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명학 (호,자)

훈민정음과 발음오행

by 연송 김환수 2019. 12. 7.

훈민정음과 발음오행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발음오행과 훈민정음(訓民正音)의 해례본(解例本)에 나와 있는 음령오행(音靈五行)의 발음기호 분류법은 토()와 수()오행의 발음에 국한하여 달리 사용하고 있다.

 

명리학에서 사용하는

  - 토()오행의 발음은 ,이지만 해례본은 ,,로 표기하고,

  - 수()오행 ,,에서 ,으로 바뀌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에 의해 현재 발음오행 표기법에 다소 혼선이 일어나고 있다.


운해본과 해례본의 발음 비교

        발음

  오행

발음구조(운해본 기준)

운해본 발음

해례본 발음

()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ㄱㅋ

ㄱㅋ

()

설음(舌音 혓소리)

ㄴㄷㄹㅌ

ㄴㄷㄹㅌ

()

후음(喉音 목구멍소리)

ㅇㅎ

ㅁㅂㅍ

()

치음(齒音 잇소리)

ㅅㅈㅊ

ㅅㅈㅊ

()

순음(脣音 입술소리)

ㅁㅂㅍ

ㅇㅎ

 

훈민정음운해본(訓民正音韻解本)은 한자음을 고려하여 한글의 자음을 오행으로 분류한 반면,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한글의 순수 발음만을 고려한 음령 체계이다.


○ 한자가 포함된 한글이름을 작명 시에는 운해본(韻解本)의 발음오행 체계를 적용

○ 순수 한글이름만을 짓고자 한다면 해례본(解例本)의 발음오행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의견도 있다.


○ 발음오행 : 성명은 시대감각에 맞으면서 부르기 좋고 듣기 좋은 이름이어야 한다.

오행

발성기관

어금니소리
아음(牙音)

혓소리
설음(舌音)

목구멍소리 후음(喉音)

잇소리
치음(齒音)

입술소리
순음(脣音)

소리

ㄱ. ㅋ.

ㄴ. ㄷ. ㄹ. ㅌ..

ㅇ. ㅎ.

ㅅ. ㅈ. ㅊ.

ㅁ. ㅂ. ㅍ.


발음오행 도표

 오행

자음 

발음 

음성 

오행 수 

 

 ,

 아음

 어금니소리

 1,2

 

 ,,,

 설음

 혓소리

 3,4

 

 ,

 후음

 목구멍소리

 5,6

 

 ,,

 치음

 잇소리

 7,8

 

 ,,

 순음

 입술소리

 9,10


한글모음 소리음양

 음성

 ,,,

어둡고 신중, 내성적 

 양성

 ,,,

 밝고 명랑, 외향적

 중성

 ,

 구분없음, 중용적


한글은 1443(세종25)에 창제되고, 1446년에 신숙주(申叔舟) 등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훈민정음의 발음구조와 사용법을 적시한 해례본이 편찬되었다.


연산군(燕山君)의 한글말살 정책으로 해례본은 자취를 감추게 되는 가운데, 1517(중종12)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사성통해(四聲通解)에서는 해례본의 음령오행을 배제하고 명리학 발음오행이 채택되었다.

1750(영조26)에 신경준(申景濬)훈민정음운해본(訓民正音韻解本)에서도 해례본과 다른 음령오행이 사용되는 가운데, 이후 식민 시대 조선어학회 등에서도 운해본의 발음오행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산군 시대에 분실되어 한글 음령오행에 대해 었던 훈민정음 해례본이1940년 안동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되어 한글 음령오행 적용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그렇지만 최세진이 사성통해(四聲通解)에서 음령오행을 변경했다는 것은 해례본의 음령오행에 문제가 있었음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해례본의 시기가 빠르다 하여 무조건 수용할 수 없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은 목구멍의 울림소리로서 모든 발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성적 성격인 토()로 분류함이 옳다는 견해이다.

,,은 자음의 발음구조로서 발음상 입술의 개폐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오행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이 일반적인 논리로서 현재 작명의 발음오행과 관련해서는 해례본이 아닌 운해본의 이론을 적용하는 작명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오행도

오행(五行)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상생(相生)화(火)토(土)금(金)수(水)목(木)
상극(相剋)토(土)금(金)수(水)목(木)화(火)
오방(五方)동(東)남(南)중앙(中央)서(西)북(北)
오시(五時)춘(春)하(夏)계하(季夏)
토용(土用)
추(秋)동(東)
오기(五氣)인애(仁愛)강맹(剛猛)관굉(寬宏)살벌(殺伐)유화(柔和)
오상(五常)인(仁)예(禮)신(信)의(義)지(智)
색(色)청(靑)적(赤)황(黃)백(白)흑(黑)

오장(五臟)

간(肝)심(心)비(脾)폐(肺)신(腎)

수(數)

성명학(자연수)

3,8

1,2

2,7

3,4

5,10

5,6

4,9

7,8

1,6

9,10

음(音)각(角)징(徵)치)궁(宮)상(商)우(羽)

ㄱ ㅋ

아음(牙音)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ㅇ ㅎ

후음(喉音)

ㅅ ㅈ ㅊ
치음(齒音)
ㅁ ㅂ ㅍ
순음(音)
천간(天干)양음(陽陰)
갑을(甲乙)
양음(陽陰)
병정(丙丁)
양음(陽陰)
무기(戊己)
양음(陽陰)
경신(庚辛)
양음(陽陰)
임계(壬癸)
지지(地支)인(寅)묘(卯)오(午)사(巳)()  축(丑)

(()

신(申)유(酉)해(亥)자(子)



오행, 10천간, 12지지

오행

()

()

()

()

()

10

천간

()

()

()

()

()

()

()

()

()

()

12

지지

()

()

()

()

()

()

()

()

()

()

()

()

음양

()

+

()

-

()

+

()

-

()

+

()

-

()

+

()

-

()

+

()

-

 


 

()

()

()

()

()

음양(陰陽)

()

()

()

()

()

성질(五性)

생성

성장, 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휴식, 응집

방위(方位)     

동방(東方)

남방(南方)

중앙(中央)

서방(西方)

북방(北方)

천간(天干)

(), ()

(), ()

(), ()

(), ()

(), ()

지지(地支)

(),(),()

(),(),()

-

(),(),()

(),(),()

계절(季節)

()

여름()

긴 여름(長夏)

가을()

겨울()

기후(氣候)

바람()

뜨거움()

습기(濕氣)

메마름(乾燥)

차가움()

기운(氣運)

()

광명의 신()

()

()

()

사대문

(四大門)  

동대문

(興仁之門)

남대문(崇禮門)

중궁(中宮)

보신각

서대문(敦義門)

북대문(弘智門)

경복궁

(景福宮)

동문(建春門)

남문(光化門)

경복궁

(五皇極)

서문(迎秋門)

북문(神武門)

사단(四端)

()

()

()

()

()

색깔(五色)

푸른색()

붉은색()

노랑색()

흰색()

검은색()

상징 동물

청룡(靑龍)

주작(朱雀)

-

백호(白虎)

현무(玄武)

창조 덕성

()

()

통합(統合)

()

()

 욕심(五慾)   

정욕(情慾)

색욕(色慾)

-

탐욕(貪慾)

노욕(老慾)

오관(五官)

()

()

()

()

()

오성(五星)

목성(木星)

화성(火星)

토성(土星)

금성(金星)

수성(水星)

오제(五帝)

청제(靑帝)

적제(赤帝)

황제(黃帝)

백제(白帝)

흑제(黑帝)

오성(五聲)     

()

()

()

()

()

오수(五數)

()

()

()

()

()

신체(五體)

근육()

혈맥(血脈)

()

()

()

(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감정(五情)

분노()

기쁨()

사려()

슬픔()

두려움()

오장(五臟)

() :

심장() :

비장()

허파() :

콩팥() :

육부(六腑)

쓸개()

작은창자(小腸)

(), 삼초(三焦)

큰창자(大腸)

오줌보(膀胱)

정신(精神)

()

()

()

() :

()

짐승의 종류

들짐승(走類)

날짐승(飛類)

사람(人類)

갑각류(甲類)

어류(魚類)

종교(宗敎)

()

기독교(西仙)

신교(神敎)

불교()

(東仙)

오대양

(五大洋)

태평양

(太平洋)

남빙양

(南氷洋)

인도양

(印度洋)

대서양

(大西洋)

북빙양

(北氷洋)

육대주(六大洲)

아시아주

구라파주

오세아니아주

아메리카주

아프리카주

한글 발음

,

, , ,

,

, ,

, ,

성씨(姓氏)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南宮, 皇甫, 鮮于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東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