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김 內系外系

밀양박씨 좌복야공후 난계문헌공파 (외가계보)

by 연송 김환수 2010. 4. 9.

 밀양박씨 (密陽朴氏)

 

박씨의 대종이며, 시조는 신라 경명왕의 제1왕자인 밀성대군 언침(彦忱)이다. 밀양박씨는 박씨 인구의 70~80%를 차지하므로 그 계보도 상당히 복잡하다.

 

밀양박씨의 세계는 밀성대군의 7대손인 언부(彦孚:고려 문종 때 문하시중)를 중시조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를 비롯하여

 

도평의사사사공파(都評議使司使公派)·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판도공파(版圖公派)·좌윤공파(左尹公派) 등으로 대별되고,

 

각 파는 아랫대로 내려오면서 또 여러 파로 분파된다.

 

예컨대 가장 규모가 큰 문하시중공파는 종파인 은산공파(銀山公派:永均)·행산군파(杏山君派:世均)를 비롯하여 좌상공파(左相公派:尙禮)·규정공파(糾正公派:鉉)·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派:元)·밀성군파(密城君派:陟) 등으로 갈라지고, 이들은 또 여러 파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규정공파가 밀양박씨의 분파 중 가장 후손이 번창하다. 또 규정공파에서 나누어진 파 중에서 특히 낙촌공파(駱村公派:忠元)·강수문도공파(江叟文度公派: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밀양박씨는 조선에서 문과급제자 261명, 상신(相臣) 1명, 대제학(大提學) 2명, 청백리(淸白吏) 2명을 배출하였다. 밀양박씨의 대표적 인물을 열거하면 규정공파에서 강생(剛生)·심문(審問)·중손(仲孫)·건(楗)·훈·충원(忠元)·계현(啓賢)·승종(承宗)·영(英)·성원(聖源) 등이 있고, 사문진사공파에서 의중(宜中)·거겸(居謙)·종남(宗男)과 영신(榮臣) 부자·연(堧)·열(說)이 있으며, 밀성군파에서 신규(信圭)·이서(彛敍) 등이 있다.

 

상기 인물 중에서 충원은 명종 때 대제학을 지냈고, 승종은 광해군영의정을 지내고 인조반정 후 자결하였으며, 열은 중종 때, 신규는 숙종 때의 청백리이다. 이 밖에 밀양박씨의 두드러진 인물로서 실학(實學)의 대가 제가(齊家)가 있다.

 

2000년 국세조사에서는 가구수 946,307가구로, 박씨의 77.8%를 차지한다.

 

 

밀성대군 언침(彦忱) 단소 전경

 

 

 밀성대군 언침(彦忱) 향사(享祀)

 

 

 

 

 

성씨의 역사

밀양박씨(密陽朴氏)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박혁거세(朴赫居世)의 29세손인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이를 연유로 해서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8세손 박언부(朴彦孚)를 파조(派祖)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를 비롯하여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8세손 박언상),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8세손 박언인),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8세손 박양언), 판도공파(版圖公派: 8세손 박천익), 좌윤공파(左尹公派: 8세손 박을재),

 

진사공파(進士公派: 10세손 박원), 밀성군파(密城郡派: 13세손 박척), 동정공파(同正公派: 13세손 박원광),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15세손 박중미), 정국공파(靖國公派: 15세손 박위),

 

규정공파(糾正公派: 16세손 박현) 등 크게 12파로 나누어져 아랫대로 내려오면서 다시 여러 파로 분파(分派)되었다.

또 《박씨선원세보(朴氏璿原世譜)》에 의하면 10여개의 본관으로 분적(分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박혁거세 참고용 이미지

 

 

 

 박혁거세 참고용 이미지

 

 박혁거세 참고용 이미지

 

분적종 및 분파

 

10세손 박환(朴桓)을 시조로 영암박씨(靈巖朴氏), 12세손 박원의(朴元義)를 시조로 하여 태안박씨(泰安朴氏)로 분적되었고,

 

이 외에도 진원박씨(珍原朴氏), 운성박씨(雲城朴氏), 구산박씨(龜山朴氏), 나주박씨(羅州朴氏), 창원박씨(昌原朴氏), 문의박씨(文義朴氏), 여주박씨(驪州朴氏) 등이 분적되었다.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좌윤공파(左尹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밀성군파(密城郡派), 동정공파(同正公派),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정국공파(靖國公派), 규정공파(糾正公派)

 

주요 세거지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연제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동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의령군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칠전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밀양박씨는 946,307가구 총 3,031,47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경주 신라오릉 홍살문과 숭덕전 전경  

 

 

박혁거세 거서간과 알영부인, 남해차차웅, 유리이사금, 파사이사금의 묘 오릉 (사적 제 172호)

 

 

신라의 시조왕릉<始祖王陵>으로 전하는 오릉<五陵>은 경주시 탑동에 있는 신라의 능묘로 사적 제172호(봉분 높이 10m, 지름 20m 내외)로 지정되었으며,

 

모두 5기의 능이 있는데, 박혁거세왕과 왕후인 알영왕비, 제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의 5위(位)의 능묘로 담암사 북쪽에 있다고 옛 문헌에 전하고 있으며,

 

내부 구조는 알 수 없으나 외형은 경주 시내 평지 서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다른 많은 삼국 시대 신라 고분과 같이 표면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원형 봉토분<封土墳>으로 4기<基>는 원형분<圓形墳>이나 1기는 표형쌍분<瓢形雙墳>으로 되어 있다.

 

 

 

 

 

 

   

 

신라오릉 

 

박연(朴堧)에 대하여

 

시조 박혁거세(1世) 부터는 45世,

 

中祖 密陽朴氏 朴彦沈(밀성대군, 1世)의 16世,

 

中祖 左僕射公派(朴彦仁, 1世)의 9世

 

 

난계 박연 홈페이지 : http://nangye.yd21.go.kr/

생몰년 : 1378-1458

시  대 : 조선

별  칭 : 박연(朴然)

분  야 : 교육/사상 > 학자 > 음악이론가

 

1378(우왕 4)∼1458(세조 4). 조선 초기 세종 때의 음악이론가. 초명은 연(然). 자는 탄부(坦夫), 호는 난계(蘭溪). 본관은 밀양(密陽).

 

충청북도 영동(永同)에서 태어나 81세로 고향의 고당리(高塘里)에서 죽었다.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맏아들 밀성대군(密城大君)을 시조로 하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서,

 

중시조는 고려조의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였던 언인(彦仁)이고, 할아버지 시용(時庸)은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이었으며, 아버지 천석(天錫)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김오(金珸)의 딸이었으며, 부인은 정경부인 여산송씨(礪山宋氏)로 판서를 지낸 송빈(宋贇)의 딸이었다.

 

자녀는 3남4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맹우(孟愚)는 현령을 지냈고, 둘째아들 중우(仲愚)는 군수를 지냈으며, 막내아들 계우(季愚)는 박팽년 등 사육신들의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했다.

 

막내아들의 행적으로 말미암아 박연도 화를 입을 뻔 하였으나 세 임금에 걸쳐서 봉직한 공으로 연좌의 화를 면했다.

 

1405년(태종 5)에 생원, 1411년 진사에 등과했으며 그뒤 집현전교리,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세자시강원문학, 봉상판관 겸 악학별좌(奉常判官兼樂學別坐)·관습도감사(慣習都監使)·공조참의(工曹參議)·중추원사(中樞院使)·보문각제조(寶文閣提調)·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세종을 도와서 음악을 정비하는 데 많은 공헌을 했으며, 특히 율관제작을 통한 편경의 제작은 조선조 초기의 음악완비에 많은 기여를 했다.

 

세종 때에 어느 정도 음악이 정비되었던 이유는 위로 임금의 뜻이 확고하고 아래로는 박연같이 악리에 밝은 사람이 있었으며,

 

더욱이 해주(海州)에서는 거서(秬黍)가 나고 남양(南陽)에서는 경돌이 나는 등 시운(時運)이 들어맞았다고 표현하는 글들이 있듯이, 박연의 음악적 공헌은 시대적 상황과도 적지않게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순(舜)임금 시대의 유명한 음률가인 기(蘷)에 비견되기도 하는 박연은 편경의 음정을 맞출 정확한 율관(律管)을 제작하기 위하여 수삼차에 걸쳐서 시험제작을 했는가 하면, 흐트러진 악제를 바로잡기 위하여 수십회에 걸친 상소문을 올리기도 했다.

 

정확한 율관을 제작하자는 상소문〔請制律管疏〕을 위시해서 제향의 아악을 바로잡자는 글〔請正祀享雅樂疏〕, 축의 제도를 개정하자는 주장〔請改正柷制疏〕, 악현의 제도를 옛 법대로 고치자는 주장〔請樂懸復古制疏〕, 그리고 악보를 간행하자는 상소문〔請印行樂譜疏〕에 이르기까지 무려 39편의 상소문이 《난계유고》에 실려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蘭溪遺藁, 世宗朝音樂硏究(張師勛, 서울大學校出版部, 1982). 〈韓明熙〉

 

 

 



박연 (朴堧, 1378년 음력 8월 20일 ~ 1458년3월23일)


조선 초기의 문신, 도학자, 경세가, 문장가, 천문학자, 음악가이다.
초명은 연(然), 자는 탄보(坦父), 아호는 난계(蘭溪),
당호는 송설당(松雪堂)이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며, 밀양 박씨 좌복야공파후 난계파조이다.


세종의 갱지신(股肱之臣)으로 훈민정음을 실제 창조하고 양보하여 왕이 감동하고 총애가 극에 달하였다 함.
* 股肱之臣(고갱지신) : 다리와 팔뚝에 비길 만한 신하(臣下)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신임(信任)하는 중신(重臣)을 이르는 말


생애
박연은 1378년(고려 우왕 4년) 지금의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308에서 태어났다.[2] 그는 아주 총명하고 학문이 탁월하였으며, 효심이 지극하여 시묘를 6년하여 1402년(조선 태종 2년)에 조정에서 효자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1405년(태종 5년)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1411년 문과에 제1위(장원)로 등과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집현전 교리(敎理)를 거쳐 지평(持平)·문학(文學)을 역임하였다.


세종이 즉위한 뒤 악학별좌(樂學別坐)에 임명되어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당시 불완전한 악기의 조율(調律)의 정리와 악보 찬집(撰集)의 필요성을 상소하여 허락을 얻고, 1427년(세종 9) 편경 12매를 제작, 자작한 12율관(律管)에 의거한 정확한 음률로 연주케 했고 3년 후 다시 미비한 율관을 수정했다. 또한 조정의 조회 때 사용하던 향악을 폐하고 아악의 사용을 건의하여 실행케 했다.


1431년 남급(南汲)·정양(鄭穰)과 회례(會禮)에도 아악을 채택케 하고, 조회와 회례에서 종전까지 기생이 추던 춤을 무동(舞童)으로 대치하여 문무이무(文武二舞)의 작변지절(作變之節)과 속부남악지기(俗部男樂之伎)를 추게 하여 궁정 음악과 예법을 전반적으로 개혁했다.


1433년 유언비어를 유포했다는 죄로 파직되었다가 용서되어 아악에 종사하였으며, 공조 참의·첨지중추원사를 지냈다.


1445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인수 부윤(仁壽府尹)·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역임하였다가 예문관 대제학에 올랐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집현전 한림 이었던 세째아들 박계우가 구금되어 국문당하고처형(1454.9.9)되어 숙종조(1698)에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어 영월 장릉에 배향된후 정조조(1791) 어정배식 정단 31절사로 배향되었으며 그는 3조(三朝)에 걸친 원로로서 죽음을 면하고 고산에 안치(1454.9.9~1458.2.2)되어 가훈 17장을 지으니 도암(陶庵) 이재(李縡, 1680 ~ 1746)가 서문을 찬(撰)하였다.


사후
1767년 영조 43년 문헌공의 시호가 내려졌다. 1972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영동에 난계사를 세우고 1973년부터 매년 연례 행사로 난계예술제를 지내고 있으며 서울에 난계로와 난계공원이 있다.


평가
특히 적(笛)의 명 연주가였으며 조선 초 미비한 궁중음악을 정비하여 고구려의 왕산악(王山岳), 신라의 우륵(于勒)과 함께 3대 악성(樂聖)으로 불린다.


가계
장인 : 판서 송윤.
부인 : 정경부인 여산(礪山) 송씨
아들 : 박맹우(朴孟愚)
아들 : 박중우(朴仲愚)
아들 : 박계우(朴季愚)

 

 

 

 난계 박연선생 생가

 

 

  

  

 

 

 

 

  

 

 난계 박연상 (충북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대제학 난계 박연 묘

 

 
 

 조안산 전경

 

 

전(박연), 후(부인) 묘

 

  景蘭齎(경란재)

 

 난계 국악기 체험전수관

 입구 국악기 모형

 

 

 난계 국악 박물관

 

타악기 편경, 징, 장고, 북, 꽹꽈리 등 

 

신라박씨(밀양박씨) 선원계보도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
2세 : 남해왕(南解王)
3세 : 유리왕(儒理王)
4세 : 일성왕(逸聖王)
5세 : 아달라왕(阿達羅王)
6세 : 벽방(碧芳)
7세 : 무영(武英)
8세 : 판득(判得)
9세 : 광흠(光欽)
10세 : 미일(美一)
11세 : 내물(乃物)
12세 : 상건(相建)
13세 : 인엽(仁燁)
14세 : 계보(啓輔) 15세 : 명신(明信)
16세 : 정환(貞環)
17세 : 로겸(露兼)
18세 : 남선(楠善)
19세 : 금산(金山)
20세 : 응찬(應燦)
21세 : 덕흥(德興)
22세 : 대녕(大寧)
23세 ; 이순( 淳)
24세 : 융겸(隆劒)
25세 : 지곤(之坤)
26세 : 성순(成順)
27세 : 추신(秋信)
28세 : 희복(僖福)
29세 : 경명왕(景明王)

 

 

30세 :박언침(彦忱) 밀성대군(밀양) : 밀양.진원.선산.문의.여주.반남.태인.봉산.

                            영암.창원.구산.태안.운봉.진주.나주.의흥.강진.문주.인제.

                            고성.언양.은풍.광주.

31세 : 욱 (郁)

32세 : 란(瀾)

33세 : 영정(永禎)

34세 : 기세(基世)

35세 : 시주(施做)

36세 : 찬행(讚行)

 

37세 : 언부(彦孚) 태사공파, 언상(彦상)도평의사공파, 언인(彦仁) 좌복야공파

 

38세 : 효신(孝臣)

39세 : 공필(公弼)

40세 : 육경(育慶),육화(育和)

41세 : 윤공(允恭)

42세 : 광례(光禮)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 원광(元光

43세 : 유효(惟孝)

44세 : 흥 (興) 밀직군파(密直君派), 중미(中美)정국공파(靖國君派),15세손 위

45세 : 박현(鉉) (중시조1세:규정공파) : 규정공(糾正公), 박연(堧) : 난계공(蘭溪公)

 

 

밀양박씨 12중종파
1, 태사공파(박언부).
2, 도평의사공파(박언상).
3, 복야공파(박언인).
4, 규정공파(박현).
5, 사문진사공파(박 원).
6, 충헌공파(박 척).
7, 밀직부원군파(박중미).
8, 밀직부사공파(박양언).
9, 영동정공파(박원광).
10, 판도판각공파(박천익).
11, 삼사좌윤공파(박을재).
12, 정국군파(박 위).

 

 

      다시 그 밑에 수 많은 지파가 있습니다.

 

46세 박문유(文有) :좌랑공(佐浪公)

47세(중시조3세) : 박사경(思敬) : 상장군(上將軍)

48세(중시조4세) : 박침 ( ) : 전서공

49세(중시조5세) : 박지생( 生), 간성공(刊城公) 박강생, 부재학공(副재학公)

50세(중시조6세) : 희맹(希孟) 박절문(切問), 의문 : 호군공(護軍公).

                  절문 : 밀산군(密山君)

51세(중시조7세) : 대손(大孫) : 절도사공(節度使公),

                  박중손 : 공효공(恭孝公) 공효공파

 

52세(중시조8세) : 박남(枏) : 부평공(富平公) 박미: 존성공(存誠公)

 

                  박건:공간공

53세(중시조9세) : 의영(義榮) : 사간공(司諫公) 박광영 : 밀성군(密城君) 54세(중시조10세) : 박조 (藻) : 별제공(別堤公)

55세(중시조11세) : 박충원(忠元) : 낙촌공(駱村公): 특히 박중손의 4대손중

                   낙촌공(駱村公) 박충원(朴忠元)이라는 분의 후손이 뛰어났습니다. 흔히 이 후손들을 일컬어 낙촌공파

                   부릅니다

56세(중시조12세) : 박계현(啓賢) : 문장공(文莊公)

57세(중시조13세) : 박안세(安世) : 지돈녕공(知敦寧公)

58세(중시조14세) : 박승종(숙민공肅愍公), 숙민공(肅愍公)파의 시조

59세(중시조15세/숙민공 2세) : 박자응(自凝/揖白堂)

60세(중시조16세/숙민공 3세 : 박취도

61세(중시조17세/숙민공 4세) : 박만발

62세(중시조18세/숙민공5세) : 박종순

63세(중시조19세/숙민공6세) : 박무환

64세(중시조20세/숙민공7세) : 박기표

65세(중시조21세/숙민공8세) : 박권진

66세(중시조22세/숙민공9세) : 박준홍(興伯)

67세(중시조23세/숙민공10세) : 박연래(明吾)

68세(중시조24세/숙민공11세) : 박병호(正大)

69세(중시조25세/숙민공12세) : 박성준(瑞圭)

70세(중시조26세/숙민공13세) : 박종현(燦)

71세(중시조27세/숙민공14세) : 박찬음(璨淳)


 

밀양박씨 항렬표

         시조
                中祖 密陽朴氏朴彦沈
中祖 左僕射公派 (朴彦仁)
                
蘭溪文獻公派 (朴堧)
항      렬
59세 30세 23세 15세 - ○浩(호)
60세 31세 24세 16세 - 來(내)○
61세 32세 25세 17세 - ○夏(하)
62세 33세 26세 18세 - 喜(희)○
63세 34세 27세 19세 - ○用(용) ○鎭(진) ○鉉(현)
64세 35세 28세 20세 - 範(범)○ ○洙(수) 世(세)○
65세 36세 29세 21세 - 昞(병)○ 相(상)○ 會(회)○
66세 37세 30세 22세 - ○正(정) ○然(연) ○寧(녕)
67세 38세 31세 23세 - 義(의)○ 基(기)○ 載(재)○
68세 39세 32세 24세 - ○紀(기) ○鎬(호)
69세 40세 33세 25세 - ○鏞(용) ○淳(순)
70세 41세 34세 26세 - ○宰(재) ○榮(영)
71세 42세 35세 27세 - 種(종)○ 魯(로)○
72세 43세 36세 28세 - ○계(계) ○圭(규)
73세 44세 37세 29세 - 重(중)○ 錫(석)○
74세 45세 38세 30세 - ○熙(희) ○源(원)
75세 46세 39세 31세 - 炳(병)○ 東(동)○
76세 47세 40세 32세 - ○衍(연) ○烈(열)
77세 48세 41세 33세 - 成(성)○ 基(기)○

국당공파(菊堂公派), 이요당파(二樂堂派),난계공파(蘭溪公派)는 같은 항렬을 같이 쓰고 있다.

같은 세대에 항렬을 두개 혹은 세개를 쓰기도 하는데 천간법(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과 오행(금목수화토)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 시조 1세로 한 항렬

59세 - ○호 (浩)

60세 - 내○ (來) ........ 박래○

61세 - ○하 (夏) ........ 박○하

62세 - 희○ (喜) ........ 박희○

63세 - ○용 (用), ○진 (鎭), ○현 (鉉)

64세 - 범○ (範), ○수 (洙), 세○ (世)

65세 - 병○ (昞), 상○ (相), 회○ (會)​

66세 - ○정 (正), ○연 (然), ○녕 (寧)

67세 - 의○ (義), 기○ (基), 재○ (載)

68세 - ○기 (紀), ○호 (鎬)

박씨
56세
57세 58세 59세 60세 61세 62세 63세 64세 65세 66세
밀양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복야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12세 13세 14세 15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난계공
국당공
이요당
○호(浩) 래(來)○ ○하(夏) 희(喜)○ ○용(用)
○진(鎭)
○현(鉉)
○범(範)
○수(洙)
○세(世)
병(昞)○
상(相)○
회(會)○
○정(正)
○연(然)
○녕(寧)
박씨
67세
68세 69세 70세 71세 72세 73세 74세 75세 76세 77세
밀양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복야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의(義)○
기(基)○
재(載)○
○기(紀)
○호(鎬)
용(鏞)○
순(淳)○
○재(宰)
○영(榮)
종(種)○
로(魯)○
규(揆)○
규(圭)○
○중(重)
○석(錫)
희(熙)○
원(源)○
○병(炳)
○동(東)
연(衍)○
렬(烈)○
○성(成)
○기(基)

-------------------------------------------------------------------------------------------------------

 

어머니 밀양박씨 계보(喜順)

 

 

시조 박혁거세 62世, 중조 밀양박씨 박언침의 33世,

중조 좌복야공파 박언인의 26世,

대제학 시용의 20世, 대제학 박연(난계문헌공파) 의 18世 후손 

 

 

 

중조 좌복야공(左僕射公) 박언인)의 9世인 난계공파 박연, 국당공파 박흥생, 이요당파 박흥거 선생이 같은 대제학 휘 시용의 손자로 같은 항렬을 3개파에서 쓰기 때문에 대제학공파 라고도 합니다.

 

이분들의 조부는 대제학 휘(휘는 돌아가신분을 부를때) 시용 할아버지로 국당공파와 이요당파는 형제간이시고 이분들과 난계공파와는 사촌간입니다.

 

             시용(대제학공) - 천석(이조판서공) - 연  (난계공)

                                      천귀(한성판윤공) - 흥생(국당공)

                                                                  흥거(이요당)

 

 

 

 

 

 

 

 

 

 

 

 

박씨43세 박씨44세 박씨45세 박씨46세 박씨47세 박씨48세 박씨49세 박씨50세
밀양14세 밀양15세 밀양16세 밀양17세 밀양18세 밀양19세 밀양20세 밀양21세
복야공7세 복야공8세 복야공9세 복야공10 복야공11 복야공12 복야공13 복야공14
    난계공 1세 난계공 2세 난계공 3세 난계공 4세 난계공 5세 난계공 6세
               
시용(時庸) 천석(天錫) 연(堧) 맹우(孟愚) 양(壤) 춘섭(春燮)  연(璉) 첩동(堞東)
文簡公 판서공 난계공 참의공       산동(山東)
大提學公 (判書公) (蘭溪公) (參議公)   상동(相東)
세덕사 세덕사 세덕사   경(璟) 양동(養東)
      남(楠) 무덕(茂德)
춘섭(春燮) 임보(臨寶) 걸(杰)
곤(坤) 경흥(卿興) 원수(元守) 언보(堰輔)
      언배(堰培)
언裁(堰輔)
언식(堰植)
형수(亨守) 치일(致鎰)
금흥(錦興) 언신(彦信) 응주(應周)
    홍주(弘周)
해(垓) 수원(秀元) 홍인(弘仁) 의형(宜兄)
      의제(宜弟)
수현(秀賢) 홍례(弘禮) 덕수(德守)
  홍석(弘錫) 복운(福運)
수언(秀彦) 홍원(弘源) 의선(宜選)
수량(秀良) 홍의(弘義) 의덕(宜德)
중우(仲愚) 은(垠) 수영(秀英) 홍의(弘義) 응서(應瑞)
벽동공       응진(應珍)
(碧童公)     응주(應珠)
  수정(秀貞) 몽립(夢立) 신해(信海)
수형(秀亨) 홍희(弘羲) 의절(宜節)
    의안(宜安)
    의정(宜正)
수인(秀仁) 홍영(弘永) 의기(宜起)
수남(秀男) 이문(以文) 기인(起仁)
간수(簡壽) 의정(義貞) 문순(文純)
성수(聖壽) 만지(萬枝) 수문(守問)
검(儉) 궁적(宮迪) 연(縯)
용(墉) 수국(秀國) 운상(雲祥) 동일(東馹)
  명국(明國)    
계우(季愚) 예(藝)  항(恒) 효순(孝順) 윤석(允碩)
한림공   신(愼) 효생(孝生) 윤입(允立)
(翰林公)       윤선(允善)
  중양(重陽) 경보(景輔) 명리(命理) 복지(馥枝)
        복래(馥來)
  명두(命斗) 복인(馥仁)
수필(秀弼) 익건(益乾) 경용(慶龍)
  재혁(再赫) 의(義)
언필(彦弼) 금동(琴東) 의록(宜祿)
한(황새한) 원구(元龜) 봉조(奉祖) 시식(時植)
    승조(承祖) 시정(時禎)
  정신(庭臣) 경화(慶和) 태형(泰衡)
붕(鵬) 원인(元麟) 계생(戒生) 순입(順立)
      순선(順善)
  종로(鍾老) 부구(副龜)
증보(曾寶) 만수(萬壽) 계추(戒秋)
천귀(天貴) 흥생(興生) 인번(仁蕃) 평(坪) 회(檜) 명원(命元) 신생(信生)
판윤공 국당공 찰방공   유근(有根) 연종(連宗) 정문(廷文)
(判尹公) (菊堂公) (察訪公)     운붕(雲鵬)
세덕사 세덕사   대종(大宗) 정암(庭巖)
   숭모전 치의(致義) 익수(益洙)
    진종(振宗) 정준(廷峻)
균(均) 세국(世國) 술(述) 대복(大復)
숙(塾) 시원(時元)    
  시형(時亨)
시진(時眞)
양희(良熙) 응세(應世) 미립(未立)
    삼립(三立)
인정(仁挺) 형보(亨堡) 광희(光琦) 맹현(孟賢) 응희(應希)
함창공       응람(應攬)
(咸昌公) 응선(應善)
  의원(義元)
광침(光琛) 우현(友賢) 호선(好善)
광림(光琳) 희현(希賢) 영복(永福)
광선(光瑄) 도현(道賢) 일남(日南)
광인(光璘) 대현(大賢) 두산(斗山)
형원(亨元) 광우(光瑀) 계현(啓賢) 수(守)
  광감(光감) 인현(仁賢) 매원(梅園)
인석(仁碩) 암(巖)  유림(有林) 윤종(胤宗) 정홍(庭弘)
참판공     소종(紹宗) 정철(廷喆)
(參判公)   정길(廷吉)
  정설(廷說)
정입(廷立)
기종(起宗) 정필(廷弼)
  정노(廷老)
  정양(廷亮)
회종(恢宗) 정홍(廷弘)
잠(岑) 순겸(順謙) 수견(守堅) 성복(成福)
  망룡(望龍) 은선(銀善) 질복(質福)
수(峀) 세걸(世傑) 원(元) 몽상(夢祥)
      몽서(夢瑞)
몽신(夢信)
몽길(夢吉)
형(亨) 몽좌(夢佐)
  몽弼(夢弼)
몽설(夢說)
몽경(夢慶)
이(利) 몽형(夢衡)
정(貞) 몽수(夢洙)
세호(世豪) 원익(元翼) 몽징(夢徵)
  원정(元禎) 홍(洪)
세웅(世雄) 원택(元澤) 몽주(夢朱)
세협(世狹) 만현(萬賢) 응문(應問)
    응진(應振)
헌(獻) 윤양(允良) 사종(嗣宗) 실춘(實春)
      대청(大淸)
    매신(梅信)
윤검(允儉) 기(麒) 병남(秉楠)
    구춘(溝春)
인(麟) 우춘(遇春)
  봉춘(逢春)
윤춘(閏春)
득춘(得春)
흥거(興居) 숙노(淑老) 원근(元根) 양배(良培) 응조(應租) 희안(希顔)
이요당 사직공   양균(良均) 응종(應宗) 희증(希曾)
(二樂堂) (侍直公)     희맹(希孟)
세덕사       희민(希敏)
    형근(亨根) 감(堪) 문규(文奎)  유(愈)
      염(念)
  개(개)
문현(文賢)  
문수(文秀) 인(忍)
  혜(惠)
  빙(憑)
은(垠) 문춘(文春) 호(虎)
  문구(文龜) 표(彪)
사철(思喆) 희선(希宣)
사긍(思兢) 희면(希勉)
이근(利根) 종(從) 춘지(春枝) 춘읍(瑃邑)
정근(貞根) 훈(塤) 승문(承文) 서용(瑞龍)
      경용(敬龍)
승무(承武)  
승수(承秀)  
배근(培根)      
계노(季老)  항(恒)  증(增) 응입(應立) 희현(希賢)
협직공   락(락) 응도(應道) 희국(希國)
(협直公) 영(嶸) 응동(應銅) 희종(希宗)
  율(율) 사원(士元) 희생(希生)
성노(聖老) 서문(瑞文) 완(완) 양윤(良胤) 진(眞)
부장공        
(部長公)        

 

 

 세덕사 

  소재지 : 충북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世德祠(세덕사) 전경

 

고종8년(1871년)에 밀양박씨 복야공파(僕射公派)의 조상 6위를 받들어 모시기위하여 사당을 건립하였으나, 6.25 동란으로 낡아 무너진 것을 1973년 다시 고쳐 세워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 안치된 위(位)는 고려조 우문관(右文館) 대제학(大提學) 문간공(文簡公) 박시용(朴時庸), 증이판(贈吏判) 박천석(朴天錫), 한성판윤(漢城判尹) 박천귀(朴天貴), 증이판 국당공(菊堂公) 박흥생(朴興生), 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 박연(朴堧),전중어사(殿中禦史) 박흥거(朴興居)의 6위를 모시었다.

 

대지면적 약 3.500㎡ 사당외 8동의 부속 건물이 있다.

 

세덕사 입구 세덕문세덕사  왼쪽은 비각

위패를 모신곳 세덕사

대제학 시용(時庸) 묘 (영동군 심천면 기호리 태소마을 뒤 어류산 중턱)

 

 

한성부 판윤 천귀 묘

 

 

대제학 난계 박연 묘(前), 부인 묘(後)  :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박흥생(1374~1446) 묘 (조선 초기 문신, 자는 경부. 호는 국당)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어머니(喜順) 대제학 박연(난계문헌공파)의 18세 후손

 

         시조
                 中祖 密陽朴氏朴彦沈
中祖 左僕射公派 (朴彦仁)
               蘭溪文獻公派 (朴堧)
항      렬
61세 32세 25세 17세 - ○夏(하)
62세 33세 26세 18세 - 喜(희)○   
63세 34세 27세 19세 - ○用(용) ○鎭(진) ○鉉(현)

왼쪽부터 작은 외삼촌 박희정 내외분, 가운데 이모님 박희옥, 큰외삼촌 박희상 내외분 (1989. 4.17)

 

왼쪽부터 큰 외삼촌 박희상 내외분, 어머니 박희순,

 

 

이모님 박희옥, 작은 외삼촌 박희정 내외분

 

 

(1994년도 추정)

 

큰외숙모 이선주 (2023.12.17별세 / 2023.12.20 안장)

큰 외삼촌 박희상 / 외숙모 이선주 묘소 / 충뷱 영동군 상촌면 유곡리 선영

           계문헌공파 17世   慶夏 - 吳南連  (외조부, 외조모)
     
       (안산김씨)                                                                      (연안김씨)      
朴喜順(女) -김광진(壻) 박 희 상 박 희 정 박희옥(女)-김금춘
                 (금식)
난계공파 18세
        ↓                 ↓        ↓               ↓  
김제동, 성수, 환수 상용, 온용 진용 김영주, 봉주 아 들
명채, 용채 ○○ ○○ ○○ 손 자

 

 

 

어머님께서 16살에(1937) 시집 오시기전 친정에서

 

 

 

        충북 영동군 상촌면 유곡리 (1936년)

 

* 사진의 흠집은 6.25 때 인민군이 마당에 버린 사진을 다시 보관하는 과정에서 생겼음.

* 기일 : 2012. 9.20(음), 별세 : 2012.12.04(양력)

 

아버지 * 기일 : 1994. 5.26(음)

 

 

아버지, 어머니, 형님하고 할아버지 산소에 가서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