁인(宮人)으로, 세종의 승은을 입어 1425년(세종 8년) 9월 5일, 아들 화의군(和義君)을 낳았다. 영빈 강씨에 대한 기록은 전무하며, 언제 어떠한 이유로 정1품 빈(嬪)에 봉작되었는지 알 수 없다. 육종영(六宗英, 단종복위 사사된 6명의 종친) 화의군(和義君)께서 수양대군에게 죽임을 당한 이후 영빈과 관련된 기록도 모두 삭제되면서 출신 가계는 물론 빈호(嬪號)마저 잊혀졌지만 영조대에 이르러 화의군께서 충경(忠景)이란 시호를 받으시면서 후손들도 복권되고 영빈이란 빈호도 회복하셨다. 전주이씨 화의군파(全州李氏 和義君派) 기록에 .. 2023. 7. 29.
열차감시원 교육 열차감시원 교육  열차감시원은 최초 교육 4시간(이론2,실기2시간)을 받아야 합니다.열차감시원 교육필증은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시설공단 등 2가지 안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열차감시원 교육필증은 한국철도공사 해당 현장 공사에서만 사용하는 1안과, 국가철도공단에서 유효기간(보통 3년)을 두는 2안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각 적용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 한국철도공사 해당 현장 공사 시작 전에 1회 교육을 받고 다른 공사 현장에서는 사용 불가합니다.시공업체에서 인력 선정하여 지역본부에 의뢰하여 교육 실시합니다. ○ 대전충청본부 등개인적으로 신청 불가, 시공 업체에서 근로 희망자를 한국철도공사 지역본부에 의뢰하여 교육 이수합니다.□ 국가철도시설공단교육 이수 후 유효기간(보통 3년)을 두고 다른 공사 현장에서도 인.. 2023. 7. 27.
철도분야 전문용어 / 보안 자물쇠 S3, S2, S1 국토교통부 철도 분야 전문용어 표준어 ① 량 → 칸(2018년 철도분야 전문용어 표준화고시로 순화): 열차의 각 차량 일반적인 편성당 칸(량)수는 열차의 운송율에 따라 결정. 정해진 시간에 많은 인원을 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10칸으로 운행하고, 8칸 또는 4칸으로 운행하는 구간도 일부 존재. 중소규모 도시의 교통난을 해소하는 경전철의 경우에는 2칸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② 시격 → 배차간격(2018년 철도분야 전문용어 표준화고시로 순화):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들의 시간 간격 배차간격은 열차가 운행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서울 도심을 운행하는 열차의 경우, 광역철도로 분류되어 도시의 많은 인원을 빠르게 자주 운송해야 함에 따라 배차간격이 짧다. 고속열차와 같은 간선 열차는 장거리 구간에서 한꺼.. 2023. 7. 26.
일반선, 고속선 운전명령 요청 및 승인 2023. 7. 20.
철도보호지구 철도보호지구 철도보호지구는 또 철도안전법에 의거 국가철도공단에서 정의하여 승인하고 시행 한다. 철도안전법 제45조 : 철도보호지구는 철도경계선(가장바깥쪽 궤도의 끝선)으로부터 30미터 이내의 지역을 말한다. 선로정비지침 제2조 : 궤도는 레일+침목+자갈(콘크리트)로 구성되며 궤도의 끝선은 자갈(콘크리트)끝선을 말한다. 상례작업 용어정의는 철도공사 규정에 있고, 철도보호지구 용어정의는 국가철도공단 지침에 있다. 콘크리트 궤도 철도보호지구 경계 자갈궤도 철도보호기구 경계 철도안전법 제45조 : 철도보호지구는 철도경계선(가장바깥쪽 궤도의 끝선)으로부터 30미터 이내의 지역을 말한다. 선로정비지침 제2조 : 궤도는 레일+침목+자갈(콘크리트)로 구성되며 궤도의 끝선은 자갈(콘크리트)끝선을 말한다. ※“위험지역”이.. 2023. 7. 20.
건축한계와 차량한계 / 도시철도건설규칙 건축한계와 차량한계 1. 차량 한계 가. 개요 :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선로에 부수되는 건조물 및 시설물과 차량의 사이 에 적당한 여유 간격이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 운전하고 있는 차량의 단면적 크기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여 이 범위로부터 차량의 일부가 돌출되는 일이 없도록 차량의 크기를 규정한 것을 차량한계라 한다. 나. 차량 한계 차량한계는 차량 단면의 최대 치수를 제한 한 것으로 차량의 어떠한 부분도 이 한계에 저촉되면 안된다. 철도의 궤도 중심에서의 차량한계는 좌우 1700[mm]이며 열차 표시에 대한 한계는 1,800[mm]이다. 궤도면상 높이의 차량한계는 일반차량의 경우 4,800[mm]이며 전차량의 집전장치를 편경우에 있어서 6,000[mm]이다. 2. 건축한계 가. 개요 : 선로변에.. 2023. 7. 20.
국립 익산박물관 - 익산시 금마면 백제 불교 문화의 발자취와 참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익산 미륵사지(사적150호)에 자리 잡고 있는 국립익산박물관이다 익산 미륵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백제 당시의 사찰 규모와 가람배치를 확인하고, 창건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19,000여 점의 문화재를 수습했다. 그 후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고 전시하고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997년 전라북도가 주체가 되어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을 개관했다. 2009년 1월에는 미륵사지 석탑(국보 11호) 해체 보수 작업 과정에서 다량의 사리장엄구가 출토되었고, 2015년 7월에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에 미륵사지를.. 2023. 7. 9.
미륵사지 석탑 - 익산시 금마면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백제 최대의 사찰이었던 익산 미륵사는 무왕(武王, 600-641) 639년에 창건되었다. 미륵사는 전형적인 1탑1금당의 백제식 가람배치와 달리 세 개의 탑과 금당 등으로 구성된 3탑3금당의 독특한 배치형식이다. 이 미륵사지 석탑은 세 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이다. 우리나라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창건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진 석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된 것이다. 원래는 9층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반파된 상태로 6층 일부까지만 남아있었다. 창건당시의 정확한 원형은 알 수 없으며, 17~18세기 이전 1층 둘레에 석축이 보강되고 1915년 일본인들이 무너진 부분에 콘크리트를 덧씌운 상태로 전해졌다. 남아있던 6층까지의 높이는 약 14.2m이고 상·하 이층으.. 2023. 7. 9.
보석박물관 - 익산시 보석박물관 관람안내 휴관일 : 매년 1월1일 /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개관하고 다음 평일에 휴관) 관람시간 : 10:00~18:00 매표시간 : 10:00~관람종료 1시간전까지 보석박물관은 미륵사지 석탑, 왕궁리 5층석탑 등 백제문화유적과 연계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관람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 뿐 아니라 보석에 대한 상징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총 부지 면적 160,460㎡ 규모의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내에 1996년부터 시작하여 2002년 5월에 완공 개관하였다. 주요시설로는 지하1층 지상2층 연면적 6,215㎡ 규모의 보석박물관 지하에는 수장고와 기계실이 있으며 1층에는 기획전시실과 카페테리아, 2층 상설전시실에는 진귀한 보석과 원석을 전시하고 있다.. 2023. 7. 8.
견훤왕릉 - 논산 연무대 견훤왕릉 충남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에 위치한 이 묘는 후백제의 시조 견훤(甄萱:867∼935)의 것이라고 전해온다. 견훤묘는 10세기경에 축조한, 지름 10m, 높이 5m, 둘레 83m의 봉분으로 1981.12.21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 앞에는 1970년 견씨(甄氏) 문중에서 건립한 묘비가 있으며, ‘후백제왕견훤릉(後百濟王甄萱陵)’이라고 새겨져 있다. 견훤의 원래의 성은 이(李)씨이며, 상주 사람으로 신라 장군 이자개의 아들이라 한다. 신라 진성여왕이 즉위하면서 몇몇 신하들의 횡포로 정치 기강이 문란해졌고, 또 기근이 심하여 백성들의 원망과 봉기가 심해졌다. 이때 견훤이 경주의 서남 주현(州縣)을 공격하니 이르는 곳마다 사람들이 호응하여, 마침내 진성여왕 6년(892)에 무진주(지금의 광주.. 2023. 7. 8.
무령왕릉 - 공주시 무령왕릉(武寧王陵)은 백제 25대 무령왕(武寧王, 재위 501~523)과 그 왕비의 무덤으로 왕릉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 고분군에 자리하고 있다. 삼국시대 고분 중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왕릉이다. 1971년 5호분과 6호분의 배수시설 공사 중 우연히 발견되어 1,500여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묘지석으로 인하여 무덤의 주인공이 백제 25대왕 무령왕임을 알 수 있었다. 묘지석외에도 금제관식, 도자기, 유리구슬 등 124건 520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문화의 우수성이 증명되었다. 무령왕릉 외에도 벽화가 그려진 벽돌무덤 6호분을 비롯하여 백제의 대표적인 무덤형식인 돌로만든 굴식돌방무덤(1~5호분)도 자리하고 있다. 석수(진묘수)는 출토 당시에 오른쪽 뒷다리는 파손되어 있었다. 이 .. 2023. 7. 2.
김해김공 광호 지묘 - 쌍분(雙墳) / 丈人(장인) 김해김씨 김녕군파(경파) 계보 김해김씨의 중시조는 수로왕의 12세손인 김유신(金庾信)장군이다. 김유신은 가락국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증손자이며 무열왕의 딸 지소 부인(智炤夫人)과 혼인하였습니다. 할아버지는 신라의 장군이자 각간(角干)인 김무력(金武力, 구형왕의 막내 아들)이고, 아버지는 당대의 이름난 장군인 김서현(金舒玄), 어머니는 진흥왕의 동생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萬明)입니다. 김해 김씨 경파의 파조인 김목경(金牧卿)은 고려의 문관이셨고, 고려 충선왕때 문과에 급제하시었고, 품계는 삼중대광(三重大匡, 정1품)에 이르셨다. 이후 충혜왕때 이르러 조적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평정하시어 그 공을 치하하시어 왕으로부터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졌으며, 당시 혼란한 국정을 개탄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이.. 2023. 6. 26.
광한루원 - 남원시 광한루원 (廣寒樓苑) 전북 남원시에 춘향과 이도령이 만났다는 광한루가 있는 정원을 통칭하여 광한루원(廣寒樓園)이라고 한다. 2008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6만 9795㎡이다. 월매집 춘향관 누원에는 호수와 오작교·삼신산(三神山)·춘향사(春香祠)·충혼각·남원국악원·수중누각인 완월정(玩月亭)과 광원 광한루(보물, 1963년 지정 등이 펼쳐져 있다. 누원의 북쪽으로는 교룡산(蛟龍山)이 우뚝 서 있고, 남쪽에는 금괴같이 보배롭다는 금암봉(金巖峰)이 있으며 멀리 지리산이 보인다. 광한루의 전·후면에는 호남제일루(湖南第一樓)·계관(桂觀)·광한루의 현판이 걸려 있으며, 새로 마련한 남쪽 정문 문루에는 청허부(淸虛府)의 현판이 걸려 있다. ‘광한’과 ‘청허부’는 하늘나라 옥경(玉京 : 달나라의 서울)에 들어.. 2023.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