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산김씨 족보

연성성보(蓮城姓譜)

by 연송 김환수 2013. 6. 6.

 

 연성성보(蓮城姓譜)

 

안산의 세거성씨에 대해 잘 기록된 문헌은 『연성성보』가 있다.

연성은 안산의 별호로 옛 안산 지역에 사는 성씨를 종합한 족보이다.

 

1857년(철종 8) 처음 편찬한 이래 1878년에 개수증보된 것을 1984년 다시 증보 간행하였다.

 

여기에서는 모두 50개 성씨의 73개 문중을 다루고 있으며 옛 안산군 지역(수암, 군자 지역)만을 다루고 있다.

 

 

 

 

  

         연성성보(갑자보)단 蓮城姓譜(甲子譜)單

 

          발행일 : 1984.12.25

          저 자 : 연성서보수보편찬위원회

          총페이지 : 720페이지

 

 

[정의]

1857년 강재홍이 경기도 안산 지역 50여개 세거 성씨를 수록한 책.

 

강재홍 (姜在鴻)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유생.


본관은 진주. 자는 우경(羽卿), 호는 청천(菁川). 할아버지는 강현구(姜鉉九), 아버지는 강규환(姜奎煥)이다. 강재홍은 1835년 안산에서 태어났다.


강재홍은 향리에 우거하면서 많은 문집을 남겼으며, 향리에 세거하고 있는 성씨들의 족보인 『연성성보(蓮城姓譜)』의 정사보(丁巳譜)와 무인보(戊寅譜)를 편집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부한정(富閑亭) 윗편에 있다.

 

 

 


[편찬/발간 경위]


『연성성보』는 1857년 진주강씨 강재홍(姜在鴻)이 시흥군 수암면과 군자면에 거주하던 73개 가문의 50여개 세거 성씨를 수록한 책이다.

당시 강재홍이 필사본으로 12부를 간행하였고, 1878년 재간하여 여러 문중에서 소장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대부분이 소실되어, 언양김씨 김찬(金燦)이 소장하고 있던 유일본을 1984년 양장본으로 영인하였다.

양장본(洋裝本) : 서양식으로 장정한 책.

양장(洋裝) : <출판> 책을 장정(裝幀)하는 방법의 하나. 철사나 실로 꿰매고 두꺼운 종이나 헝겊,

                       가죽 따위를 싸 붙인다.

백상지(白上紙) :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한 흰 종이. 양장본 책의 본문 용지로 많이 쓰며,

                        필기용으로도 쓴다.

영인(影印) : 인쇄물의 원본을 사진으로 복사하여 인쇄하는 일.

장정(裝幀/裝訂)  : 책의 겉장이나 면지(面紙), 도안, 색채, 싸개 따위의 겉모양을 꾸밈. 또는 그런 꾸밈새.


[구성/내용]


서문과 간행사, 목차, 범례에 이어 구연성성보(舊蓮城姓譜) 서문, 성씨보(姓氏譜) 서문, 신라선원선계도(新羅璿源先系圖), 선원이씨선계도(璿源李氏先系圖), 구 안산군 지도와 발문, 부록 등이 들어 있다.


한자

蓮城姓譜

영어음역

Yeonseongseongb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현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조선시대사

성격

성씨집

관련인물

강재홍

편자

강재홍

간행자

강재홍

저술연도/일시

1857년

간행연도/일시

1857년

권수

1권

책수

1책

사용활자

필사본

표제

蓮城姓譜

 

세거 성씨의 경우 전주이씨(全州李氏) 13개 파, 덕수이씨(德水李氏), 여주이씨(驪州李氏), 평창이씨(平昌李氏), 전의이씨(全義李氏), 신평이씨(新平李氏), 한산이씨(韓山李氏), 성주이씨(星州李氏), 연안이씨(延安李氏), 용인이씨(龍仁李氏), 원주이씨(原州李氏), 광산김씨(光山金氏), 언양김씨(彦陽金氏), 안산김씨(安山金氏), 안동김씨(安東金氏) 2파, 순천김씨(順天金氏), 의성김씨(義城金氏) 2파, 안동권씨(安東權氏) 3파, 진주강씨(晉州姜氏), 의령남씨(宜寧南氏), 여흥민씨(驪興閔氏), 사천목씨(泗川睦氏), 의령남씨(宜寧南氏), 밀양박씨(密陽朴氏), 함양박씨(咸陽朴氏), 달성서씨(達城徐氏), 진천송씨(鎭川宋氏), 창녕성씨(昌寧成氏), 광주안씨(廣州安氏), 평산신씨(平山申氏), 순흥안씨(順興安氏) 2파, 진주유씨(晋州柳氏), 문화류씨(文化柳氏) 2파, 파평윤씨(坡平尹氏) 3파, 나주임씨(羅州林氏), 풍천임씨(豊川任氏) 2파, 원주원씨(原州元氏) 2파, 덕수장씨(德水張氏), 나주정씨(羅州丁氏), 동래정씨(東萊鄭氏), 하동정씨(河東鄭氏), 초계정씨(草溪鄭氏), 해주정씨(海州鄭氏), 순창조씨(淳昌趙氏), 한양조씨(漢陽趙氏), 양주조씨(楊州趙氏), 전주최씨(全州崔氏), 해주최씨(海州崔氏), 남양홍씨(南陽洪氏), 청주한씨(淸州韓氏) 3파, 양천허씨(陽川許氏) 등이 들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연성성보』안산[현 안산시·시흥시 일대] 지역 세거성씨의 분포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이다.

------------------------------------------------------

 

족보의 종류


개별적인 족보에는 일개 씨족이나 동족을 주 단위로 같은 파(派)의 동족원만을 수록한 파보(派譜)가 주를 이루나, 이밖에도 고을이나 마을의 성씨 구성을 일목에 나타내기 위해 제작된 향보(鄕譜)와 동보(洞譜), 왕실족보인 선원보(濬源譜), 내시들의 족보인 내시보(內侍譜), 노비들의 족보인 노비종친보(奴婢宗親譜), 양반(文武官 및 蔭官)들의 족보를 따로 만든 팔세보(八世譜) 등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승(家乘, 家乘譜) :

시조 이하 중조(中祖)·파조(派祖)를 거쳐 본인에 이르기까지 직계존속만을 수록한 가첩(家牒)을 말한다. 수록 내용은 고조부 이상은 직계선조만을, 고조부 이하는 전부 수록하여 재종, 삼종까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가승에는 친족성원들의 생일과 제사일을 적어 넣어 가족행사를 기억하는 데 참고하였으며, 자녀의 교육용으로도 사용하였다.


내외보(內外譜) :

내보와 외보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보는 작성자가 부계(父系)의 직계조상을 밝힌 것이며 체제는 가승과 같다. 외보는 내보에서 나타나는 역대조상의 배우자 하나하나를 대상으로 그 배우자가 소속되어 있는 씨족의 시조로부터 그 배우자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내보와 똑같은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작성자가 자기 직계조상들의 배우자 하나 하나의 내보를 만들어 그것을 한데 묶은 것이 외보가 된다.


팔고조도(八高祖圖), 십육조도(十六祖圖) :

자기를 중심으로 한 조상을 고조의 대(代)까지 밝힌 가계도로 그 가계도상에 나타나는 고조가 8명이기 때문에 팔고조도라 하는데 자기를 기점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자신의 조상을 부, 조부, 증조부 등으로 부계 쪽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모(母)와 그 모의 선계, 조모와 그 조모의 선계 등으로 모든 계통을 다 찾아올라간다. 이러한 형식으로 십육조가 나타나는 십육조도, 10대조 선까지 확대하여 512명의 조상을 밝힌 십세보 등도 있다.


파보(派譜) :

동일선계(同一先系)의 시조 밑으로 분파된 해당 파계만을 수록하여 편수한 보첩이다. 대동보 작성 때는 각 파문에서 대동보소에 수단(收單)을 할 의무와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청원하는 명단만을 등재하게 되나, 파보 작성 때는 동일 파조의 동족은 빠짐없이 수단을 내서 일에 참여토록 하며 현조의 행적(祠, 齋, 閭, 碑文 등)을 상세하게 수록한다.


대동보(大同譜) :

한 성씨의 시조, 즉 득성조(得姓祖) 이하 동계혈족의 동족 사이에 분파된 파계를 한데 모아 대동하여 집대성한 족보를 말한다. 각 파의 분파조는 시조로부터 몇세 손이며 어느 대에서 분파되어 파조가 되었는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계통을 수록하기도 한다. 성씨들 중에 북한에 동족이 많은 성씨일수록 대동보 작성을 보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보(鄕譜) :

마을을 단위로 하여 그 마을의 특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성된 보첩을 말한다. 경기도 안산 지역은 옛 지명으로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하였는데 일대의 주요 성씨들 계보를 적어 편집한 『연성성보(蓮城姓譜)』가 이에 해당한다. 전라도 여수의 경우는 『여수향보(麗水鄕譜)』가 있다.


남보(南譜) :

당색이 남인(南人)인 인물만을 수록한 족보로서 정치적인 동기에 의해 작성된 파보라고 할 수 있다. 『북보(北譜)』는 북인들의 족보이고 『무보(武譜)』는 무관 집안들의 계보를 모은 족보다.


족보수단(族譜修單) :

족보 작성을 위해 각 지파별로 지정된 지방유사(地方有司)들이 보첩간행시 등재될 이름이나 행적 등의 내용을 파악하여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수단할 때는 등재인물 수에 따라 명하전(名下錢)이라는 수단금(修單金)이 부과되는데 관(冠, 세대주)과 동(童, 미혼남)에 따라 액수가 다르다.


종합보(綜合譜), 만성보(萬姓譜) :

주요 씨족들의 계보를 집대성한 종합보로 『씨족원류(氏族源流)』(趙從耘 編), 『제성보(諸姓譜)』(丁時述 編), 『성원총록(姓苑叢錄)』(任慶昌 編),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동국씨족보(東國氏族譜)』, 『청구씨보(靑邱氏譜』(헌종년간에 편성시작), 『백씨통보(百氏通譜)』(具羲書 編, 20세기 초), 『잠영보(簪纓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등이 있다.

8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