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 예 방/전시,강암,해정 등

서각, 그림각 만남전 - 영호남 교류전

by 연송 김환수 2023. 12. 1.

제11회 서각, 그림각의 만남전 및 영호남 교류전

일시: 2023.11.21(화) - 12.23(토) / 솜리문화예술회관 2층 전시실

전시장소: 익산역 서부통로

주최: 마한서각회

 

전통기법으로 나무, 돌, 금속, 갑골 등 단단한 물질에 글자나 문양(그림)을 새겨서 구현하는 미술기법을 전각(篆刻)이라 하고, 나무에 끌이나 칼 글과 무늬를 새기는 것을 서각(書刻)이라고 합니다.

새한도 / 석담 이학렬  / 은행나무 350x1200

/

입장의 동일함 / 송경 송정규

행로난 / 석담 이학렬

장풍파랑 / 석담 이학렬

새한도 / 석담 이학렬

믿음 소망 사랑 / 송결 송정규

수처작주 입처계진 / 일로 서창환

더불어 숲 / 송결 송정규

강하고 담대하라 / 송결 송정규

무 / 향은 남명숙

 달마  / 명재 이덕구

달마 / 명재 이덕구

진달래 꽃    / 명재 이덕구

이세문    / 명재 이덕구

화중지병   / 명재 이덕구

계자서각  / 명재 이덕구

나비야 청산가자 / 보선 이원희

덕불고필유린 / 청안 이진수

내려갈때 보았네 / 청안 이진수

갓바위 / 동주 김남두

무소유 / 인당 오연미   //  사람과 대게 / 인당 오연미

부처님 절 / 가향 김향주

심청사달 / 남천 박문환

무념 / 석정 최용태

웃는날 / 단곡 류현아

까치호랑이 / 가향 김향주

인생조로 / 청산 박봉서

가제 / 반공 손용규 //  구름,바다 / 바공 손용규

화락 / 지성 박응식

달마 / 동주 김남두

오늘을 / 여산 남한희

삶 / 심오 남성근

북정가 / 여산 남한희

北征歌(북정가)_南怡(남이, 1441~1468)

白頭山石磨刀盡(백두산석마도진)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豆滿江水飮馬無(두만강수음마무)

두만강 물은 말이 마셔서 다 말라버렸네.

男兒二十未平國(남아이십미평국)

사나이 스무살 나이에 나라를 평정치 못하면

後世誰稱大丈夫(후세수칭대장부)

후세에 어느 누가 대장부라 일컬으랴.

일인장락 / 석정 최용태 // 일체유심조 / 청산 박봉서

염려하지말고 / 인당 오현미 

법불아귀승불요곡 / 동주 김남두

엄마 / 수림 박영경

열려라 가을처럼

제생의세 / 옥수 고종식

용비봉무 / 일로 서창환

용 / 일로 서창환

도전경성 / 일로 서창환

도전경성(挑戰竟成)은 뜻이 있는 사람은 결국 그 일을 이룰 수 있다는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의 문구에서 나왔다.

유지자사경성은 전한(前漢) 말기 광무제 유수가 전승장군(戰勝將軍) 경엄에게 치하한 말로 유지경성으로 줄여 쓸 수도 있다.

행백리자반구십 / 일로 서창환

<시경>의 행백리자반구십(行百里者半九十)은 끝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다는 뜻이다.

"100리를 가려는 자는 90리를 반으로 여긴다."

호시우행 / 일로 서창환

학불염 교불권(學不厭 敎不倦) / 일로 서창환

배우는 데 싫증을 내지 않고, 가르치는 데 게으르지 않다. 배우고 가르치는 데 최선을 다하는 것을 뜻한다. 공손추(公孫丑)가 맹자(孟子)와 대화를 한 후 말했다.

훈민정음각 / 소산 이재호

건강 행복한 하루 / 유강 강승구

장락 / 시중 김영재

성령충만 / 송결 송정규

가족 / 시중 김영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