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 학 방/성씨 연원(박)

태안 박씨(泰安朴氏)의 연원

by 연송 김환수 2014. 7. 25.

태안 박씨(泰安朴氏)의 시조 원의(元義)는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세자(世子)인 밀성대군(密城大君) 언침(彦枕)의 13세손으로, ‘태안박씨족보(泰安朴氏族譜)’에 의하면 그는 고려 때 삼사좌윤(三司左尹)을 지낸 을재(乙材)의 현손(玄孫)으로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올라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하고 나라에 공을 세워 태안부원군(泰安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원의(元義)를 일세조(一世祖)로 받들고 밀양 박씨(密陽朴氏)에서 분적(分籍)하여 태안(泰安)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

원의(元義)는 여덟 형제 중 여섯째인데, 슬하에 아들이 없어 형(白兄)인 세흥군(世興君) 원효(元孝ㆍ좌정승을 지냄)의 넷째 아들 희문(喜文)을 사자(嗣子)로 맞아 대(代)을 잇게 하였다. 희문(喜文)은 고려조에서 좌정승(左政丞)을 지내고 태원부원군(泰原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아들 보규(甫圭)가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고, 보규(甫圭)의 아들 학(謔)은 신호위 보승중랑장(神虎衛保勝中郞將)을, 손자 유(蓅)는 신호위 상장군(神虎衛上將軍)을 지내 가세(家勢)를 일으켰다.



 

상호군(上護軍) 인추(仁抽)의 아들 문거(文巨)가 뛰어나 순성부원군(蓴城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아들 비(悲)가 가문을 중흥시켰다. 송경(松京) 출신으로 고려 말에 문과(文科)에 급제한 비(悲)는 고흥감무(高興監務) 겸 권농병마단련판관(勸農兵馬團鍊判官)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처자(妻子)를 데리고 충청도 청산현 동면 대동리(靑山縣東面大同里)에 은거했으며, 조선조에서 신창(新昌)ㆍ예산현감(禮山縣監)에 임명하고 그를 불렀으나 끝내 거절하고 절의를 지켰다.

태안 박씨들은 대대로 개성에 살다가 비(斐) 때에 충청도 청산현(靑山縣)에 은거하게 되었는데, 조선조에서 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를 지낸 그의 아들 상덕(尙德)이 진주 정씨(晉州鄭氏)와 혼인하면서부터 진주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그 후 상덕(尙德)은 둘째아들 자주(自胄)에게 ‘너는 청산(靑山)으로 가서 선영을 받들라’ 하여 자주(自胄)는 청산(靑山)에 남게 되었다. 이 때부터 후손이 진주(晉州)와 청산(靑山)에 분거하여 진주파(晉州派)ㆍ청산파(靑山派)로 갈라졌고, 자주(自胄)의 둘째아들 일종(一宗)이 정읍(井邑)으로 이거하여 다시 정읍파(井邑派)를 이루어 3파로 나뉘어졌다.

상덕(尙德)의 아들 3형제 중 맏아들 자유가 김해교수(金海敎授)를 지냈으며, 둘째 자주(自胄)는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판사(訓練院判事)를 역임했다. 그 외 연천현감(蓮川縣監)을 지낸 안종(安宗ㆍ안릉참봉 세훈의 맏아들)과 청풍군수(淸風郡守) 안방(安邦) 형제가 유명했다.

▲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ㆍ김천일(金千鎰) 등 39위를 제향하기 위해 진주시 남성동 진주공원내에 세운 창렬사(彰烈祠ㆍ경남문화재자료 제5호)에는 박안도(朴安道)도 배향되어 있다.

 

 

 

세적(世勣)의 아들 안도(安道ㆍ?∼1593)는 자는 진경(眞卿)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향의 선비인 유함(兪晗)ㆍ이욱(李郁)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자 많은 사람들이 합세하였다. 모두가 그를 대장으로 추대하려 하였지만 유함(兪晗)에게 미루고 자신은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군무를 정돈하며, 여러 곳으로 옮겨다니면서 군의 사기를 높였다. 이듬해 적들이 서울에서 철수하여 남하하면서 많은 병력을 진주성으로 집결하여, 지난해의 진주성(晋州城) 참패를 복수하려 하였다. 그는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최경회(崔慶會), 충청병사 황진(黃進) 등 여러 장군들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10일간의 대격전 끝에 성이 함락되자, 최경회(崔慶會) 등 여러 장군들과 함께 남강(南江)에 몸을 던져 순국하였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추록되고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증직되었으며, 최경회(崔慶會)ㆍ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진주(晋州)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 1799년 서계(西溪) 박태무(朴泰茂)가 간행한 능허(凌虛) 박민(朴敏)의 문집인 ‘능허집(凌虛集)’.

 ▲ 경남 진주시 내동면에 자리한 능허(凌虛) 박민(朴敏)의 묘.

상덕(尙德)의 증손자 민(敏ㆍ1566~1630)은 자는 행원(行遠), 호는 능허(凌虛)로 스승 정구(鄭逑)는 그의 기국이 충후함을 인정하여 제자들에게 그를 스승으로 삼을 것을 말하고는 하였다. 그뒤 장현광(張顯光)을 만나 역리(易理)를 의논할 때 장현광(張顯光)은 그의 높은 학문에 감탄하였다. 또한 정인홍(鄭仁弘)을 만나보고 스승인 정구(鄭逑)에게 정인홍(鄭仁弘)을 멀리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모두 그의 말을 믿지 않을 뿐 아니라 도리어 그를 못마땅히 여기게 되었다. 인조반정 후 진사(進士)가 되었고, 이원익(李元翼)이 천거하였으나 등용되지 못하였고,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주군(州郡)이 창의(倡義)하여 그를 강우의병장(江右義兵將)으로 추대하였다. 이에 의병을 거느리고 상주에 이르렀으나 화의가 성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되돌아갔다. 기자헌(奇自獻)이 그에게 시 한 수를 지어 주었는데, “천지에 눈보라치니 모든 풀은 시들었는데 그대의 마음은 대나무같이 푸르도다”라고 하여 그의 굳은 절의를 나타냈다. 죽은 뒤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었고, 진주 정강서원(鼎岡書院)과 정산(鼎山) 향현사(鄕賢祀)에 제향되었다.



 

 

 

 ▲ (上)홍수로 유실되고 그 터만 남아 있는 서계(西溪) 박태무(朴泰茂)가 생전에 찾아 시를 읊조린 침류정(진주시 내동면 삼계리)과 서계선생문집(西溪先生文集). (下)진주시 내동면에 자리한 박태무(朴泰茂)의 묘.

민(敏)의 증손인 태무(泰茂ㆍ1677~1756)는 자는 춘경(春卿), 호는 서계(西溪), 하정(河瀞)의 문인으로 아버지는 황해도 수군절도사(黃海道水軍節度使) 창윤(昌潤)이다. 19세에 향시에 장원(壯元)하였으나 그 일이 시험관이 사정을 둠으로써 이루어진 일임을 알고는 시권(試券)을 받아 불살라 버렸다. 시험관이 어떤 이유에서 그의 시권을 찾아 장원에 올려 놓았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서계는 이 사실을 매우 부끄럽게 생각해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숙종 22년(1696년)부터 진주(晉州) 남내동(南柰洞) 지계(芝溪) 서쪽에 서계서실(西溪書室)을 짓고, 이곳에서 독서를 업으로 삼았다. 중년에 부친의 권유로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이인좌(李麟佐) 등의 무신난변(戊申亂變) 토적((討賊)에 양곡 수백 석을 군량으로 지원하고 가정(家丁) 100여 명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썼다. 이의 공으로 포상코자 하였으나 사양하였고, 수직(壽職)의 벼슬도 거절하였다. 만년에 이르러서는 믿고 따르는 이가 날로 많아지자 이에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증손(增損)하고, 퇴계(退溪)의 향약(鄕約)까지 참고해 새로이 ‘동약(洞約)’을 만들어 인근에 실시케 하면서 편술(編述)에 진력해 많은 저술을 남겼다.



 

 ▲ 눌암(訥菴) 박지서(朴旨瑞)의 시문집인 ‘눌암집(訥菴集)’.

 

지서(旨瑞ㆍ1754~1819)는 자는 국정(國禎), 호는 눌암(訥菴)으로 민(敏)의 후손이다. 5세 때부터 조부인 연재(蓮齋) 박정원(朴挺元)에게서 공부를 배웠고, 또 종숙인 석포(石浦) 박명기(朴孟夔)에게서도 성리학 등을 착실하게 공부했다. 9세 때 부친상을 당했는데, 상을 치르는 것이 일반 성인과 같았으며, 아버지를 따라 자결하려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음식을 들게 하고 병을 낫게 하여 천수를 다 누리도록 하기도 했다.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회시에는 합격하지 못했고, 이때 과거가 사람에게 누를 끼친다고 생각하여 과거를 포기하고 마음을 수양하는 공부에 전념하였다. 21세 때 실학자인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을 광주(廣州)의 광릉산(廣陵山) 속으로 찾아가 심경(心經) 중 의문 나는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하였다. 1799년 정조가 영남의 선현들의 업적을 편찬하도록 명령했는데, 유림에서 네 사람을 추천하여 그 일을 관장하도록 했다. 이때 그는 당시 상주에 살던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와 함께 추천되었다. 1811년 홍경래가 난을 일으키자 울분을 이기지 못하여 도내 각지의 선비들에게 보내는 격문을 지어 창의하려고 했었는데, 난이 진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그만두었다.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서 지내면서 지역의 유림 일을 주도적으로 관장했으며, 진주 정강서원(鼎岡書院)에 추향(追享)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