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79

영취산 진달래 - 여수 영취산(靈鷲山)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높이 510m의 산이다. 옛 문헌에 439m봉은 영취산으로, 510m봉은 진례산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439m는 영취봉이고, 510m는 진례봉으로 되어 있다. 진달래 전국 최대 군락지로 알려진 여수 영취산은 3월중순에서 4월초에 약 15만평에 30년내지 40년된 진달래 꽃이 군락을 이루어 만개한다. 산 중턱에서 정상까지 꽃으로 거의 뒤덮여 마치 산이 활활 불타오르는 듯한 장관을 연출한다. 해마다 이 시기에 열렸던 영취산 진달래축제는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취소되었다. 여수 영취산의 흥국사 절은 조선시대에 건립되었다. 이 지역은 돌산도(突山島)와 경상남도 남해도(南海島)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 조선시대에 좌수영이 있었던 곳이다. 이 시기에는 영취.. 2021. 3. 22.
봄꽃 사진 봄꽃이 예쁘게 피었습니다. 2021. 3. 20.
2021 한일 국제서화교류전 - 부산취묵회 2021 韓日 國際書畵交流展-釜山醉墨會( 한일 국제서화교류전-부산취묵회) - 일시 : 2021. 3. 15(월) - 3. 21(일)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3전시실 2021. 3. 15.
BE BORN - BURNING STORY - 인두화 BE BORN - BURNING STORY - 인두화 이야기 / 金承會(김승회) 작품 전시회 - 일시 : 2021. 3. 15(월) - 3, 20(토)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제2전시실 "인두화"는 달구어진 인두로 그린 그림으로 나무, 대나무, 상아 따위의 표면에 인두로 지져서 그린 그림. 또는 그 기법을 말한다. - BE BORN : 태어나다 / - BURNING STORY : 불타는 이야기 * WOOD BURNING STORY : 인두화 이야기 우드버닝(Wood burning)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나무를 태워서 그리는 그림이다. 인두를 주로 사용하여 그리는 그림이라 인두화라고 불리며, 요즘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버닝펜이란 기계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납땜용 전기인두는 우드버닝용 버닝펜보다 온.. 2021. 3. 15.
남경서회전 - 부산시청 제4회 남경서회전 (南耕書會展) 일시 : 2021. 3. 15(월) - 3, 20(토) 장소 : 부산시청 제1전시실 남경문화원 원장 李鍾珉 (이종민) 프로필 / 아호 : 남경 - 한학의 대가 석정 김성균 선생 문하 입문 - 대한민국미술대전의 초대작가 심사위원(2회) 역임 - 부산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전국서도민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세계서법문화예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청남휘호대회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부산비엔날레 휘호대회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추사선생 추모 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 - 대한민국서예휘호대회 초대작가 - 부경서도대전 심사위원 역임 - 부산시, 경상남도의 문화재위원 2021. 3. 15.
대한평수토찬비(大韓平水土讚碑) - 미수 허목 대한평수토찬비(大韓平水土讚碑) 대한평수토찬비는 중국 형산비(衡山碑)의 대우수전(大禹手篆) 77자 가운데 48자를 가려서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육향산 정상부의 육향정 바로 밑에 위치하며, 척주동해비와 근거리에 함께 있다. 조선현종 때인 1660년(현종 원년) 삼척부사로 부임한 허목이 짓고 쓴 것이다. 당시 허목이 중국형산(衡山)에 있는 하(夏)나라 시조 우제(㝢帝)가 썼다는 형산비에서 대우수전 77자 가운데 48자를 모아 목판에 새긴 것으로, 임금의 은총과 수령(守令)으로서 자신의 치적을 기린 글이다. 현종 원년(1661) 목판에 새기어 읍사(邑司)에 보관되어 오다가 240여년 후인 광무 8년(1904) 칙사(勅使) 강홍대와 삼척군수 정운.. 2021. 3. 14.
추전서당(秋田書堂) - 사천시 곤명면 추전서당(김화수)은 경남 사천시 곤명면 다솔사길 157-1에 있다. cafe.daum.net/chujeun 추전서당 추전김화수거사의 카페입니다. 추전김화수거사는 왕죽화와 사군자의 대가이며 국전심사위원을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중앙동에서 추전 미술관을 운영중입니다. 이 카페를 통하여 cafe.daum.net 추전(秋田) 김화수(金禾洙) 서화가는 사천시의 전통 유교가문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한학자이자 서예가로, 사군자와 문인화의 대가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추전 김화수 화백은 사천의 다솔사 인근에서 추전서당을 열어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 blog.naver.com/chujeun3050 추전미술관 (추전 김화수 화백의 詩 書 畵 文 茶) : 네이버 블로그 시서화의 세계로 초대.. 2021. 3. 14.
다솔사(多率寺), 효당스님 - 사천시 다솔사(多率寺)는 경남 사천시 곤명면 봉명산(鳳鳴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연기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봉명산은 이명산이라고도 한다. 사찰이 자리한 일대는 봉명산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503년(지증왕 4)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창건하여 ‘영악사(靈嶽寺)’라 하였고, 636년(선덕여왕 5) 건물 2동을 신축하고 다솔사로 개칭하였다. 676년(문무왕 16) 의상(義湘) 대사가 다시 ‘영봉사(靈鳳寺)’라고 고쳐 부른 뒤, 신라 말기 도선(道詵) 국사가 중건하고 다솔사라고 하였다. 1326년(충숙왕 13) 나옹(懶翁)이 중수하였고, 조선 초기에 영일·효익 등이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어 폐허가 되었던 것을 1686년(숙종 12).. 2021. 3. 14.
가지산- 영남알프스 3월에 눈 내린 가지산 산행 -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가지산(迦智山)은 1,241m로 울산시 울주군, 경남 밀양시, 경북 청도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영남알프스 9봉은 가장 높은 가지산(加智山 해발1,241m)을 비롯하여 운문산(雲門山 1,188m), 신불산(神佛山 1,159m), 천황산(天皇山 1,189m), 영축산(靈鷲山 1,081m), 간월산(肝月山 1,069m), 고헌산(高獻山 1,034m), 재약산(1,108m), 문복산(文福山 1,015m) 등 9봉이다. ======================================================================= 석남터널 입구 등산로에서 가지산 정상 최단코스 산행 / 2021. 3. 7 - 산행거리 : 편도 3.4km / 왕.. 2021. 3. 7.
송공단(宋公壇) 편액 - 박정희 대통령 송공단(宋公壇) 은 조선후기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을 비롯하여 왜란 때 순절한 여러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단(祭壇)으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시장에 있다. 宋公壇(송공단) 박정희 대통령 편액 - 부산 동래시장 鳶鳴 / 두인(頭印) 宋公壇 一九七二年 三月 二十五日 大統領 朴正熙 / 正熙(낙관) 七十三翁石佛謹鐫 鳶鳴(연명) / 솔개연, 울명 / 두인(頭印) : 수인首印. 서화작품의 우측 머리 부분에 찍는 인장(印章)으로 두인은 작품에 임하는 작가의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글귀로 작가의 개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宋公壇(송공단) 一九七二年 三月 二十五日 (1972년 3윌 25일) 大統領 朴正熙 / 落款 正熙(대통령 박정희 / 낙관 정희) 七十三翁石佛謹鐫(칠십삼옹석불근전) 칠십삼세노인 .. 2021. 3. 6.
송운사(松雲寺) - 울주군 상북면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에 송운사가 있는데 자수정동굴나라와 붙어 있다. 이 사찰은 '신비의 돌'로 유명하고 100세 거북이가 있는 곳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송운사는 영축산, 신불산으로 이어지는 영남알프스 명산이 한눈에 보이는 빼어난 풍경 외에도 석굴법당이 관광객의 발걸음까지 모으고 있다. 송운사는 불사를 진행해서 방문할 때마다 조금씩 바뀌고 있다. 참고로 박정희 대통령과 영부인의 추모관이 송운사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없어진지는 오래되었다. 2015년 8월달에 송운사를 포스팅한 자료에 100세 거북이 동영상과 박정희 대통령 추모관 기록들이 남아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클릭해서 보시면 됩니다. 송운사(松雲寺) 둘러보기 (daum.net) 송운사(松雲寺) 둘러보기 송운사 (松雲寺) 둘러보기 울산 울.. 2021. 3. 1.
해월당 빵집 카페 - 언양 제과 제빵 명인의 집 베이커리 카페 해월당에 다녀왔다. 카페 해월당은 울주군 상북면의 등억온천단지 입구에 있다. 1층은 빵 만드는 공간, 판매 공간 및 테이블 좌석이 있고, 외부에는 나무 밴치가 조성되어 있다. 2층에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테이블 좌석이 배치되어 있다. ◇ 위치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알프스리 48-2 / 언양 등억 온천 단지 입구 ◇ 영업시간 : 매일 09:00 ~ 21:00 ◇ 대형주차장 있음 ◇ 대표번호 연락처 : 052-264-3030 해월당 2층에서 다양한 각도로 찍어본 해월당 모습입니다. 비오는 날이라 의자만 덩그러니 여기는 종업원이 20명은 되어 보이네요. 자수정 동굴 송운사에서 내려다 본 해월당 모습 / 비가 오는 관계로 선명도가 떨어집니다. ㅠ 참 좋은 명당자리에 빵.. 2021. 3. 1.
해양 회,대게센터- 포항 죽도어시장 경북 포항시의 죽도 공동어시장내에는 포항물회와 영덕대게 전문점이 모여 있다. 산지에서 직송한 싱싱한 각종 활어류로 만든 포항 물회, 회밥, 모듬회와 영덕대게, 박달대게를 맛 볼 수 있다. 이 곳의 횟집들은 메뉴와 가격대가 같고 해산물도 싱싱하기 때문에 어느 집이 좋다고 추천을 하기보다는 맛있어 보이는 횟집을 방문하여 맛나게 드시기를 추천합니다. 영덕대게 박달대게 영덕대게 2인세트 기본 메뉴 (영덕대게 + 해물모듬 + 회 + 물회 + 매운탕) 참고로 식사를 하시거나 주문 배달을 하시려면 큰 규모의 식당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래의 연다라 횟집은 방송 출연이 많은 식당이고, 이웃한 많은 횟집 식당들도 맛이나 서비스는 비슷하다. 2021. 3. 1.
울산수목원- 울주군 온양읍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에 있는 대운산 계곡에는 "울산수목원"과 "대운산 치유의 숲" 이 있다. / 2021. 2.27 www.ulsan.go.kr/s/usabt/main.ulsan 울산수목원 울산수목원 www.ulsan.go.kr 울산수목원은 울산시에서 운영하는 공립수목원으로서 난대성 수종과 한대성 수종의 식물을 수집·전시 및 연구하고 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삶과 행복을 드리기 위해 조성되었다. 울산시 울주군과 경남 양산시, 부산시 기장군 경계에 있는 높이 742m의 대운산 자락에 위치하며, 옥류 같은 맑은 물이 흐르는 내원암 계곡과 명품 굴참나무 숲이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을 간직하고 있어 수목원 중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도통곡(도통골)이라는 골짜기에 살면서 도를 닦을 만큼 아름.. 2021. 2. 28.
아미산(峨嵋山) - 경북 군위 아미산(峨嵋山)은 경북 군위군 고로면과 영천시 회북면 사이에 있는 737.3m 높이의 산이다. 군위 아미산은 산세가 수려하며 바위 형태가 크게 다섯 개의 바위봉우리로 이루어졌다. 군위에 있는 아미산의 한자명은 미인의 눈썹같이 생긴 아름다운 산이라는 뜻의 아미(蛾眉)로 잘못 알고 인터넷에 글을 올린 분들이 많으신데요 '아미(峨嵋)'는 "높을 아, 산 이름 미"의 아미산(峨嵋山)이 정식 명칭이니 바로 잡으시기 바랍니다. 아미산은 여러 곳이 있는데 중국 사천성과 우리나라 강원도 홍천의 아미산(960.8m)과 충남 부여와 보령 사이에 있는 아미산(581.4m), 경북 군위에 있는 아미산(737m)등이 제법 잘 알려져 있는 산이다. ■ 한자이름이 서로 다른 아미산 ◇ 아미산(峨嵋山)은 경북 군위 아미산, 충남 부.. 2021. 2. 20.
관세음보살상 - 그림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二五五二(불기 2552)년 般若智(반야지) / 崔原榮 印(최원영 인) / 圖炚(도광) ========================================================================= 촛불 심지에 나타난 보살상 및 여러 문양 2021. 2. 18.
롯데 대형 야구공 싸인볼 - 2000년 롯데(LOTTE) 야구단 소속 선수 11명이 2000년에 롯데팀에서 한솥밥을 먹을 때 싸인한 대형 야구공 싸인볼입니다. 이들 선수 11명이 롯데팀에 소속된 기간은 1990년부터 2011년까지 서로 다르지만, 야구공 싸인에 참여한 선수 11명 전원이 같이 활약한 해는 1999년, 2000년입니다. 이 대형 야구공 싸인볼 싸인 받은 시기는 기호 27번 최기문(1999~’2010)선수와 기호 0번 공필성(1992~2000)선수가 롯데에서 같이 활약한 1999년 또는 2000년이 싸인 근거가 되겠습니다. 물론 이 기간에 야구공 싸인에 참여한 야구선수 11명이 전부 롯데(LOTTE) 야구단 소속이었습니다. 대형 야구공에 싸인한 롯데(LOTTE)선수 11명이 롯데에서 활약한 기간입니다. ◆ 26 강상수 (‘94~’.. 2021. 2. 18.
백접도(百蝶圖) - 백마리 나비 그림 백 마리의 나비를 그린 백접도(百蝶圖)이다. 百蝶圖 (백접도) 乙亥之夏 金良畫 於 上海 (을해지하 김량화 어 상해) / 1995년 여름에 김량화 상해에서 벽에 걸려 있는 액자의 유리 반사빛으로 선명한 그림을 얻기가 어려운게 아쉽네요. 百蝶圖(백접도) - 장수를 위한 나비 그림 백접도(百蝶圖)는 수많은 나비가 있는 그림이고, 초충도(草蟲圖)는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이다. 백접도(백 마리 나비 그림)은 영원히 오래 살기를 바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노인들의 장수를 기원하는 선물용 백수도(百壽圖)나 축수도(祝壽圖)로 그려진 그림이다. 나비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패랭이꽃은 호랑나비의 날개와 비슷하여 장수를 축하하는 그림(祝壽圖)의 대표적인 꽃이다. 황촉규(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닥풀꽃) 역시 톱니처럼 생긴 잎사귀.. 2021. 2. 16.
화조도 6폭 병풍 화조도 6폭 백납병(百衲屛) 병풍 - 素泉(소천) 작품 소장한지 50년이 넘는 소천(素泉) 선생의 6폭 화조도 병풍이다. 영인본이지만 오래 되어서 원본이 없을 수도 있고, 영인본도 이것만 남아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이분의 작품을 기록으로 남겨두기로 한다. 병풍의 꽃과 새는 가정의 평안과 화목, 부부 간의 애정을 상징하는데 꽃과 새를 그린 병풍은 주로 여자가 기거하는 안방에 놓았다. 사군자(四君子)인 매난국죽(梅蘭菊竹) 병풍은 동양화의 소재가 되어 왔는데 각각 봄(매화, 雪梅), 여름(난초, 蘭草), 가을(국화, 秋菊), 겨울(대나무, 靑竹)을 뜻한다. 사군자 8폭 병풍은 매난국죽(梅蘭菊竹)에 소나무, 포도, 목련, 연, 목단 등을 소재로 한다. ▲ 화조도 병풍 병풍은 바람을 막거나 공간을 가리기 .. 2021. 2. 13.
장안사(長安寺) - 경북 예천군 장안사(長安寺) - 경북 예천군 장안사(長安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산에 있는 절이며 직지사의 말사(末寺)이다. 예천 비룡산 아래에 있는 절로 의상 대사의 제자인 운명 대사가 설립했다는 설과 예천군지에서는 고려왕조 때 창건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정확한 기록이 불명이지만 조선왕조 중기에 세워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천년 신라에 학이 춤을 추듯 뭇 봉우리들이 힘차게 굽이치고, 구름을 담아 놓은 듯 비룡이 꿈틀거린다는 비룡산(飛龍山) 정상 가까이에 장안사가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국태민안을 염원하여 전국 세 곳의 명산에 장안사를 세웠는데, 금강산 장안사, 양산 장안사, 그리고 국토의 중간인 이곳 용궁면 용궁리 비룡산 장안사가 그 하나이다. 1627년에 덕잠이 중창하고 1709년 청민이 범종.. 2021. 2. 13.
회룡포 회룡전망대와 뿅뿅다리 - 예천군 회룡포(回龍浦)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 일대에 있는 농촌마을이자 관광지로 명승 제16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 일대에 있는 마을로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감싸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건너편에 장안사(長安寺)와 마을을 볼 수 있는 회룡전망대(회룡대)가 있다. 한국방송공사 1박 2일에 소개되었으며 드라마 가을동화의 촬영지로 이를 통해서 외지인들이 찾아오고 있다. 마을 주변에 내성천을 건널 수 있는 뿅뿅다리라 불리는 2개의 다리가 놓여 있는데 철제 다리와 석교(시멘트다리)가 있다. 원래 이름은 '의성포' 였으나 같은 도의 의성군과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지금의 회룡포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마을 전체가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에 둘러싸인 모습이 돋보여지고 회룡대에 올라가면 내성천과 산봉우.. 2021. 2. 12.
강암 송성용 선생의 서예혼 강암(剛菴) 선생은 서예의 역사다.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 1913-1999)선생은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상정리 요교마을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부친 유재(裕齋) 송기면(宋基冕 1882-1956) 선생에게서 한학과 서예를 배웠다. 유재 송기면 선생의 '樂天堂(낙천당)' 현판 글씨 송기면 (宋基冕, 1882~1956)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군장(君章). 호는 유재(裕齋). 전북 김제 출신. 아버지는 응섭, 어머니는 전주최씨로 세영의 딸. 초년에는 이정직의 문하에서 문장·서화·역산 등을 두루 배웠고, 만년에는 전우의 문하에서 성리와 의리에 관한 학풍을 받아들여 학문적 기반을 형성. 그는 심성설(心性說)에서 전우의 기본명제인 '성존심비(性尊心卑)'·'성사심제(性師心弟)' 설을 추종·계승, 전개시.. 2021. 2. 10.
友人會宿(우인회숙) - 남천 友人會宿(우인회숙) - 唐 李白 詩 (당 이백 시) 友人會宿(우인회숙) - 李白 詩(이백 시) 滌蕩千古愁 (척탕천고수) 留連百壺飮 (유련백호음) 良宵宜淸談 (양소의청담) 晧月未能寢 (호월미능침) 醉來臥空山 (취래와공산) 天地卽衾枕 (천지즉금침) 錄(록) 李白 詩(이백 시) 友人會宿(우인회숙)辛丑(신축 肇春(조춘=早春 이른봄) - 李南泉 書(이남천 서) / 李聖勳(이성훈) ※ 淸談(청담) = 且談(차담) ============================ 우인회숙(友人會宿) / 친구들과 함께 묵다 이백(李白 701~761, 당나라 시인) 출생 - 사망 : 701년 ~ 762년 자 : 太白(태백) 호 : 靑蓮居士, 醉仙翁(청련거사, 취선옹) 滌蕩千古愁 留連百壺飮 (척탕천고수 유련백호음) 良宵宜且談 皓月未能寢.. 2021. 2. 10.
용,구,인(龍龜忍), 달마(達磨) 도자기 작품 - 청계 1980년대 청계 안정환 선생의 용,구,인(龍龜忍) 도자기 작품입니다. 龍(용) 작품 - 청계 龜(구) 작품 - 청계 忍(인) 작품 - 청계 =================================================================== 달마(達磨) 작품 - 청계 大道無言 見性成佛 庚辰 上春 晴溪 / 安定煥印, 晴溪 대도무언 견성성불 경진(2000년) 상춘(음력1월) 청계 / 안정환인, 청계 날마다 즐겁고 아름다운 날 大道無言(대도무언) 큰 깨달음이나 진리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 대도(큰길,한길)에 지극함은 말로는 표현 할 수 없다. 見性成佛(견성성불) 자기가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깨달아 부처가 된다. 흔히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 하는데, .. 2021. 2. 10.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 무원 俊禪子(준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서산대사 청허 휴정의 "준선자(俊禪子)에게"라는 선시입니다. 특히 3구 "무언각회수" / 4구 "산정백운생"이 절창이다. (말없이 고개돌리니 / 산위에는 흰구름만 피어오른다.) ※ 절창(絶唱) : 뛰어나게 잘 지은 시. 우리가 만나고 헤어지는 것은 마치 흰구름이 일었다 사라지는 것과 같습니다. 모든 것이 이 자연의 순리에 따라 만나야 할 사람이 만나고 헤어져야 할 사람이 떠나갑니다. 그렇지만 이별은 슬픈 것입니다.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悲歡一枕夢(비환일침몽) 聚散十年情(취산십년정) 無言却回首(무언각회수) 山頂白雲生(산정백운생) 슬픔과 기쁨은 한 베개의 꿈이요 만남과 헤어짐은 십 년 정일레(라). 말없이 고개 돌리니 산머리에 흰 구름만 이네. 二千十九年(2019년).. 2021. 2. 8.
암남공원(岩南公園) - 부산 암남공원(岩南公園) 부산시 서구 암남동 도심 속 근린공원인 암남공원 내 "치유의 숲길"이 휴식과 힐링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송도해상케이블카와 송도용궁구름다리 설치 이후 급증하고 있는 방문객들의 발길을 치유의 숲길로 유도하기 위하여 서구청은 시비와 구비 7억4000여만원을 투입하여 암남공원 치유의 숲길 정비사업을 완료했다고 2021년 1월 31일 밝혔다. 암남 공원은 산책로 1.9㎞, 해안 산책로 1.2㎞를 포함하여 총면적이 55만 3277㎡이다. 부산시 서구 암남동 진정산 일대에 조성된 자연공원으로 천혜의 해안 절경을 자랑하며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해안을 따라 바다를 보며 삼림욕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약 1억년 전 형성된 퇴적암, 원시림, 100여 종의 야생화와 370여 종의 식물 등 도심에서.. 2021. 2. 7.
石之長時靜(석지장시정) - 蘭(난) 蘭(난) 石之長時靜(석지장시정) 돌의 몸은 장시간 고요하고 蘭之氣淸 (난지기청) 난의 기운은 맑은데 靜則壽(정즉수) 고요하면 수하고(오래가고) 淸則香(청즉향) 맑으면 향기롭다. 己丑年 之秋節 金井山 主人 安晴溪 기축년(2009년) 지추절(가을) 금정산 주인 안청계(청계 안정환) 2021. 2. 5.
사립탐정이란 사립탐정 / 출처 : 위키백과 사립탐정(私立探偵)은 의뢰자의 요청에 따라 사건, 사고, 정보 등을 조사하는 민간 조사원이다. "탐정"이란 단어는 일본에서 영어 단어 "Detective", 또는 "Private Investigator"를 한자로 번안한 것이다. "Private Investigator"의 약어인 "PI"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영미권에서는 "Private Eye"라 표현하기도 한다. 영어 Detective는 국가 또는 민간의 사건 조사를 하는 자를 의미하는데, 국가 공무원인 경우에는 형사, 민간인인 경우에는 탐정으로 번역되고 있다. 정부에 검사가 있는 반면, 민간에는 변호사가 있고, 정부에 경찰이나 수사관이 있는 반면, 민간에는 탐정이 있다. 사립탐정 등 민간인은 형사소송법상 법원의 영장.. 2021. 2. 4.
2021년 입춘 입춘축 붙이는 방법 입춘축 입춘대길 붙이는 방법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대문 앞에 여덟 팔(八)자의 형태로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의 글귀를 붙인다. 입춘첩은 매년 붙이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데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붙여야 좋다. 2021년 입춘일시 : 2021.02.03.(수) / 입춘시 : 23시 59분 입춘축(立春祝)은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붙여야 그 효험이 있다고 한다. 입춘축을 다르게 부르는 이름은 입춘첩(立春帖)·춘축(春祝)·입춘서(立春書)·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각 가정에서는 미리 입춘축을 준비해 두었다가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대문 앞에 여덟 팔(八)자의 형태로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의 글귀를 붙인다. 立.. 2021. 1. 29.
지리산 삼신봉(三神峰) 지리산 삼신봉(三神峰) 경남 하동군 청암면 소재 삼신봉(1,284m)은 지리산 남부능선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북쪽으로 펼쳐지는 지리산 주능산을 잘 볼 수 있는 명산이다. 삼신봉 동쪽에는 외삼신봉(1,288m), 서쪽에는 내삼신봉(1,355m)이 솟아 있어 세 개의 봉우리가 이어진다. 청학동 마을에서 삼신봉을 바라보면 왼쪽부터 쇠통바위, 내삼신봉, 삼신봉, 외삼신봉으로 세 개의 봉우리가 눈에 들어온다. 산행코스는 남부능선코스가 대표적이며 청학동에서 삼신봉, 상불재를 거쳐 다시 청학동으로 향하는 순환코스, 삼신봉- 상불재- 불일 폭포, 삼신봉- 거림골 등의 코스가 있다. ◇ 일자 : 2021년 1월 24일 (일) ◇ 코스 : 청학동 탐방지원센터-샘터-능선 사거리(갓걸이재)-삼신봉-청학동 탐방지원센터 ◇ 거리.. 2021.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