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김 內系外系

11세기 고려시대 정치와 인주이씨

by 연송 김환수 2009. 1. 27.

고려 11세기의 정치와 인주 이씨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BK 연구교수 김창현

 

Ⅰ. 머리말

Ⅱ. 현종~선종 때의 왕조중흥

Ⅲ. 인주이씨의 성장

Ⅳ. 이자연의 등장과 활약

Ⅴ. 인주이씨 세력의 형성

Ⅵ. 이자의와 계림공의 대결

Ⅶ. 맺음말

 

Ⅰ. 머리말

 

태조 왕건이 건국하고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광종의 개혁과 성종의 제도정비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성종 때 거란의 1차 침략, 목종 때 정변, 현종 때 거란의 2차 침략과 3차 침략, 상장군 김훈 등의 정변 등을 거치면서 흔들렸고, 특히 거란의 2차 침략 때는 현종이 나주까지 피난하고 개경이 함락당해 불타는 위기였다.

 

하지만 성종 때 서희의 담판, 현종 때 양규, 강감찬 등의 활약으로 거란군을 성공적으로 물리쳤으며 김훈 등을 제거해 왕권을 회복하였다.

 

위기를 극복한 고려는 현종에서 선종에 이르는 11세기에 국가를 재건하고 문물을 정비해 중흥을 이루었고, 특히 문종 때 태평성대의 전성기를 달성하였다.

 

정치.경제.사회가 안정되고 부국강병이 달성되었으며, 대장경의 조판, 사학 12도의 융성 등 문화적 측면의 발전도 괄목하였다. 이는 몇몇 문벌가문이 아니라 고려인들에 의해 달성된 것이지만 인주(경원) 이씨를 중심으로 한 문벌가문의 역할도 어느 정도 작용하였다.

 

인주(경원) 이씨는 고려를 대표하는 문벌가문으로 많은 조명을 받아 왔다. 이 가문은 이른바 이자의 난, 이자겸 난으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을 많이 받아 왔지만 11세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는 점은 어느 정도 인정해도 좋을 것이다. 또한 이 가문이 주변부에 머물던 인주(인천) 지역을 핵심부로 떠오르게 만들었다는 점도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1)

 

본고는 11세기에 뚜렷한 모습을 드러낸 이자연과 인주 이씨를 고찰한 것인데, 현종~선종 때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인주 이씨의 성장, 이자연의 활약, 인주이씨 세력의 형성, 헌종 때 정변을 다루어 나가려 한다.

 Ⅱ. 현종~선종 때의 왕조중흥

 

목종을 몰아낸 정변 세력의 추대로 1009년에 즉위한 현종은 많은 시련에 직면하였지만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원년에 거란군의 제2차 침략이 임박하자 팔관회를 열었으며,

나주에서 돌아오는 도중 청주에서 연등회를 열었다2,3)

 

성종이 유교화 정책을 추구한 나머지 연등회와 팔관회를 폐지해 사람들의 많은 반발을 샀었는데 현종이 부활시킨 것이었다.

3) 또한 피난 도중에 부처의 도움으로 거란군을 물리치기 위해 대장경의 조판을 부처에게 약속한 현종은 대장경의 조판을 시작하였다.

4) 팔관회와 연등회의 부활, 대장경의 제작은 민심을 수습하고 국력을 결집하는 데 기여하였다. 현종은 5년에 상장군 ..訓과 崔質등 의 정변으로 타격을 입지만 이자림(이가도)의 계획에 따라 서경에 행차해 김훈과 최질 등 을 제거해 권위를 회복하였다.5)

------------------------------------------------

1).. 신증동국여지승람..권 9 인천 인물조‘高麗’항에는 인주 이씨가 ..許謙, 아들 ..翰, 손자 ..子淵을 비롯해, 이자연의 손자인 ..資諒...資仁...資玄, ..子祥(이자연의 동생)의 아들인 ...., 손자인 ..公壽, 이공수의 아들인 ..之.., 이오의 손자인 ..光縉, 증손인 ..仁老, 이자연의 5대손인 ..藏用, 계통 불명의 ..穎등 13명이 나 실려 있다.

2).. 고려사..권4 현종원년11월.2년2월

3).. 고려사..권69 예지가례잡의仲冬八關會儀.上元燃燈會儀.., 고려사..권94 서희전

4).. 동국이상국집..권25 大藏刻板君臣祈告文

5).. 고려사..권4 현종5년11월.6년3월.., 고려사..권94 황보유의전.., 고려사..권94 왕가도전

-----------------------------------------------

 

현종은 불행하게 세상을 뜬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해 9년 6월에 大慈恩玄化寺를 창건하였다.6) 법상종의 사찰인 현화사는 훗날 인주 이씨의 주요한 세력기반이 된다.

현종은 불탄 개경의 복구에 착수해 두 차례에 걸쳐 대궐을 증축하면서 새로운 정전인 회경전을 창건해 대궐(황성)을 완성하였으며, 개경의 방어를 위해 외성인 나성을 건설하였고 이에 맞춰 5부 방리를 개편하였다.7)

 

최사위는 현화사 창건을 주관하고, 봉은사, 大廟, 보제사 金堂.羅漢殿, 송림현 普賢鏡.., 서경 사천왕사, 장락궁 태조진전 등을 수리하는 등 개경과 지방의 많은 종교시설을 건설하였다.8)

 

대궐의 건설은 장연제.왕가도(이가도) 등이 맡았으며,

나성의 건설은 강감찬이 건의하고 왕가도.이응보.황보유의.황주량 등이 주관하였다.9) 현종의 아들인 덕종은 ..韶에게 북쪽 국경에 거란과 여진을 방어하기 위한 천리장성을 쌓도록 하였다.10)

 

덕종의 동생인 靖宗은 팔관회 때 신봉루에서 동경.서경, 東北..路兵馬使, 4都護, 8牧으로부터 축하 표문을 받고 宋商客.東西蕃.탐라국으로부터 方物을 받는 것, 연등회 때 국왕이 친히 봉은사의 태조진전에 행차해 분향하는 것, 회경전에서 藏經道場을 봄과 가을에 여는 것, 京城街衢를 세 길로 나누어 반야경을 받들고 돌면서 민을 위해 복을 비는‘經行’을 상례로 삼도록 하였다.11)

 

정종의 동생인 문종은 6년 2월에 사직단을 황성 내 서쪽에 신축하였다.12) 10년 2월에 덕수현에 흥왕사를 창건하기 시작해 21년 정월에 완공시켰는데 규모가 무려 2800間으로

12년이 걸려 완성되었다.13)

 

10년에는 西江餠嶽의 남쪽에 長源亭을 지었고, 22년에 남경

에 新宮을 창건하였다.14) 문종 때 시중을 지낸 大寧(해주) 최충이 9齋즉 侍中崔公徒(文憲

-----------------------------------------------

6).. 고려사..권4 현종9년6월

7) 김창현.., 고려개경의구조와그이념..(신서원, 2002) 제1장및제6장

8).. 고려묘지명집성..최사위 묘지명. 이에 따르면 최사위는 목종 치세에 侍御史로 재직시 김치양과 천추태후가 大良院君(현종)을 해치려 하자 대량원군을 보호하기 위한 檢衛파견을 주도하였다. 목종 12년 정월 大府油庫의 화재로 천추태후가 머무는 천추전이 연소된 직후 목종이 앓아 누웠으며 호부시랑 최사위가 大定門別監이 되어 諸宮門을 닫고 계엄하고 오직 長春門.大定門만 열었다고 한다(..고려사..권 3). 현종파인 최사위가 궁문들을 장악한 것인데 이는 현종파에 의해 방화와 정변이 일어나고 목종이 유폐되었음을 시사한다. 현종의 즉위에 지대한 공헌을 세운 최사위는 측근으로서 수상에까지 오른다.

9).. 고려사..권4 현종2년10월.., 고려사..권94 강감찬.왕가도전

10).. 고려사..권94 유소전

11).. 고려사..권 6 靖宗즉위년 11월.4년 2월.7년 4월.11년 12월. 장경도량은 봄은 6일, 가을은 7일 동안 하도록 하였다.

12).. 고려사..권7 문종6년2월

13).. 고려사..권7 문종10년2월.., 고려사..권8 문종21년정월

14).. 고려사..권7 문종10년末尾.., 고려사..권8 문종22년末尾

-----------------------------------------------

公徒)를 열어 후학을 지도하니 이에 자극받아 私學이 11개가 더 생겨‘十二徒’라 불려졌다. 이에 따라 학교와 유학이 흥기하였는데 문헌공도가 단연 독보적이었다.15)

 

문종 때에는 여진이 집단으로 이주해 고려의 백성으로 편입되는 경우가 많았고, 천리장성 밖의 여진촌락들이 고려의 州郡으로 편입해 주기를 요청하는 사례가 빈번하자 고려는 일종의 자치주 인 羈..州를 설치해 그들을 지배하였다.16)

 

문종은 성종 때 만든 정치제도를 다듬어 완비하고 전시과를 更定하고 功蔭田柴를 제정하고 녹봉제를 정비하는 등 체제를 완성하였다.17)

 

문종 때는 내사문하성이“우리나라 文物...樂이 興行한지 이미 오래고 상선이 이어져 珍寶가 날마다 이르니 중국에 실로 의지 할 바가 없습니다”라고 자부하고,18)

 

훗날 이제현이“송나라가 매해 포상하는 사절을 보내고, 요나라가 매해 장수를 경축하는 예를 행하고, 倭가 바다를 건너와 보물을 바치고, 여진이 관문을 두드려 살 곳을 얻었다”19) 라고 찬양할 정도로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37년간 재위한 문종이 1083년에 죽은 후 장자인 순종이 즉위하였지만 넉달 만에 죽자 순종의 동생인 선종이 계승해 부왕의 위업을 보존하려 노력하였다.

 

이제현은, 현종과 덕종.정종.문종 때 아버지가 만들고 아들들이 이어받고 형이 마치 면 동생이 이어받기를 80년 동안 했으니 융성하다고 하였고 특히 문종 때의 모습을 大平(太平)이라 하였는데20)

 

그러한 흐름은 문종의 아들인 순종.선종 때로 이어진다. 중흥을 이끈 재상들은..고려사..를 참고하면 현종 때는 韋壽餘, ..瑨, 崔士威, 崔沆(崔彦..의 손자), ..審言, ..殷傅, ..仁渭, 姜邯贊, 庾方, 蔡忠順, 徐訥(徐熙의 아들), ...., 王可道등이 었고, 덕종 때는 서눌, 왕가도, ..韶, ..端등이었고, 정종 때는 서눌, ..韶, ..端, 皇甫兪義,

..徵弼, 黃周亮, 崔齊顔(최승로의 손자), 崔.., 皇甫穎, ..作忠, ..元.. 등이었고, 문종 때

------------------------------------------------

15).. 고려사..권95 최충전

16) 최규성.., 북방민족과의관계....한국사..15(국사편찬위원회, 1995), pp. 318.319

17).. 고려사..권76 백관지1 및권77 백관지2,.. 고려사..권78 식화지1 및권80 식화지2. 채웅석은, 11세기

지배층이 특정가문의 독점적 지위를 보장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士.庶의 구분이라는 차원에서 제도화하고 四民分業論으로 공장.상인.잡류의 벼슬을 제한하였으며, 문종대는 지배층이 문벌화하고 사.서의 구분이강화되었지만성취적요소를강하게지닌문벌사회였다고하였다... 고려문종대관료의사회적위상과

정치운영..,.. 역사와현실..(27, 1998), pp. 115~127. 남인국은, 문종치세의정국은문종주도하에운영되어서 정치세력이 국왕의 정국운영에 대응하는 세력으로결집하지 못 하였다고 하였다... 고려중기정치세력연구..(서울: 신서원, 1999), p. 63.64

18).. 고려사..권8 문종12년8월

19).. 고려사..권9 문종세가末尾이제현贊

20).. 고려사..권9 문종세가末尾이제현贊

------------------------------------------------

는 崔.., ....器, ..元.., ..子淵, 王寵之, ..廷俊, 朴成傑, ..元鼎(김인위의 아들), 崔惟善 (崔..의 아들), ..義珍, 王懋崇, 異惟忠, ..徵望, ....(이자연의 아들), 鄭惟産, ..若珍, .. 行瓊, 文正, 崔奭(崔錫), ....鑑(김정준의 아들), ..靖恭등이었고, 순종이 넉 달 정도만에

세상을 뜨자 즉위한 선종 때는 ..靖恭, 崔奭, ....鑑, ..洪, 王錫, 崔思諒(崔..의 손자), 崔思齊(최유선의 아들), ..顔(이자연의 아들), 邵台輔등이었다.

현종은 성종의 두 딸, 경장태자(성종의 동생)의 딸, 안산 김은부(인주 이허겸의 사위)의 세 딸, 이천 서눌의 딸, 경주 김인위의 딸, 청주 왕가도의 딸, 양주 한인경의 딸 등과 혼인하였고,

 

덕종은 현종의 두 딸(김인위의 외손녀와 김은부의 외손녀), 왕가도의 딸, 부여 .... 焉의 딸 등과 혼인하였다. 靖宗은 湍州..祚의 두 딸, 이품언의 딸, 경주 김원충의 딸 등과 혼인하였고,

 

문종은 현종의 딸(김은부의 외손녀), 인주 이자연의 세 딸, 김원충의 딸 등과 혼인하였다. 순종은 경주 ....儉의 딸, 인주 ..顥(이자연의 아들)의 딸과 혼인하였고, 선종은 인주 ..預(이자상의 아들, 이자연의 조카)의 딸, ..碩(이자연의 아들)의 딸, ....(이자연의 아들)의 딸과 혼인하였다.21)

 

현종에서 문종에 이르는 왕들은 왕실의 공주 및 다양한 가문의 딸과 혼인하였지만 세 명 딸이 后妃가 된 안산 김은부(이허겸의 사위) 가문, 세 명의 외손녀가 후비가 된 인주 이허겸 가문, 세 명의 딸이 후비가 된 인주 이자연(이허겸의 손자) 가문이 단연 돋보이며, 더구나 김은부의 외손녀 즉 이허겸의 외증손녀 둘이 또한 후비가 되었으니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선종 때 가서는 후비를 아예 인주 이씨가 독점하였다.

인주 이씨는 고려의 중흥기인 현종~선종 때 정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이허겸의 아들인 ..翰이 현종 무렵에 재상에 올랐으며, 이허겸의 사위이자 이한의 매부인 김은부가 현종에게 딸 셋을 바쳐 세력을 떨쳤다. 이한의 아들 이자연은 현종 15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현종, 덕종, 정종을 거치며 요직을 역임하다가 문종 때 최충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며 황금시대를 연출하였다.

 

그리고 이자연의 아들들과 이자상의 아들들이 이어서 세력을 떨쳐 나간다.

현종~선종에 걸친 11세기의 전성기는 왕실이나 어느 한 가문이 아니라 고려인들이 만든 것이지만 인주 이씨를 중심으로 한 몇몇 가문과 그 구성원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점 도 인정된다. 大寧(해주) 최충.최유선.최사제.최사량, 인주 이자연.이정.이안, 樹州

-----------------------------------------------

21).. 고려사..권88 후비전1

-----------------------------------------------

(부평) 이정공, 금주(시흥) 강감찬, 안산 김은부, 水州(수원) 최사위, 이천 徐訥, 철원 崔奭, 충주 ..瑨, 청주 왕가도 등 중부 세력이 중심을 이루고 崔沆, 김인위, 김원정, 김원충, 崔齊顔등 경주 세력이 가세하는 형국이었는데,22) 특히 인주 이씨는 옛 신라 계열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었다.

 

Ⅲ. 인주이씨의 성장

 

..子淵은 崔..과 더불어 고려왕조의 전성기인 11세기를 이끌었던 핵심 정치가였다. 그의 고향은 邵城이니23) 곧 仁州(慶源)로 오늘날 인천이다.

 

이곳은 고구려와 백제 때 買召忽(彌..忽, 彌趨忽), 신라 경덕왕 때 邵城이라 하였으며, 고려 현종 9년 樹州(부평)에 속하게 하였다가 숙종 때 모후인 인예태후(이자연의 딸)의 內鄕이라 하여 승격시켜 慶源郡이라 하였고, 인종 때 모후인 순덕왕후(문경태후: 이자겸의 딸)의 內鄕이라 하여 知仁州事로 고쳤고, 공양왕은 인주가 7代御鄕이라 하여 慶源府로 승격시켰다.

 

조선 태조 원년에는 다시 인주로 되었고, 태종 13년에는 仁川郡으로 고쳤고, 세조 6년에는 昭憲王后의 外鄕이라 하여 仁川都護府로 승격시켰다.24) 수주(부평)에 속했던 소성이 이자연 집안의 활약으로 인해 경원 내지 인주로 승격되어 독립하고 발전한 것이 오늘날 부평 등을 흡수한 인천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씨는..세종실록..지리지 인천의 土姓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인천 성씨조에 첫 번째로 기재되었는데, 이는 이씨가 일찍부터 이 지역을 지배한 토착 세력이었음을 말해준다.25)

------------------------------------------------

22).. 고려사..권 93 최승로전.崔沆傳,.. 고려사..권 94 徐熙傳...瑨傳.강감찬전.최사위전.김은부전.왕가도전,.. 고려사..권 95 崔..傳.최사량전.이자연전.김원정전,.. 고려사..권 98 ..璹傳,.. 고려사..권 99 최유청전,.. 고려사..권88 후비전1. 최사량은..씨족원류..大寧崔氏편에따르면최충의손자였다.

..元鼎은 ..씨족원류..경주김씨 편에 따르면 김인위의 아들인데, ..元..도 김인위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중부세력은 숙종, 예종 때 파평 윤관이 가담하면서 더욱 힘을 얻는데 윤관은 인주 이씨의 딸과 혼인한다.

23)..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이정묘지명. 이정묘지명에따르면樹州邵城縣이니소성(인천)은당시만해도 수주(부평) 소속이었다.

24).. 고려사..권 56 지리지 1 南京..守官仁州,.. 세종실록..지리지 경기 仁川郡,.. 신증동국여지승람..인천도호부

25) 인주 이씨의 가계와 통혼에 대해서는 다음 글들이 참고된다.

藤田..策.., ..子淵と其の家系(상)(하)...., 靑丘學叢..(제13호.제15호, 1933.1934)

윤경자.., 고려왕실과인주이씨와의관계...., 숙대사론..(제2집, 1965)

이만렬.., 고려경원이씨가문의전개과정....한국학보..(제21집, 1980)

정용숙.., 고려시대의후비..(서울: 민음사, 1992)

박용운.., 고려사회와문벌귀족가문..(서울: 경인문화사, 2003)

------------------------------------------------

이자연의 선대는 신라의 大官이었는데 중국 당에 사신으로 갔다가 천자가 가상히 여겨 ‘..’성을 하사하였다고 한다.26) 그 신라 대관의 자손은 邵城縣으로 거주지를 옮기는데 이로 말미암아 이곳을 본관으로 하게 되었다. 자손 중에 ..許謙이라는 자가 있어 邵城伯에 책봉되고 尙書右僕射..翰을 낳았으며, 이한이 ..子淵과 ..子祥을 낳았다.27)..보한집..상권에 따르면 慶源이씨는 國初(고려초)부터 대대로 大官이 되었다고 한다.

 

이허겸은 현종의 배우자이자 安山..殷傅의 딸인 원성태후 김씨의 외조부였다. 현종은 연경궁주(원성태후) 김씨를 왕비로 책봉하고 15년에 그 친인척을 추증하면서 외조인 이허겸을 尙書左僕射上柱國邵城縣開國侯食邑1500戶에 추증하였다.28)

 

이허겸은 이정 묘지명에 추증 상서좌복야.太子太傅로 나온다. 公.侯.伯은 왕자인‘諸王’과 공이 많은 신하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작위였으니 이허겸이 소성백과 소성후에 책봉되었음은 그가 중요한 비중을 지닌 인물이고 인주이씨 가문의 지위가 높았음을 말해준다.

 

이허겸의 외손녀 즉 김은부의 딸이 현종의 배우자가 된 것은 인주 이씨를 도약시킨 계기가 되므로 중요하다. 인주 이허겸이 안산 김은부를 사위로 맞아들인 것은 인주와 안산이 하나의 생활권이라는 점에서 자연스런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두 집안이 각각 지역토호 로 비슷한 위상을 지녔음을 시사해준다.

 

현종이 거란의 침략으로 남천해 공주에 이르렀을 때 공주절도사 김은부가 맞이해 衣帶와 土物을 바치자 옷을 갈아입고 토물을 호종관에게 나누어주었으며, 巴山驛에 이르렀을 때 驛吏가 모두 도망해 음식을 마련할 수 없자 김은부가 음식을 바치고 옆에서 모셨다.

 

나주에 머물던 현종이 돌아오다가 공주에 이르렀을 때 김은부가 맏딸로 하여금 御衣를 만들어 바치게 하니 현종이 들여서 延慶院主라 칭하였다.

 

그녀가 덕종을 낳고 현종 9년에 靖宗을 낳자 延慶宮主로 승격하고 13년에 부모를 추증하였다. 그리고 이윽고 그녀를 왕비로

삼고는 15년에 조부와 조모를 추증하면서 외조인 이허겸까지 추증한 것이었다.

 

그녀는 인평왕후와 경숙공주까지 낳았으며 사후 원성왕후를 거쳐 원성태후로 추증되었다. 김은부는 생전에 딸 둘을 현종에게 더 바쳤다. 하나는 문종.평양공 基.효사왕후를 낳았는데 안복궁주라 칭해지다가 현종 11년에 延德宮主로 개칭되고 사후 원혜왕비, 평경왕후를 거쳐

------------------------------------------------

26).. 고려사..권95 이자연전

27).. 고려사..권95 이자연전

28).. 고려사..권88 후비전1 현종

------------------------------------------------

원혜태후로 추증되었으며, 다른 하나는 효경공주를 낳고 원평왕후로 추증되었다.29)

이처럼 김은부가 무려 딸을 셋씩이나 현종에게 바친 것은 그와 안산 김씨를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외척 문벌가문으로 급부상시켰으며 덩달아 그녀들의 외조부 이허겸의 인주이씨가 정계에 대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김은부가 딸 셋을 현종의 배우자로 만들 수 있던 이유는 그가 피난의 어려움에 빠진 현종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쳤다는 사실 외에 이허겸 집안의 위상 때문이기도 하였을 것이다.

 

..씨족원류..에 따르면 이허겸은 경주 출신의 工部侍郞..殷悅의 딸과 결혼했는데 그녀는 경순왕 김부의 외손녀였으며, 경순왕과 김은열은 원성왕의 후손으로 친척이었다.

경순왕의 딸과 김은열이 혼인을 했고 거기에서 태어난 딸이 바로 이허겸과 혼인을 했던 것이다.

 

경순왕은 신라를 들어 태조 왕건에게 바쳐 태조의 맏딸 낙랑공주(광종의 누이)와 혼인하였으며 경순왕의 딸은 광종의 아들인 경종과 혼인하였다.30)

 

경순왕과 그 집안은 신라 계열의 대표로서 왕실의 외척으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녔는데 경순왕의 손녀가 이허겸과 결혼했다는 사실은 이허겸 집안이 위상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경순왕 계열과 어떤 관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허겸의 선대는 신라의 大官을 지녔으니 신라 계열과 연결된다. ....氏家錄..에 따르면 가락국 수로왕의 후예인 許奇가 신라 경덕왕 때 아찬으로 당에 갔다가 안록산의 난을 만나 현종을 蜀에까지 수행하여 皇姓이씨를 하사받아 소성백에 봉해져, 원래의 성씨인‘許’앞 에‘..’를 붙여‘..許’를 성으로 사용해‘..許奇’라 했고, ..許謙까지 그러하다가 그 아들 ..翰부터‘허’를 버리고‘이’만 성으로 사용했다고 한다.31)

 

崇禎甲申파평 尹鳳九의 서문이 있는..인천이씨세보..에 실린 舊譜序에도 가락국 김수로왕과 왕후 許氏사이에 태어난 아들들 중 일부가 허씨를 칭하였는데 인천 이씨가 바로 여기서 기원하였다고 하였다.

 

가야국의 지배층은 신라의 지배층으로 흡수되므로 이허겸의 선대가 가야 계열이라 하더라도 신라 계열이라 볼 수 있다. 이허겸의 현손인 ..公壽의 묘지명에는, 선대는 信州사람 인데 □三世祖兵馬使大匡奇平이 邵城에 出守한 것을 인연으로 여기에 거처하면서 소성 즉 인주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 ..許奇는 奇平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

------------------------------------------------

29).. 고려사..권88 후비전1 현종.., 고려사..권94 김은부전

30).. 고려사..권2 태조18년11월.., 고려사..권88 후비1 태조신명순성왕태후유씨.경종헌숙왕후김씨

31) 이만열, 앞의 글, p. 5~7

------------------------------------------------

신라말에는 경주의 귀족이나 6두품이 지방으로 내려가 자리잡아 호족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허겸의 선대도 신라의 귀족 내지 6두품 출신으로 신주를 거쳐 인주에 자리잡아32) 호족으로 변신하였고 태조 왕건의 후삼국 통일전쟁에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배경이 있었기에 이허겸은 신라의 왕이었던 경순왕의 외손녀이자 신라의 왕족이었던 김은열의 딸과 혼인할 수 있었다고 정리된다.

 

이허겸은 인주이씨를 넘어서 옛 신라왕실의 사위로 격상되었으며, 그의 딸은 신라왕실의 피가 흐르는 고귀한 신분이 되었다. 그녀가 안산 김은부와 결혼하였고 거기에서 태어난 딸들이 현종의 배우자가 되었던 것이다.

 

이허겸의 외손녀들이 현종과 대거 혼인하게 된 데에는 다른 이유도 있었으니 현종 자신이 신라 계열이었기 때문이다.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의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려 할 때 백부 ..億廉의 딸 즉 자신의 사촌누이를 왕건에게 바쳤는데, 그녀는 안종(추증)을 낳고 신성 왕태후에 추증되었다. 안종은 경종의 배우자였다가 과부로 지내던 헌정왕후와 사통해 아들을 낳았는데 바로 현종이었다.33) 이허겸의 외손녀들과 현종은 신라왕실의 피가 흐르는 공통점이 있었기에 혼인관계를 맺게 되었던 것이다.

 

..씨족원류..에 따르면 이허겸과 김은열 딸 사이에는 ..翰외에도 ..訥등의 아들이 있었는데, 상서우복야 이한은 檢校少監崔領의 딸((國子司業崔閏의 증손녀이자 尙書崔巨業의 손녀)과 혼인해 이자연과 이자상을 낳았고, 대장군 이눌은 상장군 ..成幹을 낳았고, 이

성간의 딸은 파평 尹瓘과 결혼하였다.34)

 

상서 최거업은 광종 17년 한림학사 王融이 주관한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 인물이었다.35) 광종 23년 8월에 송에 파견된 사신단에서 內議侍郞徐熙는 正使였고, 內奉卿崔業은 副使였는데,36) 이 최업을 최거업과 동일인물로 보는 견해가 있다.37)

 

이한의 처 최씨는 이자연 묘지명에 ..浪郡大夫人으로, ..인천이씨세보..에 경주 崔領의 딸로 나타나는데, 처조부 최거업이 과거에 장원급제해 상서에까지 이른 것으로 보아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가문으로 여겨진다.

 

이한은 이자연 묘지명에 따르면 中樞副使..部侍郞을 지냈고, 이정 묘지명에 따르면 尙

------------------------------------------------

32) 信州는 金州혹은 慶州의 판독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33).. 고려사..권88 후비전1

34) 尹瓘은檢校太子少保..成幹의딸인慶源郡夫人이씨와결혼해尹彦旼을낳았다... 고려묘지명집성..윤언민 묘지명

35).. 고려사..권73 선거지과목選場

36).. 고려사..권2 광종23년8월

37) 강희웅.., 고려초과거제도의도입에관한소고...., 한국의전통과변천..(고려대출판부, 1973), p. 280~281

------------------------------------------------

書左僕射를 지냈고, 뒤에 언급하는 혜덕왕사(소현)의 비문에 따르면 同知樞密院事를 지내고 太傅상서좌복야를 추증받았다. 이한은 중추원의 재상으로 국왕을 시종하였고 이부시랑으로서 인사행정에 참여하였고 좌복야를 추증받았다고 정리된다.

 

Ⅳ. 이자연의 등장과 활약

 

 

 시조 이허겸 묘소

이자연은 현종 15년(1024) 3월에 예부상서 ..徵弼이 知貢擧로 주관한 과거에 22세로 장원으로 급제해38) 화려하게 정계에 입문하였다.

 

....令을 시작으로 御書..院官, 直史館, 秘書省校書郞, 監門衛..事參軍事를 거쳐 어사대의 監察御史에 임명되더니 右補闕知制誥로 옮겼다.39) 감찰어사(종6품)와 보궐(정6품)은 신분상 하자가 없어야 임명되고 출세가 보장되는 淸要職인 臺諫의 직책이었고 지제고는 문장력이 뛰어난 자들이 임명되는 국왕의 문필비서였다.

 

그가 우보궐에 임명된 것은 덕종 즉위년(1031) 9월이었으니40) 29살 때 의 일이다.

그는 덕종 때에 중추원의 右副承宣에 임명되고 刑部員外와 ..部員外, ..部..中, 御史雜端을 더하더니 左副承宣에 임명되고 덕종 2년(1033) 9월에는 31세로 이부낭중.어사잡단.右承宣에 임명되었는데, 寃滯의 獄을 잘 처리하고 銓衡의 권한을 바르게 썼다고 한다.41)

 

승선은 국왕의 정무비서이고, 형부는 형벌을 담당한 부서이고, 이부는 문반의 인사를 담당한 부서이고, 어사잡단은 어사대의 직책이다.

 

그는 국왕의 대변인인 승선으로서 뿐만 아니라 이부의 員外와 ..中으로서 銓衡즉 인사를 맡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왕 측근인 우승선으로서 왕명출납을, 이부낭중으로서 인사를, 어사잡단으로 서 감찰.언론.署經을 동시에 담당해 실세로 떠올랐다.

 

이자연은 1034년에 덕종이 세상을 뜨고 靖宗이 즉위하자 32세로 이전의 직책을 그대로 띤 채 起居注에 제수되었으며, 內史舍人, 중추원 知奏事, 給事中, 知尙書..部事, ..部侍郞, ..賓卿을 역임하고 다시 知..部事를 맡았다.

 

이윽고 이전의 직책을 그대로 띤 채 中樞副使에 임명되었고, 38세에 知中樞院事右散騎常侍를 역임하고 40세에 中樞使右散騎常侍에

-----------------------------------------------

38).. 고려사..권73 선거지과목選場. 이자연의 시기별 나이는 그가 59세에 세상을 뜬데에서 추론할 수 있다.

39)..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묘지명

40).. 고려사..권5 덕종즉위년9월

41)..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묘지명.., 고려사..권5 덕종2년9월

-----------------------------------------------

임명되었다.42) 기거주(종5품), 내사사인(종4품), 급사중(종4품), 산기상시(정3품)는 중서 문하성의 ..舍즉 諫官이며, 지주사(정3품)는 승선의 우두머리이고, 이부시랑(정4품)과 지이부사(겸직)는 이부 소속이고, 중추부사(정3품)와 지중추원사(종2품)는 중추원의 재상이다. 言官인 간관, 비서실장인 지주사, 인사담당의 이부 고위직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고 30대 후반에 중추원의 재상으로 승진하였던 것이다.

 

이자연은 문종이 1046년에 즉위하자 44세로 檢校尙書右僕射를 역임하고 45세에 ..部尙書..知政事判尙書..部事를 제수받고 곧 西京..守使를 겸하였으며, 이윽고 48세에 內史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權判尙書刑部事에 제수되었다.

 

重熙중에, 社稷의 설치가 因巡하여 아직 설치되지 못하자 문종이 조칙을 내려 舊制를 살펴 新壇을 축조하도록 명령하였는데, 이는 문종 6년(1052) 2월의 일이었다.

 

50세의 이자연이 ..使로서 그 일을 감독하여 적절하게 끝마치니 開府儀同三司를 더하였다. 그 해에 長女가 왕비에 책봉됨에 따라 守大尉(守太尉)가 더해지고 51세에 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에 제수되더니 檢校太保推誠佐運保社功臣이 더해지고 53세가 되는 문종 9년(1055)에 門下侍中判尙書..部事監修國史에 제수되었다.

 

문종 8년 2월에 외손인 원자가 儲副즉 태자에 책봉되자 檢校大師(太師)가 더해지고 또 守大傅(太傅) 重大匡, 三重大匡判三司事가 더해졌다.43)

 

이자연은 상서성의 장관인 복야를 잠깐 맡았다가 45세에 참지정사로 내사문하성(중서문하성)의 재신에 진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부의 장관인 이부상서를 맡았고 예부의 판사를 겸하였다.

 

 

곧 평장사로 형부의 판사를 겸하여 사직단 신설을 감독하고 딸을 문종의 왕비로 들여 공신에 책봉되고 53세에 문하시중으로 이부의 판사와 감수국사를 겸하여 국왕아래 최고의 지위인 수상에 올랐다.

 

이부의 제2장관인 이부상서를 거쳐 이부의 제1장관인 판이부사를 맡아 최고위 인사권자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판삼사사를 겸해

-----------------------------------------------

42)..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 묘지명... 고려사..권 6에 따르면 이자연이 급사중에 임명된 때는 정종 원년(1035) 8월이고, 지중추원사에 임명된 때는 정종 6년(1040) 9월이고, 中樞副使에 임명된 때는 정종 8년 (1042) 8월인데, 中樞副使는 中樞使의 誤記로 판단된다. 33세로 급사중에, 38세로 지중추원사에, 40세로 중추사에 임명되었던 것이다.

43)..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묘지명. 이자연은문종원년(1047) 4월에이부상서참지정사, 3년2월에守司徒, 4년(1050) 정월 내사시랑평장사에, 6년 3월 守太尉에, 7년 7월 문하시랑평장사에, 8년 4월 太傅에, 9년 7월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에 임명되었다(..고려사..권 7). 그는 45세로 이부상서 참지정사, 47세로 수사도에, 48세로 내사시랑평장사에, 50세로 수태위에, 51세로 문하시랑평장사에, 52세로 태부에, 53세로 문하시중 판이부사에 임명되었던 것이다. 사직단은 문종 6년 2월 皇城안 서쪽에 신축되었고, 태자 책봉은 문종 8년 2월에 있었다(..고려사..권 7).

------------------------------------------------

재정권까지 장악하였다.

이자연은 지방직으로 나간 적 없이 중앙의 요직인 언관인 대간, 政曹인 이부, 비서인 승선을 두루 역임하고 중추원재상을 거쳐 중서문하성 재신에 오르더니 문하시중 판이부사에까지 올랐다. 승선직은 우부승선→좌부승선→우승선→지주사로 승진해 가며 맡았고,

이부직은 이부원외랑→이부낭중→지이부사, 이부시랑→이부상서→판이부사로 승진해 가며 맡았다.

 

崔..이 문종 원년부터 문종 9년까지 문하시중으로 재직할 때 이자연은 참지정사 내지 평장사로서 그를 보좌하였으며, 최충이 문종 9년에 內史令으로 은퇴하자 이자연이 최충의 시중직을 이어받아 문종 15년에 사망할 때까지 유지하며 국정을 주도하였다.

 

최충은 은퇴했지만 軍國大事를 모두 자문하다가 문종 22년에 세상을 떴다.44) 문종 前半期를 이끈 쌍두마차가 바로 각각 장원급제를 거쳐 시중에까지 오른 해주 최충과 인주 이자연 이었던 것이다.

 

이자연은 중추원과 내사문하성에 20년 동안 있으면서 나라에 이익 되는 것을 행하지 않음이 없었고, 寵戚의 귀함과 爵祿의 중함을 내세워 남에게 교만하거나 자랑하지 않았다고 한다. 신축년(문종 15년: 1061) 8월에 妙覺寺에서 세상을 뜨니 향년 59세였다. 문종이 슬퍼해 예를 갖춰 장례를 치르게 하고 守大師中書令을 추증하고‘章和’라는 시호를 내렸다.

 

죽기 직전에 佛域茶毗의 법을 따르라는 유언에 따라 화장을 하고 유골을 그 해 10월에 임진현에 장사지냈다.45)

 

이자연이 정국을 운영한 사례와 특징을 살펴보자. 문하시중 판이부사 이자연은 문종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天地災祥은 매양刑.政의득실과서로응하니상벌을신중히 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신이 엎드려 보건대 이부.형부는 임무가 辨理를 요하는데 날마다

..夷하고 달마다 廢替하여 稽留되어 결정하지 못하는 것이 많습니다.

 

..部(이부와 형부)의 員寮로 하여금 事理를 精..하고 관리의 勤怠를 고과하여 黜陟하도록 한다면 聖上이 勤政하고 恤刑하는 뜻에 합치하여 寃抑을 녹이고 休祥을 부를 수 있습니다.”문종은 이자연 의 건의를 받아들였다.46)

 

이자연은 하늘과 땅 즉 자연의 재앙과 祥瑞가 인간의 형벌 및 政事(인사)와 서로 응한다

------------------------------------------------

44).. 고려사..권95 최충.이자연전

45)..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묘지명

46)..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사절요..권4 문종9년8월

-----------------------------------------------

는 음양오행가 내지 그것을 받아들인 儒家의 天人感應說을 믿고 있다. 인사관부인 이부와 형벌관부인 형부가 맡은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면 자연이 감응해 寃抑이 없어지고 休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문종은 10년 2월에 개경 도성 밖 남쪽 덕수현에 흥왕사라는 사원을 건설하였는데 덕수현을 楊川으로 옮기는 대규모의 공사였다.

 

지중추원사 崔惟善(시중 崔..의 아들)은 태조가 訓要에서,“ 國師道詵이 국내 산천의 順逆을 고찰해 무릇 사원을 창조할만한 곳은 營建하지 않음이 없으니 후세에 嗣王및 公侯.貴戚.后妃.臣僚는 願宇를 다투어 修築하여 地德을虧損하지말도록하라”고하였다면서,“

 

지금 폐하가祖宗이쌓은基業을계승하여 昇平이 오래되었으니 마땅히 節用하고 愛人하고 持盈하고 守成하여 後嗣에게 전해주어야 하는데, 어찌하여 민의 재산과 민의 힘을 다해 급하지 않은 비용에 써서 邦本을 위태롭게 합니까”라고 따졌다.

 

은혜가 두텁게 대답한 왕은 다른 날 최유선이 閑..에 入侍하니 조용하게 위로하고 장려하며 말하기를,“ (임금을) 간쟁함은忠이요(임금의) 좋아함을 따름은 아첨이다”라고하였다. 최유선이 대답하기를,“ 創業은 오히려 쉬우나 守成은 어렵습니다” 라고 하였다.47)

 

문하시중 이자연도 흥왕사의 창건과관련해 발언하였다.“ 근래 흥왕사를 창조함으로 인해 덕수현을 楊川으로 옮기니 백성이 ..舍를 營葺하느라 편안히 거처할 겨를이 없으며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손에 들고 도로에 서로 이어져 貧者는 구렁에 빠져 죽는 근심이 있고 富者는 安堵할 곳이 없으니 청컨대 덕수현 민의 1년 賦役을 면제해 蘇息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하였다.

 

이에 문종은 특별히 2년 부역을 면제하도록 조처하였다.48) 지중추원사 최유선이 흥왕사 창건을 정면으로 비판해 반대한 반면 문하시중 이자연은 흥왕사 창건에 따른 백성의 피해를 줄이는 대책을 제시해 그 결과 피해 당사자인 덕수현의 민이 부역을 면제받을 수 있었다.

 

문종은 이자연이 공이 높고 임무가 중하다고 여겨 衣...銀器.鞍馬.穀帛을 하사해 式目都監使로 삼았다.49) 庾仲卿은 공부상서 庾逵의 아들인데 문종이 制하여 降等하여 蔭職을 제수하였다. 式目都監使시중이자연등11인이논박하기를,“ 유중경의舅인평장....

-----------------------------------------------

47).. 고려사..권95 최충첨부최유선전.., 고려사절요..권4 문종10년2월

48)..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사절요..권4 문종10년11월

49).. 고려사..권95 이자연전

------------------------------------------------

이 형인 少卿..蒙의 딸과 간통해 유중경의 모친을 낳았으니 유중경은 朝..에 나란히 하도록 해서는 안됩니다.”라고 하였다. 반면 평장사 ..元鼎등 4인은 논의하기를, “이는 .... 의 죄이지 유중경 父子가 범한 것이 아니며, 또한 공신 庾黔弼의 후예이니 仕途를 막아서 는 안됩니다. 청컨대 前制에 의거해 강등해 음직을 제수하십시오.”하였다.50)

 

문종이 음직을 근친과 간통해 낳은 자의 후손에게 비록 강등했지만 제수하자 이자연 등 다수가 사회윤리의 입장에서 반대하고, 김원정 등 소수가 정상참작의 입장에서 찬성한 것 인데,

 

문종은 자신의 조치를 지지한 김원정 등 소수의 의견을 따랐다. ..씨족원류..에 따르면 이자연은 경주 ..仁渭의 사위이고, 김원정은 김인위의 아들이니 처남매부 사이에도 인사정책을 놓고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가족.친인척의 구성원 사이에도 노선을 달리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사회의 한 특징이었던 것이다.

또한 式目都監使시중 이자연이 아뢰기를, “製述業康師厚가 과거에 10번 응시해 합격하지 못했는데 例에 따라 갑오년 赦詔에 의거해 脫麻함이 마땅하나 강사후는 儒林郞堂引上貴의 증손입니다.

 

堂引은 驅史官이니 엎드려 무자년 制를 보건대 電吏.所由.注膳. 幕士.驅史.門僕자손이 製述.明經.律.書.算.醫.卜.地理學業을 공부해 登科하거나 兵陳아래에서 大功을 이룬 자는 朝行에 오르기를 허용하라고 하였고, 또한 병신년 制를 보건대 上項人자손으로 은혜를 입어 入仕한 자는 祖.父의 仕路에 의거해 헤아려 제수하라고 하였으니, 지금 강사후는 脫麻함이 마땅하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참지정사 ..顯등 5인은 아뢰기를, “강사후의 증조 上貴는 직책이 비록 堂引이지만 儒林郞을 겸할 수 있었고, 부친 序應은 과거에 10번 응시해 또한 脫麻하고 入仕할 수 있었는데, 강사후가

10년 동안 쏟은 螢雪의 功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니 엎드려 바라건대 또한 脫麻를 허용 하십시오.”라고 하였다.51)

 

脫麻는 과거에 10번 응시해 합격하지 못하면 합격시켜 주는 것을 일컫는다. 雜類인 堂引의 탈마 문제가 벌어졌을 때 이자연 등은 법제에 근거한 원칙론을 주장한 반면 김현 등 은 해당자의 노력과 증조.부친의 예를 참작한 변통론을 주장한 것인데, 문종은 이자연 등 의 원칙론을 따랐다.

 

이자연은 윤리.법제에 근거한 원칙주의자였으니52) 문벌명문으로서

------------------------------------------------

50).. 고려사..권95 김원정전.., 고려사절요..권5 문종12년5월

51)..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사절요..권5 문종12년5월

52) 이러한 모습은 이자연이, 開城監牧直..啓가 사사로이 起頭..仁과 驅史加達을 파견해 府軍..祚를 체포하려 하자 ..祚가 물에 투신해 죽은 사건의 관련자에 대한 처벌 형량을 놓고 원칙을 강조한 형부의 입장에 동조한 데에서도 엿볼 수있다... 고려사..권95 왕총지전

------------------------------------------------

기존의 사회질서를 고수하려는 입장이었다고 하겠다.

이자연은 유생이면서 불교에 심취하였다. 그는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潤州에 있는 甘露寺를 보고 빼어난 경치에 반하였다. 귀국한 이자연은 사람을 시켜 윤주와 같은 경치를 지닌 장소를 물색하도록 해 6년만에 서강(예성강)변 벽란도 북쪽 五鳳峰아래에 그러한 곳을 찾고 윤주의 감로사를 모방해 건물들을 짓고 이름까지‘감로사’라 하였다.

 

후에 감로사의 절경을 승려 시인 惠素가 읊었고 김부식이 이어 시를 지었는데 이를 듣고 사람들이 화답한 것이 몇 千餘편이나 되어 鉅集을 이루었다.53)

 

개경 일대 절들은 대부분 왕이나 왕실의 주도하에 건축되었다. 하지만 감로사는 이자연 개인의 힘에 의해 창건된 인주 이씨 집안의 사적인 원찰이었으니 이는 이자연의 권력이 컸음을 말해준다. 감로사는 감로왕이 아미타불을 지칭하므로 아미타신앙과 관련되는데, 법상종이 미륵보살을 주존으로 하면서 아미타불을 같이 모시니 법상종 계열의 사찰로 보인다.

 

이자연은 법상종에 심취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가 아들 소현을 법상종에 출가 시키는 것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

 

이자연은 과거에 장원급제할 만큼 유학에 조예가 깊었지만 감로사를 경영하고 유골의 화장을 유언할 정도로 불교에 심취하였으며, 아들 韶顯.손자 世良.증손 智炤와 義莊은 출가해 중이 되고, 아들 이정은 아미타불을 염송하고 보살계를 받았고,

 

조카 이오는 불교를 酷信해 금강거사라 했고, 손자 이자현은 급제해 大樂署丞을 역임하다가 청평산 문수원에 은거해 중처럼 지냈고, 從孫이공수는 불교를 좋아했다.54)

 

이처럼 인주 이씨가 불교에 심취한 경향은 왕실과 통혼을 많이 하고 이자연 계열이 음서를 중시한 모습과 더불어, 최충의 해주 최씨가 유학과 과거를 중시하고 왕실과 별로 통혼하지 않은 경향55)과 대비되지만 인주 이씨와 해주 최씨는 문벌명문으로서 통혼관계를 형성한다.56)

------------------------------------------------

53)..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 개성부 상 불우 감로사. 조선초에 권근은 감로사 重創記에서, 이자연의 딸로 문종

의 배우자인 인예태후가 낳은 순종.선종.헌종(숙종의 오류?)이 즉위한 일, 인종의 배우자인 공예태후가 이 절을 중창해 願刹로 삼아 그녀가 낳은 의종.명종.신종이 즉위한 일, 閔霽의 先塋이 모두 이 절의 後崗에 위치해 그 딸이 태종(이방원)의 배필이 되어 元良을 포함한 아들들을 낳아 기르고 있는 일이 감로사의 영험 때문이라고 하였다.

54)..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이정묘지명.., 고려사..권127 이자의.이자겸전

55).. 고려사..권88 후비전1에따르면예종의淑妃최씨는..政崔湧의딸인데, 崔湧은..고려묘지명집성..崔允儀묘지명에 따르면 해주 崔..의 증손자였다. 이에 대해서는 정용숙이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앞의 책, pp. 181.184

56) ..預는 최유선(최충의 아들)의 딸과, 이자겸은 崔思諏(최충의 손자)의 딸과 혼인하고, 崔淪(최충의 증손)은 이자덕의 딸과 혼인한다. 藤田..策, 앞의 글(상), pp. 33.37 및 박용운, 앞의 책, 제2부 제1장. 이자연은 왕

실외척으로서, 최충은 州吏의 아들(..신증동국여지승람..해주 인물조)로서 장원급제했다는 점이 두 가문의 경향에 차이를 가져온 요인으로 보인다. 최충이 두 아들에게“士以勢力進鮮克有終以文行達乃..有慶” (..보한집..상)이라고 경계한 말에서 세력보다 文行을 중시한 그 가문의 가풍이 드러나는데, 최충의 자손대로 가면서 학벌과 문벌을 겸비한 명문으로 자리잡는다.

------------------------------------------------

 

Ⅴ. 인주이씨 세력의 형성

 

이자연은 낙랑군 京兆氏...林國大夫人金氏와 혼인해 8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을 낳았다. 문종은 이자연의 딸을 들여 왕비로 삼자 이자연의 처 ..浪郡君..氏를 大夫人으로 삼고, 아들 ....를 軍器注簿에 임명하고, ..顥와 ....에게 각각 9품직을 제수하였으며, 이윽

고 김씨를 ..林國大夫人에 봉하였다. 이자연이 세상을 떴을 때 맏아들 ....은 檢校衛尉卿行尙書右丞知閤門事였고,

 

그 다음 ....은 殿中少監, ..碩은 ..部員外郞, ....는 閤門祗候楊州使였고, 韶顯은 어릴 적에 출가해 瑜伽業大選場에 합격해 大德이 되었고, ..顥는 尙食直長同正이었고, ....은 세상을 떴고, ..顔은 ..賓注簿同正이었다. 딸 셋은 모두 문종의 배우자였는데, 맏딸은 延德宮主王妃로 太子및 國原侯를 낳았고, 둘째딸은 壽寧宮主로 朝鮮侯를 낳았고, 셋째딸은 崇慶宮主였다.57)

 

이자연의 배우자 계림국대부인은 이정 묘지명에 따르면 내사시랑평장사 ..因謂(..仁渭)의딸이었다... 고려사..권88 후비1 현종편에따르면元順淑妃김씨는史書에서 그 고향을 잃었는데 평장사 ..仁渭의 딸로 敬成王后를 낳았으며,

 

처음에는 景興院主라 칭하다 가 현종이 15년 정월에 德妃에 책봉하고 9월에 김인위를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京兆縣開國男식읍 300호를 주고 致仕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김인위 딸의 고향을 모른다고 하였지만..씨족원류..에 따르면 김인위는 경주 김씨의 한 갈래인 장군 ..順雄의 아들이고 김인위의 아들은 ..元鼎이었다. 그러니까 경주 김인위는 한 딸을 현종과, 다른 한 딸을 이자연과 혼인시켰던 것인데, 현종. 김인위. 이자연 모두 신라 계열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자연과 김원정은 매부 처남 사이로 정계를 이끄는 주요 인물이었다.

이자연은 신묘년(문종 5년)에 과거의 고시관인 지공거를 담당해 급제자들을 선발했는데 그 중에서 명망가들이 많이 배출되었다.58) 이자연이 주관한 과거에서 급제한 문생 중에

------------------------------------------------

57)..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 묘지명,.. 고려사..권 95 이자연전. 문종의 배우자가 된 이자연의 딸 중 인예태후 (연덕궁주)는 순종, 선종, 숙종, 대각국사, 상안공, 普應僧統, 금관후, 변한후, 낙랑후, 聰慧首座, 적경궁주, 보

녕궁주를 낳았고, 인경현비(수녕궁주)는 조선공, 부여공, 진한공을 낳았고, 인절현비(숭경궁주)는 자식이 확인 되지 않는다... 고려사..권88 후비전문종

58).. 고려묘지명집성..이자연 묘지명. 내사시랑 이자연은 문종 5년 4월에 지공거를 맡아 崔錫(崔奭) 등의 급제자를 선발 하였다... 고려사..권73 선거지과목選場

-----------------------------------------------

명망가는 평장 崔奭, 평장 ....鑑, ..政崔思訓.朴寅亮, 학사 崔澤.魏齊萬등이었고, 아들 ............顔이 재상에 올랐으니, 어떤 사람이 시를 짓기를,“ 庭下芝蘭三宰相門前桃李十公卿”이라 하였다.59) 이자연의 쟁쟁한 문생들은 인주이씨 세력의 확산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은 문장에 능했지만, 과거응시를 불허하고 門蔭으로 出身하도록 강요한 부친의 뜻을 따랐다. 20살인 정종 10년(1044)에 內庫副使, 23살인 문종 원년(1047)에 ..賓省注簿, 25살인 문종 3년(1049)에 閤門祗候(정7품)를 역임하였고, 28살에 尙書考功員外郞(정6품)을 제수받고 나가 楊州를 맡았다.

 

31살에 임기를 채우고 중앙으로 돌아와 尙書戶部員外郞을 거쳐 호부의 正郞(..中: 정5품)이 되었다. 32살에 衛尉少卿(종4품) 知閤門事, 35살에 尙書右丞(종3품), 36살에 尙書..部侍郞(정4품), 38살에 殿中監(종3품) 知尙書.. 部事를 역임하였다.

 

40살인 문종 18년(1064)에 同知中樞院事(종2품)로 三司使를 겸하고, 44살에 右散騎常侍를 겸하고, 46살에 戶部尙書中樞使權西京..守使를 역임하고 47살에 ..部尙書로 옮겼다. 48살인 문종 26년(1072)에 ..知政事判三司事, 51살인 문종

29년(1075)에 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判尙書兵部事西北面兵馬事兼西京..守使에 제수되었다.

 

53살이 되는 문종 31년(1077)에 앓자 국왕이 守太傅문하시중을 제수하였지만 佛恩寺에서 아미타불을 염송하고 스스로 보살 8戒를 받고 5월에 세상을 떴다. 불교식으로 서쪽 京畿의 山麓에서 茶毗를 하고 유해를 임시로 절에 봉안하였다가 孟冬月에 임진현 白嶽의 先塋인근에 장사지냈다.60)

 

....은 문음으로 벼슬길에 들어선 지 9년 정도만인 28세에 조정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職에 속하는 고공원외랑에 오른 빠른 승진이었다. 36세~40세에는 이부의 고위직인 이

------------------------------------------------

59).. 보한집..상권. 여기서芝蘭은이자연의아들을, 桃李는이자연의문생을비유한다.

60).. 고려묘지명집성...... 묘지명. 이정은 1024(현종 15년) 내지 1025년(현종 16년) 무렵에 태어났다고 볼 수 있다. 이자연이 이정에게 과거를 불허한 요인은“賈誼之年多相如之病”으로 말미암았다고 되어 있는데,

김용선 편..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한림대 출판부, 2001)에 실린 이정 묘지명의 역주에는“賈誼의 나이에 이르러서도 相如의 병이 지나칠까 하여”로 번역하고, 賈誼는 뛰어난 문장을 썼으나 33세에 요절하였고,

相如(司馬相如)의 병이란 글에만 심취하는 것을 말한 듯하다고 주석하였다. 이자연은 자신이 장원급제한 인물인데 아들이 문장실력이 뛰어났음에도 과거응시를 금하고 음서를 이용하도록 한 것은 언뜻 납득하기 어려우니 문벌외척으로서의 겸양.경계나 기득권고수 등의 숨은 이유가 있었는지 추구해 볼 일이다. 이자연의 응시불허 때문인지 그 아들들 중에는 급제자가 없고 손자 중에는 ..資仁, ..資玄정도가 급제하고, 대부분 음서를 이용해 벼슬하였다. 반면 이자상의 아들인 이예와 이오, 이예의 아들인 이공수, 이공수의 아들인 ..

之..는 과거급제를 통해 벼슬에 나아갔다... 고려사..권95 이자연전

------------------------------------------------

부시랑 내지 지이부사로서 문반에 대한 인사를 관장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벼슬에 나아간지 21년 정도만인 40세에 동지중추원사로 재상이 되었으며, 47살에는 이부상서 중 추사로서 문반에 대한 인사를 관장하였다.

 

48세에는 참지정사로 중서문하성의 재신이 되더니 51세에 평장사 판병부사로 亞相이 되어 무반에 대한 인사를 총관하고 서북면 병마판사로 군권을 장악하였다.

 

이정은 부친 이자연과 문종의 왕비인 세 누이의 후광으로 요직을

역임하고 초고속으로 승진해 51세에 아상이 될 수 있었으며 53세에는 죽기 직전이지만 문하시중을 제수받았던 것이다.

 

....는 좌승선을 역임하고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웠다. 문종 34년 12월에 東蕃이 난을 일으키자 중서시랑평장사 文正을 判行營兵馬事로, 동지중추원사 崔奭과 병부상서 ..漢을 兵馬使로, 좌승선 ....를 兵馬副使로 삼아 步騎3만을 거느리고 치게 하니 431명을 사로

잡아 베었던 것이다.61)

 

이의는 35년 2월에 太子賓客에, 12월에 左散騎常侍知中樞院事에 임명되었다.62) 문종은 36년 9월에 개경에서 남쪽으로 행차를 떠나 峯城縣에서 重陽宴을 베풀고 천안부를 거쳐 溫水郡에 이르렀다.

 

그리고 10월 초하루에‘暮秋南幸次天安府’라 는 시를 친히 지어 보여주고는 近臣들에게 韻을 따라 화답하도록 하여 등급을 매겼는데 가장 빼어난 시를 지은 좌산기상시 (지중추원사) ....에게 廐馬1필을 하사하였다.63)

 

이의는 이후 기록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아 문종말~순종 무렵에 죽은 것으로 보인다.

....가 諫垣에 있을 적에 陰陽者流가 각기 도참을 고집하여 서로 裨補를 말하니 임금(문종)이 이의에게 물었다. 이의가 대답하기를, 음양은 大易에 근본을 둔 것인데 易에는 地理裨補를 말하지 않았으니 후세에 詭誕者들이 그것을 曲論해 文字를 이루어 衆人을 미혹한 것이며, 하물며 도참은 荒虛怪妄하여 하나도 취할 만하지 않다고 하니 임금이 마음속으로 그렇게 여겼다고 한다.64)

 

간관 이의는 도참에 근거한 풍수지리 裨補의 효능을 부정한 것인데 문종은 그렇게 여겼다고 하였지만 지리 도참설을 떨쳐 버리지 못하였다.

 

..顔은 中樞院副使로 재직하던 선종 5년 정월에 요나라가 ..場을 압록강 연안에 설치하기를 의논하자 왕명을 받고 藏經燒香使를 가탁해 귀주에 가서 변방의 일에 비밀히 대비하

-----------------------------------------------

61).. 고려사..권9 문종34년12월

62).. 고려사..권9 문종35년2월.12월

63).. 고려사..권9 문종36년9월.10월

64).. 보한집..상권

-----------------------------------------------

였다.65) 선종 5년 12월에는 형부상서 참지정사에 임명되었으며, 이 때 이자인은 殿中監중 추원부사에 임명되었다.66) 그 후 문하시랑평장사에 오른 이안은 선종 8년 12월에 세상을 떠 襄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67)

 

..碩은 문종 26년 7월에 한림학사 國子祭酒鄭惟産이 知西北面秋冬番兵馬事로 나갈 때 兵部侍郞으로서 東北面秋冬番兵馬副使로 나갔으며, 문종 31년 정월에 工部尙書에 임명되었다.68) 선종이 국원공이었을 때 공부상서 이석의 딸을 배우자로 맞이하고 왕위에 오른 후 왕비로 삼았으며

 

그 아들 헌종이 즉위해 어머니를 태후(사숙태후)로 삼았음에도69) 이석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선종이 즉위하기 전에 이석이 공부상서로 사망했음을 시사해준다. ..

 

顥는 慶源伯을 추증받았다는 기록, 순종이 즉위해 호부낭중 ..顥의 딸을 들여 왕비로 삼았다는 기록70)으로 보아 비록 그녀가 순종의 사후 宮奴와 사통해 폐비된 사실을 참작하더라도 호부낭중으로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거나 아니면 힘을 상실했을 것이다.

 

....은 이자연 이 사망했을 때 殿中少監에 재직하였지만 그에 대한 기사가..고려사..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역시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은..고려사..권 95 이자연전에 재상으로 소개되었지만 이자연 묘지명에 부친보다 먼저 세상을 떴다고 했음으로 요절한 것으로 보이니 이자연전에 언급된 재상‘....’은‘..顔’과 혼동한 오류로 판단된다.

 

韶顯은 靖宗4년(1038)에 闕南佛嶺의 부모 私第에서 태어나 11세에 부친의 뜻에 따라 海安寺에서 海麟에게 출가하여 법상종의 승려가 되고 해린을 따라 현화사에서 정진하였다.

 

문종은 24년(1070)에 여섯째 왕자를 소현의 문하에서 출가하도록 하였는데 바로 그가 법주사 주지가 되는 導生僧統이었다. 소현은 현화사, 해안사, 금산사를 오가며 법상종의 교리를 정리하고 전파하는 데 힘을 쏟았다. 그가 선종에게 요청한 바에 따라 현화사가

중창되었는데 선종 6년(1089)~숙종 원년(1096)에 걸쳐 완공되었다.

 

소현은 이자의가 계림공(숙종)에게 패배한 다음해인 숙종 원년 12월에 세상을 떴는데 숙종으로부터 王師를 추증받고 慧德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예종 6년(1111)에 비문이 새겨졌다.71)

----------------------------------------------

65).. 고려사..권10 선종5년정월

66).. 고려사..권10 선종5년12월

67).. 고려사..권10 선종8년12월

68).. 고려사..권9 문종26년7월.31년정월

69).. 고려사..권88 후비1 선종.., 고려사..권127 이자의전,

70)..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사..권88 후비1 순종

71) 금구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 3).., 가산불교문화연구원,1996). 이자연 부부가 소현을 낳은 私第가 위치한 闕南(대궐 남쪽) 佛嶺은 佛恩寺와 관련되지 않을까 싶다.

불은사는 대궐(황성) 밖 남쪽 인근의 유암산에 위치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 개성부 상 불우 불은사. 불은사가 위치한 유암산(혹은 유암산의 불은사 부근)이 佛嶺이라 불려졌고 이자연의 사제는 유암산 기슭에 위치했다고 생각된다. 이자연의 손자인 이자겸이 딸 둘을 인종에게 연달아 바치자 인종은 담당관청에 명해 이자겸의 祖先이 거처했던 開明..을 脩葺하도록 하고 완공되자 重興..이라 개칭해 이자겸에게 들어가 거처 하도록 하였다... 고려사..권127 이자겸전. 이자겸祖先의개명택(→중흥택)은 곧 대궐남쪽佛嶺에 위치한 이자연의 사제를 가리켰다고 판단된다.

-----------------------------------------------

....은 청주 王可道(..可道)의 딸과 결혼해 6남 4녀를 낳았다. 장자는 ..資仁인데 22세에 과거에 급제해 벼슬했으며, 다음은 ..資義...資忠...資孝순인데 문음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다음은 현화사 승려 世良이고, 막내 아들은 이정의 사망 때 어려서 이름이 없었는데 ..資禮(水州崔滋盛의 장인)로 보인다.72) 이정의 맏딸은 ....鑑의 嫡男인 ..義英과 혼인하였고, 다른 딸들은 이정의 사망 때 미혼이었는데 그 중 하나는 선종의 배우자가 되는 元信宮主이다.73) ..顥는 광양 평장사 ..廷俊(김양감의 부친)의 딸과 혼인해 ..資謙

과 ..資諒(..資訓)을 낳았고, ....는 ..資玄과 ..資德을 낳았다. ..碩의 딸은 광양 ..義元(....鑑의 아들)과 혼인하였는데, 그녀가 세상을 뜨자 김의원은 예부상서 지추밀원사 이자인의 딸과 재혼하였다.74)

 

인주 이씨는 이호가 김양감의 누이와 혼인하고, 이정이 김양감의 아들인 김의영을 사위로 맞이하고, 이석과 이자인(이정의 아들)이 김양감의 아들인 김의원을 사위로 맞이할 정도로 광양 김씨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75)

 

이자연의 문생으로 문하시중에까지 오른 광양 김양감의 선대는 본래 신라계통인데 신라말에 난을 피해 광양에 거주하였다고 한다.76) 이자연 집안과 김양감 집안은 신라 계통의 문벌이라는 공통점, 김양감이 이자연의 문

------------------------------------------------

72) 최자성은 현종 때 수문하시중 판이부사를 지낸 水州(水原←..川) 崔士威(..海府阿干庾鬱行의 외손)의 증손이다. 최자성은 이자연의 손자인 左司..中..資禮의 딸과 혼인해 崔..抗과 崔....을 낳았다. 최유항은 工部尙書..彦林의딸과혼인하는데 이언림은 이자상의 손자, ....의아들이다... 고려묘지명집성..崔士威.崔

..抗.崔..묘지명,.. 고려사..권94 최사위전,.. 고려사..권98 최자성전. 수주최씨에대해서는박용운, 앞의 책, 제2부 제4장이 참고된다.

73).. 고려묘지명집성..이정묘지명

74).. 고려사..권95 이자연전,.. 고려묘지명집성....義元묘지명,.. 씨족원류..인천이씨.광주김씨. ..廷俊이..씨 족원류..광주김씨 편에는 ..貞俊으로 되어 있다.

75) 훗날 정변을 일으킨 이자겸은 자신의 重興..으로 들어가도록 인종을 강요했고 大卿..義元과 崔滋盛이 重興..執事로서 인종을 맞이하였다... 고려사..권127 이자겸전. 김의원과 최자성은 인척인 이자겸의 私第집사로서 이자겸을 도왔던 것이다.

76).. 고려묘지명집성..김의원 묘지명. 이에 따르면 광양 김씨는 김의원의 부친인 김양감이 문하시중 監修國史, 조부인 ..廷俊이 문하시랑평장사, 증조인 ..策이 좌복야 한림학사, 고조인 ..峻이 三重大匡, 김준의 부친인 ..佶은 重大匡을 지낸 문벌 명문이었다. ..고려사..권 97 김약온전과..씨족원류..광주김씨 편에 따르면 평장사를 지내고 문하시중으로 치사한 ..若溫(..義文)은 김양감의 아들이자 김의원과 형제였고, 김약온의 아들은 ..璇이고 사위는 파평 윤언이(윤관의 아들)였다. 병부상서 ..璇(..璿)의 딸은 인종과 혼인해 선평왕후가 되었고, 아들 ..貽永은 동래 鄭沆(鄭..의 부친)의 사위가 되었다. ..고려사..권 88 후비전 1 인종 선평왕후, ..고려사..권97 정항전. 김이영의 딸은 鄭筠(정중부의아들)과 혼인하였다... 고려사..권128 정중부전

------------------------------------------------

생이라는 점으로 인해 겹사돈으로 맺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자상은 ..預와 ....를 낳았다.

 

이예는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해 尙書工部員外郞을 지냈고, 선종 때 예부시랑 한림학사, 知中樞院事병부상서 한림학사승지를 지냈고, 헌종초에 정당문학 형부상서를 지냈다. ..

 

資義의 黨으로 파면되었다가 예종이 즉위해 延和宮主(이예의 외손녀, 貞信賢妃의 딸)를 왕비로 삼으면서 그를 含元殿으로 불러 선물을 내리고 檢校太尉형부상서 정당문학을 제수하더니 중서시랑평장사로 승진시켰다.

 

이오는 과거에 급제해 直翰林院에 임명되고, 문종.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을 섬겨 開府儀同三司檢校太師守太保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判尙書..部.翰林院事修國史에 이르렀고 시호는 文良이었다. 그는 恬靜하고 욕심이 적어 俸祿외에는 産業을 일삼지 않았고 불교를 酷信하여 諸經章..를 두루 보고 금강경을 더욱 좋아해 스스로 호를 금강거사라 했다.77)

 

이예는 해주 시중 崔惟善(崔..의 아들)의 딸과 결혼해 ..公壽와 貞信賢妃(선종의 배우자)를 낳았고 上黨(청주) 王懋崇의 딸과 재혼하였으며, 이오는 ..彦林을 낳았다.78)

 

호부낭중 ..顥의 딸은 순종이 즉위한 후 들여서 왕비로 삼아 長慶宮主가 되었지만 순종이 세상을 뜬 후 外宮에서 宮奴와 사통하였다가 발각되어 폐위당하였다. 평장사 ..預의 딸은 선종이 國原公으로 있을 때 들여서 公妃로 삼았는데 敬和王后를 낳고 죽어 貞信賢妃로 불렸다.

 

공부상서 ..碩의 딸은 선종이 국원공으로 있을 때 들여서 延和宮妃라 불리는데 獻宗및 遂安..主를 낳았으며 선종이 즉위후에 왕비로 책봉하고 헌종이 즉위하여 태후로 올렸으니 思肅太后이다. 평장사 ....의 딸은 선종이 들여 元禧宮妃(元信宮主)라 불렸는데 漢山侯를 낳았다.79)

 

이자연의 세 딸이 문종의 배우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자연의 아들인 이호의 딸이 순종의 배우자, 이자연의 아들인 이석과 이정의 딸이 각각 선종의 배우자가 되었고, 이자상의 아들인 이예의 딸이 선종의 배우자가 되었으니, 이자연의 손녀 셋과 이자상의 손녀 하나, 즉 이한의 증손녀 넷이 국왕의 배우자가 된 것이었다.80) 이허겸의 외손녀 셋이 현종

------------------------------------------------

77).. 고려사..권95 이자연전및첨부이예.이오전

78).. 고려묘지명집성..이공수묘지명.., 고려사..권95 이자연전첨부이예.이공수전.., 씨족원류..

79).. 고려사..권88 후비1 순종.선종편

80) 김당택은, 문종이 이자연의 딸들과 혼인한 이유는 왕실과 밀착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신을 대표할만한 존재

인 이자연의 후원을 받아 문신들의 견제를 피하기 위해서였고, 선종이 인주 이씨 집안의 딸과 혼인한 이유는

군사력을 장악한 동생 계림공(숙종) 등의 위협으로부터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고 하여, 인주 이씨가 왕

권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고려 문종~인종조 인주이씨의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회

의 제문제..(한국중세사학회, 2001), pp. 184.187

------------------------------------------------

의 배우자가 되고, 이자연의 딸 셋이 문종의 배우자가 된 데 이어 이호.이석.이정.이예의 딸이 국왕의 배우자가 되면서 인주 이씨는 확고하게 최고의 문벌명문으로 자김매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정계를 좌우하는 정치세력을 형성하였다.

 

이는 경원이씨 貴戚의 성함이 지금이나 예전이나 비할 데가 드물었다는 최자(..보한집..상권)의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주 이씨는 문종 15년 이자연 사후에도 그의 아들 이정, 이의, 이안과 이자상의 아들 이예와 이오가 재상으로서, 외척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이자연의 손자인 이자겸, 이자량, 이자인, 이자의, 이자효, 이자현, 이자덕과 이자상의 손자인 이공수.이언림이 뒤를 받치고 있었는데, 특히 이자의는 선종 때 호부상서를 역임하고 헌종 때 중추원사에 올라 가문 신세대의 선봉으로 떠올랐다.

 

Ⅵ. 이자의와 계림공의 대결

 

문종이 37년(1083) 7월에 세상을 뜨고 태자인 순종이 즉위하지만 병약해 10월에 세상을 떠 친동생인 선종이 즉위하였고, 선종이 11년(1094) 5월에 46세로 세상을 뜨자 원자인 헌종(사숙태후 이씨의 아들)이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6월의 인사발령에서, 邵台輔...子威는 門下侍郞平章事, ..奭은 상서좌복야, ....는 참지정사, ..資義는 지중추원사, 崔思諏는 동지중추원사 좌산기상시에 임명되었다. 헌종 원년 정월에는 王國..가

權尙書兵部事에 임명되었고, 5월에는 유석이 판삼사사, ..預가 정당문학 형부상서, 이자의가 중추원사, 孫冠이 지중추원사 한림학사승지에 임명되었다.81)

 

인주이씨 집안의 이예, 이자의가 눈에 띈다.

헌종 때 정국은 헌종의 모후인 사숙태후(이석의 딸)가 섭정을 하는 가운데 중추원의 재상 이자의와 국왕의 숙부 계림공 熙가 권력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이자의는 조카인 한산후를 헌종의 계승자로 밀었고, 계림공은 자신이 왕위를 차지하고자 하였다. 한산후는 선종과

------------------------------------------------

81).. 고려사..권10 헌종즉위년6월, 원년정월.5월

------------------------------------------------

원신궁주(이정의 딸, 이자의의 누이) 사이에 태어났으니 이자의에게 조카였고, 헌종의 배 다른 동생이었다. 이자의와 계림공의 대결은 결국 정변으로 번지는데..고려사..권 127 반역 1 이자의전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왕(헌종)이 幼弱하고 질병에 걸려 정사를 聽決하지 못하자 모후(사숙태후)가 國事를 專決하고 左右가 그 사이에서 依違하였다. 이자의가 貨財를 貪冒하고 無賴勇士를 모집해 騎射로써 일삼으며항상 말하기를,“ 주상이 병이있어 朝夕으로 보전하기 어려운데 外邸에서窺..하는자가 있으니 너희들은 마땅히 힘을 다해 한산후를 받들어 神器(보위)를 타인에게 돌아가도록 하지 말아라”라고 하고, 병사를 禁中에 모아 大事를 일으키고자 하였다.

 

때에 숙종이 계림공으로 明福宮에 있었는데 비밀리에 그것을 알고 평장사 邵台輔를 효유하여 말하기를,“ 국가 안위가 재상에 게 매어 있는데 지금 일이 급하니 공이 도모하라”라고 하였다. 소태보가 상장군 王國..로 하여금 병사를 이끌고 들어가 지키라고 하였다.

 

왕국모가 먼저 將士高義和로 하여금 이자의를 宣政門안에서 베도록 하고, 그 당여인 합문지후 張仲, 중추원당후관 崔忠伯등을 선정문 밖에서 주살하도록 하였다. 병사를 나누어 보내 이자의의 아들 注簿..綽과 흥왕사 大師智炤, (그밖에) 장군 崇列.澤春, 중랑장 郭希, 별장 成甫.成國, 교위 ..占, 대정 裴信등 17인을 잡아 모두 살해하였다.

 

평장사 ..子威, 少卿..義英, 司天少監黃忠現, 奉御黃榮, 少監徐晃, 시어사 王台紹, 祗候..資訓, 녹사 ..景泌.崔淵, 注簿全寵.王縝, 판관 ..滋令...彪, 司辰黃玩, 殿前承旨.. 正, 장군 ..甫.吳昌, 낭장 仇賢....., 별장 安鱗.珍奇, 산원 惟寵.崔幸...自成.侯善... 錢...玄孟.康希白.鄭貞佐등 50여 명을 南裔로 유배하고, 賊黨의 妻子를 籍沒하여 양계 州鎭의 노비로 삼았다.

 

내용을 정리하면 이자의가 먼저 용사를 모집해 금중에서 정변을 일으키려 하자, 명복궁에 있던 계림공이 소태보를 설득하고 소태보는 왕국모를 움직여 군대를 동원해 선정문 안과 밖에서 이자의와 그 당여를 살해하고 연루자들을 유배보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고려사..에 이 사건이‘이자의의 난’으로 기술되고 이자의가 반역전에 실리게 된 것인데 승자인 계림공(숙종)의 시각이 반영된 것이라 객관적이지 않다.

이자의는‘外邸’에서 왕위를 노리는 자가 있다고 항상 말했다고 하는데 여기서‘외저’

------------------------------------------------

82) 계림궁은 계림공의 궁이고, 명복궁은 그 배우자인 명복궁주 ..氏의 궁이었다. 계림궁은..고려도경..에‘王府內城’즉 황성 서쪽에 있다고 되어 있다. 명복궁주 유씨에 대해서는..고려사..권 88 후비 1 숙종 明懿太后.. 氏참조.

-----------------------------------------------

 

는‘外宮’으로 계림궁 내지 명복궁에82) 거처한 계림공을 가리키니 계림공이 왕위를 노리는 반역을 꾀하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자의는 병력을 동원해 大事를 도모하려 했다

는 애매한 혐의가 있을 뿐이고 실제로 병력을 움직여 공격을 한 것은 계림공 쪽이었다.

 

헌종 원년 7월에 이자의 일파가 제거되자 소태보는 權判..部事, 왕국모는 權判兵部事가 되었으며, 8월에 계림공 熙가 중서령이 되자 백관이 계림공의 저택으로 나아가 축하를 올렸다.83) 계림공이 명예직이지만 백관의 으뜸인 중서령이 되어 실권을 장악하고, 소태보가 권판이부사로 수상을, 왕국모가 권판병부사로 아상을 맡아 인사권과 군사권을 장악해 계림공을 뒷받침하니 어린 헌종은 권력을 상실하였다.

 

헌종이 원년 10월에 왕위에서 내려옴에 따라 계림공 즉 숙종이 왕위에 올랐으며, 헌종은 숙종 2년 윤2월에 1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다.84) 계림공이 먼저 병력을 동원했을 뿐만 아니라 이자의 일파를 제거한 데 그치지 않고 헌종을 물러나도록 해 왕위에 오른 점은 헌종 원년 7월의 사건이 이자의의 난이 아니라 계림공의 난(정변)이었음을 말해준다.

 

정변의 핵심현장이 宣政門의 안과 밖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선정문은 국왕이 신하와 함께 나날이 정사를 보는 편전인 宣政殿85)의 문이다. 선정전을 장악하면 국왕과 신하를 장악할 수 있었으니, 그래서 이자의의 병력이 선정문의 안과 밖에 배치되어 있었고 계림공의 병력이 그곳의 그들을 습격해 제거하고 국왕과 신하를 장악하였다.

 

왕국모에 의해서 유배된 자들 중에는 司天少監黃忠現, 司辰黃玩등 陰陽官인 日官이 더러 끼여 있는데, 이들은 이자의 측에 유리하고 계림공 측에 불리한 예언을 하였기 때문에 처벌받지 않았을까 싶다.

 

이자의가 계림공에 패배한 요인은 이자의 일파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이었다. 이자연, 이정. 이안 등으로 이어지며 문종~선종 때를 지배했지만 선종 말기가 되면 이자연과 그 아들들은 출가한 韶顯(이자연의 아들)을 제외하고 대개 세상을 뜬 상태였다.

 

이자연이 문종 15년에 죽고, ....이 이자연보다 먼저 죽고, ....이 문종 31년에, ....는 순종 무렵에, ..顔이 선종 8년에 죽었으며, .......碩...顥는 중추원 재상도 되지 못하고

젊은 나이에 죽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게다가 친형으로 중추원부사를 지낸 ..資仁은 선

------------------------------------------------

83).. 고려사..권10 헌종원년7월.8월

84).. 고려사..권10 헌종원년10월조

85) 김창현, 앞의 책, 제6장 제2절

86).. 고려사..권10 선종8년4월

------------------------------------------------

종 8년 4월에 사망하였다.86) 이자의는 조부인 이자연은 물론 부친. 삼촌. 형이 사라진 상황이라 가족.친척 중에 기댈 곳은 사촌인 이자겸. 이자량(이자훈), 누이인 원신궁주, 사촌누이인 사숙태후 정도였으며, 게다가 이자겸은 순종의 왕비였던 여동생이 순종 사후 宮奴와 간통한 사건에 연좌되어 관직을 잃어 별 도움이 되지 못하였을 것이다.87)

 

인척도 유배명단에 낀 김의영 정도가 이자의 편에 섰을 뿐 대부분 간여하지 않았다. 헌종 치세에 이자연 계열에서는 중서문하성 재신은 아무도 없었으며, 중추원 재상도 이자의 밖에 없었다.

 

이자상 계열에서는 중서문하성 재신인 ..預가 이자의 당이라는 이유로 파면되는 것으로 보아 이자의에 어느 정도 협조적이었다고 보인다. 하지만 파면에 그친 것으로 보아 적극적 으로 돕지는 않았다고 생각되고, ....는 협조하지 않았다.88)

 

또한 헌종이 즉위할 무렵은 대대적인 세대교체의 시기였던 점도 이자의 일파에게 불리 하였다. 이자연 및 그 아들들과 함께 정계를 이끌었던 원로들도 대개 사망하거나 은퇴한 상태여서 이자의 일파를 도와줄 원로나 실력자가 부족하였다.

 

재상 중에서는 ..子威가 이자의와 交結하여 專權用事하였기 때문에 유배당했다는 기록89)으로 보아 이자위 정도가 이자의에게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헌종이 즉위할 무렵의 세대교체는 정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떠오르는 주요 인물은 소태보와 왕국모였고 계림공이 그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소태보는 선종 3년 8월에 형부상서로서 서북면 병마사에 임명되었고, 선종 4년 정월에 이부상서에 임명되

------------------------------------------------

87) 이자겸의 연좌는..고려사..권 127 이자겸전 참조. 출가한 韶顯은 생존해 있었지만 조카 이자의와 어떤 관계를 유지했는지 분명치 않다.

88).. 고려사..권 95 이자연전 첨부 이예전. 이예의 동생인 ....는 인주 이씨가 소외되는 숙종 때에도 출세를 거듭해 숙종 원년 直門下省에서 숙종 9년 평장사에까지 오르니..( 고려사..권 11 숙종 원년 6월,.. 고려사..권 12 숙종 9년 7월), 이자의 편에 서지 않았던 것 같다. 김윤곤은, 이자의의 아들인 智炤가 흥왕사의 승려인 점에 착안해 이자의의 한산후 추대계획이 흥왕사 승병의 동원을 전제로 해서 진행되었는지도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이자겸의세력기반에대하여..,.. 대구사학..(제10집, 1976), pp. 9.13. 추만호는이자의측이 숙종측에 비해 일방적이라 할만큼 열세여서 난을 일으킬 여력이 없었으니 이른바 이자의의 모반은 숙종 측의 날조이며 이자의 난의 僧軍기반설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자겸의 군사기반 이해(상)..,.. 사향..(제2집, 1985), pp. 33.46. 남인국은 앞의 책 pp. 71.75에서, 헌종을 기준으로 한산후가 왕위계승권을 가졌다고 생각한 이자의가 선종을 기준으로 왕위계승권을 가졌다고 생각한 숙종과 대립하다가 거사하였는데, 부계친족 내지 ..側的親屬關係를 가진 어느 쪽도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았다고 보았다. 김당택은 앞의 글 pp. 186.189에서, 이자의는 선종으로부터 헌종을 부탁받았는데, 선종 때부터 군사력을 장악한 계림공이 헌종의 즉위와 더불어 실권을 장악해 헌종을 제거하려 하자 헌종을 보호하려다가 제거당했다고 파악하였다.

89).. 고려사절요..권6 헌종원년7월. 이자위가 專權用事하였다는 기록은 승자인 숙종측에서 과장했을 가능성이 크다.

90).. 고려사..권10 선종3년8월, 선종4년 정월이었다.

------------------------------------------------

90) 선종 4년 12월에 崔奭이 (평장사) 판상서이부사에 임명되었으며, 7년 2월에 ..洪이 평장사 판병부사에 임명되었는데, 유홍은 계림공의 장인이었다 91) 계림공 세력이 유홍, 소태보 등을 중심으로 선종 초반에서 중반으로 접어드는 무렵 이래 문반과 무반의 인사권은 물론 병권까지 장악해 가는 형국이었다.

 

선종은 8년 9월에 賞春亭에 행차해 계림공, 부여공, 평장사 ..洪, 좌복야 소태보, 병부상서 徐靖, 상장군 王國.., 직문하성 高景, 한림학사 孫冠등을 불러 술자리를 마련하고 조용히 邊事를 물었다.92) 여기에 나오는 인물 중에 ..洪이 계림공의 장인이라는 점, 계림공.소태보.왕국모가 이자의를 몰아내는 핵심이 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태보는 선종 9년 2월에 참지정사가 되었다.93)

 

선종은 9년 3월에 萬機를 근심한 나머지 자못 몸이 아픔을 깨닫고 문덕전으로 옮겨 內醫에게 養性方藥을 올리게 하고는 문득 시를 지었는데 약효가 있든 없든 浮生이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으니 선함을 닦아 정토에 올라 부처에게 예배하기를 원한다는 내용이었다.94)

 

선종은 자신의 병이 심각하다는 것을 9년 3월 이전에 이미 알고 상춘정 모임에 동생인 계림공과 부여공을 불러 변방의 일을 자문하면서 그들에게 아들인 헌종을 부탁한 것이 아닐까 한다.

선종 9년 4월에는 참지정사 소태보가 權判西北面兵馬事兼中軍兵馬使, 중추원사 徐靖이 西北面兵馬使兼中軍兵馬使, 정당문학 ..上琦가 權判東北面兵馬事兼行營兵馬使, 동지중추원사 ....가 東北面兵馬使兼行營兵馬使에 임명되었다.95)

 

소태보와 서정이 서북면의 군권을, 김상기와 임개가 동북면의 군권을 장악한 것인데, 소태보와 서정은 상춘정 모임에 참여한 인물이었다. 이들의 임명에는 계림공과 부여공의 의견이 반영되었고 이로써 계림공이 이들을 통해 군권을 장악하는 등 실권을 장악했다고 생각된다.

 

선종 10년 5월에는 소태보가 중서시랑평장사 判刑.兵部事에, 서정이 상서좌복야 참지정사에, 김상기가 이부상서 참지정사 修國史에, ..奭이 예부상서 참지정사에, ....가 중추

------------------------------------------------

91).. 고려사..권10 선종4년12월.7년2월,.. 고려사..권88 후비1 숙종明懿太后. 판이부사崔奭은이자연의 문생이라 이자의와 가까웠을 터인데 이부상서 소태보의 견제를 받아 문반인사에서 실권을 그리 많이 행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92).. 고려사..권10 선종8년9월

93).. 고려사..권10 선종9년2월

94).. 고려사..권10 선종9년3월

95).. 고려사..권10 선종9년4월

------------------------------------------------

원사 형부상서에, ..預가 지중추원사 한림학사승지에 임명되었는데96) 이들은 이예를 제외하고 대개 계림공에 호의적인 인물들로 계림공의 입김이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선종 8년 11월에 유홍이 세상을 뜬97) 후 판병부사는 공석이었거나 누군가 權職으로 띠었거나 하다가 10년 5월에 소태보가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판형부사까지 겸임하였다.

 

소태보가 실력자였음과 병권 및 무반 인사권을 계림공 세력이 계속 장악하였음이 드러나는데 계림공의 후원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결국 선종은 11년 윤4월 임진일에 병세가 악화되니, 갑오일에 재신, 추밀, 종실이 연영전 북문에 나아가 문안을 드렸지만 5월 임인일에 연영전 內寢에서 46세로 세상을 떴으며

그날 원자인 헌종이 遺命을 받들어 왕위에 올랐다.98)

 

헌종 즉위년 6월에 소태보와 ..子威는 문하시랑평장사에, ..奭은 상서좌복야에, ....는 참지정사에, 이자의는 지중추원사에, 崔思諏는 동지중추원사 좌산기상시에 임명되었다.

 

원년 정월에는 왕국모가 權尙書兵部事에 임명되었으며, 5월에는 ..奭이 판삼사사에, ..預가 정당문학 형부상서에, 이자의가 중추원사에, 孫冠이 지중추원사 한림학사승지에 임명되었다.99)

 

이중에 이자의도 끼어 있지만 그에게 협조한 인물은 이자위, 이예밖에 없었으니 역시 계림공의 입김이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특히 왕국모가 아상에 해당하고 병권을 장악하는 권상서병부사에 임명된 점에 눈길이 가는데, 이는 소태보가 자신의 판상서병부사직을 왕국모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判尙書.. 部事내지 權判尙書..部事를 띠었음을 시사한다.100)

 

선종 3년 4월에 衛尉卿에 임명되고, 선종 8년(1091) 9월까지도 상장군으로 나타났던 왕국모101)가 갑자기 여러 단계를 건너뛰어 헌종 원년(1095) 정월에 권판병부사에 임명된 일은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는 왕

------------------------------------------------

96).. 고려사..권10 선종10년5월

97).. 고려사..권10 선종8년11월

98).. 고려사..권10 선종11년윤4월.5월, 헌종즉위년5월. 선종의潛邸부터측근으로서 선종때 승선이 된 청주 출신 郭尙은 잠저의 숙종이 불러 犀帶를 주어도 사양하였고, 선종이 위독해져 간병할 때 숙종이 병문안 왔는데 들여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고려사..권 97 곽상전. 계림공(숙종)은, 형 선종이 자신에게 왕위를 계승하도록 유언하기를 바라서 병문안 했을 터인데, 선종이 만나주지 않고 아들인 헌종에게 왕위계승을 유언하자 정변에 박차를 가했다고 생각된다.

99).. 고려사..권10 헌종즉위년6월, 원년정월.5월

100) 이 무렵, 선종 후반기에 평장사 판이부사를 역임한 崔奭이 나타나지 않는데, 그가 이자연의 문생이라는 점에서 계림공 측에 의해 실각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101).. 고려사..권10 선종3년4월.8년9월

------------------------------------------------

국모가 권상서병부사에 임명되자 왕실이 미약해 권력이 무장에게 돌아갔으니 政을 장차 어찌 할 것인가102) 하는 이야기가 나왔다는 데에서도 느껴지니 이미 계림공의 정변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103)

 

서열상으로는 당연히 이자위가 판병부사에 임명되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했으니 이는 이자위가 이자의 편이어서 소외되어 벌어진 현상이라 보여진다.

 

계림공은 선종~헌종대에 걸쳐 유홍, 소태보, 왕국모 등을 내세워 인사권과 군사권을 장악해 보위에 오를 준비를 마쳤으며 그것을 이자의 일파가 저지하려 하자 무력을 동원해 제거하고 헌종을 몰아내 보위에 올랐다고 정리된다.

 

헌종 때 정변의 성격은 선종이 총애하는 동생 다섯을 가졌음에도 왕위를 孺子에게 전한 것이 난을 불렀다는 당시 사람들의 기롱104) 에서 엿볼 수 있다.

 

인주 이씨는 이정의 아들인 이자의, 이자의의 아들인 ..綽과 智炤등을 잃고, 지지세력을 대표하는 ..子威, 이호의 아들인 ..資訓(..資諒), 이정의 사위인 ..義英(김양감의 아들) 등이 유배당하고, 이예가 파면당한 데다가 숙종이 인주 이씨를 멀리하면서 타격을 받

았다.

 

고려사회는 정변이 일어나도 가문끼리 친인척이 서로 얽혀 다 처벌하기 어려웠고 숙종 자신도 이자연의 외손이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인주 이씨는 대부분 살아남아 어느 정도 세력을 유지하였으며, 숙종이 세상을 뜨고 그 아들 예종이 이자겸의 딸을 배우자로 맞아들이면서 다시 도약하게 된다.

 

Ⅶ. 맺음말

 

인주 이씨는 가야 계열 내지 신라 계열로 인주 지역으로 이주해 거처하고 지방세력인 호족으로 성장하였다. 경순왕 김부는 신라를 태조 왕건에게 바쳐 왕건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인주 이씨의 시조로 간주되는 이허겸은 김부의 외손녀와 결혼하였으니 이허겸 집안은 왕건의 후삼국 통일전쟁에 일정하게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

 

이허겸은 안산 김은부를 사위로 맞이하였는데 김은부의 딸 셋이 현종의 배우자가 되었다. 신라 계열에 속하는 현종은 피난시절에 김은부가 보여준 왕에 대한 충성심과 이허겸이

------------------------------------------------

102).. 고려사..권95 소태보전첨부왕국모전

103) 서성호는, 비교적 일찍부터 계림공의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고 왕위 획득을 위한 준비도 주도면밀하였다고

보았다... 숙종대정국의추이와정치세력....역사와현실..(9, 1993), pp. 15.20

104).. 고려사절요..권6 헌종원년7월

------------------------------------------------

신라 계열이라는 점 때문에 김은부의 딸들 즉 이허겸의 외손들과 혼인을 하였다. 이허겸 외손녀들의 현종과의 혼인은 인주 이씨 가문을 흥성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현종~선종 때는 고려의 중흥기이자 전성기였는데 인주 이씨는 이 시기에 뚜렷한 모습을 드러내 정국을 주도하였다. 이허겸의 아들인 ..翰은 현종 무렵 중추 재상을 지냈고 아들 이자연과 이자상을 낳았다.

 

이자연은 과거에 장원급제해 현종, 덕종, 정종 때 비서직인 승선, 언론직인 대간, 인사직인 이부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더니 정종 때 중추원의 재상에 오르고, 문종 때 중서문하성에 들어가 참지정사, 평장사를 거쳐 최고직인 문하시중 판이부사에 올라 권력을 장악하였는데 윤리와 법제에 바탕한 원칙을 중시하였다.

 

이자연은 딸 셋을 문종의 배우자로 만들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자연의 아들중에 이정, 이의, 이안이 재상을 지내며 정국을 주도하였고, 아들 중에 이호의 딸이 순종의 배우자, 이석과 이정의 딸이 선종의 배우자가 되었으며, 이자상의 아들인 이예의 딸이 선종의 배우자가 되었다.

 

그 결과 가장 힘있는 문벌명문으로 성장한 인주 이씨는 중부 세력을 이끌면서 신라계 세력을 끌어들여 정치세력을 형성하였다.

선종이 아파 눕고 그 아들 헌종의 나이가 어리자 선종의 동생인 계림공(숙종)과 이자연의 손자인 이자의 사이에 권력투쟁이 벌어졌다.

 

헌종이 왕위에 올랐지만 숙부 계림공이 이미 소태보와 왕국모를 내세워 실권을 장악한 상태였다. 계림공은 왕국모가 거느린 군사력을 이용해 이자의 세력을 공격해 제거하고 헌종을 몰아내 왕위에 올랐다.

 

이자의 세력은 이자연과 그 아들들이 대개 사망하고 그로 인해 동조자들이 많지 않아 계림공 세력에 비해 확연히 열세를 면치 못했기 때문에 패배하였다. 인주 이씨는 이자의의 몰락과 숙종의 왕위 획득으로 타격을 받지만 예종 때 가서 세력을 회복한다.

------------------------------------------------

<참고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도경..(서긍)

..동국이상국집..(이규보)

..보한집..(최자)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씨족원류..

..인천이씨세보..(崇禎甲申파평 尹鳳九서문)

김용선편,.. 고려묘지명집성..(춘천: 한림대출판부, 1993)

김용선,.. 역주고려묘지명집성..(춘천: 한림대출판부, 2001)

이지관,.. 교감역주역대고승비문..(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藤田..策,.. ..子淵と其の家系(상)(하)..,.. 靑丘學叢..(제13호.제15호, 1933.1934)

윤경자,.. 고려왕실과인주이씨와의관계..,.. 숙대사론..(제2집, 1965)

김윤곤,.. 이자겸의세력기반에대하여..,.. 대구사학..(제10집, 1976)

이만렬,.. 고려경원이씨가문의전개과정....한국학보..(제21집, 1980)

최병헌,.. 고려 중기 현화사의 창건과 법상종의 융성..,.. 한우근박사정년기념 사학논총.. (1981)

추만호,.. 이자겸의군사기반이해(상)..,.. 사향..(제2집, 1985)

박낙훈,.. 고려숙종의즉위과정에관한연구..,.. 고고역사학지..(제3집, 1987)

김광식,.. 고려숙종대의왕권과사원세력..,.. 백산학보..(제36집, 1989)

정용숙,.. 고려시대의후비..(서울: 민음사, 1992)

서성호,.. 숙종대정국의추이와정치세력..,.. 역사와현실..(9, 1993)

최규성,.. 북방민족과의관계..,.. 한국사..15(국사편찬위원회, 1995)

채웅석,.. 고려문종대관료의사회적위상과정치운영..,.. 역사와현실..(27, 1998)

남인국,.. 고려중기정치세력연구..(서울: 신서원, 1999)

김당택,.. 고려 문종~인종조 인주이씨의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회의 제문제..(한국중세학회, 2001)

김창현,.. 고려개경의구조와그이념..(서울: 신서원, 2002)

박용운,.. 고려사회와문벌귀족가문..(서울: 경인문화사, 2003)

 

<ABSTRACT>

The Political Affairs of Koryeo and Inju Yi Family in the 11th Century

Kim, Chang-hyun

Yi Family moved to, settled down in Inju and grew up to be a powerful family. King Gyeongsun,

Kim Bu handed over Shilla to Taejo Wanggeon and he got married to Wanggeon's daughter. Yi

Heogyeom married a daughter of Kim Bu's daughter. This was considered that the family of Yi

Heogyeom had dedicated to the war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te Three States.

Yi Heogyeom made Kim Eunbu a son-in-law. King Hyunjong who belonged to Shilla group got

married to Eunbu's three daughters because Eunbu was loyalty to him and Heogyeom's ancestors were

from Shilla. This paved the honor to the family of Yi Heogyeom.

It was the golden age as well as the restoration period during successive reigns from King Hyeonjong

to King Seonjong, and Yi Family of Yinju led the political situation clearly. The son of Yi Heogyeom,

Yi Han worked for Jungchuwon, who had two sons, Yi Jayeon and Yi Jasang. Yi Jayeon got important

jobs under the reign of Hyeonjong, Deokjong and Jeongjong. He worked for Jungchuwon and

Jungseomunhaseong in the reign of Jeongjong and Munjong, making much account of the principles

with political power.

Yi Jayeon was very influential as he made his three daughters King Munjong's wives. Yi Jeong, Yi

Eui, Yi Ann of his sons led the political power at important positions. The daughter of Jayeon's son, Yi

Ho made a wife of King Sunjong. The daughters of Jayeon's sons, Yi Seok and Yi Jeong made wives of

King Seonjong. The daughter of Jasang's son, Yi Ye was the wife of King Seonjong. As the result Yi

Family from Inju became the most powerful and noblest family and it maintained political power, with

leading the group of the central districts and that of Shilla.

As King Seonjong was ill in bed and his son, Heonjong was too young, the struggle for power was

between Seonjong's little brother, Gyerimgong(Sukjong) and Yi Jaeui, the grandson of Yi Jayeon.

Though Heonjong ascended the throne, it was the situation that his uncle, Gyerimgong already held real

power. After Gyerimgong attacked and got rid of the power of Yi Jaeui with using military forces, he

ascended the throne by driving out Heonjong. The group of Yi Jaeui failed in the struggle because Yi

Jayeon and most of his sons had died and there were not so many followers.

 

Key-Words : Yi Jayeon, Yinju Yi Family, the group of the central districts, Shilla group, the golden age,

a noble family, Yi Jaeui, Gyerimgong

 

 

8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