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사주학)/풍수이야기

현충원 꼭대기, 천하명당일까? - 화장사(호국지장사)

by 연송 김환수 2013. 6. 15.

 

현충원 꼭대기, 천하명당일까 ?

 

25화장사(호국지장사)

 

 

데스크승인 2013.03.13 15:27:06

탁효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선조부터 순종까지 14명의 왕 배출

 

명당여부, 5년 뒤 역사가 가려줄 것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에 출마했을 당시, 방귀 꽤나 뀐다는 풍수가들은 저마다 박정희 대통령 묘역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있는 박정희 대통령의 묘역이 왕을 배출할 자리인가 아닌가, 그것이 핵심이었다.

 

이때마다 반드시 거론되는 또 한명의 인물이 있었으니, 바로 중종 후궁 창빈안씨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묘가 국립현충원에서도 창빈안씨의 묘 바로 옆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창빈안씨는 살아생전 숙용안씨였다. 안씨가 죽은 뒤에 창빈으로 승격된 것은 그의 손자 하성군이 선조가 되었기 때문이다.

 

창빈의 묘는 이미 조선시대부터 명당 발복(明堂發福)’이라고 소문이 난 곳이었다. 관악산 공작봉에서 내려온 산줄기가 한강수에 가로막혀 더 이상 기운이 나가지 못하는 지점이 국립현충원 자리인데, 그 맨 꼭대기에 창빈안씨 묘소가 위치해 있다.

 

창빈안씨의 혈통을 이어받은 왕손들이 조선후기 왕조를 계승했으니, 이 자리에서 배출된 왕은 선조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14명에 이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곳이 결코 명당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풍수가들은 창빈의 묘를 흉지 중의 흉지라고 설명한다. 청룡과 백호가 입을 벌리고 있는데다, 이곳의 기운을 막아주어야 할 내당수가 한강으로 직선으로 빠지고 있어, 그 영향으로 인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발발했고, 광해군은 왕위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

 

선조는 중종의 후궁 창빈안씨의 소생인 덕흥군의 셋째 아들이었다. 이처럼 적통도 아니고, 서열 1순위도 아닌 방계 왕손이 보위에 오른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후사가 없던 명종은 살아생전 조카들을 눈 여겨 보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총애하던 왕손이 덕흥군의 아들 하성군이었다.

 

어느 날 하루는 명종이 왕친의 자제들을 궁궐에 불러 모아놓고 왕이 쓰는 익선관을 내놓았다. 조카들에게 익선관을 써보라고 하자 저마다 머리에 맞는지 안 맞는지 올려보고 있는데, 가장 나이가 어린 하성군은 머리에 쓰려다 말고 익선관을 내려놓았다.

 

명종이 왜 그러냐고 묻자, “이것이 어찌 신하된 자가 쓸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라고 답하는 것이 아닌가. 하성군의 영특함을 일찌감치 알아본 명종은 임종 직전 하성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겠다는 유언을 남겼다.

 

방계 왕자로 왕위에 오른 선조는 자신의 아버지와 할머니를 추숭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위차를 중시하는 유교식 방법으로는 추숭이 거의 불가능했다. 종통 상으로 볼 때 선조는 덕흥군의 뒤를 이은 것이 아니라 명종의 뒤를 이은 것이기 때문이었다.

 

선조가 자신의 할머니와 아버지를 추숭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불교식 추숭, 즉 원당의 설치였다. 선조는 살아생전 숙용이었던 할머니 안씨를 창빈으로 추숭하는 한편 창빈묘 부근에 위치한 갈궁사를 화장사로 개칭하고 창빈의 원당으로 삼았다. 이 절이 현재 국립현충원 안에 위치한 호국지장사이다.

 

선조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양분된다. 조선 최대의 국란을 불러온 무능한 임금, 붕당정치를 조장해 국가를 양분시킨 장본인이라는 평가가 있는 반면 스스로 방계 출신이었던 만큼 훈척세력 대신 뛰어난 유학자들을 등용함으로써 사림정치를 본격화한 학자적 군주라는 평가 또한 받고 있다.

 

그렇다면 공작봉이 배출한 또 한 명의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어떠할 것인가.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으로 인해 국립현충원 꼭대기가 왕을 배출하는 명당임은 다시 한 번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 자리가 수승한 왕을 배출하는 자리인지, 백성을 도탄에 빠트릴 왕을 배출하는 자리인지는 5년 뒤의 역사가 답해줄 것이다.

 

[불교신문 2895/2013313일자]

 

-----------------------------------------------------

 

화장사 (華藏寺)

 

이칭별칭 : 호국지장사(護國地藏寺), 갈궁사(葛宮寺)

유형 : 유적

시대 : 고려

성격 : , 사찰

건립시기/연도 : 14세기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묘지 안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며, 호국지장사(護國地藏寺)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 때 보인대사(寶印大師)가 창건하였으며, 1577(선조 10) 선조가 묘를 쓰면서 이 절을 창빈의 원찰로 삼아 갈궁사(葛宮寺)라고 하였다.

 

선조는 이 절을 중창하고 조포사찰로 지정하여 해마다 포백(布帛)을 내렸다. 그뒤 1661(현종 2)의 중수를 거쳐 1862(철종 13) 운담(雲潭)과 경해(鏡海)가 중건하였는데, 이때 경해가 상축문을 봉안하였다. 1870(고종 7) 운담과 경해가 경파루(鏡波樓)를 세웠고, 1878년 주지 서월(瑞月)과 도감 경해가 큰 방을 중수하였으며, 1896년 계향(戒香)이 칠성각(七星閣)을 신축하였다. 1920년 원옹(圓翁)과 명진(明眞)이 큰 방을 중수하였고, 1936년 주지 유영송(劉永松)이 능인전(能仁殿)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종각·선실(禪室대방·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과 대방·요사채는 혜명(慧明)3년 만에 이룩한 건물이다. 이승만(李承晩)이 대통령시절 이 절에 들렀다가 절이 없으면 내가 묻히고 싶은 땅이라 한 곳이며, 설화로는 선조 때의 중신 이항복(李恒福)과 이덕형(李德馨)이 이절에서 과거공부를 하고 있을 때 변소의 측신(厠神)이 두 소년의 아랫도리를 움켜잡고 대감이라 불러서 장차 대감이 될 것을 알려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198377일부터는 호국지장사(護國地藏寺)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삼성각·종각·선실 등이 있다. 대웅전 내에 있는 철불좌상은 높이 98cm, 70cm의 크기의 철불로 고려시대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다. 이 철불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옛날 한강에 사는 한 어부가 꿈을 꾸었는데 꿈에 불상이 나타나 빛을 보게 해달라고 하며 자신의 위치를 가르쳐 주었다. 다음날 어부가 그곳에 가보니 불상이 녹슨 채 있었고 어부는 그 불상을 가져와 깨끗이 닦아 집에 모셔두었다. 그러나 그후로 고기가 잡히지 않고 나쁜 일만 계속되자 어부는 불상을 화장사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