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인연방/불교소식

이 생에 잠시 인연따라 왔다가 / 화엄경

by 연송 김환수 2014. 3. 23.

이 생에 잠시 인연따라 왔다가

 

이번 생에 잠시 인연따라 나왔다가

인연이 다 되면 인연따라 갈 뿐이다.

 

장작 두 개를 비벼서

불을 피웠다면 불은 어디에서 왔는가.

장작 속에서 왔는가,

아니면 공기중에서 왔는가,

 

그도 아니면 우리의 손에서 나왔는가,

아니면 신이 불을 만들어 주었는가

다만 공기와 장작과 우리들의 의지가

인연 화합하여 잠시 불이 만들어 졌을 뿐이고,

장작이 다 타고 나면 사라질 뿐이다.

 

이것이 우리 몸을 비롯한

모든 존재의 생사(生死)이다.

 

불을 어찌 고정된 실체라 할 수 있겠으며,

'라고 내세울 수 있겠는가.

다만 공한 인연생 인연멸일 뿐이다.

 

여기에 내가 어디있고, 내 것이 어디 있으며,

진실한 것이 어디 있는가.

다 공적할 뿐이다.

 

이 몸 또한 그러하다.

인연따라 잠시 왔다가 인연따라 잠시 갈 뿐.

도 없고,

내 것도 없다.

 

그러할진데 어디에 집착하고,

무엇을 얻고자 하며,

어딜 그리 바삐 가고 있는가.

갈 길 잠시 멈추고 바라볼 일이다.

 

화엄경 중에서

 

=============================================================

 

화엄경 (華嚴經)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고려시대에 간행된 당나라 실차난타가 번역한 주본 화엄경. 목판본의 주본 80권 중 6. 11. 국보 제203. 성암고서박물관 소장. 전라도 담양의 전순미가 생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하여 절에서 인출한 것이다.

 

정의

우리 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이며, 한국불교의 소의경전(所依經典) 가운데 하나로 불교전문강원의 대교과(大敎科) 과정에서 학습되어 왔던 불교 최고의 경전.

 

내용

원명은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이며, 현재 한역본(漢譯本)으로는 권수에 따라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번역한 60화엄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80화엄, 반야(般若)가 번역한 40화엄 등 세 가지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우리 나라에서 널리 유통되었다.

 

60화엄에는 34(), 80화엄에는 39품이 들어 있으며, 그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40화엄은 60권본과 80권본의 마지막 장인 입법계품(入法界品)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화엄경의 완역본은 아니다.

 

이 한역본이 나타난 이래 우리 나라 및 중국에 화엄사상을 형성했을 뿐 아니라, 그 회통적인 철학성은 동양사상 속에서 하나의 강력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 경은 60화엄의 경우 7(경을 설한 장소) 8(경을 설하는 모임) 34, 80화엄의 경우는 7939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을 설한 장소를 60화엄에 의해서 살펴보면, 1 적멸도량회(寂滅道場會)와 제2 보광법당회(普光法堂會)는 지상(地上)이고, 3 도리천회(?利天會)와 제4 야마천궁회(夜摩天宮會), 5 도솔천궁회(兜率天宮會), 6 타화자재천궁회(他化自在天宮會)는 천상(天上)이며 제7은 다시 지상의 보광법당회와 제8 중각강당회(重閣講堂會)에서 설한다.

 

이 여덟 회좌(會座) 중 보광법당회가 두 번 있으므로 7처가 되고, 80화엄의 경우는 보광법당회가 세 번 있기 때문에 9회가 된다.

그 내용을 보면, 1회는 석가모니불이 마가다국의 보리수나무 밑에서 이제 막 대각(大覺)을 이루고 묵묵히 앉아 광채를 발하고 있다. 그 둘레에는 많은 보살들이 있어 한 사람씩 일어나 부처님의 덕을 찬양한다. 이 때 석가모니는 이 경의 교주(敎主)인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과 일체가 되어 있다.

 

2회에서는 석가모니가 자리를 옮겨 보광법당의 사자좌(獅子座)에 앉아 있다.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먼저 고집멸도(苦集滅道) 사제(四諦)의 법을 설한 뒤 10명의 보살들이 각각 열 가지의 심오한 진리를 설한다.

 

3회부터는 설법 장소가 천상으로 옮겨진다. 3회에서는 십주(十住)의 법을 설하고, 4회에서는 십행(十行), 5회에서는 십회향(十廻向), 6회에서는 십지(十地)를 설한다. 이 제6회는 현재 범어의 원전이 남아 있는 십지품(十地品)이며, 화엄경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이 품은 십지경 十地經으로 따로 편찬되었다.

 

화엄경십지경은 고려 및 조선 시대 승과(僧科)의 교종선(敎宗選) 시험과목으로 채택된 중요 경전이기도 하다. 이 십지품에서는 보살의 수행발전 단계를 열 가지로 나누어 설하고 있다.

 

십지의 제1은 환희지(歡喜地), 깨달음이 열려 기쁨이 넘쳐 있는 경지이다. 2 이구지(離垢地)는 기본적인 도덕의 훈련 과정이며, 3 명지(明地)는 무상(無常)의 성찰을 통하여 점차 지혜의 빛을 나타내며, 4 염지(焰地)는 진리를 향한 열의로 그 지혜가 더욱 증대하며, 5 난승지(難勝地)는 평등한 마음을 갖추어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지배를 받는 일이 없는 경지이다.

 

6 현전지(現前地)는 십평등지(十平等地)를 갖추어 일체가 마음의 움직임에 지나지 않는 허망한 것임을 깨달아 아는 경지이다.

 

7 원행지(遠行地)는 일체불법(一切佛法)을 일으키는 경지로서 열반(涅槃)에도 생사(生死)에도 자유로이 출입하며,

 

8 부동지(不動地)는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증득하는 경지로서 목적에 얽매이지 않는 마음의 움직임이 자연히 솟아나오며,

 

9 선혜지(善慧地)는 훌륭한 지혜를 성취하고 무애행(無碍行)이 이룩되는 경지로서 부처님의 법장(法藏진리의 창고)에 들어가 불가사의한 큰 힘인 해탈의 지혜를 얻으며,

 

10 법운지(法雲地)는 무명(無明)으로 말미암은 번뇌의 불길을 모조리 꺼 버린 해탈의 경지이다.

 

또한 이 십지품은 그 전체를 통하여 자기자신의 깨달음을 위해서 노력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깨달음으로 향하게 한다는 이타행(利他行)의 수행을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십지는 지혜와 자비가 완성됨에 따라 나타나는 여래성(如來性)의 흥기(興起)와 성기(性起)의 외적인 표현이며, 그에 관한 이론적 체계화로 평가되고 있다.

 

7회는 다시 지상의 보광법당에서 지금까지의 설법을 요약해서 설한다. 8회는 입법계품으로 이 또한 범어 원전이 남아 있다. 여기에서는 선재(善財)라는 동자가 53인의 선지식을 찾아 도()를 구하는 과정을 적어 정진이 곧 불교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만나는 선지식 중에는 뛰어난 보살만이 아니라 비구·비구니·소년·소녀·의사·장자(長者창부(娼婦외도(外道) 등 갖가지 직업과 신분을 가진 사람들이 섞여 있다.

 

이는 형식이 문제가 아니라 보리심의 유무가 문제라는 대승불교의 수행 이상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이 밖에도 이 경에는 십현연기무애법문(十玄緣起無碍法門사법계설(四法界說육상원융론(六相圓融論) 등 불교의 세계관 및 인생관 등의 주요 사상들이 함축성 있게 수록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는 신라의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이 경을 가져와서 강설한 이후 유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경이 화엄사상으로서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이 경을 연구하고 화엄종을 창종함에 따라 본격화되었다.

 

그 뒤 우리 나라 불교 교학(敎學)의 중심은 이 경과 법화경 法華經을 중심으로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이 경은 선종(禪宗)에서도 그 연구가 활발하여 소의경전으로 삼았으므로, 선종이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시대에도 선승들이 한결같이 이 경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특이한 흐름을 보이기도 하였다.

 

우리 나라 승려가 편찬한 이 경에 대한 주석서는 와 같다. 이 경의 판본으로는 신라시대의 화엄사석벽각판(華嚴寺石壁刻板) 1098(숙종 3)의 수창판(壽昌板) 25종이 현재 전해오고 있다.

 

[] 한국인 찬술 화엄경 주석서

시 대

저 자

주 석 서 명

권수

현존여부

신 라

元曉

華嚴綱目

1

 

 

華嚴經疏

10

 

 

華嚴經宗要

?

 

 

華嚴經入法界品抄

2

 

義湘

一乘法界圖

1

 

 

入法界品

1

 

 

華嚴十門看法觀

1

 

智通

華嚴錐洞記

2

 

道身

華嚴一乘問答

2

 

表員

華嚴經文義要決問答

5

 

 

華嚴經要義問答

3

 

海印三昧論

1

 

太賢

華嚴經古迹記

10

 

緣起

華嚴經要訣

12

 

 

華嚴經眞流還源藥圖

1

 

 

華嚴經開宗決疑

30

 

見登

華嚴一乘成佛妙義

1

 

珍嵩

一乘法界圖記

1

 

 

華嚴孔目記

6

 

義融

華嚴經釋名章

1

 

審祥

華嚴經開宗決疑

1

 

梵如

華嚴經要訣

6

 

可歸

華嚴經義綱

1

 

法融

法界圖記

1

고려

均如

釋華嚴經敎分記圓通

10

 

 

釋華嚴經旨歸章圓通

2

 

 

華嚴三寶章圓通記

2

 

 

十句章圓通記

2

 

 

一乘法界圖圓通記

2

 

 

搜玄方軌記

10

 

 

孔目章記

8

 

 

五十要問答記

4

 

 

探玄記釋

28

 

 

入法界品抄記

1

 

知訥

華嚴論節要

3

 

體元

華嚴經觀目在菩薩所

2

 

 

說法門別行疏

 

 

 

 

華嚴經觀音如識品

1

 

미상

法界圖記叢髓錄

4

조선

雲岑

華嚴一乘法界圖註

1

 

定慧

華嚴經疏隱科

미상

 

尙彦

淸凉摘抉隱科

1

 

 

鉤玄記

1

 

最訥

華嚴品目

1

 

有一

華嚴遺忘記

5

 

義沾

華嚴經私記

1

 

화엄경은 삼국시대에 유통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로 넘어오면서 신라 화엄학이 정립되었다. 아울러 화엄종이 성립되어 화엄사찰이 건립되기에 이르렀고, 화엄사상도 정립되었다.

 

현재 전해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화엄경은 구례 화엄사에 있는 화엄석경(華嚴石經)이다. 이 석경은 세 종류의 화엄경번역본 중 어느 것을 새긴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리고 새긴 연대도 677(문무왕 17)886(정강왕 1)의 두 가지 설이 있다.

 

그러나 국보로 지정되어 호암미술관(湖巖美術館)에 소장되어 있는 신라백지묵서사경(新羅白紙墨書寫經)754(경덕왕 13)에 필사된 주본(周本)의 일부이다. 여기에서 이 당시에 이미 공덕경(功德經)으로 필사된 것으로 보아 754년보다 훨씬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통일신라시대 후기에는 이미 세 종류의 화엄경이 모두 전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와서도 균여(均如의천(義天) 등의 고승에 의해 화엄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많은 연구 주석서가 전해 오고 있다.

 

이 당시에 간행된 것으로는 1020(현종 11)에 현화사(玄化寺)에서 삼본화엄경(三本華嚴經)을 판각한 기록이 있으며, 해인사에는 1098년에 판각된 삼본화엄경판과 1200년대에 판각된 것이 섞여 보존되어 있다.

 

이 밖에도 해인사에서 판각된 1098년 간기(刊記)가 있는 진본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시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진본·주본·정원본이 여러 종 보존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시대의 간본으로 추정되는 증륜사(拯倫寺) 판본도 전해지고 있다. 이를 보면 고려 숙종 때 삼본화엄경이 모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주 부석사에도 삼본화엄경판이 보존되어 있는데, 이들은 매행 34자씩 배열되어 있는 경판으로 13세기경에 판각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엄경은 다른 경에 비해 권수가 많아 한번 판각하기란 쉽지 않다.

 

이 밖에 국가에서 판각한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에 이들 삼본화엄경이 포함되어 있고, 고려 초 의천에 의하여 화엄경에 대한 연구 주석서들이 대부분 전래되었다. 속장경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은 화엄경수소연의초 華嚴經隨疏演義?40권으로 현재 일본 나라(奈良)에 전해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고려시대에는 사경공덕(寫經功德)을 위한 화엄경의 사경이 금과 은을 사용하여 상당히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선(() 양종이 되면서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던 화엄종이 역사적인 특성을 잃어버려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물론 조선시대에도 화엄경은 여전히 선교합일사상에서 선·교를 막론하고 주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다른 경전에 비해서 화엄경의 판각은 한동안 침체되었다.

 

조선 후기에 들어오면서 인악(仁嶽)과 연담(蓮潭)이 나와 화엄학에 대한 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여전히 불경 가운데 왕좌를 누리면서 간행도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 유통된 화엄경은 한동안 당나라 징관(澄觀)의 소초(?)에 정원(淨源)이 다시 주석(注釋)을 붙인 120권짜리 화엄경이 유행하다가, 징관의 화엄경수소연의초가 채택되어 오늘날까지 화엄경하면 징관의 소초 80권으로 통용되기에 이르렀다.

 

화엄경은 워낙 분량이 많은 데다 조선 초기에는 사찰경제가 많은 핍박을 받아 간행이 매우 벅찬 시기였다. 그러므로 이 당시는 주로 해인사 대장경판 등 고려 때 목판에서 인출하여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조선 중기에 내려와 불교전문강원에서 화엄경이 교재로 채택되어 화엄경주석본을 참고하게 되었을 것이며, 아울러 화엄경주석본 판각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라 생각된다.

 

현재 남아 있는 판본으로는 1556(명종 11)에서 1564년까지 9년이 걸려 황해도 귀진사(歸眞寺)에서 한강 이북에 있는 20여 개 사찰의 협력을 받아 징관의 소초에 정원이 주석을 붙인 대방광불화엄경소 大方廣佛華嚴經疏120권본을 판각한 것이 있다.

 

그 뒤 1633(인조 11)에서 1635년까지 3년 동안 순천 송광사에서 귀진사 판본을 복각(覆刻)하였는데, 이 때 판각한 경판이 아직도 송광사에 보존되어 있다. 이 판은 경상도 서봉사(栖鳳寺)와 전라도 여러 사찰의 협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황해도 귀진사 판본은 거리 관계로 구해 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686(숙종 12)에는 영각사(靈覺寺)에서 또 한 차례 복각하였다. 이후 이 120권짜리 화엄경소는 더 이상 판각되지 않고 화엄경소초가 판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120권짜리보다 80권짜리 화엄경소초가 더 간결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화엄경소초는 성총(性聰)에 의하여 1689년부터 1692년까지 전라남도 순천시 징광사(澄光寺)를 중심으로 판각되었다. 이 판각도 대원암(大源庵)과 범어사 등 남쪽 사찰의 협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 중 화엄현담 華嚴玄談이 빠졌으므로 1700년에 범어사에서 판각하여 보충하였다.

 

그 뒤 징광사판이 불타 버려서 상언(尙彦)이 영각사를 중심으로 1773(영조 49)부터 1775년까지 3년이 걸려 징광사판의 오류를 바로잡아 복각하였다. 이 판도 역시 영각사 단독으로 한 것이 아니라 내원정사·묘각사 등 전라도·경상도 사찰의 협조로 이루어졌는데, 1948년 지리산 공비들에 의하여 불타 버렸다.

 

이후 영각사판이 낡아 1855(철종 6)에서 1856년 사이에 영기(永奇)가 중심이 되어 봉은사에서 통도사·범어사의 협조로 판각한 경판이 현재까지 봉은사에 보존되어 있다. 이 판은 영각사판을 복각한 것으로, 현재 각 강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화엄경 판각은 여러 사찰에서 힘을 합쳐서 판각한 것과 다른 경전처럼 동시대에 여러 사찰에서 판각한 것이 없고, 경판이 소실된 뒤에 복각한 것이 특징이다.

화엄경은 워낙 양이 많으므로 판각이 성행하지 않았고, 대신 각 품별(品別) 판각이 상당히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보현행원품판각이 제일 성행하였다.

 

1245(고종 32)에 정안(鄭晏)이 판각한 해인사본을 비롯하여 1449(세종 31)의 간본, 1469(예종 1)의 안성 청룡사판, 1721(경종 1)의 운흥사판, 1736(영조 12)의 동화사판, 1742년의 성산 쌍계사판(경판은 해인사에 있음), 1760(영조 36)의 은진 쌍계사판, 1774(영조 50)의 지리산 대암난야판(臺岩蘭若板), 1898년의 표충사판과 대둔사판(大芚寺板)이 있다. 특이한 점은 이들 판본이 모두 반야의 번역본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밖에 해인사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 목판으로는 1331(충혜왕 1)관음지식품 觀音知識品, 1349(충정왕 1)약신중 略神衆·정행품 淨行品·여래출현품 如來出現品·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 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韓國佛敎所依經典硏究)(이지관, 보련각, 1973)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6)

불전해설(佛典解說)(이기영, 한국불교연구원, 1978)화엄경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고려시대에 가는 글자 34자로 새긴 삼본화엄경의 목판. 보물 제735호.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소장.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신라 때 백지에 먹으로 쓴 대방광불화엄경.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경. 국보 제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