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김씨의 시조(始祖) 김태서(金台瑞ㆍ?~1257)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은열(殷說)의 9세손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봉모(鳳毛)의 아들이다. 고려 제19대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명종ㆍ신종(神宗)ㆍ희종(熙宗)ㆍ강종(康宗)ㆍ고종(高宗)의 5대왕을 섬기면서 광록대부수태위(光祿大夫守太尉)ㆍ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ㆍ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이부상서(吏部尙書)ㆍ상장군(上將軍) 등을 지내고, 고종 41년(1254년) 몽고군(蒙古軍)의 침략으로 식읍(食邑)인 경주(慶州)가 폐허가 되자 가족을 데리고 셋째 아들 경손(慶孫)이 전라도지휘사로 있을 당시 연고지인 전주(全州)로 낙향하여 살게 되었다. 고종 44년(1257년) 그가 죽자 나라에서는 완산군(完山君ㆍ완산은 전주의 고호)에 추봉하였으며,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이로 인하여 후손들이 경주 김씨(慶州金氏)에서 분적해 본관을 전주(全州)로 삼았다.
일부 기록을 보면 김태서(金台瑞)는 비록 유학(儒學)을 전업으로 하였으나 글을 좋아하지 않았고 성품이 탐욕스러워 남의 전답을 함부로 빼앗아 원성이 높았으나, 아들 약선(若先)이 집권자 최우(崔瑀)의 사위였기 때문에 관에서도 감히 탄핵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 중턱에 자리한 전주 김씨 시조 김태서(金台瑞)의 묘.
고려조에서 벌족(伐族)으로 명성을 떨친 전주 김씨는 시조 태서(台瑞)의 아들 3형제가 모두 출세하여 명문으로서의 기틀을 다졌는데, 장남 약선(若先)은 당대의 세도가인 최우(崔瑀)의 맏사위이며 고종 12년(1225년)에 내전을 수리할 때 그 집을 임시거처로 사용할 만큼 고종의 사랑을 받았다. 1235년에 딸이 원종의 비(順敬太后)가 되자,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추밀원 부사(樞密院府使ㆍ추밀원의 정3품 벼슬)가 되었으며,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최우의 부중(府中) 여자들을 망월루(望月樓) 모란방(牡丹房)에 모아 놓고 음란한 짓을 자행하다가, 처의 밀고로 최우(崔瑀)에 의하여 여자들은 유배되고 누방(樓房)은 철거되었다. 처도 종과 간통한 사실이 있었는데, 화를 두려워한 처의 무고(誣告)로 최우(崔瑀)에게 살해되었으며, 뒤에 사실이 밝혀져 장익공(莊翼公)에 추시되었다.
태서(台瑞)의 차남 기손(起孫)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거쳐 원종이 즉위하자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으며, 막내 경손(慶孫ㆍ?∼1251)은 초명은 운래(雲來)로 음관(蔭官)으로 시작하여 고종 18년(1231년) 정주분견장군(靜州分遣將軍)이 되었다. 그 때 몽골군의 침입이 있자 정주에서 대항하였으나 패했고, 구주(龜州ㆍ龜城)에 가서 박서(朴犀)와 합세하여 적을 격퇴하였다. 그 뒤 대장군(大將軍)ㆍ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가 되었다. 1237년 전라도지휘사로 재직시 백적도원수(百賊都元帥)를 자칭하며 담양(潭陽)ㆍ해양(海陽ㆍ泗州郡) 등지의 군현을 휩쓸던 초적(草賊) 이연년(李延年) 형제를 나주(羅州)에서 격파, 난을 평정한 공으로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가 되었으나 1249년 권신(權臣)인 최항(崔沆)이 그를 시기하여 백령도로 유배되었다. 1251년 최항(崔沆)이 계모 대씨(大氏)와 대씨의 아들 오승적(吳承績)을 죽이고는 경손(慶孫)이 그들과 인척이 된다고 트집잡아 유배지에서 바다에 빠뜨려 죽였다. 성품이 관대했을 뿐만 아니라 지혜와 용기가 뛰어났으며, 사람들이 모두 애석해 하였다.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능내리에 자리한 가릉(嘉陵ㆍ사적 제370호)은 김약선(金若先)의 딸로 원종의 비가 된 순경태후(順敬太后)의 능이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총애를 받은 혼(琿ㆍ1239∼1311)은 경손(慶孫)의 아들로 1256년 석릉직(碩陵直ㆍ희종 능지기)이 되어 내시에 적을 두었으며, 경순왕후(敬順王后)의 종제(從弟)라 하여 총애를 받아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1280년 상장군(上將軍) 김문비(金文庇)의 처와의 간통죄로 귀향갔다가 다시 풀려나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와 첨의참리(僉議參理)를 지내고, 1302년 첨의시랑찬성사(僉議侍郞贊成事)ㆍ우중찬(右中贊)을 거쳐 1310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임명되었다. 그 뒤 낙랑군에 봉해지고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다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 개봉(改封)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선(忠宣).
혼(琿)의 아들 자흥(子興ㆍ1264~1323)은 충렬왕 29년(1303년)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고, 충렬왕 31년(1305년) 3월에 원(元)나라에 사신 갔던 송방영(宋邦英)이 왕의 국서(國書ㆍ前王召還의表文)를 가지고 가다가 왕과 사이가 좋지 못함을 원망하여 표문(表文)을 원제(元帝)에게 올리니 원제는 이것을 보고 대로하여 사신을 보내어 왕을 힐난하였다. 그때 승지로 있던 그는 그 국서의 초본(草本)을 꺼내어 밝히므로 김원상(金元祥)ㆍ오현량(吳賢良)과 함께 간신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한 공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고, 충선왕 때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조선조에 와서는 성종(成宗) 때 여진 정벌에 공을 세운 경(敬)이 북방 수어장(北方守御將)으로 경원성주(慶源城主)의 왕명(王命)을 받들어 아들 4형제를 데리고 그곳에서 뿌리를 내리게 되어, 후손들이 함경도 지방에서 크게 번성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경(敬)을 입북 중시조(入北中始祖)로 받들고 있다.
한편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낙동강 전투에서 공을 세운 치원(致遠ㆍ1572∼?)은 자는 사의(士毅), 호는 탁계(濯溪)로 조선 중기의 학자로 이희안(李希顔)의 문인이다.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낙동강에서 적선(敵船)의 운행을 차단하여 공을 세웠으므로 사근도 찰방(沙斤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선조 36년(160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ㆍ정자(正字)를 지내고, 1606년 감찰(監察)이 되었다. 행 충무위 부사과(行忠武衛副司果)로 춘추관 기사관이 되어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광해군 즉위년(1608년) 정언(正言)이 되었으나 이듬해 대북파(大北派)의 탄핵으로 삭직(削職)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부호군(副護軍)에 임명되어 1627년 서흥부사(瑞興府使)를 지냈으며, 초계(草溪)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전주 김씨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달혼(達渾)이 1529년 의성군 신평면 청운리(淸雲里)에 마을을 개척하여 운중침월(雲中沈月)이라고 칭하다가 1850년에 운방(雲坊)이라고 개칭하였다. 그래서 그의 후손들이 경북 의성과 안동 등지에 집중 세거하고 있다.
김일성(金日成ㆍ1912∼1994)은 생전에 자신의 본관이 ‘전주’고, 회고록에도 “우리 가문은 김계상 할아버지 대에 살 길을 찾아 전라북도 전주에서 북으로 들어왔다. 만경대에 뿌리를 내린 것은 증조할아버지(김응우)대 부터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김일성 집안은 전주 김씨 족보에는 나오지 않고 있다.
한편 김일성 사망을 전후해서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 중턱에 있는 전주 김씨 시조묘가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았으며, 이 묘가 명당이라는 소문이 나면서 이 묘소는 더욱 유명해졌다. 조상의 묘를 잘 썼기 때문에 후손이 빛을 보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돌았다.
전주 김씨의 집성촌으로 경북 의성군 신평면 청운리가 있으나 거의 북한에 있다. 1930년 당시 전주 김씨의 자손들은 함북 명천ㆍ경성ㆍ길주군 일원, 함남 영흥군ㆍ흥남시 일원, 고원군 영동면, 문천군 문천면, 신흥군 원평면, 평북 초산ㆍ영변ㆍ강계군 일원, 자성군 중강면, 후창군 후창면, 평남 평양시ㆍ평원군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클릭하시면 큰 계보도를 볼 수 있습니다
'보 학 방 > 성씨 연원(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 김씨(三陟金氏)의 연원 (0) | 2014.07.25 |
---|---|
나주 김씨(羅州金氏)의 연원 (0) | 2014.07.25 |
개성김씨의 연원 (0) | 2014.07.25 |
영광 김씨(靈光金氏)의 연원 (0) | 2014.07.25 |
사성 김해 김씨(賜姓金海金氏)의 연원 (0) | 201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