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명학 (호,자)

성명학 불길문자 (不吉文字)

by 연송 김환수 2019. 12. 23.

성명학 불길문자 (不吉文字)


한자(漢字)는 글자마다 그 뜻을 가지고 있어 이름을 작명(作名)할 때는 사용(使用)하지 않는 불길문자(不吉文字)들이 있다.

성명통계학상(姓名統計學上) 불길문자 들은 불길한 암시(暗示)를 담고 있어 작명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원대(遠大)하고 고귀(高貴)한 글자 작명 사용 자제

 

한자의 뜻(字意)이 원대(遠大)하고 고귀(高貴)하며 유복(裕福)한 뜻을 가진 글자는 원래(原來) ()한 뜻이지만,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면 그 본래(本來)의 뜻과는 반대(反對)로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고, 자식(子息)이 잘 되라고 길상(吉祥)의 뜻을

이름에 심어 주는 것도 주의(注意)를 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과 같이 지나치게 고귀(高貴)하고 유복(裕福)한 뜻을 가진 글자는 흉()한 뜻을 동반(同伴)하기 쉽기 때문에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 (), (), (), ()경사 경(), 즐길 락(), 사랑 애(), 기쁠 희(), 기쁠 희(), 즐길 희(), 기쁠 희(), 기뻐할 희() 등도 불길문자(不吉文字)에 해당되므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자이름 작명 시 화려(華麗)하거나 고귀(高貴)한 뜻의 글자 자제

여자운명(女子運命)을 고독(孤獨)하게 하기 쉽고 애정갈등(愛情葛藤)의 고통(苦痛)을 받기 쉬우므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과 같이 화려(華麗)하거나 고귀(高貴)한 뜻을 지닌 글자는 여자이름(女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 () 등의 글자는 여자운명(女子運命)을 고독(孤獨)하게 하기 쉽고 애정갈등(愛情葛藤)의 고통(苦痛)을 받기 쉬우므로 여명(女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정신세계(精神世界)의 높은 경지(境地)를 의미(意味)하는 글자 자제 

(), (), (), (), () 등의 글자는 가능(可能)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고, ()’자와 같이 신앙(信仰)의 대상(對象)이 되는 글자도 이름에 좋지 않다.

 

자연(自然)에 관련(關聯)된 글자 자제

, , 산천(山川)의 명칭(名稱)이나 자연(自然)에 관련(關聯)된 글자를 인명(人名)에 쓰면 좋지 않으므로 사용(使用)하지 않는다.

 

(), (), (), (), (), (), (), (), (), (), (), (西), (), (), (), (), (), (), (), (), (), (), (), (), (), (), (), (), (), (), (), (), (), () 천지(天地) : (), () 건곤(乾坤) : (), () 강산(江山) : (), () (), (), (), (), (), () 등은 인명(人名)에 쓰면 불길하므로 가능(可能)한 인명에 사용하지 않는다.

 

- 상하(上下) : (), () / 방위(方位) : (), (西), (), ()

   방위(方位)를 나타내는 글자들은 인명(人名)에 쓰면 불길(不吉)하므로 가능(可能)한 인명(人名)

   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계절(季節) : (), (), (), ()

  계절(季節)을 나타내는 글자들은 인명(人名)에 쓰면 불길(不吉)하므로 가능(可能)한 사용(使用)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아호(雅號)나 인명(人名) 등에 춘하추동(春夏秋冬)을 한자씩 쓰면 좋지 않다.  금방 ()하다

  가도 금방 쇠()하게 된다.

 

()를 들어 추사(秋史) 김정희는 54세부터 말년 내내 유배지를 전전하며 혹독한 겨울과 소나무를 그린 세한도(歲寒圖)가 유명하지만, 그의 생애를 보면 가을 이전에는 천재적인 소질로 동양 삼국을 풍미했는데 말년에 귀양살이의 몸으로 예술혼을 달래야 했다.

 

삼국(三國)을 통일한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金春秋)는 춘추(春秋) 두 자()를 썼기 때문에 예외(例外)인, 춘추(春秋)는 두 계절이란 뜻이 아니고 1년 사시사철이란 뜻이기 때문이다.


○ 자연 사물해당 불길문자(不吉文字)  

- 4 원소(元素) : (), (), (), ()

- 일월(日月) : (), (), (), ()

- 운우(雲雨) : (), (), (), (), (

- 암석(岩石) : (), () 금은(金銀) : (), (), (), (), ()(), (),

  (), (), (), (), ()  등


동물(動物) 해당되는 불길문자(不吉文字)  

개 견(), 닭 계(), 개 구(), 거북 귀(), 돼지 돈(), 사슴 록(鹿), 용 룡(), 말 마(), 봉황 봉(), 뱀 사(), 양 양(), 소 우(), 원숭이 원(), 새 조(), 물총새 취(), 토끼 토(), 학 학(), 범 호() 등과 같이 짐승(날짐승 포함), 동물(動物), 곤충(昆蟲)의 명칭(名稱)에 해당하는 글자는 만물(萬物)의 영장(靈長)인 사람의 이름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서비(瑹沘)

  기린 린(), 초명새 명(), 새 붕(), 표범 표(), (작은)범 표(), 기러기 홍()

 

십간(十干) · 십이지(十二支) 사용 주의

- 천(天干, 十干) : 천간(天干)을 나타내는 갑(), (), (), (), (), (), (),

   (), (), () 등이 본인(本人)의 사주(四柱)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파재(破財),

   이별(離別), 단명(短命) 등을 유도(誘導)하여 운세(運勢)를 그르치게 된다.

 

- 지지(地支, 十二支) : (地支)를 나타내는 자(), (), (), (), (), (), (),

   (), (), (), (), () 등이 본인(本人)의 사주(四柱)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파재

   (破財), 이별(離別), 단명(短命) 등을 유도(誘導)하여 운세(運勢)를 그르치게 된다.


 

숫자(數字)

- 일(), (), (), (), (), (), (, ), (), (), (), (), (),

   (), (), (), () 등의 숫자(數字)는 불길문자(不吉文字)에 해당되므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숫자 중에서도 특히 ()’자는 죽을 사()’자와 어감(語感)이 비슷하여 기피(忌避)하고,

  ‘()’자도 어감(語感)이 아주 나쁘므로 기피(忌避)한.

 

- 특히 십(), (), (), (), (), () 등과 같이 가득 차는 수()는 더 이상(以上)

  들어찰 여지(餘地)가 없다고 하여 불길(不吉)하므로 가능(可能)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이 차면 기운다는 식()으로 선부후빈(先富後貧)이 됩니다.

 

종말(終末)을 나타내는 글자

(), (), (), () 등과 같이 종말(終末)을 의미(意味)하는 글자들은 불길문자(不吉文字)에 해당되므로 인명(人名)에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등을 인명(人名)에 부득이(不得已) 쓸 때에도 특히 장남장녀(長男長女)에게는 사용(使用)하지 않아야 하고, ‘막내에게만 사용(使用)해야 한다.

특히 끝 계()’자는 막내 전용한자(專用漢字)로서 불길문자(不吉文字)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장남이나 장녀만이 사용가능한 한자가 있고, 차남이나 차녀만이 사용 가능한 한자가 있다.

 

신생아 작명이나 개명을 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장남이란 남자 형제 가운데서

구분하는 것이고, 장녀란 여자 형제 가운데서 구분하는 것이다.


동양(東洋)에서는 한자의 이름을 사용하며, 한자(漢字)는 그 글자마다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름의 뜻이 좋아야 길운(吉運)을 만나게 된다고 무작정(無酌定) 고귀(高貴)하고 유복(裕福)한 뜻을 가진 글자를 고르는 것은 위험(危險)한 일이다.

 

태어날때 부터 왕성(旺盛)한 운세(運勢)를 타고난 사람은 글자의 강(强)한 뜻을 이겨낼 수 있기 때문에 발전(發展)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견디지 못하고 오히려 해(害)를 보게 된다.

 

불길문자(不吉文字)들은 성명통계학상 불길한 암시(暗示)를 담고 있으므로 작명(作名)할 때는 사용(使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남이나 장녀에게 사용하는 이름 한자를 차남이나 차녀가 사용하면 본인뿐 만아니라, 형이나 언니에게도 좋지 않은 일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장남, 장녀 사용가능 한자 가나다 순

갑 - - - 선

수 - - - 홍

一 : 한 일자

甲 : 첫째 천간 갑, 갑옷 갑

巨 : 클 거, 많을 거

乾 : 하늘 건/마를 건

高 : 높을 고

昆 : 맏 곤 /형 곤

國(국) : 나라 국

起 : 일어날 기

基 : 터 기/토대 기

大 : 큰 대

德 : 덕 덕

東 : 동녁 동

斗 : 별 두/말 두

頭 : 머리 두

領 : 거느릴 령

盟 : 맏이 맹

明 : 밝을 명

文 : 글월 문

伯 : 맏 백

甫 : 클 보

上 : 위 상/높을 상

石 : 돌 석

奭 : 클 석/성할 석

碩 : 클 석

先 : 먼저 선

秀 : 빼어날 수

首 : 머리 수

承 : 이을 승/계승할 승

始 : 처음 시

新 : 새 신/처음 신

完 : 완전할 완

元 : 으뜸 원

領 : 거느릴 영

允 : 맏 윤/진실로 윤

胤 : 이을 윤

仁 : 어질 인

日 : 날 일

一 : 한 일

壹 : 한 일/정성 일

前 : 앞 전

子 : 아들 자

長 : 긴 장

宗 : 마루 종/근본 종

柱 : 기둥 주

天 : 하늘 천

初 : 처음 초

春 : 봄 춘

太 : 클 태

泰 : 클 태

弘 : 넓을 홍

 

○ 장남, 장녀 사용불가 차남, 차녀 이하 사용가능한 한자

장남이나 장녀가 사용해서는 안되는 불용한자는 아래와 같다. 

작명법에서 장남이란 남자 형제중에서 서열이고, 장녀란 여자 형제 중에서 서열이다.

 

- 차남, 차녀 사용가능 한자 가나다 순

경 - - 이

종 - - 후

庚(경) : 천간 경

곤(坤) : 떵 곤

계(季) : 막내 계 

冬(동) : 겨울 동

短(단) : 짧을 단

禮(례) : 예도 례

말(末) : 끝 말

모(暮) : 저물 모

北(북) : 북녁 북

三(삼) : 석 삼

소(小) : 작을 소

소(少) : 적을 소

손(孫) : 손자 손 

역(易) : 바꿀 역

月(월) : 달 월

義(의) : 옳을 의

이(二) : 두 이 

종(終) : 마칠 종

중(中) : 가운데 중

중(仲) : 버금 중

재(再) : 두번 재

제(弟) : 아우 제

저(底) : 밑 저

貞(정) : 곧을 정

지(地) : 땅 지

차(次) : 버금 차

秋(추) : 가을 추

하(下) : 아래 하

夏(하) : 여름 하

亨(형) : 형통할 형

후(後) : 뒤 후

 

 

 

      

○ 차남, 차녀 이하 사용가능 한자.

 

곤(坤) 계(季) 말(末) 모(暮) 소(小) 소(少) 손(孫) 역(易) 이(二) 중(中) 중(仲) 종(終) 저(底) 제(弟)

재(再) 지(地) 차(次) 하(下) 후(後)


 불길문자(不吉文字301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鹿), (), (), (), (), (), (),


(), (), (), (滿),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西),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