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平作事只求無愧我心而己
民國三十二年 春書爲 春塘同志 存
申翼熙
生平作事只求無愧我心而己
(생평작사지구무괴아심이기)
평생 일하는데 다만 무괴아심(無愧我心)을 구할 뿐이다.
평생 일하면서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한다.
民國三十二年 春書爲 春塘同志 存
(민국삼십이년 춘서위 춘당동지 존)
중화민국32년(1943년) 봄에 글을 써 춘당에게 드리니 보존하세요.
申翼熙(海公) 신익희(해공)
※ 보존(保存):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
-----------------------------------------------------------------------
“민국(民國)” 연호는 서기 1912년, 중화민국이 건립된 해를 민국 원년(民國元年)으로 삼아, 대만에서 현재까지사용하는 연호이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쑨원이 중화민국을 세운 것을 기념하여 제정한 연호이다.
민국기년(民國紀年) 또는 민국기원(民國紀元)은 동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中華民國)의 건국이 선포된 1912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이다.
2023년 현재 민국기년을 공식 연호로 사용하는 국가는 중화민국(대만)이다. 해외 거주 중국인이나 대만인들이 사용하며, 주로 대만인이 사용한다.
참고로 대한제국의 고종황제는 “광무” 연호를 사용하였고, 우리나라 건국 초기에는 “단기” 연호를 사용했다.
단기는 '단군기원'(檀君紀元)의 약자로서,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해(B.C.2333년)를 원년으로 삼는 우리나라의 연호이다. 근자에 우리나라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서기'는 '서력기원'(西曆紀元)의 약자로서 예수께서 탄생하신 해를 원년으로 삼는 연호이다.
서력 - 민국 대조표
민국연호 | 서기력 | 간지 | 민국연호 | 서기력 | 간지 |
民國元 | 1912 | 壬子 | 民國51 | 1962 | 壬寅 |
民國2 | 1913 | 癸丑 | 民國52 | 1963 | 癸卯 |
民國3 | 1914 | 甲寅 | 民國53 | 1964 | 甲辰 |
民國4 | 1915 | 乙卯 | 民國54 | 1965 | 乙巳 |
民國5 | 1916 | 丙辰 | 民國55 | 1966 | 丙午 |
民國6 | 1917 | 丁巳 | 民國56 | 1967 | 丁未 |
民國7 | 1918 | 戊午 | 民國57 | 1968 | 戊申 |
民國8 | 1919 | 己未 | 民國58 | 1969 | 己酉 |
民國9 | 1920 | 庚申 | 民國59 | 1970 | 庚戌 |
民國10 | 1921 | 辛酉 | 民國60 | 1971 | 辛亥 |
民國11 | 1922 | 壬戌 | 民國61 | 1972 | 壬子 |
民國12 | 1923 | 癸亥 | 民國62 | 1973 | 癸丑 |
民國13 | 1924 | 甲子 | 民國63 | 1974 | 甲寅 |
民國14 | 1925 | 乙丑 | 民國64 | 1975 | 乙卯 |
民國15 | 1926 | 丙寅 | 民國65 | 1976 | 丙辰 |
民國16 | 1927 | 丁卯 | 民國66 | 1977 | 丁巳 |
民國17 | 1928 | 戊辰 | 民國67 | 1978 | 戊午 |
民國18 | 1929 | 己巳 | 民國68 | 1979 | 己未 |
民國19 | 1930 | 庚午 | 民國69 | 1980 | 庚申 |
民國20 | 1931 | 辛未 | 民國70 | 1981 | 辛酉 |
民國21 | 1932 | 壬申 | 民國71 | 1982 | 壬戌 |
民國22 | 1933 | 癸酉 | 民國72 | 1983 | 癸亥 |
民國23 | 1934 | 甲戌 | 民國73 | 1984 | 甲子 |
民國24 | 1935 | 乙亥 | 民國74 | 1985 | 乙丑 |
民國25 | 1936 | 丙子 | 民國75 | 1986 | 丙寅 |
民國26 | 1937 | 丁丑 | 民國76 | 1987 | 丁卯 |
民國27 | 1938 | 戊寅 | 民國77 | 1988 | 戊辰 |
民國28 | 1939 | 己卯 | 民國78 | 1989 | 己巳 |
民國29 | 1940 | 庚辰 | 民國79 | 1990 | 庚午 |
民國30 | 1941 | 辛巳 | 民國80 | 1991 | 辛未 |
民國31 | 1942 | 壬午 | 民國81 | 1992 | 壬申 |
民國32 | 1943 | 癸未 | 民國82 | 1993 | 癸酉 |
民國33 | 1944 | 甲申 | 民國83 | 1994 | 甲戌 |
民國34 | 1945 | 乙酉 | 民國84 | 1995 | 乙亥 |
民國35 | 1946 | 丙戌 | 民國85 | 1996 | 丙子 |
民國36 | 1947 | 丁亥 | 民國86 | 1997 | 丁丑 |
民國37 | 1948 | 戊子 | 民國87 | 1998 | 戊寅 |
民國38 | 1949 | 己丑 | 民國88 | 1999 | 己卯 |
民國39 | 1950 | 庚寅 | 民國89 | 2000 | 庚辰 |
民國40 | 1951 | 辛卯 | 民國90 | 2001 | 辛巳 |
民國41 | 1952 | 壬辰 | 民國91 | 2002 | 壬午 |
民國42 | 1953 | 癸巳 | 民國92 | 2003 | 癸未 |
民國43 | 1954 | 甲午 | 民國93 | 2004 | 甲申 |
民國44 | 1955 | 乙未 | 民國94 | 2005 | 乙酉 |
民國45 | 1956 | 丙申 | 民國95 | 2006 | 丙戌 |
民國46 | 1957 | 丁酉 | 民國96 | 2007 | 丁亥 |
民國47 | 1958 | 戊戌 | 民國97 | 2008 | 戊子 |
民國48 | 1959 | 己亥 | 民國98 | 2009 | 己丑 |
民國49 | 1960 | 庚子 | 民國99 | 2010 | 庚寅 |
民國50 | 1961 | 辛丑 | 民國100 | 2011 | 辛卯 |
民國101 | 2012 | 壬辰 | |||
民國102 | 2013 | 癸巳 | |||
民國103 | 2014 | 甲午 | |||
民國104 | 2015 | 乙未 |
신익희(申翼熙) 1894.6.9 ~ 1956.5.5
한국의 정치가·독립운동가. 상하이(上海) 임시정부수립 후 내무차장·외무차장 등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본관은 평산(平山)이고, 자는 여구(汝耉)이며 호는 해공(海公)이다. 경기 광주(廣州)에서 판서 신단(申檀)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908년 한성외국어학교(漢城外國語學校) 영어과를 졸업하고 일본의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정경학부(政經學部)에 들어가 한국 유학생들과 학우회(學友會)를 조직하고 총무·평의회장·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관지인 《학지광(學之光)》을 발간하여 학생운동을 하였다.
1913년 졸업과 동시에 귀국, 고향에 동명강습소(東明講習所)를 열었으며, 서울 중동학교(中東學校)에서 교편을 잡다가 1917년 보성법률상업학교(普成法律商業學校) 교수가 되었다.
1918년 최남선(崔南善)·윤홍섭(尹弘燮)·최린(崔麟)·송진우(宋鎭禹) 등과 독립운동의 방향을 논의,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해외연락 등 중요한 임무를 위해 전면에서 빠지기로 하였다.
해외에 있는 문창범(文昌範)과 홍범도(洪範圖)와 연락을 위해 중국에 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오는 도중 평양에서 3·1운동을 목격하였다.
그 해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수립과 동시에 내무차장·외무차장·국무원 비서장(國務院秘書長)·외무총장 대리·문교부장 등을 역임하였고 광복과 더불어 1945년 12월 1일 임시정부 내무부장 자격으로 환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김구(金九) 등 임시정부 계통과는 노선을 달리하여 정치공작대(政治工作隊)·정치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이승만(李承晩)과 접근하고, 1946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 부위원장, 자유신문사(自由新聞社) 사장, 국민대학교(國民大學校) 초대학장 등을 겸하다가 그 해 남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대의원에 피선, 1947년 의장이 되었다.
지청천(池靑天)의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과 합작해 대한국민당(大韓國民黨)을 결성하고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부의장이 되었다가 의장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자 의장에 피선, 정부수립 후 이승만과 멀어지기 시작한 한민당(韓民黨)의 김성수(金性洙)의 제의를 받아들여 1949년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을 결성하고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 다시 국회의장에 피선되고 1955년 민주국민당을 민주당(民主黨)으로 확대·발전시켜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56년 민주당 공천으로 대통령에 입후보, 자유당의 이승만과 맞서 호남지방으로 유세가던 중 1956년 5월 5일 열차 안에서 뇌일혈로 급사했다.
신익희의 죽음 이후 노래 〈비 내리는 호남선〉의 음반이 날개 돋친 듯 팔려 나갔다. 그의 시신에 대해서 민주당 내부에서도 갈등을 벌였는데, 선거가 끝난 뒤에 매장하기로 결정하고 종로 6가 자택에 안치하였다.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신익희를 추모하기 위해 무효표를 던질 것을 독려하여 실제로 총 투표수의 20%가 넘는 185만여 표가 무효표가 되었다.1956년 5월 23일 국민장,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서 예 방 > 전시,강암,해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각, 그림각 만남전 - 영호남 교류전 (0) | 2023.12.01 |
---|---|
釜山醉墨會 作品展 (부산취묵회작품전) (0) | 2023.04.13 |
갑천하, 안세만세 와당 (0) | 2022.11.08 |
홍법사 전시 작품전 (0) | 2022.10.27 |
정여 스님, 진각 스님 서예 글씨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