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47

제7회 녹묵회전 - 부산시청 제7회 녹묵회전 (第7回 鹿墨會展) - 전시기간 : 2021. 5. 3(월) - 8(토) - 전시장소 : 부산시청 제2, 3전시실 출품회원 명단 2021. 5. 4.
백송 천연염색 아트연구회 두번째 백송 천연염색 아트연구회 - 전시기간 : 2021. 5. 3(월) - 5. 9(일) - 전시장소 : 부산시청 제1전시실 2021. 5. 4.
인생교훈 - 명언 ◇ 人生 十四最 (인생 십사최) / 인생 14대 교훈 ◇ 知足常樂 (지족상락) 만족할 줄 알면 항상 즐겁다. ◇ 治家格言 (치가격언) 가정을 다스리는격언 / 집안을 다스리는 격조 높은 말씀 ◇ 莫生氣(막생기) 성을 내지 마라 人生 十四最 (인생 십사최) / 인생 14대 교훈 一. 人生最大的敵人是自己 (일. 인생최대적적인시자기) 1. 인생 최대의 적은 자기자신이다. 二. 人生 最大的失敗是自大 (이. 人生 최대적실패시자대) 2. 인생 최대의 실패는 스스로 잘낫다는 생각이다. 三. 人生最大的無智是欺騙 (삼. 인생최대적무지시기편) 3. 인생 최대의 어리석음은 남을 속이는 것이다. 四. 人生最悲哀的是嫉妒(妬) (사. 인생최비애적시질투) 4. 인생에서 가장 슬픈 일은 질투다. 五. 人生最大的錯誤是自棄 (오. 인생최.. 2021. 5. 3.
갤러리 영 유화 작품 들 부산의 구서동역사내에 위치한 "갤러리 영"의 전시 판매 작품들 사진입니다. 미술품에 대한 조예가 없어 설명은 드릴 수 없고 대표적인 이미지만 올려 봅니다. 전시장 입구에는 수석과 서각작품이 있다. 서양화가 황해수 작가님은 각종 표창을 받고, 서양화 심사위원으로 위촉도 많이 받으신 분이다. 부산의 용두산공원과 남항을 그린 작품이네요. 보리밭 작품도 있네요. 수반(水盤)의 수석에 금붕어를 그려 놓으니 물고기가 없어도 운치가 좋아요. 2021. 5. 1.
8폭 한문성경 병풍 폐기 고찰 8폭 한문성경(漢文聖經) 병풍(屛風)의 폐기(廢棄) 고찰(考察) 한때는 사랑을 받은 작품이었겠지만, 폐기 직전에 놓여 있는 8폭병풍의 산수화 2점 및 성경 시편 글씨 6점이 있는 병풍을 기록으로 남겨 봅니다. 요즘 문인화 병풍, 자수병풍 등이 집안에서 거추장스럽고 귀찮은 물건이 되면서 조기에 생명력을 다하고 폐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듯 합니다. 아래 병풍은 한문성경 시편 23편의 내용을 적은 작품입니다. 성경 병풍 - 1폭 산수화 黃田(황전) 작품 병풍의 훼손이 심하여 폐기로 결정을 하더라도 병풍의 글이나 그림이 좋아 보이고, 병풍의 틀이 잘 짜여져 있다면 다시한번 살펴보자는 의미에서 이글을 적어 봅니다. 참고로 유명 표구사에서 고서와 오래된 병풍을 복원, 수리하는 과정에 아주 귀한 작품들이 발견되기도 한.. 2021. 5. 1.
주풍궁 와당문 - 한와 10폭 병풍 - 청계 주풍궁 와당문 한나라 기와무늬 열폭 병풍 - 청계 안정환 10 9 8 7 6 5 4 3 2 1 2 1 4 3 6 5 8 7 10 9 50 瓦當文 와당문 (10幅 屛風) 0×0cm×10 50-1 周豊宮瓦當文 주풍궁와당문 周(주)나라 수도 豊鎬(풍호)에 있었던 宮殿(궁전)의 와당문 50-1-1 衎간 瓦와當당面면逕경六육寸촌四사圍위作작朱주雀작元원武무 靑청龍룡白백虎호之지錢전中중 有유一일字자曰왈衎간 와당의 얼굴 지름과 길이가 여섯치며 사방에는 朱雀元武(주작원무) 靑龍白虎(청룡백호)를 새겼다. 돈 같이 새겨진 가운데에 한 글자가 있으니衎(간) 자이 다.[ 拜은 衎(간) 자와 동일하고 和樂의 뜻이다] 50-1-2 도 麋미 陶도陵능共공廚주銅동一일合합 容용一일千천拜배유 共공廚주銅동鼎정 容용一일千천中중八팔千천一일兩량二이十십.. 2021. 4. 30.
도자기 작품 - 청계 도자기 작품 2021. 4. 30.
해현경장(解弦更張) 등 부채(扇) - 무원 解弦更張 (해현경장) 解弦更張 (해현경장) - 無圓(무원) 거문고의 줄을 바꾸거나 고쳐 맨다. / 제도나 규범 등을 개혁한다. (解 풀 해, 弦 시위 현, 更 고칠 경, 張 베풀 장) 느슨해진 것을 긴장하도록 다시 고치거나, 사회 정치적으로 필요한 제도나 규범 등을 개혁하거나 개선시킨다는 뜻을 갖고 있다. 해현경장은 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에 나오는데, 동중서(董仲舒)의 말에서 ‘해현경장’이 유래했으며, 제도를 개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개현경장(改弦更張)’ 혹은 ‘개현역장(改弦易張)’으로도 쓴다. 해현경장은 중국 한나라에 동중서가 무제에게 올린 현량대책에서 유래되었는데 인재를 등용하여 발전을 도모하고자 할 때에 인용 되었던 고사성어이다. 한(漢)나라 사람 동중서(董仲舒)는 젊.. 2021. 4. 29.
대법륜사 삼성각, 재실 돈화문 편액 - 청계 함박산 대법륜사(大法輪寺)의 삼성각(三聖閣) 편액(扁額) 서각(書刻) 대법륜사는 경남 김해시 금관대로 1088-28 (흥동)의 함박산 자락에 자리잡은 사찰이다. 대법륜사 뒷산은 함박산으로 165m이며, 한 줄기로 이어진 임호산은 179.6m이다. 김해 대법륜사 삼성각 大法輪寺(대법륜사) 三聖閣(삼성각) 편액(扁額) - 청계 안정환(晴溪 安定煥) / 2000년 3월 대법륜사 아미타대불은 2018년 12월 4일 점안식를 올린 거대한 불상이다. 아미타대불부처님 몸 안에 몸속 법당은 3층으로 조성되었다. 몸속 법당의 1층은 24평이고, 높이는 20m이다. okyeo108.tistory.com/ 김해 사찰 대법륜사 부산 사찰 광명선원 달라이 라마존자 접견실 (2009.12.24) okyeo108.tistory.c.. 2021. 4. 27.
각주구검 서각 - 청계 각주구검(刻舟求劍) 서각(書刻) 刻舟求劍(각주구검) - 晴溪刻(청계각) / 낙관 安定煥印 晴溪(안정환인 청계) (刻 새길 각 / 舟 배 주 / 求 구할 구 / 劍 칼 검) 각주구검은 세상 형편도 모르고 낡은 것만 고집하는 미련하고 어리석은 사람이나 그 행동을 비유로 이르는 말이다. 주로 융통성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거나, 시대가 변했는데도 오로지 옛날 것만 고집하는 사람을 빗대어 쓰이기도 한다. 겉뜻 : 배에 흠집을 새겨 칼을 구한다. 속뜻 : 융통성이 없고 무식하거나 고집이 세다. 출전 : 신대람(愼大覽) 찰금편(察今篇) 옛날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칼을 떨어뜨렸는데, 이 사람이 칼을 찾는다면서 칼을 빠뜨린 지점을 배에 표시를 해두었다. 배가 도착한 뒤에 이 사람은 표시를 해둔.. 2021. 4. 27.
수도산 수도암 - 김천시 수도암(修道庵)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국사가 수도도량으로 창건한 암자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인 청암사(靑巖寺)의 부속 암자이다. 수도암은 수도산(해발 1,317m)의 상부에 위치한 도량으로, 옛날 도선국사가 이 도량을 보고 앞으로 무수한 수행인이 나올 것이라 하여, 산과 도량 이름을 각각 수도산, 수도암이라 칭하였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백여 년 전터 부처님의 영험과 이적이 많다하여 사람들이 불영산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수도암은 통일신라 헌안왕 3년(859)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수도도량으로 창건한 사찰이다. 도선은 청암사를 창건한 뒤 수도처로서 이 터를 발견하고 기쁨을 감추지 못하여 7일 동안 춤을 추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 뒤 .. 2021. 4. 25.
수도산(修道山) - 김천시 수도산(修道山)은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대덕면과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걸쳐 있는 높이 1,317m의 산이다. 가야산맥(伽倻山脈)상의 고봉의 하나이다. 가야산맥은 소백산맥의 대덕산(大德山, 1,290m)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간 한 지맥으로 우두령(牛頭嶺)에 의해서 소백산맥과 분리된 독립산괴로 간주할 수 있다. 수도산은 이 산맥 중 가장 서쪽에 있는 고봉이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도계를 따라 단지봉(丹芝峯, 1,327m)·두리봉(1,133m)·가야산(1,430m) 등의 1,000m 이상의 명산이 솟아 있다. 또한, 수도산에는 가야산맥과 분기하여 염속산(厭俗山, 870m)·백마산(白馬山, 716m)·금오산(金烏山, 977m)을 연결하는 북동방향의 산맥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산의 능선은 편마암으로 되어 있.. 2021. 4. 24.
갑장산(甲長山) - 상주시 갑장산(甲長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있는 높이 806m의 산이다. 백두대간이 쥐라기의 화강암 산지로 솟구친 소백산맥 줄기의 하나이다. 상주삼악을 연악(淵岳) 갑장산, 노악(露岳) 노음산(露陰山:725m), 석악(石岳) 천봉산(天鳳山:435m)이라 하며 갑장산이 제일명산이다. 용흥사(龍興寺) 주차장에 산행을 시작하여 정상에 오르거나, 최단코스로 갑장사를 거쳐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있다. 상주의 영봉 갑장산 806m / 정상 표지석 ------------------------------------------------------------------------------------------------------------------------ 갑장사 주차장 입구 갑장사 주차장 입구에서 돌계단을 40.. 2021. 4. 24.
망월산, 백운산 - 부산 기장군 부산시 기장군 망월산(望月山)은 망일산(望日山), 매암산(梅岩山)이라고도 부른다. 매암산은 산의 중앙에 매바우(뫼바우)라는 큰 바위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망월(望月)은 정관의 서쪽에 있어 동쪽으로 해와 달이 뜨는 모습을 바라본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망월산 북쪽으로 고도가 같은 백운산(白雲山) 산맥과 이어져 있고 동쪽으로는 정관 신도시가 산 아래 펼쳐져 있다. 동남쪽으로 함박산(含朴山)·천마산(天馬山)·달음산(達陰山)이 병풍처럼 이어져 있으며 남쪽으로 거문산(巨文山)과 철마산(鐵馬山) 산맥과 이어져 있다. 그 너머로 멀리 아홉산과 장산(萇山), 구곡산(九曲山)이 눈에 들어온다. 산 곳곳에 야생화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 부근에는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고도 521.7m의 망월산은.. 2021. 4. 19.
백운산 - 부산 기장군 백운산(白雲山)은 부산시 기장군의 정관면 임곡리에 소재한 산이다(522m). 정관면과 철마면 임기리와의 경계를 이루는 산지이다. 백운산은 기장의 주산이고 항상 흰구름 속에 잠겨있다 하여 백운산(白雲山)이라 하였다. 백운산(白雲山)은 기장지역의 배후산지 중에서 가장 으뜸을 이루는 산으로 정관면 서쪽에 있는 산으로 철마면과의 경계를 이룬다. 이 산은 해발 522m로 전형적인 장년산지로 그 위용이 당당하며 주봉은 기반암이 나출되어 있다. 남쪽으로는 철마산과 북쪽으로는 용천산에 이어져 있으며 동쪽 사면으로는 좌광천의 발원지가 되고 있다. 백운산은 기장의 옛지명인 차성(車城)지방의 조산(祖山)이며, 『기장읍지』에 "백운산은 그 산 위에 항시 흰구름이 있기 때문이며, 창립한 절이름을 이 때문에 선여사라 하였다"고 .. 2021. 4. 19.
선여사 터 부도, 강유후 공덕비 - 철마면 임기리 선여사지 터에 있었던 부도를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반출시도가 있었으나 주민들의 저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 조선후기 석종형 부도이며, 원형 기단부에는 복련이 여러 겹 복련을 표현하였다. 탑신은 상부로 향할수록 둥글게 마감하였고,일석으로 조성된 연봉형 보주 아래는 1단 괴임을 두었다. 부도 주인공의 당호는 새기지 않아서 누구의 부도인지는 알 수 없다. 선여사 터 부도 (船餘寺-浮屠) - 부산 기장군 - 분야 : 종교/불교,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 - 시대 : 조선/조선 - 출처 : 디지털부산문화대전-선여사 터 부도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의 선여사 터라 추정되는 곳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종형 부도이다. 선여사 터.. 2021. 4. 19.
제31회 국제서화예술전 - 부산전 제31회 국제서화예술전 (第31回 國際書畵藝術展) □ 한국(부산)전시​ ○ 기간 : 2021. 4.12.(월) - 4.18.(일) ○ 장소 : 釜山市廳 1 ,2, 3 展示室 (부산시청 1 ,2, 3 전시실) ○ 주최 : 國際交流書道協會 (韓國) / 국제교류서도협회 (한국) ○ 전시내용 : 서예, 한국화, 민화 등 한국과 일본의 전통 서화 교류전 □ 일본(도쿄) 전시 ○ 기간 : 2021. 5.12.(수) - 5.16.(월) ○ 장소 : 東京都美術館 (동경도미술관) ○ 주최 : 國際書畵藝術協會 (일본) / 국제서화예술협회 (일본) 安氏 蘭亭序 印影 釜山市 無形文化財 第二十四號 篆刻匠 安 晴溪 刻 (안씨 난정서 인영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24호 전각장 안 청계 각) 2021. 4. 13.
난정서 인영 전각작품 - 청계 난정서 인영(蘭亭序 印影) 전각(篆刻) 작품 청계(晴溪) 선생의 난정서 인영(印影) 작품은 다양한 크기의 인장석(印章石)에 백문(음각)과 주문(양각)의 기법으로 난정서 전문을 세긴 작품이다. * 인장석(印章石)은 돌(石)로 만든 인재(印材)를 말한다. * 인재(印材) : 도장(圖章)을 만드는 인장재료(印章材料)이다. 난정서(蘭亭序)는 중국 동진(東晋)의 왕희지(王羲之)의 행서첩이다. 동진 묵제의 영화9년(353) 3월 3일 회계산음(저장성 소흥) 난정에서 당시의 명사 41명이 모여 계추를 하고 유상곡수(流觴曲水)의 유흥을 하고 시흥에 젖었다. 그때 지은 시집의 서를 왕희지가 썼고 옛날에는 『임하서(臨河序)』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난정서』라고 하며 또 『계첩(稧帖)』이라고도 한다. 당태종은 왕희지를 숭배하.. 2021. 4. 13.
용구(龍龜) 수석 전각 - 청계 ◎ 龍(용) : 입신출세, 입신양명, 훌륭한 사람이 되라 / 前(전) / 앞면 ◎ 龜(구) : 무병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려라 / 背(배) / 후면 ☆ 龍龜(용구) : 공명부귀(功名富貴) ◇ 입신출세(立身出世) : 세상에 몸을 우뚝 세우고 출세를 한다. ◇ 입신양명(立身揚名) : 자신의 뜻을 확립하고 이름을 드날린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유명해진다. ◇ 공명부귀(功名富貴) :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치고,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다. 龍 - 晴溪 安 (용 - 청계 안) / 前面(전면) □ 용(龍)의 상징과 의미 ◇ 용(상상의 동물)은 임금, 천자(天子)를 상징 ◇ 비범한 사람이나 훌륭한 사람을 상징 / 입신양명(立身揚名) ◇ 등용문 : 용문을 오르다. 입신출세의 관문을 비유 ◇ 만물을 생성하고 어울리게 하는 덕(.. 2021. 4. 11.
철마산 지장암 부산 기장군의 철마산에 자리한 지장암(주지 능원 스님)은 구한 말 기장군의 가장 큰 가람이었던 ‘선여사’의 암자 중 하나로 추정되는 곳으로, 지장암이 위치한 철마산은 ‘쇠로 된 말이 있는 산’이란 뜻이다. 이 지역에 큰 홍수가 일어났을 때 동해 바다에서 용마가 나타나 물을 다스린 후 돌아가지 못한 채 철마가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이 철마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찰로 추정되는 선여사는 현재 지장암 주변에 사지로만 남아있다. 지장암 주지 능원 스님은 “철마산의 ‘철마’는 중생 구제의 서원을 가진 지장보살의 원력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장암은 2002년 무량수전 복원불사를 계획했으나 관계 기관의 법령 해석의 차이로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있다’는 판결을 받아 불사를 추진하지 못해 .. 2021. 4. 10.
철마산(鐵馬山), 거문산 - 부산 기장군 철마산(鐵馬山, 605m)은 부산시 기장군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동쪽으로 망월산(望月山, 549m), 문래봉(文萊峰), 함박산(含朴山), 천마산(天馬山)을 거쳐 달음산(達陰山)으로 이어지는 기장군 등줄 산맥(脊梁山脈)의 준봉이다. 산정은 험준하고 산지 경사가 매우 급하며, 특히 남쪽 산기슭이 가파르다. 북쪽으로는 백운산(白雲山) 자락과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거문산(巨文山) 자락과 연결되어 있으며, 남쪽으로 회동 수원지가 자리하고 있다. 철마산은 다양한 산행코스가 있지만 최단코스로 다녀오는 길은 임기리 지장암 입구에 주차를 하고 지장암 삼성각(산신각) 뒷편 등산로 100m정도 위의 갈림길에서 왼쪽길로 올라 철마산 정상으로 올라갔다가 원점회귀하는 코스와 입석마을에서 출발하여 원점회귀하는 코스가 있다. o 철.. 2021. 4. 10.
한나라 기와무늬 열두폭 병풍 - 오세창 오세창 한나라 기와무늬 열두폭 병풍 (1938) 한와전문 십이곡병풍 1,2 3,4 5,6 7.8 9,10 11,12 ======================================================= ===================================================================================== 동은(東隱) 오영화(吳濚華) 병풍 (오세창 조카) 2021. 4. 9.
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한석봉 望盧山瀑布(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한석봉(한호,韓濩)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병풍은 이태백(李太白, 701년~762년)이 여산폭포(廬山瀑布)의 거대하고 신비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詩)의 일부분을 10폭 병풍으로 만들었다. 병풍은 조선 최고의 명필가인 한호(韓濩, 1543 -1605)의 작품으로 우리에게는 한석봉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호(1543 -1605)의 호는 석봉(石峯)과 청사(淸沙)이다. 한석봉의 망여산폭포 10폭 병풍 - 望盧山瀑布(여산폭포를 바라보며) 中亂潨射左 右洗青壁飛 중란중사좌 / 우세청벽비 하늘에서 어지러이 튀는 물줄기 / 좌우로 이끼 낀 푸른벽 씻어 내리네. 倏如飛電來 隱若白虹起 숙여비전래 / 은약백홍기 느닷없이 번개불 치는 것 같고 / 흰 무리 숨어 있다 일어난 것 같네. .. 2021. 4. 3.
축하 경조사, 기념일 문구 봉투쓰기 축하 경조사 기념일 문구 봉투 쓰기 ◇ 경조사 이름 / 봉투 쓰기 - 회갑 回甲 : 61세 되는 해 (환갑 還甲) -진갑 進甲 : 회갑 다음 해 (진갑進甲) - 칠순 七旬 : 70세 되는 해 (고희古稀) - 희수 稀壽 : 77세 되는 해 (희수稀壽.喜壽) - 팔순 八旬 : 80세 되는 해 (산수傘壽) - 미수 米壽 : 88세 되는 해 (미수연米壽宴) - 백수 白壽 : 99세 되는 해 (백수白壽) 60세 이후의 생일잔치는 모두 수연(壽筵)이라 함 더욱 건강하시고 오래 사시기를 기원한다는 뜻이다. ◇ 약혼. 결혼. 결혼기념일(結婚記念日) - 축 약혼 (祝 約婚) - 축 결혼 (祝 結婚) - 축 화혼 (祝 華婚) 1주년 - 지혼식(祗婚式) 2주년 - 고혼식(藁婚式) 3주년 - 과혼식(菓婚式) 4주년 - 혁혼식.. 2021. 4. 2.
동명 노동우 선생 작품 동명(東明) 노동우(盧東佑) 작가 (1931-2014.12.1) 아호(雅號) : 매산(梅山), 동명(東明) / 경남 김해 출생 / 동의대 행정대학원 수료 부산연산로터리클럽 회장(1995년), 명예회장 제17회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특선 (서예) 호남미술대전(서예부문) 특선 3회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종합대상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초대작가 대한민국서화예술대회 초대작가 대한민국서예대전(예협) 심사위원 제29회∼제32회 대한민국서예대전 심사부위원장 東明 盧東佑 八秩 書畵個人展 (동명 노동우 팔질 서화개인전 / 2010. 12.) * 八秩 (팔질) : 80세 되는 해 / 팔순(八旬), 산수(傘壽) 동명 노동우 선생(1931-2014.12.01)) / 꼭 한번 뵙고 싶었던 분인데 이렇게 사진으로 만나뵙게 되.. 2021. 3. 31.
세시이명과 별칭, 간지의 고칭 서예. 낙관 시 세시이명과 별칭(歲時異名과別稱), 간지(干支)의 고칭(古稱) 세시이명(歲時異名)이란 서예 작품의 낙관 시에 작품의 완성시기를 연(年)월(月)순(旬,열흘)으로 구분표기하는 별칭 방법이다. 연도는 천간별칭(天干別稱)과 지지별칭(地支別稱)으로 구분하고, 월별(세시)과 순별(旬別,10일) 별칭으로 구분을 하여 1년 12달의 월(月)과 계절(季節)을 본 이름 외에 달리 표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의 월별 표기는 음력기준이고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요즘 서예작품들은 연도표시를 간지로 표기하여 쉽게 작품의 제작년도를 알 수 있다. 세시(歲時)는 매년 돌아오는 한 해 중의 특정한 시기를 일컫는 말로 흔히 '세시풍속(歲時風俗)' 할 때의 그 세시(歲時)를 말한다. / * 시시풍속 : 해마다 일.. 2021. 3. 30.
차건신 묘(차릉) - 부산 기장 신라 승상 차건신(車建申) 묘는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에 있다. 고분 차릉(車陵)은 연안차씨(車氏)와 문화류씨(柳氏)의 시조인 차건신 公(공)의 묘라 전한다. 차릉(車陵) : 차건신(車建申) = 차건갑(車建甲)의 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산72 집필자 : 이종봉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차건갑(車建甲)의 묘. [개설] 차릉(車陵)은 『연안 차씨 세보(延安車氏世譜)』에서 신라 소성왕(昭聖王)의 고명신(顧命臣)이던 차건갑, 혹은 차건신(車建申)의 무덤으로 설명하고 있다. 1985년 11월 7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158호로 지정되었다가, 기장군이 부산광역시로 이관되면서 1995년 3월 1일 해제되었다. 1963년 무덤을 단장하며 성균관장 의성(義城).. 2021. 3. 27.
부적 (符籍) 부적(符籍)은 종이에 글씨, 그림, 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액막이나 악귀, 잡신(雜神)을 쫓거나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주술적 도구이다. ◇ 천지개화(天地開化) 하늘을 가리던 구름이 걷히듯 막혔던 일이 술술 풀어지고 액운이 물러가며 좋은 일만 생기는 부적. ◇ 소원성취(所願成就) 본인이 간절하게 바라는 바가 있을 때 도와주는 부적. ◇ 수명장생(壽命張生) 오래 오래 잔병없이 살고, 삶의 질을 높이고. 마음을 다스려 행복하게 사는 부적. ◇ 재수대길(財數大吉) : 행운과 재수, 돈, 재물이 따르는 부적 ◇ 금강도액(金剛都厄) 일체의 잡귀가 침범하지 못하게 흉살을 눌러 심신을 보호하여 건강과 장수를 누리는 부적. 부적(符籍)은 악귀를 쫓고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어 글씨·그림·기호 등을 그린 종이를 가리키는 종.. 2021. 3. 24.
반야심경 금니사경(金泥寫經) - 大汕(대산) 惠鳳(혜봉) 스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금니사경(金泥寫經) 반야심경은 가장 넓고 큰 지혜로운 깨침에 이르는 불변의 진리를 기록한 불교 경전으로 - 반야는 지혜란 뜻이고 이 지혜는 우리가 생각할 수 없는 근본 이치로서의 최상의 지혜 - 바라밀다는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이며, 저 언덕이란 이상의 경지인 불도를 닦아 행한 곳을 의미 - 심은 본심, 본질이란 뜻으로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하고, - 경이란 성인이 설하신 불변의 진리를 기록한 책을 뜻한다. 그러므로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넓고 큰 지혜로써 부처님과 보살이 닦은 경지의 언덕에 이르는 근본이 되는 진리의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위 반야심경 사경은 1979년 9월 10일 우암정사(憂岩精舍) 선열당(禪悅堂) 건물의 축성을 축하하는 서사(書寫) 작품으로 대한.. 2021. 3. 23.
설흘산(雪屹山) - 남해 경남 남해군 남면 홍현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491m이다. 소흘산이라고도 불리며, 일출을 보는 경관이 아름다운 곳으로도 유명하고, 정상 부근에 봉수대(烽燧臺)가 있다. 설흘산(雪屹山)은 "눈 설(雪), 우뚝 솟을 흘(屹)"자를 쓰는데 소흘산(所屹山)으로 불리다가 설흘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소흘산(所屹山) 봉수대라는 기록이 있으나 설흘산(雪屹山)은 그 유래에 대해 전하는 이야기가 없어 궁금하다. 아마도 높은 산 봉우리에 쌓여 있는 눈(雪)의 모습을 보고 이름을 붙인 듯 보인다. 설흘산에서 내려다 보면 깊숙하게 들어온 앵강만이 한눈에 들어오고 서포 김만중의 유배지인 노도가 아늑하게 내려다 보인다. 인접하고 있는 전남 해안지역뿐만 아니라 한려수도의 아기자기한 작은 섬들도 조망할 수 .. 2021.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