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 학 방/성씨 연원(김)

나주 김씨(羅州金氏)의 연원

by 연송 김환수 2014. 7. 25.

나주 김씨(羅州金氏)의 시조(始祖)는 신라(新羅)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운발(金雲發)로, 운발(雲發)은 경순왕과 죽방부인(竹房夫人) 박씨(朴氏) 사이의 둘째 아들인 김굉(金鍠)의 아들이다.

경순왕은 아홉 아들을 두었는데, 첫째 아들 김일(金鎰)과 둘째 아들인 김굉(金鍠ㆍ김황<金湟>이라고도 함)을 제외한 일곱 명의 아들은 낙랑공주(樂浪公主)의 몸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아홉 아들 중 마의태자(麻衣太子)로 잘 알려진 김일(金鎰)은 망국의 한을 품고 개골산(皆骨山ㆍ金剛山)으로 입산하였고(후에 부안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함), 둘째 아들인 김굉(金鍠)은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에서 불가에 귀의한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김굉(金鍠)은 신라가 망하자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삭발을 하고 법명(法名)을 범공(梵空)으로 하고 불가에 귀의(歸依)하였는데, 그가 입산하기 전 고려조(高麗朝)에서 두 아들을 예우하여 첫째 아들 운발(雲發)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졌으며, 둘째 아들 우발(雨發)은 경주군(慶州君)에 봉했다고 한다. 이후 후손들은 운발(雲發)을 시조(始祖)로 삼고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 김굉이 출가하여 범공 스님으로 여생을 보낸 성주군 수륜면 백운동의 법수사지(法水寺址). 지금은 삼층석탑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김부(金傅)대왕 조(條)에는 마의태자의 아우인 범공(梵空) 스님의 사연이 기록되어 있는데, “태자는 금강산으로 들어가 베옷과 채식으로 한 세상을 마쳤고, 계자(季子)는 머리를 깎고 화엄종에 들어 중이 되어 법명을 범공(梵空)이라 하고 법수사(法水寺)에 머물며 해인사에 드나들면서 산승(山僧)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리고 ‘해인사지(海印寺誌)’에는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계자 김덕지(金德摯)가 중이 되어 이곳 법수사에 들어가 해인사를 드나들면서 한때 여생을 보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덕지(德摯)는 경순왕(敬順王)의 둘째 아들인 김굉(金鍠)의 호(號)라고도 하고, 또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홉째 아들이라고도 하는데 울산 김씨(蔚山金氏)에서는 시조(始祖)로 모시고 있다.
 

 

 ▲ 1786년 간행된 나주 김씨 족보(丙午譜).

시조 운발(雲發)은 슬하에 장남 중륜(나주 김씨 후손의 5%), 차남 성륜(무손), 막내 인륜(나주 김씨 후손의 95%) 세 아들을 두었으며, 그의 묘는 개성시 북쪽 오룡산에 있다고 한다. 아들 중륜(重輪)과 인륜(仁輪)은 고려에서 각각 시중(侍中)과 원윤(源尹)에 올랐으며, 증손자 원상(源相)은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하여 명성을 떨쳤다.

나주 김씨의 후손은 대대로 고려에서 벼슬을 하며 많은 명신(名臣)을 배출하였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인물로는 월당(月塘) 대경(臺卿)을 들 수 있다. 그는 시조 운발(雲發)의 15세손으로 자는 중시(仲始), 호는 월당(月塘)으로 충숙왕 13년(1326년) 문과에 급제해 벼슬이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에 이르렀다. 문장에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詩)가 올라 있고, 한때 목은(牧隱 ) 이색(李穡)과 함께 나주(羅州) 안로현(安老縣)에서 유배 생활을 겪기도 했다. 시호(諡號)는 문충(文忠).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에 세워진 월당(月塘) 김대경(金臺卿) 사적비. 오른쪽은 취암(鷲巖) 김적(金適) 유허비이고, 왼쪽은 김적(金適)의 아들인 귀암(龜巖) 김충수(金忠秀) 순충비.

대경(臺卿)의 아들 가구(可久)는 충목왕(忠穆王) 때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냈으며, 손자 정준(廷儁)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 때 왜구(倭寇) 토벌에 공을 세워 부총제(副摠制)를 지냈으며, 정준(廷儁)의 둘째 아들은 김종서(金宗瑞)의 사위가 되었다. 현손 경근(敬近)은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오르는 등 대경(臺卿)의 자손들은 꾸준히 번창했다.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지리에 자리한 부총제(副摠制)를 지낸  김정준(金廷儁)의 묘.
 

정준(廷儁)의 현손(玄孫) 경석(景錫)은 중종(中宗) 때 급제하여 명종 10년(1555년) 호남 지방에 왜구가 침입하자 방어사(防禦使)로 종질(從姪) 적(適)과 함께 영암포(靈岩浦)에서 무찔렀으며, 적(適)의 아들 충수(忠秀)는 자는 중심(中心), 호는 귀암(龜巖)으로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撫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냈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는 부인과 함께 순사(殉死)하여 나라에서 그의 고향 공주(公州)에 정문(旌門)을 세우게 하였다.

 

 

▲ 전남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에 자리한 취암(鷲巖) 김적(金適)의 묘.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에 자리한 금성 나씨 제각. 병자호란 때 남편인 귀암(龜巖) 김충수(金忠秀)와 함께 순사(殉死)했다.

그 외 학자로 이름난 덕수(德秀), 공조좌랑(工曹佐郞) 복남(福男)을 비롯하여 부호군(副護軍) 세빈(世彬)이 유명하다. 그리고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를 지낸 장송(長松), 남원부사(南原府使)를 지낸 몽동(夢東)과 난익(蘭益), 현감(縣監)을 지낸 희징(禧澄) 등이 이등공신(原從二等功臣) 언호(彦浩)와 함께 명성을 떨쳐 가문을 빛냈다



나주 김씨가 배출한 근대 인물로는 용무(用茂ㆍ1891년~?)를 들 수 있다. 그는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 법과를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여 변호사업을 개업, 항일민족변호사로서 대민무료변론으로 성망이 높았다. 1930년 10월 동아일보사 취체역으로 일제에 의한 강제폐간 때까지 만 10년간 민족언론 창달에 공헌하였으며, 1930년 초반부터 보성전문학교에 위탁강사로 초빙되어 법률학 실무를 강의하였다.  

 

보성전문학교 주요 임원을 거쳐 광복이 되자 1945년 10월 12일자로 대법원장에 올라 혼란기 수습에 진력했으며, 1945년 9월 한민당(韓民黨) 창당과 함께 문교부장을 맡아 당시 문교부원 양원모(梁源模)ㆍ양주동(梁柱東)ㆍ현제명(玄濟明)ㆍ신도성(愼道晟) 등과 정부수립에 즈음하여 건국의 교육정책 성안에 기여하였다. 1950년 5·30총선 때 무안갑구에서 한민당 후신인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공천으로 당선, 제2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나 의정활동을 제대로 전개하지 못한 채 한국전쟁 때 27인 의원들과 함께 납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