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 학 방/성씨 연원(김)

청주 김씨(淸州金氏)의 연원

by 연송 김환수 2014. 7. 25.

청주 김씨(淸州金氏)의 연원
 

청주 김씨(淸州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본관(本貫)을 같이하면서 시조(始祖)를 달리하는 세 계통이 있다.

이를 계통별로 분류하면 첫째 계통은 경순왕의 여섯째 아들 김정(金錠)을 시조로 하고, 10세손인 보(甫)를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보(甫)는 고려에서 금오위대장군(金五衛大將軍)을 거쳐 상락백(上洛伯)에 봉해지고 청주의 구봉산(九峰山) 밑에 은거하여 후손들이 그를 일세조로 계대(繼代)하고 있다. 그러나 경순왕의 여섯째 아들은 강릉군(江陵君)에 봉해진 김건(金鍵)이 분명하므로 이를 정확히 고증할 문헌이 없다.

보(甫)는 예(藝)ㆍ전(篆)ㆍ양(襄) 3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 예(藝)가 함경도(咸鏡道) 북청(北靑)에 입주(入住)하여 그 후손들이 그곳에서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보(甫)의 둘째 아들 전(篆)은 고려조에서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으며, 그의 손자 린(麟)은 함경도 관찰사를 지내고 태종 때 좌찬성(左贊成)에 오르고 정사공신(定社公臣)으로 책록되었으나 간신의 무고로 치사하고 장흥으로 낙향하였다. 린(麟)의 네 아들에서 각각 장흥파(長興派ㆍ始生)ㆍ김포파(金浦派ㆍ乃生)ㆍ동령파(東嶺派ㆍ又生)ㆍ강진파(康津派ㆍ甫生)로 분파(分派)되었으며, 린(麟)은 청주 김씨 호남파(湖南派)의 중시조(中始祖)가 된다.

다른 한 계통은 김방경(金方慶ㆍ구안동 김씨 중시조)의 증손 김천(金薦)의 아들 사의(士儀)가 고려 말에 벼슬을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관직을 버리고 청주(淸州)에 은거(隱居)하였는데, 그의 후손 하통(夏通)이 함경도 함흥(咸興)으로 이거하여 살면서 조상의 원향지(原鄕地)인 청주(淸州)를 본관(本貫)으로 하고, 하통(夏通)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마지막 한 계통은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 언양군(彦陽君) 김선(金鐥)의 15세손(언양 김씨 족보에는 18세손으로 기록되었음) 김사지(金四知)이다. 사지(四知)는 청주(淸州)에 토착한 토족으로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좌랑(佐郞)ㆍ전적(典籍)을 거쳐 참의(參議)에 올랐는데, 연산군 4년(1498년)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함경도 홍원(洪原)으로 유배되어 그곳에 살면서 조상의 전세거지(前世居地)인 청주(淸州)를 본관(本貫)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세 계통을 정확하게 상고할만한 문헌이 없다.

 

▲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활약한 김억추 장군의 충정을 기리는 사당인 금강사.

청주 김씨의 대표적인 인물인 억추(億秋ㆍ1548∼1618)는 자는 방로(邦老)로 명종 3년(1548년) 전남 강진군 작천면 박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증 병조판서 충정(忠貞)이다. 선조 10년(1577년) 알성무과(謁聖武科)에 응시하여 무게가 96근이나 되는 활을 당겨 과녁을 모두 명중시키자 선조가 병조참판이던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시켜 이를 기념하는 표지석을 훈련원에 세워 ‘김억추석’이라 부르게 하였다.

무이만호(撫夷萬戶)가 되어 북변에서 전공을 세웠고, 제주판관(濟州判官)ㆍ사복시판관, 진산(珍山)ㆍ순창(淳昌) 등의 현감을 지냈다. 순창군수로 재임하던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김억추를 방어사(防禦使)로 임명했고 밤을 가리지 않고 말을 급하게 몰아 평안도에 당도하여 대동강을 지켰다. 이 때의 공으로 일시 안주목사(安州牧使)에 발탁되었으나, 허위보고를 하고 군율을 어겼다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삭직당하였다. 이후 계속 주사장(舟師將)으로 대동강을 지키다가, 여주목사(驪州牧使)가 되었으나, 맡은 직무를 잘못 처리하여 교체되었다.

1594년 만포진첨절제사(滿浦鎭僉節制使)가 되었으나, 탐비(貪鄙ㆍ탐욕스럽고 비루함)하다는 사간원(司諫院)의 탄핵으로 또 교체되었다. 다음해에 다시 만포진첨절제사(滿浦鎭僉節制使)에 임명되었다가 곧 진주목사로 승진되었지만 무능한 무관이 큰 고을의 목민관이 될 수 없다는 대간의 반대로 고령진첨절제사(高嶺鎭僉節制使)로 교체되었다. 1597년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전사한 이억기(李億祺)의 후임으로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었고, 일시 부장 겸 조방장(副將兼助防將)으로 명나라군에 배속되기도 하였으나, 이후 주로 전라수군절도사로 활약하였다.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을 따라 명량해전(鳴梁海戰)에서 많은 공을 세웠으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亂中日記)’에는 “만호(萬戶)에나 맞지 대장의 재목이 못되는 인물이며 좌의정 김응남(金應南)의 천거로 억지로 임명되어 개탄스럽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울두목[鳴浪]싸움에서 “김억추가 탄 배는 멀리 도망쳐 가물가물거린다”고 기록하였다.

 

 

▲ (左)비변사에서 청한 적전에서 도망친 김억추를 조치하라는 기록(선조 25년 8월 12일)과 사헌부에서 청한 김억추가 불법를 저지르다 잡혔으니 파직하라는 기록(선조 27년 3월 12일)이 실린 조선왕조실록. (右)전남 강진군 작천면 평기리에 세워진 김억추신도비.

그 뒤 밀양부사를 거쳐서 광해군 즉위년(1608년)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가 되었다가 3년 후 제주목사에 제수되었다. 그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 강진군 박산마을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내다가 71세에 사망하였다. 선무원공신일등(宣武原功臣一等)의 호성원종공신일등(扈聖原從功臣一等)에 기록되고, 사후에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현무(縣武)의 시호를 받았다.

현재 박산의 아랫마을인 양지쪽에는 그가 만년을 보내던 집이 남아 있으며, 소년시절 궁술을 연마하던 바르메산이 있는데 이곳에서 병영의 수인산(修仁山)을 향해 활시위를 당기면 어김없이 노적봉 바위에 꽂혔다고 한다. 조선 정조 24년(1800년) 도내 유림들의 발의로 충무공 이순신과 현무공(顯武公) 억추(億秋)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금강사(지방기념물 제91호)란 사우를 창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