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 학 방/기타성씨 연원

태인 허씨(泰仁許氏)의 연원

by 연송 김환수 2014. 7. 26.

태인 허씨(泰仁許氏)의 시조 허사문(許士文)은 수로왕비(首露王妃) 허황옥(許黃玉)의 30세손으로 전한다. 그는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부마(駙馬)였으며 시산군(詩山君ㆍ시산은 태인의 옛 지명)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태인허씨족보(泰仁許氏族譜)’에 의하면 그의 6세손 포(褒)가 고려 때 기천현령(奇川縣令)ㆍ풍해도 관찰사(豊海道觀察使) 등을 지낸 후 태산군(泰山君)에 봉해졌으며, 그로부터 위로 4대(四代)와 아래 2대(二代)가 실전(失傳)되어 포(褒)를 중조(中祖)로 삼고 본관을 태인(泰仁)으로 하여 예의전서(禮儀典書)를 역임한 잠(岑)을 일세조(一世祖)로 계대(繼代)하여 왔다.

 

                       ▲ 전북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이치마을 뒷산에 자리한 시조인 시산군(詩山君) 허사문(許士文)의 단비(壇碑).

한편 ‘태인허씨세보(泰仁許氏世譜)’에 의하면 태인 허씨(泰仁許氏)의 시조 허사문(許士文)이 양천 허씨(陽川許氏) 시조 허선문(許宣文)과 함께 고려 태조를 섬겨 공을 세웠고, 그의 큰아들 즙(楫ㆍ접이라고도 읽음)의 묘가 공암(孔巖ㆍ양천)에 있는 것으로 보아 허선문(許宣文)과 허사문(許士文)은 친형제로 생각되나 문헌이 없어서 상고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둘째아들 도(棹ㆍ이허겸)는 당나라 현종으로부터 공이 있어 성은 이(李), 이름은 허겸(許謙)으로 하사받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져서 인천 이씨(仁川李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 시조 허사문(許士文) 이하 11세까지의 단비(壇碑).

가문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허사문(許士文)의 후손으로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역임한 엄(儼)과 그의 아들로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하고 시산부원군(詩山府院君)에 봉해진 벽(壁)이 유명했다.  

 

                     ▲ 가문 중흥의 문을 연 12세 순평공(順平公) 허경(許慶)의 묘.
 

한편 고려 숙종(肅宗)과 예종(睿宗) 때 문학이 뛰어났고 청렴충직(淸廉忠直)하기로 이름난 경(慶)은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러 치사(致仕)했다. 그리고 그의 아들 6형제가 모두 관직에 올라 가문을 크게 중흥시켰는데, 큰아들 사인(斯仁)은 일찍 죽었고, 둘째 지재(止齋) 사문(斯文·지평공파)은 교리ㆍ지평 등을 지낸 뒤 고부(古阜)로 이거하였으며 사문(斯文)의 둘째 아들 곤원(昆元)이 다시 옥과(玉果)로 이주했다. 셋째 사의(斯義·생원공파)는 동복(同福)으로, 넷째 사행(斯行·직장공파)은 직장(直長)을 지내고 부안(扶安)으로, 다섯째 사효(斯孝·진안공파)는 진안현감을 지내고 고부(古阜)로, 여섯째 사제(斯悌·사평공파)는 사평(司評)을 지내고 금구(金溝)로 각각 이주하여 5파로 갈리었다고 한다.  

 

 

▲ 동상(東湘) 허진동(許震童)의 문집인 ‘동상집(東湘集)’과 그를 제향하던 전북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 유천서원(柳川書院)은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최근 새로 복원되었다.

진동(震童ㆍ1525~1610)은 자는 백기(伯起), 호는 동상(東湘)으로 지평(持平) 사문(斯文)의 현손(玄孫)이다. 아버지는 병절교위(秉節校尉) 강(剛)으로 사암(思庵) 박순(朴淳)의 생질이자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밝았다. 선조 5년(1572년) 문과 초시에 합격하였으나, 당시 그의 외숙(外叔)이자 스승인 박순이 등극하사(登極賀使)로서 명(明)나라에 들어가자, 그는 복시(覆試)에 응시하지 않고 중국의 문물을 관람하기 위하여 수행하여 ‘조천록(朝天錄)’을 남겼다. 선조 7년(1574년) 대신들의 특천(特薦)으로 사산감역(四山監役)에 임명되고, 그 뒤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ㆍ삼례찰방(參禮察訪)ㆍ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역임하였다

 

만년에는 벼슬에서 물러나 부안(扶安)의 변산(邊山) 우반동(愚磻洞)에 은거하였는데, 당시에 정여립(鄭汝立)이 찾아와 변산에 별장을 짓는다면서 그의 선산(先山)의 재목을 벌채해 쓰자고 요청하니, 그는 정여립의 사람됨을 미워하여 정색하고 거절하였다. 저서로 ‘동상집(東湘集)’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