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 학 방/성씨 연원(이)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연원

by 연송 김환수 2014. 7. 25.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연원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시조 이상(李尙)은 고려 고종조에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오른 인물이다. ‘을축보(乙丑譜)’에는 그의 선계(先系) 등에 관한 내용은 없고, 다만 범례(凡例)편에 파산군(巴山君)이 처음으로 봉작(封爵)되었으므로 그를 시조로 한다는 내용만 적혀 있다.

따라서 함안 이씨의 상계(上系)가 일반적으로 원조(遠祖) 위위시주부동정(衛尉寺主簿同正) 이원서(李元敍)로부터 시작되어 이탕취(李湯就)ㆍ이광주(李光柱)ㆍ이용기(李龍起)로 이어져 이상(李尙)으로 내려왔다고 알려져 있으나, 상계가 실전되어 상고할 수 없다. 그래서 파산군(巴山君)으로 수봉(受封)된 이상(李尙)을 시조로 삼고, 파산(巴山)은 함안(咸安)의 옛 이름이라 함안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잇고 있다.

▲ 경남 고성군 마암면 설마리 위계서원(葦溪書院) 내에 세워진 실묘(失墓)한 1~5세 선조제단비.

시조 이상(李尙)의 장남 청(淸)은 문하시랑 평장사(文下侍郞平章事)를 지냈고, 차남 원(源)은 충선왕(忠宣王) 때 총랑(摠郞)을 거쳐 충청도 안렴사(忠淸道按廉使)를 지내고 뒤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이 두 형제파가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다.


계파로는 경력공파(經歷公派)ㆍ계공랑공파(啓功郞公派)ㆍ국헌공파(菊軒公派)ㆍ금위공파(禁衛公派)ㆍ둔재공파(遯齋公派)ㆍ매헌공파(梅軒公派)ㆍ부여공파(扶餘公派)ㆍ부윤공파(府尹公派)ㆍ선무랑공파(宣務郞公派)ㆍ성재공파(惺齋公派)ㆍ송암공파(松菴公派)ㆍ수사공파(水使公派)ㆍ신천공파(新川公派)ㆍ예천공파(醴泉公派)ㆍ오헌공파(梧軒公派)ㆍ운포공파(雲圃公派)ㆍ월암공파(月菴公派)ㆍ이천공파(伊川公派)ㆍ전경재공파(展敬齋公派)ㆍ주부공파(主簿公派)ㆍ진사공파(進士公派)ㆍ참봉공파(參奉公派)ㆍ충순공파(忠順公派)ㆍ판사공파(判事公派)ㆍ행헌공파(杏軒公派)ㆍ홍의공파(弘儀公派)ㆍ황피공파(篁陂公派)로 분파되었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에 자리한 충렬공(忠烈公) 이방실(李芳實ㆍ경기도기념물 제5호)의 묘와 1986년 건립된 재사인 충렬사(忠烈祠)

원(源)의 아들 방실(芳實ㆍ?~1362)은 어려서부터 힘이 세고 용모가 출중했으며 용맹스러웠다고 전해오고는 있으나, 생후 42년간의 행적에 대해서는 문헌기록이 없어 자세한 내용을 고찰할 수 없다. 42세 되던 1346년 태자 혼(昕ㆍ후일 충목왕이 됨)이 볼모가 되어 원(元)나라에 갔을 때 극진히 호종(扈從)한 공으로 중랑장(中郞將)에 이어 호군(護軍)에 올랐으며, 아울러 전(田) 100결(結)도 받았다. 공민왕 3년(1354년) 대호군(大護軍)이 되어 용주(龍州)의 군사를 이끌고 선성(宣城)에서 민란을 일으킨 다루가치(達魯花赤) 노연상(魯連祥) 부자를 쳐서 진압하였다. 1359년 위평장(僞平章) 모거경(毛居敬) 등의 홍건적이 4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의주ㆍ정주(靜州 등을 함락한 뒤 인주(麟州)에서 웅거하자 안우(安祐)ㆍ이음(李蔭)ㆍ이인우(李仁祐) 등과 함께 철주(鐵州)에서 이를 격퇴,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에 봉해지고 추밀원부사(樞密院副l使)에 올랐다.

뒤에 홍건적(紅巾賊)이 다시 70여 척의 배로 서해도(西海道)에 침입하자 이를 물리친 공으로 옥대(玉帶)를 하사받았고, 1361년 20여 만의 홍건적이 침입하자 도지휘사(都指揮使)로서 안우(安祐)ㆍ김득배(金得培) 등과 함께 개주(价州)와 연주(延州) 등지에서 적을 요격했으나 참패해 개경(開京ㆍ開城)이 함락되었다. 다음해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가 되어 총병관 정세운(鄭世雲)ㆍ최영(崔瑩) 등과 함께 20만의 대군으로 포위, 적을 섬멸하고 잔적을 압록강 밖으로 격퇴하였으나 안우(安祐)ㆍ김득배(金得培) 등과 함께 김용(金鏞)에게 살해되었다. 공양왕 때 충렬(忠烈)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조선 문종 2년(1452년) 고려의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 경남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에 자리한 충렬공(忠烈公) 이방실(李芳實)의 사우(祠宇)인 남강서원(南岡書院)과 유허비.

미(美)는 호는 창강(滄江)으로 단종 1년(1453년) 문과에 급제해 진해(鎭海)에 부임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이름났고, 여러 관직을 거쳐 대사성(大司成)에 이르렀다.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시호(諡號)는 사간(思簡)으로, 그의 아들 4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5부자 6급제(五父子六及弟)’ 집안으로 명성을 떨쳤다.

미(美)의 장남 인형(仁亨ㆍ1436∼1497)은 자는 공부(公夫), 호는 매헌(梅軒)으로 김종직(金宗直)의 사돈이자 문인이다. 세조 1년(1455년) 진사시에 합격한 뒤 세조 14년(1468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홍문관(弘文館)에 들어가 부교리(副校理)ㆍ응교(應敎) 등을 역임하면서 경서정리와 사적관리에 힘썼다. 그뒤 여러 관직을 지낸 뒤, 1492년에 종부시정(宗簿寺正)을 역임하였다. 이어 연산군 1년(1495년)에는 대사간(大司諫)이 되어 간관으로 활약하였으며, 1497년에는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과 우윤(右尹)을 역임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1498년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된 유생들의 구명을 주동한 것이 문제가 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했으나, 중종 1년(1506년) 신원(伸寃)되고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고성의 위계서원(葦溪書院)에 제향되었다.

▲ 경남 진주시 진성면 온수리에 자리한 이인형(李仁亨)의 사우(祠宇)인 온천정사(溫泉精舍).

인형(仁亨)의 셋째 아들 영(翎)은 자는 여익(汝翼), 호는 성재(惺齋)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중종 14년(1519년) 현량과(賢良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이 해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스승 조광조(趙光祖)를 구하려다 화(禍)를 당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다.


인형(仁亨)의 동생 의형(義亨ㆍ1442∼1495)은 자는 용보(勇甫), 호는 행헌(杏軒)으로 세조 11년(1465년) 진사가 되었고, 형 인형과 더불어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생이 되어 면학에 힘써 경전(經典)에 조예가 깊었다. 1466년 세조 어전(御前)에서 오기(吳起)가 지은 ‘오자병서(吳子兵書)’를 강의하였는데, 그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여 군직(軍職)을 특서(特敍)하고, 시위(侍衛)ㆍ전령(傳令)ㆍ부신(符信)을 출납하는 선전관을 겸직하게 되었으며, 이어 경상어사(慶尙御史)에 임명되었다. 세조는 의형(義亨)과 문과에 장원급제한 그의 형 인형(仁亨)을 궁중에 불러들여 은혜가 두터운 대우를 베풀었고, 중앙과 지방의 관청의 직무를 자문하였다. 성종 8년(1477년) 창평군수로 있을 때 문과에 병과로 등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1482년 집의(執義)가 되었다.

 

 

▲ 경남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 자리한 이인형ㆍ이의형ㆍ이영ㆍ이현ㆍ이허ㆍ이응성을 추모하기 위해 1844년 세운 위계서원(葦溪書院ㆍ경남문화재자료 제38호).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훼철되었다가 1966년 다시 세웠다.

▲ 양간공(襄簡公) 이세응(李世應)의 필사본 ‘안재역설(安齋易說)’.?

 

세응(世應ㆍ1473∼1528)은 자는 공보(公輔)ㆍ국보(國輔), 호는 안재(安齋)ㆍ수옹(睡翁)으로 아버지는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을 지낸 계통(季通)이다. 연산군 2년(1496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연산군 7년(150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장악원 직장(掌樂院直長)이 되었다. 그 뒤 정언ㆍ이조좌랑을 거쳐 의정부 검상(檢詳) 및 사인(舍人) 등의 요직을 지내고,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으로 함양군(咸陽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사간(司諫)이 되어 횡포가 심한 권신 유자광(柳子光)을 탄핵하여 보낼 정도로 기개가 당당하였다.


중종 5년(1510년) 이후 병조참지(兵曺參知)ㆍ부승지ㆍ첨지중추부사ㆍ판결사(判決事)ㆍ우부승지 등을 지냈다. 충청도 관찰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 충청도와 경상도 세곡(稅穀)의 집산지인 충주에 창고가 없어서 수납한 세곡을 한지에 쌓아 두어 보관에 어려움이 따르자, 경상도 관찰사 김안국(金安國)과 의논한 뒤 조정에 건의하여 폐허가 된 절의 재목을 모아 총 70칸 규모의 가흥창(可興倉ㆍ지금의 충북 중원 남한강변)을 축조했다. 1518년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그 뒤 전라도 관찰사ㆍ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거쳐 평안도 관찰사로 재임 중 병사하였다. 시호는 양간(襄簡).

▲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신이 되었던 양간공(襄簡公) 이세응(李世應)의 묘.


달(達ㆍ1561~1618)은 자는 명숙(明淑), 호는 운포(雲圃), 의형(義亨)의 현손으로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문무를 겸비하였으며,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固城)에서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 곽재우(郭再祐)ㆍ최강(崔堈) 등과 포위된 진주성(晉州城) 방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워 훈련원정(訓鍊院正)에 올랐다. 이어 권무과(勸武科)에 급제하여 광해군 6년(1614년)에 양산군수로 있다가 선전관(宣傳官)에 임명되어 상경하던 중, 폐모론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일부러 말에서 떨어져 팔이 부러졌다는 핑계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해 삼도통제우후(三道統制虞侯)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615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으며, 도산서원(道山書院)에 제향되었다.

▲ 운포(雲圃) 이달(李達)을 제향하는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철산정사(鐵山精舍)와 실기인 운포실기(雲圃實記)와 유묵 및 교지.

응성(應星ㆍ1574~1634)은 자는 추보(樞甫), 호는 신천(新川), 아버지는 생원 언(彦)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웠으며, 1609년 광해군 즉위를 경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던 증광별시무과(增廣別試武科)에 급제한 뒤 고원군수(高原郡守)로 나가 치적을 올렸다. 사람들의 무고로 파직되어 서울로 압송되었으나, 읍민이 풀어 주기를 청하여 고원군수로 다시 등용되었다. 그런데 임지로 돌아가던 도중 문천에서, 유배소에서 죽은 이항복(李恒福)의 유해가 당도하였다는 말을 듣고 급히 달려가 분향한 것이 조정에 알려져 해직된 뒤 관직에 오르지 못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고성의 위계서원(葦溪書院)에 제향되었다.


그 밖에 인물로는 세응(世應)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임(霖)과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공을 세운 왕(旺) 등이 대표적이며, 굉(?)은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으로 이름을 날려 함안 이씨를 더욱 빛낸 인물이다.
클릭하시면 큰 계보도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