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 예 방/전시,강암,해정 등

정조필 파초도, 국화도

by 연송 김환수 2020. 4. 14.

정조필 파초도 (正祖筆芭蕉圖)


보물 제743호인 정조필 파초도 (正祖筆芭蕉圖)는 보물 제744호인 정조필국화도(正祖筆菊花圖)와 재질이나 크기가 같아서 처음부터 쌍폭으로 그린 것으로 보인다.


  

정조필국화도(正祖筆菊花圖) 51.3 x 84.2cm. 종이에 수묵.

보물 제743호.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서화와 학문을 사랑한 정조의 면모와 남종화의 세계가 잘 드러나며, 조선시대 왕의 작품으로 가장 대표적이다.

바위 옆에 서 있는 한 그루의 파초를 묘사한 그림으로, 왼편 위쪽에 정조의 호인 ‘弘齋(홍재)’의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찍혀 있어 정조의 작품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비교적 단순한 주제를 다루었지만 균형잡힌 포치(布置), 은은히 풍기는 문자향(文字香), 농담을 달리한 세련된 묵법(墨法) 등이 돋보여 남종문인화의 높은 경지를 드러낸다. 기법적인 측면에서도 대단히 세련된 면모를 보여준다.

 

먹의 농담과 흑백 대조에 의하여 바위의 괴량감과 질감 및 파초잎의 변화감을 잘 표현하였다. 또한 농담을 달리하여 파초잎을 대강 나타낸 뒤 잎 가장자리에 꼬불꼬불한 선들을 덧대듯이 구사하여 마무리지은 기법도 몰골법(沒骨法)의 동체(胴體)와 함께 주목된다.

 

틀에 매이지 않은 방법으로 표현된 이 파초도는 서화와 학문을 사랑한 정조의 면모와 남종화의 세계를 잘 드러낸다. 조선시대 왕의 작품으로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정조필 "파초도"와 "국화도"는 쌍폭으로 간주 (여러폭의 병풍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

----------------------------------------------------------------------------------


정조필 국화도(正祖筆 菊花圖)


정조필 국화도(正祖筆 菊花圖)는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정조(재위 1776∼1800)가 그린 국화그림이다. 1982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44호로 지정되었다.

 

정조는 시와 글에 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정조필 국화도(正祖筆 菊花圖) 51.3 x 86.5cm. 종이에 수묵.

보물 제744호.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가로 51.3cm, 세로 86.5cm 크기의 이 그림은 화면 왼쪽에 치우쳐 그린 바위와 풀위에 세 방향으로 나 있는 세송이의 들국화를 그렸다. 돌과 꽃잎을 묽은 먹으로, 국화잎은 짙은 먹으로 표현하여 구별하였는데, 이러한 농담 및 강약의 조화를 통하여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보물 제743호로 지정되어 있는 「정조필 파초도(正祖筆 芭蕉圖)」와 쌍폭[對聯]으로 간주된다. 이 둘은 여러 폭으로 된 병풍에서 떨어져 나온 것일 수도 있다.

 

꾸밈이나 과장 없이 화면을 처리한 점은 다른 화가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파초도(보물 제743호)와 함께 몇 점 남지 않은 정조의 그림으로 회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파초(芭蕉)

 

파초과의 여러해살이식물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높이는 약 4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덩어리 모양을 이루고 땅 속에 있으며, 그곳에서부터 다수의 잎집이 서로 감싸면서 겹쳐져 얼핏보면 가지처럼 보이는 위경(僞莖)이 곧게 자란다.

 

꼭대기에 길이 2m, 너비 50cm 이상이나 되는 윤택한 잎이 사방으로 뻗는다. 꽃은 길이 6-7cm이며 여름에 잎 속에서 꽃줄기가 자라고, 잎 같은 포(苞) 안에 15개 정도의 꽃이 2줄로 달리며 꽃이피면 포가 떨어진다.

 

꽃은 6-9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꽃차례는 점점 자라면서 밑부분에 암꽃과 수꽃이 같이 피며 윗부분에 수꽃만 달린다. 꽃덮이는 상하 2부분이 되고, 윗부분은 5개의 돌기가 되며 밑부분의 것은 안꽃덮이 1개가 주머니처럼 되고 그 속에 꿀이 들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이 길고 암꽃에서 간혹 열매가 달린다. 대개 관엽식물로 많이 기르며, 잎은 이뇨제, 뿌리는 해열제, 섬유는 파초포와 제지원료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