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의 구성
사주팔자(四柱八字)는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4개의 간지(干支)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학문으로 통계학이다.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말하지만 좀 더 정확하게는 사주명리학(四柱命理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주팔자를 풀어보면 그 사람의 타고난 운명을 알 수 있다 해서 운명이나 숙명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주(四柱)는 생년·생월·생일·생시를 4개의 기둥이라고 보아 붙여진 명칭이고, 팔자(八字)는 천간과 지지로 구성되는 여덟 자로 나타낸다.
사주는 간지(干支)로 나타내는데 천간과 지지를 간지(干支)라고 한다.
- 간(干)은 10가지이므로 ‘십간’이라 하고, 사주의 윗 글자에 쓰이므로 천간(天干)이라 한다.
- 지(支)는 12가지이므로 ‘십이지’ 또는 사주의 아랫 글자에 쓰이므로 지지(地支)라고 한다.
천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의 10가지이며,
지지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의 12가지이다.
○ 사주팔자(四柱八字)
시주(時柱) | 일주(日柱) | 월주(月柱) | 년주(年柱) |
시간(時干) | 일간(日干) | 월간(月干) | 년간(年干) |
시지(時支) | 일지(日支) | 월지(月支) | 년지(年支) |
생년월일시(4柱) 간지(干支) | 시주(時柱) | 일주(日柱) | 월주(月柱) | 년주(年柱) |
10천간(天干) (갑을병정--임계) | 시간(詩干) | 일간(日干) | 월간(月干) | 년간(年干) |
12지지(地支) (자축인묘--술해) | 시지(詩支) | 일지(日支) | 월지(月支) | 년지(年支) |
참고로 토정비결(土亭秘訣)은 조선 선조때의 학자 토정 이지함((土亭 李之菡), 1517~1587)이 쓴 책으로 한해의 운세를 알아보는 도참서(圖讖書)로 예언서이다.
‘토정’은 이지함의 호이고, ‘비결’은 사람의 길흉화복을 적어 놓은 책을 말한다.
태세(太歲), 월건(月建), 일진(日辰)을 숫자적으로 따져 새해의 신수(身數)를 보는 데 사용하였으며, ≪주역≫의 음양설에 근거해 있는 반면 오행설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 책은 조선 말 민생의 곤궁이 절정에 달하여 일신·일가의 화복만이 일차적 관심사로 등장하였던 당시의 상황을 반영해주는데, 이전부터 행하여오던 오행점이나 문복신수(問卜身數 : 몸의 운수를 점침) 정도로는 만족하지 않고 좀 더 세분된 예언을 갈구하던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여 나타난 책이다.
사주팔자(四柱八字)인 사주명리학(四柱命理學)은 심효첨(沈孝瞻)의 『자평진전(子平眞詮)』 서문은 사주명리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命之不可不信 而知命之君子 當有以順受其正
명(命)은 불신할 수 없는 것이어서 명을 아는 군자라면 마땅히 순리로써 그 바른 명을 받아들임이 있어야 한다.
人能知命 則營競之可以息 非分之想可以屏 凡一切富貴窮通壽夭之遭 皆聽之於天而循循焉 各安於義命 以共勉於聖賢之路 豈非士君子厚幸哉
사람이 명을 알 수 있다면 꾀하고 다툼을 그칠 수 있고, 분수가 아닌 생각을 물리칠 수 있다. 무릇 일체의 부귀(富貴), 궁통(窮通), 장수·요절(壽夭)과의 조우를 모두 하늘의 뜻에 따라서 그대로 좇을 것이다. 각자 의로운 명에 편안히 거하면서 한 가지로 성현의 길에 힘쓸 것이니 어찌 사군자(士君子)의 두터운 행복이 아니겠는가!
이처럼 사주명리학은 각자가 부여받은 '천명'을 알고자 하는 학문으로 점술이나 점복과는 전혀 무관하다 말한다. 사주명리학을 점술 또는 점복으로 오해해서는 안된다.
사주를 해석하는 것은 많은 공부가 필요하지만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자신의 사주 자체를 산출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산출 과정 자체는 공부를 해야하지만 검증은 생략하고 자신의 사주를 쉽게 보고 싶다면 휴대폰 “play 스토어”에서 “만세력” 어플을 다운받아서 자신의 생년월일시(태어난 시간), 성별을 기입하여 구할 수 있다.
사주팔자에서 사주(四柱)는 말 그대로 네개의 기둥을 의미하고 팔자(八字)는 여덟 글자를 의미한다. 이 여덟 글자가 모여서 네개의 기둥을 이룬다고 해서 사주팔자 라고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00년 1월 1일 0시에 태어난 밀레니엄 베이비의 사주는 다음과 같다. 음력으로는 1999년 11월 25일이다.
壬 | 戊 | 丙 | 己 |
子 | 午 | 子 | 卯 |
색깔을 입히면 다음과 같다. 요즘에는 각 글자에 해당하는 색을 입혀서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壬 | 戊 | 丙 | 己 |
子 | 午 | 子 | 卯 |
아래 이미지는 휴대폰 “play 스토어” “만세력” 어플에서 다운 받은 2000년 1월 1일 0시에 태어난 밀레니엄 베이비의 사주입니다.
己卯(기묘) 년주, 丙子(병자) 월주, 戊午(무오) 일주, 壬子(임자) 시주
시주(時柱) | 일주(日柱) | 월주(月柱) | 년주(年柱) |
시간(時干) | 일간(日干) | 월간(月干) | 년간(年干) |
시지(時支) | 일지(日支) | 월지(月支) | 년지(年支) |
원광 만세력
원광 만세력 모바일 앱 보는 법
원광대에서 일반인들을 위해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를 알고 있으면 모바일 만세력앱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사주팔자와 대운, 년운, 월운 까지 알수 있도록 프로그램화하여 대중에게 공개하였다.
1. 십신 : 일원(본인, 주인공)이고 육친관계(겁재, 편인, 정관, 정재 등)가 나타남
2. 사주팔자 : 간지(10간, 12지)에서 천간4글자, 지지 4글자 나타남
3. 오행 : 구성 (목1, 화2, 토2, 금0, 수3)
4. 지장간 : 임계, 병기정, 임계, 갑을 등 지지(地支)에 숨어 있는 하늘의 기운이다.
5. 대운(10년운) : 18세 28세 38세 - - - 88세
6. 세운(일년운) : 2014년, 2015년 - - - 2019년, 2020년 - - 2026년
간지, 연도에 따른 나이 2014년 15살, 2019년 20살, 2026년 27살
7. 월운 : 1월, 2월 - - 12월이 한 화면에 나옴
8. 신살보기 : 누르면 화면 전환 신살이 나옴.
9. 공망, 십이운성, 형,충,파,효신 : 화면에 나오게 된다.
오행 천간, 지지
오행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
천간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지지 | 인(寅) | 묘(卯) | 오(午) | 사(巳) | 진(辰)술(戌) | 축(丑)미(未) | 신(申) | 유(酉) | 해(亥) | 자(子) |
음양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세로쓰기를 하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야 한다. 그러니까 밀레니엄 베이비의 사주는 기묘(己卯)년 병자(丙子)월 무오(戊午)일 임자(壬子)시이다.
풀이를 하는데 있어서 이렇게 천간, 지지를 모두 말하지는 않고 이를 주로 끊어서 말하는게 보통이다. 예를 들자면 일간은 일의 윗글자로 '무(戊)'이 되고 일지는 일의 아랫글자로 '오(午)'가 된다. 월간은 '병(丙)' 월지는 '자(子)'가 된다.
예외적으로 시주의 천간은 '시간'으로 부르지 않고 '시상'으로 부른다(꼭 그렇지만은 않다). 시주의 지지는 그대로 '시지'로 부른다.
년주(年柱)
자신이 태어난 해. 일반인에게 가장 익숙한 기둥으로,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 병신(丙申)년이니 하는 것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자신이 태어난 해가 어떤 해인지는 찾아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으나, 정확하게 세우려면 만세력을 봐야 한다.
자신이 태어난 날이 음력 1월 초(양력 1~2월)쯤인 사람이라면 년주를 세울 때 주의해야 하는데, 명리학에서 해가 바뀌는 기준은 설날이 아니라 입춘이다.
설날이 지났더라도 아직 입춘이 되기 전에 태어났다면 금년도가 아닌 전년도의 간지를 적용한다. 더군다나 입춘이라 하더라도 해당 년도의 간지가 시작되는 절입(節入)시각까지 따지는데, 절입시각이 되기 전에 태어났다면 마찬가지로 금년도가 아닌 전년도의 간지가 적용된다.
년주는 한평생의 운명을 나타내며 보통 초년운으로 삼는다. 조상이나 부모 및 웃사람과의 대인관계를 상징한다.
월주(月柱)
자신이 태어난 달. 정확하게 세우려면 만세력을 봐야 하지만 월건기법(月建起法)이라는 것이 있어서 년주의 천간(년간)을 기준으로 쉽게 세우는 방법이 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갑(甲), 기(己)년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 丙子 | 丁丑 |
을(乙), 경(庚)년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己丑 |
병(丙), 신(辛)년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辛丑 |
정(丁), 임(壬)년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癸丑 |
무(戊), 계(癸)년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甲子 | 乙丑 |
월주를 세울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해당 달이 시작되는 기준은 그 달의 1일이 아니라 아래 언급한 절기이다.
예를 들어 음력 2월생이라도 경칩 이전에 태어났다면 전 달인 1월생으로 취급한다.
물론 경칩이 시작되는 절입시각까지 따져서 그 시각 이전에 태어났어도 마찬가지다.
위의 년주에서도 설명하다시피 입춘이 한 해의 시작으로 취급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절입시각은 해당 절기의 태양의 황경(黃經)을 측정한 날짜와 시각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는 2005년 자료부터 해당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 지식정보 https://astro.kasi.re.kr/index
천문우주지식정보
http://astro.kasi.re.kr/Main/MainPage.aspx
축문에 필요한 간지(干支) 및 천문 찾기 : http://blog.daum.net/yescheers/8597927
http://www.kasi.re.kr : "한국천문 연구원" 사이트
사실 절입시각은 매해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 살피려면 만세력을 봐야 한다.
월주는 성년 이후의 운수를 나타내며, 부모형제자매 및 동료간의 관계를 상징한다.
일주(日柱)
자신이 태어난 날. 일률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만세력을 봐야 한다.
일주는 청년 시기의 운수를 나타내며, 결혼과 배우자 등 일신상의 운명을 상징한다. 또한 자기 자신(특히 성격)을 대부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주(時柱)
자신이 태어난 시각. 정확하게 세우려면 만세력을 봐야 하지만 월건기법과 마찬가지로 시기법(時期法)이라고 해서 일주의 천간(일간)을 기준으로 쉽게 세우는 방법이 있다.
구 분 | 23~01 +30분 | 01~03 +30분 | 03~05 +30분 | 05~07 +30분 | 07~09 +30분 | 09~11 +30분 | 11~13 +30분 | 13~15 +30분 | 15~17 +30분 | 17~19 +30분 | 19~21 +30분 | 21~23 +30분 |
갑(甲), 기(己)일 |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
을(乙), 경(庚)일 |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병(丙), 신(辛)일 |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정(丁), 임(壬)일 |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무(戊), 계(癸)일 | 壬子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시주를 세울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위의 시각에서 각각 30분씩 뒤로 땡겨서 각각 시간을 정한다.
예를 들자면 자시는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인데 이를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1시 30분으로 땡겨서 사용하는 식.
그 이유는 사회적 편의상 일본과 마찬가지로 동경 135도 자오선을 기준으로 표준시를 UTC+9 시간대로 정했는데, 이 자오선은 한반도를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30분 차이가 나는 동경 127도 30분 자오선이 대전 근처를 지나기 때문에 사주가들은 이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따지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이렇게 12지지 시간을 정한 것이다. 그런데 지역마다다 다르다고 한다. 예를 들어서 동경 127도선이 서울을 정확하게 관통한다. 또한 대구는 서울보다는 7분 가량 느리다. 부산은 9분,. 그렇기 때문에 혹시 사주를 보러 가는 위키러들이 있다면 십이지지를 사용하여 시간을 말하지 말고 자기가 원래 태어난 시간을 말하도록 하자. 예를 들어 오전 1시 15분에 태어난 사람이 있다고 치자. 이 사람이 위의 시간표를 보고 사주가에게 본인의 생일이 축시라고 말하게 되면 사주상의 시간인 자시와 틀리게 된다.
또 태어난 시각이 자시(子時)인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한데, 일반적인 상식대로 00시 30분을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의 날짜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야자시(夜子時)와, 23시 30분부터 익일 일주를 적용하는 정자시(正子時)가 있다. 둘 중에서 어느 쪽을 적용하느냐에 대해서는 사주가들 사이에서 첨예한 떡밥이 되고 있다. 만일 위에 예시로 든 밀레니엄 베이비의 시주는 야자시를 적용하면 정사(丁巳)일 경자(庚子)시, 정자시를 적용하면 무오(戊午)일 임자(壬子)시가 된다.
서울올림픽 무렵인 1987년 ~ 1988년 여름에 태어났다면 이 때 실시된 써머타임(일광절약시간제)을 고려하여 시각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이 때 뿐만 아니라 40년대와 50년에도 일시적으로 실시된 적이 있다.
부모나 일가친척이 자신이 태어난 시각을 정확하게 기억하며, 출생증명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면 시주를 세우는 데 별다른 어려움은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그게 여의치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사주라기보다는 삼주(…)를 세우고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시주 부분은 인생역정 등을 통해 추정한다).
시주는 유년과 노년의 운수를 나타내며, 재물,건강,자손,아랫사람과의 관계를 상징한다.
여기까지 했으면 자신의 사주가 다 세워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는 단계에 들어간다.
대운(大運)
자신의 사주가 세워졌으면 대운(大運)이라는 것을 작성하게 되는데, 10년 주기로 찾아오는 운의 흐름을 나타내며 사주와 마찬가지로 두 글자의 간지로 구성된다. 요즘에는 인터넷 만세력으로 자신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사주원국과 대운, 육친과 십이신살, 십이운성까지 죄다 계산되기 때문에 편리해졌지만, 명리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대운을 어떤 식으로 산출하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대운이 뭐냐면, 10년 단위로 바뀌는 자신의 운수를 가리킨다. 사주원국과 마찬가지로 육십갑자의 형태로 작성되며, 부가적으로 육친이 부여되어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대운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년주의 천간을 봐서 양(甲,丙,戊,庚,壬)인지 음(乙,丁,己,辛,癸)인지를 먼저 파악한다.
2. 자신의 생일과 해당 달이 시작되거나 끝나는 절기가 언제이고 몇 시(절입시각)인지 파악한다.
3. (1) 년간이 양인 남자와 음인 여자의 경우, 출생일시부터 다음달이 시작되는 절기의 절입시각까지 순행하여 총 며칠 몇시 몇분인지 센다.
4. (2) 년간이 음인 남자와 양인 여자의 경우, 출생일시부터 출생월이 시작되는 절기의 절입시각까지 역행하여 총 며칠 몇시 몇분인지 센다.
5. 날짜 수를 3으로 나눠서 몫을 구하여 대운수를 구한다. 왜 3으로 나누냐면 3일을 1년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 절기에서 다음 절기까지의 기간은 30일인데 이를 10년(1대운)으로 보기 때문이다.
위의 밀레니엄 베이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년간이 기(己)이기 때문에 생일로부터 출생월의 절기와 절입시각까지 거슬러서 날짜를 센다. 자(子, 11)월의 절기는 대설이므로 해당 절기의 날짜와 절입시각은 양력 1999년 12월 7일, 음력 1999년 10월 30일 22시 48분 33초이다. 따라서 3으로 나누는데 산출되는 피제수는 24일 1시간 11분 27초가 된다. 그러므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4÷3=8
즉, 밀레니엄 베이비는 나이의 끝자리가 8살이 되는 해에 대운이 바뀐다. 이를 바탕으로 대운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대운의 순행과 역행을 판별하는 기준은 년간이지만, 대운의 작성은 월주가 기준이다. 그러니까 밀레니엄 베이비의 경우 대운이 월주인 丙子로부터 시작된다.
88 | 78 | 68 | 58 | 48 | 38 | 28 | 18 | 8 |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명리학자에 따라 절입시각까지 정확히 산출하지 않으면 실제 대운이 바뀌는 시각과 1년 가까이 차이가 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대운은 한날 한시에 한꺼번에 들어오는 게 아니라 대운이 바뀌는 해의 1년 전후로 서서히 해당 대운의 기운이 들어오다가 대운이 바뀌고 난 뒤에 본격적으로 운수가 바뀌는 점진적인 변화를 거친다고 해석하는 명리학자도 있다. 사실 경계점을 얼마나 정확히 구하느냐가 관건인 셈.
이 때문에 사이트에 따라서는 이런 계산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첫 대운에 한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산출하기도 한다. 사실 위 밀레니엄 베이비의 정확한 대운수는 8.01653935185...이다. 이를 바탕으로 경계일시를 구하면 8년 6일 59분 31초가 되는데, 일 단위까지만 구해도 오차가 꽤 줄어든다.
세운(歲運)
1년 단위로 바뀌는 운세. 올해의 년주에 따라 운수가 바뀐다. 대운과 마찬가지로 육친을 부여해서 해석한다.
해석에 앞서
인터넷 만세력에서 자신의 사주를 넣어보면 알겠지만 글자의 위 아래로 조그만 작은 글자들이 써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었던 남자 양력 2000년 1월 1일생을 보면 甲의 위에는 편관(偏官) 子의 아래에는 정재(正財) 같이 빼곡히 쓰여 있는데 이는 육친으로 모두 일간인 무(戊)을 기준으로 부여된 것들이다.
일간이 변하면 같은 글자라도 오행과 음양의 차이로 전혀 다른 육친이 부여되게 된다. 일간의 경우는 '아신(我身)'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별도로 육친이 부여되지는 않는다.
일주는 해석함에 있어서도 '자기자신'을 뜻하기 때문에 일주는 사주 해석의 기둥이라 볼 수 있는데 자신의 '성별, 생년월일' 까지만 알아도 이 일주는 산출이 가능하므로 자신의 생일을 넣어 산출된 일주를 포털사이트를 통해 검색해볼 것.
예를 들어 예제로 들었던 양력 2000년 1월 1일 생 사주에서 일주는 무오戊午가 되어 무오일주인데 네이버에 '무오일주' 라고 검색하면 무오일주에 대한 대체적인 성향이 나온다.
생년월일을 넣어 보는 수 많은 오늘의 운세보기 역시 사람의 '일간'을 기준으로 오늘의 일간과 비교하여 결과가 산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자신과 같은 일간을 가진 사람의 생일을 운세보기에 넣어보라. 자신의 오늘 운세와 똑같이 나온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주가 그 사주의 주인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결국 사주는 모든 글자를 보고 이를 대운, 세운에 적용을 시키고 각 글자들의 합충형파에 따른 신살의 작용과 육친의 작용을 봐야함은 물론이고 12운성에 용신까지 겹치면 일주 하나만으로 사주를 해석하는 것은 말이 안 되는 행위이다.
가끔 사주를 보면 무슨 살이 껴있다고 살풀이를 해야 한다며 굿을 요구하거나 부적을 사라고 권유하는데 말도 안되는 행위이다. 왜냐면 자신이 가진 사주팔자는 그 어떤 방법으로도 고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무녀도나 역마와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고 해야 한다는게 가장 적절한 설명일 듯. 다만 비유이니 신경쓰지는 말 것.
그러니 역술인을 자청하는 사람들이 살풀이를 해야한다고 하면 가볍게 그 자리를 박차고 나오는 것이 답이다. 역술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답이 매우 쉽다. 돈을 벌어야 하니까.
십간과 십이지
십간과 십이지 문서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십간의 열 글자와 십이지의 열두 글자는 각자의 음양과 오행(목화토금수)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다만 십이지의 경우 지장간(支藏干)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각 글자 속에 있는 십간 중의 2~3글자가 해당 지지의 음양오행을 결정한다.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나눠지는데, 대개는 정기가 해당 십이지의 음양오행을 대표한다.
| 음양 | 오행 | 지장간 | ||
여기 | 중기 | 정기 | |||
子(자) | 양 | 수 | 壬(임·10) |
| 癸(계·20) |
丑(축) | 음 | 토 | 癸(계·9) | 辛(신·3) | 己(기·18) |
寅(인) | 양 | 목 | 戊(무·7) | 丙(병·7) | 甲(갑·16) |
卯(묘) | 음 | 목 | 甲(갑·10) |
| 乙(을·20) |
辰(진) | 양 | 토 | 乙(을·9) | 癸(계·3) | 戊(무·18) |
巳(사) | 음 | 화 | 戊(무·7) | 庚(경·7) | 丙(병·16) |
午(오) | 양 | 화 | 丙(병·10) | 己(기·9) | 丁(정·11) |
未(미) | 음 | 토 | 丁(정·9) | 乙(을·3) | 己(기·18) |
申(신) | 양 | 금 | 戊(무·7) | 壬(임·7) | 庚(경·16) |
酉(유) | 음 | 금 | 庚(경·10) |
| 辛(신·20) |
戌(술) | 양 | 토 | 辛(신·9) | 丁(정·3) | 戊(무·18) |
亥(해) | 음 | 수 | 戊(무·7) | 甲(갑·7) | 壬(임·16) |
지장간의 숫자는 한 달을 상징하는데(합치면 30이다), 처음 n일간은 정기, 다음 n일간은 중기, 나머지 n일간은 정기의 기운이 들어온다는 뜻이다. 자(子), 묘(卯), 유(酉)는 중기가 없다.
각 글자의 음양오행은 서로를 살리기도 하고 극하기도 하며 합이 되거나 충돌이 나기도 한다. 하나의 간에 6개의 지를 받아 60갑자가 만들어 진다.
합충형파해
밑에도 이상한 소리가 많지만, 합, 충, 파만 가지고 길흉을 논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합의 오행을 바꾸는 효과때문에 길함이 없어질수도, 충이 불러오는 에너지의 흐름에 의해서 크게 대성하는 경우도 있다. 절대로 충, 파라고 해서 흉한 것이 아니다.
합(合)
서로 별개의 오행이 만나 하나의 다른 오행으로 변하는 것을 합이라고 한다. 합은 천간합과 지지합이 있다.
지지합은 삼합, 방합, 육합,암합이 있다. 압합도 역시나 일부 띠만 있다. 예를 들어선 자사,신묘,해오,인유 이렇게.
천간합(天干合) |
| |||||
합하는 오행 | 갑기(甲己) | 을경(乙庚) | 병신(丙辛) | 정임(丁壬) | 무계(戊癸) |
|
변하는 오행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
육합(六合) |
| |||||
합하는 오행 | 자축(子丑) | 인해(寅亥) | 묘술(卯戌) | 진유(辰酉) | 사신(巳申) | 오미(午未) |
변하는 오행 | 토(土) | 목(木) | 화(火) | 금(金) | 수(水) | 잘 되지 않음. |
삼합(三合) | |||||
합하는 오행 | 인오술(寅午戌) | 신자진(申子辰) | 사유축(巳酉丑) | 해묘미(亥卯未) |
|
변하는 오행 | 화(火) | 수(水) | 금(金) | 목(木) |
|
방합(方合) | |||||
합하는 오행 | 인묘진(寅卯辰) | 사오미(巳午未) | 신유술(申酉戌) | 해자축(亥子丑) |
|
변하는 오행 | 목(木) | 화(火) | 금(金) | 수(水) |
|
위의 표를 쉽게 설명하자면 천간 갑(甲)은 또 다른 천간인 기(己)를 만나면 본래의 목(木)이라는 성질을 잃어버리고 토(土)라는 오행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다른 합과 달리 삼합과 방합은 합의 방식이 조금 다르다. 합을 하기 위해서 3개의 지지가 전부 있어야 될 것 같지만, 저 3가지의 지지 중에서 중간 번째의 지지와 나머지 하나의 지지만 있어도 합이 된다.
예를 들어, 해묘미(亥卯未)가 합을 하여 목(木)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위의 표 대로라면 3가지 지지가 모두 있어야 겠지만, 묘미(卯未), 해묘(亥卯)만 있어도 목(木)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묘가 없이 해미(亥未)만으로 목으로 화할 수는 없다. 다른 합도 마찬가지이다.
합을 외울 때 팁을 주면 아래와 같다.
천간합은 갑을병정무에 각각 극하는 관계이되 음양이 서로 다른 글자를 합친다. 예를 들어 갑목은 기토를 극하나 갑목은 양간이고 기토는 음간이기에 합쳐져 양과 음이 합하여 토의 기운을 띄게 된다. 을목은 경금에게 극을 당하는 입장이나 을목이 음간이고 경금이 양간이기에 합쳐져 금의 기운을 띄게 된다.
천간합 조합에서 양간과 음간은 오행상으로는 서로 극하는 관계이지만, 양과 음의 관계인지라 오히려 합하여 새로운 기운이 되었다는 것이다.
갑목과 경금 혹은 을목과 신금이 만나는 것이었다면 서로 극하는 관계(7살)을 이뤘을텐데 그 직전의 글자들끼리 뭉쳤으니 오히려 합을 이뤄 새로운 기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순서는 묘하게도 토에서부터 시작하는 오행의 상생관계를 보여준다.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육합은 지지를 시계의 순서대로 세워 놓고 생각하면 쉽게 답이 나온다. 자축은 12(자)시와 1(축)시, 인해는 3(인)시와 11(해)시.자축에서 시작해 서로 대칭되는 글자끼리 만나 합을 이뤄 새로운 기운으로 화하는 것이다. 토목화는 중간에서 위로 올라가는 이미지이고, 금수는 중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이미지로 생각하면 외우기 편할 것이다.
삼합은 십이지항목에 들어가 지장간을 정리해야 무슨 뜻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지장간은 역학을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알파벳과 같은 기초이니 반드시 외워야 한다. 지장간을 외울 때는 각 계절의 이치를 생각하면서 아이큐검사하듯이 패턴을 파악해보면 쉽게 외우는 요령을 터득할 것이다. 그리고 삼합의 순서는 12운성표의 장생, 왕, 묘지의 순에 따른 것이니 12운성표를 보고 삼합의 순서를 정리해야할 것이다.
방합은 삼합과 대칭되는 합이긴 하나 사실 4계절을 뜻하는지라 딱히 어려울 게 없다. 오행에서 木은 봄, 火는 여름, 金은 가을, 水는 겨울을 뜻하는데, 이 순서가 정확히 1(寅)월부터 12(丑)월까지이기 때문이다. 지지를 시간으로 따지는 자축인묘 순서가 아니라 月을 뜻하는 인묘진 순서로 외우는 역학도들에게는 어려울게 하나도 없는 생활상식이다.
합이라고 길하고 충이라고 흉한 것이 아니며, 가령 필수적인 역할을 해 줄수 있는 육친이 근처의 글자와 합이 들어와버려 다른 육친으로 바뀌어 버린다면 그에 해당하는 육친이 공망을 맞은 수준으로 허 해지거나 관련된 복이 없어지는 경우도 많다. 가령 관성이 길신인 신강한 사주의 여성이 하나 남아버린 관성이 옆 글자와 합해져 다른 걸로 바뀌어 버린다면 남자나 직장 복이 좋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중요한 부분을 생해주고 있던 글자가 운에서 합을 만나 다른 오행으로 바뀌어 버릴때 특정 글자가 고립되어버려 운이 몹시 흉해지는 경우도 있다.
충(冲)
만약 사주에 충이 있다면 좋지 않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나 꼭 그런것은 아니다. 충은 기본적으로 에너지 사이의 충돌과 그에 따른 변화인데 이것이 과연 나쁘게만 작용할까?과거 농경사회의 기준에서 나쁘던 성질이 현대사회에서 는 성공하기 위한 기틀로 작용할 수 있다는걸 생각하자.
나쁜 살을 충으로 부수면 충이 길하게 작용하는 경우까지 생각하면 합 충을 길흉에 일대일 대응하려 하는 것은 무리이다.
유, 묘는 유는 金이면서 음陰이고 방위로는 서쪽, 卯는 木이면서 음陰이고 방위로는 동쪽인데 쇠가 나무를 부수고 음과 음이 조화가 되지 않고 부딪치면서 '충'沖이 일어난다.
팔자에 충이 있으면 가장 표면적으로는 건강이나 성격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더불어 충의 위치와 구성에 따라 가족, 대인, 연애, 취업, 재물 등에 별의별 애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하지만 충은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선 핵심 필수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정도로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노무현, 박정희 처럼 세상에 큰 획을 긋고 간 사람들도 아주 강력한 충을 팔자에 가지고 있으며, CEO나 정재계 핵심 요직의 인물 또한 심심치 않게 충을 찾아볼 수 있다.
강한 에너지가 충족되기 때문에 팔자에 공망되어 허전한 부분이 충을 맞아도 길하게 흘러간다.
물론 팔자의 핵심적인 글자가 충을 맞아서 이혼하거나, 사업이 망하거나 목숨을 끊은 사람도 세상엔 많다. 하지만 충 자체는 길흉 어느쪽의 편도 아님을 명심하자.
천간충 : 갑(甲)↔경(庚), 을(乙)↔신(辛), 병(丙)↔임(壬), 정(丁)↔계(癸)
지지충 : 자(子)↔오(午), 축(丑)↔미(未), 인(寅)↔신(申), 묘(卯)↔유(酉), 진(辰)↔술(戌), 사(巳)↔해(亥)
천간에서 토(무,기)의 방위는 중앙이기 때문에 충을 받지 않는다.즉 충만큼 데이지가 세지는 않다는 것이다. 천간충은 충을 당하는 글자가 일방적으로 피해를 당하는 경향이 크지만, 지지충은 지지가 포함하는 지장간의 작용에 의해 서로 피해를 입는 경향이 있다.
합의 경우에는 글자의 속성을 다른 것으로 바꿔서 그 외의 작용력을 멈추게 한다. 이를 두고 합거라 한다. 충의 경우 한 글자가 다른 글자를 계속 제극하다보니 다른 작용력을 못하게 된다. 이를 두고 충거라 한다.
충이라 해도 흉한 작용을 하던 글자를 제압한다면 이는 길한 것이다. 아울러 충은 기존에 하던 일을 완전히 청산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위해 떠나는 모습을 뜻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충이라해서 반드시 흉하다고 편견을 가져서는 안된다.
형(刑)
형태상으로는 방합(方合)에 삼합(三合)이 더해진 것으로, 방합 자체로도 하나의 오행이 충분히 강한데 그것을 생해주는 삼합을 만나면 그 하나의 오행이 극단으로 치닫게 되어 중화를 잃게 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형이라는 것 자체가 형벌, 살상, 제재를 뜻하기 때문에 사주 중에 형이 있으면 사고,소송,질병,수술 등을 당할 수도 있으며 그것과 관련된 직업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군인, 경찰, 법조인, 의사, 육류가공업자 등이 된다면 다행이겠지만 살인자나 조폭 등 흉악범이 될 가능성도 있다.
형살은 괴롭히는 힘이기 때문에 남을 괴롭히지 않으면 자신이 괴로워지는 작용을 한다. 형살을 귀하게 쓰기 위해서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실질적인 권력을 휘두르는 공안이나 치안계통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무은지형(無恩之刑)
축(丑)↔미(未), 술(戌)↔미(未), 축(丑)↔술(戌)
축술미(丑戌未)가 모이면 삼형이 되며 무은지형은 운에서 만난다면 귀찮고 지루한 작업을 한자리에서 오랫동안 처리해야한다.
지세지형(持勢之刑)
인(寅)↔사(巳), 사(巳)↔신(申), 인(寅)↔신(申)
인사신(寅巳申)이 모이면 삼형이 되며 지세지형은 기본적으로 역마의 힘이 있고 공직이나 권력 계통 에서 길흉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무례지형(無禮之刑)
자(子)↔묘(卯)
자형(自刑)
진(辰)↔진(辰), 오(午)↔오(午), 유(酉)↔유(酉), 해(亥)↔해(亥)
자형은 영향력이 크진 않아 근래는 보는 사람이 많지 않다.
파(破)
형태상으로는 양의 지지는 순서대로, 음의 지지는 역순으로 열 번째 지지를 만나는 것으로, 깨뜨리거나 없어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서로 합이 되는 글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 합하기 위해 상대 글자와 다투는 모양새로, 충, 원진과 비할 힘은 아니지만 일진에서 만나면 진행중이던 일이 귀찮게 되거나 차질이 생기는 등의 존재감을 당당하게 과시한다.
파 는 그 자체로의 새로운 일이나 변화를 만들어내는 힘은 약하지만, 무언가 곪거나 오래된 적폐를 마주 할 때 그 파급력은 어마어마해진다. 특히 파의 특성이 합이 되는 글자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것임으로 삼합이나 방합, 합이 된 특정 글자를 파하는 운이 나타났을 때에는 몹시 큰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자(子)↔유(酉), 축(丑)↔진(辰), 인(寅)↔해(亥), 묘(卯)↔오(午), 사(巳)↔신(申), 미(未)↔술(戌)
해(害)
형태상으로는 육합(六合)을 방해하는 지지가 개입되는 것으로, 그것이 충을 일으켜 합을 방해한다면 해가 된다. 주로 육친관계를 볼 때 쓰이며 해에 해당하는 육친끼리 서로 싫어하고 미워하지만 인연이 끊어지지 않는(…) 골 때리는 관계가 된다.
자(子)↔미(未), 축(丑)↔오(午), 인(寅)↔사(巳), 묘(卯)↔진(辰), 신(申)↔해(亥), 유(酉)↔술(戌)
파와 해는 학파에 따라서는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합충형에 비해서는 드러나는 작용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주로 형살이나 충의 작용이 있을 때 거기에 쐐기를 박는 작용력으로 본다. 하지만 파와 해는 지지의 합이나 충을 방해하는 작용력을 상세히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배워두는 것이 좋다. 신살에서 자주 쓰이는 귀문살이나 원진살이 이 파와 해에서 파생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육친
육친이라고도 하고 육신이라고도 한다.
육친은 한 가족을 부모, 자식, 형제, 처, 남편 등으로 분류하여 육친이라 하는데 팔자의 각 글자들을 일간과 비교해서 산출된다.
육친은 오행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5분류로 나누어 비겁, 인성, 재성, 식상, 관성 이 되고 이를 일간과 음양이 동일한지 아닌지를 따져서 다시 분류되어 10성으로 표시된다.
이 십성의 관계를 가족이나 친구 등에 대입하는 것은 육친이라 하고, 재물운이나 직업운 등으로 나눠서 보는 것을 육신이라 한다. 육친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하려면 오행의 상생과 상극관계를 정확히 외워서 각 오행이 일간의 위치에 왔을 때 어떻게 관계가 바뀌는지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나무가 극하는 흙은 나무의 재성이지만, 흙에게 나무는 자신을 극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성이 된다. 이런 관계의 상대성을 보자마자 깨닫지 못하면 사주를 제대로 볼 수 없다.
최종적으로 육친의 목록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십성 배치법은 연해자평에 나온 순서대로 배치했다.
비겁 : 나(일간)와 같은 것. 비겁은 관성에게 극을 당하며, 재성을 극하고, 식상을 생한다. 그런데 이것은 역으로 이기(利己)를 의미하기도 하는 고로, 일간을 생하는 순기능과 함께 온갖 골칫거리를 유발하는 역기능을 동반한다. 즉, 돈 들어오는 것을 비겁이 다 처묵처묵 해버리고, 니트 (...) 상관이랑 짝짜쿵하며, 식신과도 잘놀아서 재산탕진을 유발하며, 남편과 처를 극하게된다. 다만, 식신을 생하는 관계는 순기능을 하게 되며, 일주를 강하게 만드는 것 또한 유용한 순기능이다. 식신이 약하고 살은 강한 식약식왕의 경우에는 문제 해결 속도가 느리고 준비성이 떨어지는 대, 여기에 돈을 처묵처묵하는 비겁이 조합되면 별로 좋지 않다.
비견(比肩) : 일간과 오행, 음양이 모두 동일한 것. 남녀에게 형제, 친구가 된다. 나와 가장 같은 성분이기 때문에 어깨를 견준다는 의미인 비견(比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겁재(劫財) : 일간과 오행은 동일하지만 음양이 다른 것. 남녀에게 형제가 된다. 정재(正財)를 극하기 때문에 겁재(劫財)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다.
식상 : 내(일간)가 생(生)해주는 것. 식상은 인성에게 극을 당하며, 관성을 극하고, 재성을 생한다. 처묵처묵(...)이 포인트인 육친으로, 뭔가 긁어모으는 것을 강화한다. 하지만, 어쨌든 처묵처묵이 포인트인지라 나태와 폭식이라는 악으로써 규율의 속성을 가진 관성을 극딜한다는 게 맹점. 배움으로 부터 얻어지는 도덕과 학식이 속성인 인성에 의해 통제되거나 박살난다.
식신(食神) : 일간이 생生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먹을 복을 뜻한다. 더하여 여성에겐 자식이 된다.
옛날에는 사람이 많이 굶어 죽는 시기였기 때문에 이 '먹을 복'이라는 것은 의미가 컸지만 현대에 와서는 기아 문제가 과거에 비해서 완화되었고, 나라에 따라서는 과식이 문제가 되는지라 해석이 뭔가 삐긋나지 않나 싶은 식성. 먹을 것을 긁어모으는 복인고로 먹을 것을 날려먹는 여러가지 골칫덩이를 차단하고, 먹을 것을 늘려줄 것들은 강화하는 등 여러모로 반가운 일을 많이 하지만, 너무 많이 처먹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맹점이 일단 존재는 하므로 용신을 따져보면 영 좋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편인과는 그야말로 최악의 조합으로, 편인은 도식을 유발, 식신이 안 굶어죽게 해주는 게 아니라 너무 처먹어서 죽게 만드는 육친으로 변질시킨다.
좋은 작용을 하는 경우에는, 굶어죽지 않게 하는 먹을 복이라는 점 때문에 거의 탱커 취급된다. 살을 제한다는 것이 진짜 핵심 용도로, 준비성을 강화해 굶어서 살 당하지 않게 막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고난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는 더 발전하게 되므로, 식왕살왕은 성공에 기여한다. 식신이 재미있는 점이, 먹을 것을 긁어모으는 복이란 점 때문에 비겁과 상성이 잘 맞아서, 비겁에서 나오는 골칫거리를 몸빵해준다는 것. 그리고 편관을 매우 강력하게 극하여 편관의 좋지 않은 작용을 커버한다.
상관(傷官) : 일간이 생生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정관(正官)을 극하는 오행이기 때문에 관(官)을 상(傷)하게 한다는 의미로 위의 이름이 붙었다. 위의 식신과 마찬가지로 여성에게는 자식의 의미를 가진다. 놀고먹고 즐기는 니트 (...)로써, 썩 반갑지 않지만, 즐거움에 작용하므로 활동적이고 활기차게 하는 이로운 작용도 있다. 관성이 일터/배우자를 의미하는 고로 관을 상하게 한다는 사전적 의미 그대로, 이것이 팔자에 많으면 직장생활을 하기 힘들다. 덧붙여 여성의 사주에 이 상관이 있으면 나쁘게 본다. 왜냐하면 남편을 뜻하는 오행인 관성(官星)을 극하는 십성이 바로 식신과 상관이기 때문이다.
재성(材星) : 내(일간)가 극하는 존재. 재물을 의미한다. 돈이 들어오는 것과 연관된 육친으로, 재물이 들어오는 것에 관여한다.
편재(偏財) : 일간이 극剋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편재는 사업/투자/공돈(...) 등으로 들어오는 고정되지 않은 돈을 의미한다. 쉬운 재물이 들어오는 순기능도 있지만, 날로먹으려다 망하는(예: 투기) 역작용도 있다. 편재가 있는 사람은 돈을 대할 때 '돈은 돌고 도는 것' 이라는 마음가짐이 있기 때문에 돈을 쓰는데 있어서 인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남성에게 편재는 부인이 되기도 하고 첩, 애인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재(正財) : 일간이 극剋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정재는 바를 정자가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꾸준하게 들어오는 돈(월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글자가 있으면 월급을 받고 살 확률이 크다. 정재가 있는 사람은 돈을 대할 때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최대한 절약하며 저축을 하는 경우가 많다.
관성(官星) : 나(일간)를 극하는 존재. 관, 즉 일터로, 남성에게 官은 직장을, 여성에게 官은 직장 혹은 남편을 의미한다. 또한 규율을 의미하기도 하여 명예 추구/정의 추구에도 영향을 끼친다.
편관(偏官) : 일간을 극剋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동일한 것. 편관은 치우친 것을 바로잡는 역할을 말하며,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강력한 통제를 하는 관이다. 따라서, 경찰/소방관/군인 등의 자신의 목숨을 걸고 사회를 수호하는 직업이나, 의사/외교관과 같이 사회에 기여하는 직업, 그리고 강한 규율과 자기 통제를 동반하는 직업들이 해당된다. 앞의 설명 그대로, 자신을 희생해야하는 직업으로 전문직/기술직들과 같이 과로(...)의 위협이 있는 직업과 진짜 목숨을 내걸어서 사회를 지키는 직업들까지 포괄하는, 나를 해하는 오행이란 게 제일 큰 역작용이다. 때문에 칠살(七煞)이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숫자 7의 의미는 보통 십성을 정렬할 때 이 십성이 7번째 숫자에 오기에 칠살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편관과 식신의 조합은 식신이 편관이 유발하는 살을 제하는 양상이기에 쏠쏠하다.
정관(正官) : 일간을 극剋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관이 무관의 이미지라면 정관은 문관에 해당한다. 즉, 공무원이나 정치인 등.
인성(印星) : 나(일간)를 생기게 하는 것. 문자 그대로 인성 (...)으로, 배움에서 얻어지므로 배움의 영향을 받는 도덕/학식에 영향을 준다.
편인(偏印) : 일간을 생生하는 오행면서 음양이 동일한 것. 남녀에게 계모가 된다. 편인이 일지에 있으면 성격이 우울하고 비관적일 확률이 높으며 배우자 선택시 부모와 다툼이 있을 확률이 높다. 어쨌든 학식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에서는 정인과 동일하나, 일간과 동일한 오행/음양을 가진 특성 때문에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어있다는 것이 큰 차이다. 밑에 서술하는 정인이 모성애를 상징한다면 편인은 비뚤어진 사랑 등을 상징한다. 먹을 복을 나타내는 식신(食神)을 극하는 십성이기 때문에 밥그릇을 뒤엎는다는 의미의 도식(倒食)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식신을 무력화 시키는 극악한 상성을 자랑한다. 하지만, 일간, 즉 "나"를 생하기 때문에 적절히 배치된 편인은 신강사주를 만드는 순기능을 할 수 있다.
정인(正印) : 일간을 생生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남녀에게 어머니가 된다. 정인이라는 표현 대신 인수(印綏)라고 부르기도 한다.
----------------------------------------------------------------------------------
○ 비견(比肩)
월지에 비견이 있으면 온화하고 솔직하며 꾸밈이 없다. 내기를 좋아하고 동작이 빠르며 승부욕이 매우 강하다. 비견이 많으면 자존심이 강하고 사회성이 떨어지며 난폭하고 충을 맞으면 대인관계가 안 좋고 다툼을 좋아한다.
○ 겁재(劫財)
월지에 겁재나 양인이 있으면 특별한 재능을 지니며 크게 일을 벌일 수 있는 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경쟁력이 뛰어나고 지는 것을 싫어하며 운에 따라 큰 재물을 모으는 원동력으로 본다. 겁재가 많으면 인간성이 졸렬하고 겉으로는 웃지만 속은 사악한 사람이 많다. 투쟁심이 강하고 담백하고 솔직한 사람이 많다.
○ 식신(食神)
월지에 식신이 있으면 성격이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명랑하고 풍류를 좋아한다. 식신이 많으면 재주는 많으나 헛고생을 많이 하고 발전성이 없다. 표현력이 뛰어나고 식복이 많으며 재주가 비상하고 총명하다. 식신이 너무 많으면 재주는 많으나 특별한 재주가 없는 사람으로 어렵게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후덕한 성격의 소유자로 많은 사람과 교제를 한다.
○ 상관(傷官)
월지에 상관이 있으면 천재성을 지니며 행동이 민첩하고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 법과 질서를 지키기 싫어하고 자기만의 세계에 빠지는 경향이 있고 상관이 많으면 교만하지만 숨김이 없고 말이 많다. 사주에 관성이 없으면 뜻이 크고 거만하다. 조직생활이 힘들고 개인적이며 충동적이고 유흥을 좋아한다. 사주에 재성이 없으면 잔재주에 능하다.
○ 편재(偏財)
월지에 편재가 있으면 사업성이 강하며 술과 여자를 좋아한다. 남의 일에 참견하기를 좋아하며 말이 많다. 활동성이 강하여 돌아다니기를 좋아한다. 투기성이 있고 민첩하며 기교가 있으면서 빈틈이 없다. 편재가 많으면 욕심이 많고 돈을 잘 쓰며 낭비가 심하다.
○ 정재(正財)
월지에 정재가 있으면 모든 일을 적당히 하는 성향이 있으며 돈이 없으면 짜증을 잘 내는 경향이 있다. 계산적이나 성실하고 세심하며 조심성이 있고 부지런하다. 정재가 많으면 게으르고 결단력이 없으며 구두쇠가 많다. 재성이 많고 신약하면 처에 의지하고 처가살이를 하는 경우가 있고 큰 재물을 관리하며 살아가는 사람도 많다.
○ 편관(偏官)
월지에 편관이 있으면 의협심이 있고 모험을 좋아하며 승부욕이 강해서 이기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결단력이 뛰어나고 친화력도 좋다 총명하고 과감성이 있으나 우월감이 많다. 편관이 많으면 힘든 직업이나 위험한 직종에 종사하게 된다. 편관이 강하고 식상이 없으면 성격이 매우 급하다.
○ 정관(正官)
월지에 정관이 있으면 인자하고 관대하며 인격자이고 용모도 바르고 반듯하다. 정직하고 거짓이 없으며 매사에 바른 것을 좋아하고 명예를 따르는 사람이 많다. 관살이 혼잡 되면 색을 좋아하고 잔꾀에 능하고 충이 되면 관록이 오래 가지 못한다.
○ 편인(偏印)
월지에 편인이 있으면 활달한 성격에 일치리가 빠르고 재능이 있다. 기다리고 인내하는 성질이 강하여 학문적으로 성공하는 사람이 많다. 재능은 있으나 시작은 있고 끝이 없으며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못하고 변덕이 많다. 편인이 많으면 치음에는 근면하나 나중에는 태만하고 성질도 음탕하다.
○ 정인(正印)
월지에 정인이 있으면 지혜가 많으며 너그럽고 총명하며 인자하다. 당당한 자부심의 소유자이며 항상 느긋하고 여유 있는 자태를 지니는 사람이 많다. 정인이 많으면 게으르고 자기본위가 되기 쉽고 인색하다. 정인이 충 되면 마음을 잡지 못하고 방황하게 된다.
일간과 월지에 의한 성격 판단은 연주, 월간, 일지, 시주의 구성과 합, 충, 형, 또는 공망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일간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乙 일간 | 겁재 | 비견 | 상관 | 식신 | 정재 | 편재 | 정관 | 편관 | 정인 | 편인 |
丙 일간 | 편인 | 정인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丁 일간 | 정인 | 편인 | 겁재 | 비견 | 상관 | 식신 | 정재 | 편재 | 정관 | 편관 |
戊 일간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己 일간 | 정관 | 편관 | 정인 | 편인 | 겁재 | 비견 | 상관 | 식신 | 정재 | 편재 |
庚 일간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辛 일간 | 정재 | 편재 | 정관 | 편관 | 정인 | 편인 | 겁재 | 비견 | 상관 | 식신 |
壬 일간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비견 | 겁재 |
癸 일간 | 상관 | 식신 | 정재 | 편재 | 정관 | 편관 | 정인 | 편인 | 겁재 | 비견 |
팔자에 어떤 육친이 없다고 해서 평생을 해당 육친이 없이 살지는 않는다. 대운과 세운에서 없는 육친이 오면 그 시기에는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 대운과 세운이 지나가 버리면 다시 얻기는 쉽지 않다.
또한 팔자에 어떤 육친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해당 운이 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편재'가 있어서 나는 사업을 해야겠다 라고 생각했는데 이 편재에 해당하는 글자가 충을 당하거나 오행으로 볼 때 주변 글자들에게 극을 당하고 있고 12운성에서 편재가 좋지 않은 운에 임하면 그것은 사업을 절대 해서는 안되는 팔자가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장간의 개념까지 도입하면 더더욱 경우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절대로 단순하게 해석을 하면 안 된다.
12운성
십이운성은 천간이 지지를 만났을 때 강약을 보는 방법으로 얼마나 강하고 약하냐의 정도를 인간의 생로병사 과정과 윤회사상을 대입시켜 12개의 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12운성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누어 진다.
장생(生) 장생은 새로 태어남을 뜻하며 자립, 독립, 개척을 의미한다.
목욕(浴) 목욕은 함지, 패지라고도 불린다. 목욕은 아이가 태어나 물로 씻기는 것을 말하며 욕심을 말한다. 사주에 욕지가 있으면 도화살이 있다고 친다. 또한 사치와 허영, 주색을 좋아한다.
관대(帶) 관대는 아이가 자라서 관직에 오르는 것으로 사주에 이 관대가 없으면 공직생활이나 관직에서는 크게 현달하지 못한다. 흔히 말하는 공무원 사주가 이것의 유무로 판달된다. 대운이나 세운에서도 이런 관대가 온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
건록(祿) 록祿은 한마디로 일한 만큼의 대가(봉급)를 받는 것이다. 나라돈을 받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제왕(旺) 인생의 가장 왕성한 시기, 최고 정점을 말한다.
쇠(衰) 이제 인생에서 잘나가던 시기는 사라지고 힘이 빠지는 시기를 말한다.
사실 생生 ~ 제왕旺 까지는 길하다고 보면 되고 쇠衰 ~ 양養 까지는 흉하다고 보면 된다. 예외적으로 목욕浴은 흉하다고 보고 태胎는 길하다고 본다.
병(病) 힘이 빠지고 병이 드는 시기를 말한다. 병 대운에서 병 세운을 만나는 해는 반드시 조심해야 한다.
사(死) 죽는 것을 말한다. 글자 그대로 좋은 운은 아니다.
묘(墓) 죽어서 관棺속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사주에 묘가 있으면 금전적인 두뇌회전이 빠르다.
절(絶) 전 생에서 완전히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태(胎) 다음 생에서 어머니의 뱃속에 잉태되는 것을 말한다.
양(養) 어머니의 뱃속에서 열 달 동안 자라나는 것을 말한다.
12운성은 자신의 사주에 어떤 운을 가지고 있냐에 따라서 성격이나 환경을 유추할 수 있고 어떤 대운을 맞이 하냐에 적용시켜 앞으로 어떤 시기가 힘들다. 잘 된다를 판별이 가능하다.
한 사람이 살아가면서 대운에서 모든 12운성을 다 겪을 수는 없다. 평생 잘나가기만 할 수 있고 평생 잘나가는 시기를 못 겪을 수도 있다.
12운성은 단순히 자신이 어떤 대운을, 세운을 지나고 있는지도 판별하기도 하지만 여기에 육친까지 대입을 하면 자신의 가족들 운까지 판별이 가능해서 그 활용도가 넓다.
용신(用神)
위에서 봤다시피 만세력을 이용하여 본인의 사주명식을 뽑고, 일간에 맞추어 십성과 십이운성, 신살도 정한 이후에 대운과 세운도 정했다면 도대체 본격적으로 사주를 어떻게 볼까?
이럴 때 도입된 개념이 용신이다.
예를 들어, 앞으로 들어올 운이 재성운이라면 단순히 재운이 있다고 봐야할까? 관운이 들어온다면 학생은 성적이 올라가고 직장인들은 승진을 거듭할까?
오히려 위의 예상과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고 심지어는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이 바로 용신이다.
용신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사주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신강(身强), 신약(身弱)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강과 신약을 설명하기에 앞서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에 대해 알아야 한다.
비겁(比劫) : 일간 자체의 오행
식상(食傷) : 일간이 생하게 하는 오행
재성(財性) : 일간이 극하는 오행
관성(官性) : 일간을 극하는 오행
인성(印性) : 일간을 생하게 하는 오행
자, 그렇다면 이제 신강과 신약은 다음처럼 구분한다
신강 : 비겁, 인성의 개수 >식상, 재성, 관성의 개수
신약 : 식상, 재성, 관성의 개수 >비겁, 인성의 개수
신강(身强)은 일간의 오행의 힘이 강한 경우이고, 신약(身弱)은 힘이 약한 경우이다. 보통 사주는 너무 신강하지도 않고 너무 신약한 경우를 좋지 않게 보고 일간이 강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은 경우를 가장 이상적으로 본다.
여기서 일간과 그 일간의 토대가 되는 오행의 조화를 이뤄주는 사주 성분을 용신(用神)이라고 부른다. 흔히 용신이 정해지면 용신을 생하는 오행을 희신(喜神)이라고 부른다.
반면, 용신을 극하는 오행을 기신(忌神)이라고 부르고, 기신을 생하는 오행을 구신(仇神)이라고 부르며, 이 4가지 경우에 속하지 않는 오행을 한신(閑神)이라고 부른다.
이를 통칭하여 용희기구한이라고 부른다. 보통 용신이나 희신에 속하는 오행[십성/대운/세운/오행이 상징하는 모든 것은 본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나, 기신이나 구신에 속하는 것들은 본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한신은 상황에 따라 불리하게도, 유리하게도 작용 할 수 있다.
기신을 극하거나 용/희신을 설기하기 때문.
즉, 용신은 사주를 해석하는 데에 하나의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용신을 정하는 방식은 흔히 다섯 가지가 있다.
억부법(抑扶法)
위에서도 설명했다시피 사주는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를 좋지 않게 보는데, 이렇게 사주의 강약을 조절해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 법이다.
예를 들어, 관살이 강하여 사주가 신약한 경우, 관살을 극하는 식상, 관살이 생하는 오행이라 관살의 힘을 자연스럽게 약하게 하는 인성, 혹은 관살과 어찌됐든 상극을 이루는 비겁 중에서 용신을 정하는 것이 억부법이다. 그렇다면 이 3개 중에서 무엇이 용신이 될까? 사주마다 다르다.
조후법(調候法)
흔히 사주집에 가면 넌 남편이 둘이다, 돈을 손에 쥐고 태어났다 등의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이는 남편을 뜻하는 관성, 돈을 뜻하는 재성이 많다는 것을 쉽게 말한 것인데, 이러한 관성, 재성, 비겁 등을 통틀어 십성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십성은 일간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해졌을 뿐이고, 결국 십성은 오행이 전제된 개념이다. 조후법은 일간의 강약의 중화보다는 오행의 중화를 목표로 삼아 용신을 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사주에 금수(金水)기운이 너무 많아 차가울 경우, 반대로 따뜻한 오행인 목화(木火) 중 하나를 용신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흔히 목과 화는 따뜻한 기운이며, 금과 수는 차가운 기운, 토는 그 중간의 기운이다.
보통 억부법과 같이 활용되어 대부분의 사주의 용신을 결정하는 데에 쓰인다. 만약 식상, 관성, 재성 중에서 용신을 정해야 할 때, 이들 셋 중에서 사주의 조후도 도와주는 오행이 일반적으로 용신이 된다.
통관법(通關法)
만약에 한 사주가 서로 상극하는 2가지 오행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이 둘의 힘이 비슷할 때, 이 둘의 오행을 이어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 방식을 통관법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목과 토의 힘이 비슷한 사주가 있을 때, 목이 생하면서 토를 생하는 오행인 화를 용신으로 삼는 것을 통관법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주는 정말로 드물기 때문에, 통관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병약법(病藥法)
이 방식은 조금 특이한데, 사주의 전체적인 중화를 깨트리는 오행을 병으로 보고 이러한 오행의 힘을 약화시키는 오행을 사주에서 약으로 작용한다고 간주하는 관법이다.
언뜻 보면 무슨 소리겠냐 싶겠지만 사실상 위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오행의 중화를 삼는다는 기준이 있기 때문에 그냥 이런 것이 있구나 정도만 알아도 무방하다.
전왕법(專旺法)
한 가지 오행이 너무나 강하여 이 오행이나 십성을 극하거나 설기(洩氣)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그냥 이 오행이나 십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이다.
비겁이 너무 강한 사주를 종왕격(從旺格)이라고 부르며, 인성, 식상, 재성, 관성이 강한 사주를 각각 종강격(從强格), 종아격(從兒格), 종재격(從財格), 종살격(從煞格)이라고 부른다.
또한 오행을 기준으로 목기가 너무 강한 사주를 곡직격(曲直格), 화기운이 너무 강한 사주를 염상격(炎上格), 토기운이 너무 강한 사주를 가색격(稼穡格), 금기운이 너무 강한 사주를 종혁격(從革格), 수기운이 너무 강한 사주를 윤하격(潤下格)이라 부른다.
이게 진짜 사주학자들을 미치게 하는 게, 위의 4가지 방식은 사주의 중화(中和)를 목표로 삼아 용신을 정하는 반면, 이러한 방식은 그냥 가장 강한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다.
이게 흔히 중화의 개념과는 완전히 대치되는데, 정말 문제는 사주를 감명할 때 어떨 때에 전왕법으로 용신을 정할지, 혹은 널리 통용되는 전왕법 이외의 4가지 방식을 참고하여 용신을 정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이, 오직 경험에만 의존해서 용신을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를 구별하기가 너무나 힘들기 때문에 어떤 명리학자들은 아예 전왕법을 무시하기도 하지만 어느 학자는 반대로 전왕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이 전왕법을 사용하는 기준이 진짜로 제각각 다 다르기 때문에 사주학자들은 이 용신 문제로 사주 하나를 붙들고 엄청난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신살
신살이란, 신+살 인데 신은 기본 바탕이 되는 운을 말하며(대체로 좋은 운이 많다) 살이란 흉운을 뜻한다(경우에 따라서 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연예인에게 도화살이 있는 경우).
이러한 신살들은 사주팔자에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흉한 살도 길하게 작용하면 인생에 도움이 되고 길한 것도 흉하게 작용하면 전혀 그 힘을 쓰지 못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했듯 도화살이나 홍염살은 주변에 쓸데없이 이성이 꼬여 문제가 생기는 살이지만 연예인에게는 인기와 직결되기 때문에 연예인에겐 길하게 작용할 것이요, 길하다고 하는 각종 귀인들도 해당 글자가 충,형,파 되면 작용하지 않는다.
역마살 역시 일반적으로는 일정한 거처 없이 돌아다닌다는 점에선 흉하다고 볼 수 있지만 돌아다녀야 하는 직장을 가진 사람에게는 길하게 작용하는 대운, 세운에 작용하면 길하게 적용된다.
아래에서 말할 신살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본인의 사주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 시주(時柱) | 일주(日柱) | 월주(月柱) | 년주(年柱) |
천간(天干) | 庚 | 辛 | 庚 | 癸 |
지지(地支) | 寅 | 未 | 申 | 酉 |
위의 간지를 부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시주(時柱) | 일주(日柱) | 월주(月柱) | 년주(年柱) |
천간(天干) | 시간(詩干) | 일간(日干) | 월간(月干) | 년간(年干) |
지지(地支) | 시지(詩支) | 일지(日支) | 월지(月支) | 년지(年支) |
위 표를 이용하여 위 사주를 표현하자면, '위 사주의 시간은 경금(庚金)이고, 년지는 유금(酉金)이다'라는 식으로 이용한다. 혹은 목화토금수라는 말을 지워서 그냥 경(庚), 유(酉)라는 식으로 불러도 상관없다.
이제 예로 든 사주에 신살 중의 하나인 천을귀인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자. 밑에도 적혀 있지만, 설명을 위해 천을귀인을 찾는 표를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일간 | 갑(甲), 무(戊), 경(庚) | 을(乙), 기(己) | 병(丙), 정(丁) | 신(辛) | 임(壬), 계(癸) |
천을귀인 | 축(丑), 미(未) | 자(子), 신(申) | 해(亥), 유(酉) | 오(午), 인(寅) | 사(巳), 묘(卯) |
윗줄에 일간이 적혀 있으니, 사주의 일간을 확인해 보자. 일간은 신금(辛金)이다. 그러므로 다음 사주에서는 오화(午火)와 인목(寅木)이 천을귀인이 된다. 다시 사주를 보면, 시지에 인목(寅木)이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시지에 천을귀인이 있게 된다. 다른 신살도 이와 같이 찾으면 된다.
이런 귀인 및 살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사주와의 융합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맞는다.
또한 이러한 신살은 사주 해석에 있어서 주축이 되지 못한다. '도화살이 있어서 이 사람은 이성이 많이 꼬이겠네' 가 아니라 '어떤 시기에 무엇이 오겠네'로 해석을 하는데 신살은 육친, 합충형파, 12운성보다 해석 우선순위가 낮다.
출처 : 나무위키 (일부내용 재편집)
-----------------------------------------------------------------------------------
음양오행(陰陽五行)
■ 음양(陰陽)
○ 음(陰)
- 조용하며, 물이 아래로 흘러가는 모양
- 여성적, 소극적, 수동적, 추위, 어두움, 습기, 부드러움
○ 양(陽)
- 활동적이며, 열이 상승하는 모양
- 남성적, 적극적, 능동적, 더위, 밝음, 건조, 굳음
■ 오행(五行)
○ 의미
- 오(五) : 만물을 이루는 기의 5가지 기능
- 행(行) : 통행, 유행, 운행 등의 의미로, 5가지의 기가 아무런 제약없이 자유롭게 순행하는 것
○ 오행표 : 목, 화, 토, 금, 수 (木,火,土,金,水)
□ 성명학은 기본구성은 음양(陰陽)
○ 발음상 분류
"아,야,오,요" 양이고 "어, 여, 우, 유" 는 음에 해당
○ 숫자의 기본 음양
홀수는 양이고 짝수는 음
○ 오행의 분류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발음 | ㄱ, ㄲ | ㄴ, ㄷ, ㄹ | ㅇ, ㅎ | ㅅ, ㅈ, ㅊ | ㅁ, ㅂ, ㅍ |
※ 木火는 양이고 金水는 음이며 土는 중앙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획수 | 1,2 | 3,4 | 5,6 | 7,8 | 9,0 |
陰陽五行(음양오행)에서 수(數)를 분류함에 있어는 기수(奇數)와 우수(偶數)로 분류한다.
홀수 一, 三, 五, 七, 九, 는 기수(陽數)라 하고, 짝수 二, 四, 六, 八, 十, 은 우수(陰數)라 한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분류
○ 一, 二는 오행 상 목(木)에 속한다.
一은 갑목(甲木) 양(陽), 二는 을목(乙木)음(陰)
○ 三, 四는 오행 상 화(火)
三은 병화(丙火) 양(陽), 四는 정화(丁火) 음(陰)
○ 五, 六은 오행 상 토(土)
五는 무토(戊土) 양(陽), 六은 기토(己土) 음(陰)
○ 七, 八은 오행 상 금(金)
七은 경금(庚金) 양(陽), 八은 신금(辛金) 음(陰)
○ 九, 十은 오행 상 수(水)
九는 임수(壬水) 양(陽), 十은 계수(癸水) 음(陰)에 속한다.
10 이상의 숫자 11은 양목(陽木)이고, 12는 음목(陰木), 13은 양화(陽火), 14는 음화(陰火), 15는 양토(陽土), 16은 음토(陰土), 17은 양금(陽金), 18은 음금(陰金), 19는 양수(陽水), 20은 음수(陰水)로 단위만 10씩 높아진다. 단위가 높아질수록 그 기세(氣勢)가 강하다.
□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질
○ 一, 甲(木)의 특성 : 매사에 신중하고 조심성이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고 타인에게 지배받는 것을 싫어한다.
○ 二, 乙(木)의 특성 : 매사에 끊기가 있고 시기심과 질투심이 있으나 외유내강(外柔內剛)하다.
○ 三, 丙(火)의 특성 : 활발하고 급진적이고 경솔하고 기분파적인 성격이나 명랑하다.
○ 四, 丁(火)의 특성 : 온유한 반면 강한 반발심과 경솔한 점은 있으나 내적사고력이 깊고 강유를 겸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五, 戊(土)의 특성 : 아량이 넓고 동화력이 있어 상하예의를 존중하고 통솔력이 있다. 반면 강한 반발심을 가졌다.
○ 六, 己(土)의 특성 : 꾸준한 인내력과 아량이 풍부하며 사고력이 깊고 세심한 반면 표리가 부동한 면이 있다.
○ 七, 庚(金)의 특성 : 정의감과 의리가 있고 명예심 자존심이 강한 반면 고집이 세고 강자에게는 대립한다.
○ 八, 辛(金)의 특성 : 완고한 고집이 있으나 외유내강하고 자중성과 인내심이 강하다.
○ 九, 壬(水)의 특성 : 매사에 신중하고 꾸준하며 활동적이고 대륙적이나 고집이 세다.
○ 十, 癸(水)의 특성 : 지혜가 있고 순진하며 끊기가 있으나 반발심이 강하고 야욕적이다.
오행도 오행색상
오행(五行)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상생(相生)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상극(相剋)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오방(五方) | 동(東) | 남(南) | 중앙(中央) | 서(西) | 북(北) |
오시(五時) | 춘(春) | 하(夏) | 계하(季夏) 토용(土用) | 추(秋) | 동(東) |
오기(五氣) | 인애(仁愛) | 강맹(剛猛) | 관굉(寬宏) | 살벌(殺伐) | 유화(柔和) |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色) | 청(靑) | 적(赤) | 황(黃) | 백(白) | 흑(黑) |
오장(五臟) | 간(肝) | 심(心) | 비(脾) | 폐(肺) | 신(腎) |
수(數) 성명학(자연수) | 3,8 1,2 | 2,7 3,4 | 5,10 5,6 | 4,9 7,8 | 1,6 9,10 |
음(音) | 각(角) | 징(徵)치) | 궁(宮) | 상(商) | 우(羽) |
ㄱ ㅋ아음 (牙音) |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 ㅇ ㅎ후음 (喉音) | ㅅ ㅈ ㅊ 치음(齒音) | ㅁ ㅂ ㅅ 진음(震音) | |
천간(天干) | 양음(陽陰) 갑을(甲乙) | 양음(陽陰) 병정(丙丁) | 양음(陽陰) 무기(戊己) | 양음(陽陰) 경신(庚辛) | 양음(陽陰) 임계(壬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 | 오(午)사(巳) | 진(辰) 축(丑) 술(戌) 미(未) | 신(申)유(酉) | 자(子)해(亥) |
오행 분류표 (五行 分類表) | |||||||
分類 五行 | 木 | 火 | 土 | 金 | 水 | ||
自
然
界 | 天干(천간) | 甲(陽)乙(陰) | 丙(陽)丁(陰) | 戊(陽)己(陰) | 庚(陽)辛(陰) | 壬(陽)癸(陰) | |
地支(지지) | 寅(양)卯(陰) | 午(陽)巳(陰) | 辰戌陽 丑未陰 | 申(陽)(酉陰)
| 亥(陽)子陰 | ||
五方(오방) | 東 | 南 | 中央 (중앙) | 西) | 北 | ||
五數(오수) | 3 8 | 2 7 | 5 10 | 4 9 | 1 6 | ||
五宮(오궁) | 靑龍(청룡) | 朱雀(주 작) | 黃龍(황룡) | 白虎(백호) | 玄武(현무) | ||
五味(오미) | 酸(초.산)시다 | 苦 (쓸 고) | 甘 (달 감) | 辛 | 鹹(짤 함) | ||
五化(오화) | 생 (날 생) | 長 (길 장 | 化 (될 화) | 收(거둘수) | 藏(저장할 장) | ||
五色(오색) | 靑 | 赤(붉을 적) | 黃(누를 황) | 白 (흰 백) | 黑(검을 흑) | ||
五音 | 角 | ? (검붉을 치) | 宮 (집 궁) | 商(행위 상) | 羽(깃 우) | ||
가 카 | 나 다 라 타 | 아 하 | 사 자 차 | 마 바 파 | |||
五季(오계) | 春 (봄 춘) | 夏(여름 하) | 長夏(장하) | 秋(가을 추) | 冬(겨울 동) | ||
五氣(오기) | 風 | 暑 | 濕(습할 습) | 燥(마를 조) | 寒(찰 한) | ||
五象(오상) | 直(곧을 직) | 尖(뽀족할 첨) | 方 (모방) | 圓(둥글 원) | 曲(굽을 곡) | ||
五牲(오생) | 羊 (양 양) | 鷄 (닭 계) | 牛 (소 우) | 견 (개 견) | 豕(돼지 시) | ||
五蟲(오충) | 鱗비늘 린) | 羽 (깃 우) | 裸(벗을 라) | 毛 (털 모) | 介(껍질 개) | ||
五穀(오곡) | 麻 (삼 마) | 麥(보리 맥) | 米 (쌀 미) | 黍(기장 서) | 豆(콩 두) | ||
五晨(오신 | 星 (별 성) | 日(날 일) | 地 (땅 지) | 宿 (별 수) | 月(달 월) | ||
五器(오기) | 規 (법 규) | 衡(저울 형) | 繩(먹줄 승) | 矩(구척 구) | 權(저울추 권) | ||
五臭(오취) | ?(누린내 단) | 焦(태울 초) | 香(향기 향) | 腥(비릴 성) | 朽(썩을 후) | ||
人
事
社
會 | 五臟(오장) | 間 | 心 (마음 심) | 脾(지라 비) | 肺(허파 폐) | 申(거듭할신) | |
六腑(육부) | 膽(쓸개 담) | 小腸 (소장) | 胃腸 (위장) | 大腸(대장) | 膀胱(방광) | ||
形體(형체) | 筋(힘줄 근) | 脈 (맥) | 肉(고기 육) | 毛皮(모피) | 骨(뼈 골) | ||
情志(정지) | 怒(성낼 노) | 喜 (기쁠 희) | 思(생각 사) | 悲(슬플 비) | 恐(두려워할 공) | ||
變動(변동) | 握(쥘 악) | 嘔 (노래 구) | ?(새소리 홰) | ?(기침 해) | 栗(여물 율) | ||
五官(오관) | 目(눈 목) | 舌 (혀 설) | 口 (입 구) | 鼻(코 비) | 耳(귀 이) | ||
五聲 | 呼(부를 호) | 笑 (웃음 소) | 歌(노래 가) | 哭(곡) | 呻(끙끙거릴 신) | ||
五神(오신) | 魂 (넋 혼) | 神(정신 신) | 意 (뜻 의) | 魄(형체 백) | 志(뜻 지) | ||
五液(오액) | 淚 (흐를 루) | 汗 (땀 한) | 涎 (침 연) | 涕(눈물 체) | 唾(침 타) | ||
五事(오사) | 視 (볼 시) | 言 (말씀 언) | 思(생각 사) | 聽(들을 청) | 貌(얼굴 모) | ||
五政(오정) | 寬(너그러울 관) | 明 (밝을 명) | 恭(공손할 공) | 力(힘 력) | 靜(고요할 정) | ||
五性(오성) | 仁(어질 인) | 禮(예도 예) | 信(믿을 신) | 義(옳을 의) | 智(슬기 지) | ||
오전 3시(폐) | 5시(대장) | 화장실 | 7시 (위장 식사) | 9시(비장) | 11(심장) | 오후( 1시 소장) | |
3시(방광) | 5시(신장) | 7시(심뽀) | 9시(삼초) | 11시(담) | 밤1시(간) | ||
삼초:어깨. 심장.폐 | 중초: 폐~ 배꼽까지 | 하초:배꼽~ 배꼽아래 | 담은 기름기를 제거해준다 담이 약하면 우유부단하다 |
오행 五行 | 木나무 | 火불 | 土흙 | 金쇠 | 水물 |
오장 五臟 | 간장 肝臟 | 심장 心臟 | 비장 脾臟 | 폐장 肺臟 | 신장 腎臟 |
육부 六腑 | 담:마음 膽 | 소장 小腸 | 위 胃 | 대장 大腸 | 방광 膀胱 |
관규 管竅 | 눈 目 | 혀 舌 | 입 口 | 비 鼻 | 귀 耳 |
오체 五體 | 근 筋 | 맥 脈 | 육 肉 | 피.모 皮毛 | 골.수 骨髓 |
季節 | 春 | 夏 | 長夏 | 秋 | 冬 |
五色 | 靑 푸르다 | 赤빨갛다 | 黃노랑다 | 白희다 | 黑검다 |
五化 | 生나다 | 長자라다 | 化바뀌다 | 收거두다 | 藏간직하다 |
五味 | 酸 시다 | 苦쓰다 | 甘달다 | 辛매웁다 | 鹹짜다 |
五氣 | 風 바람 | 暑 더위 | 濕 습함 | 燥마름 | 寒차다 |
오취 | 臊누리다 | 焦그을리다 | 香향기롭다 | 腥비리다 | 腐섞다 |
오곡 | 보리 | 기장 | 피 | 벼 | 콩 |
오과 | 오얏 | 은행 | 대추 | 복숭아 | 밤 |
오축 | 닭 | 양 | 소 | 말.개 | 돼지 |
오감 | 노(성냄)怒 | 희(기쁨)憙 | 사(생각)思 | 비(슬픔)悲 | 공(무서움)恐 |
오행일람표
구 분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음양(陰陽) | 음(陰) | 양(陽) | 양(陽) | 양(陽) | 음(陰) |
성질(五性) | 생성 | 성장, 분열 | 조화, 완성 | 수렴, 결실 | 휴식, 응집 |
방위(方位) | 동방(東方) | 남방(南方) | 중앙(中央) | 서방(西方) | 북방(北方) |
천간(天干) | 갑(甲), 을(乙) | 병(丙), 정(丁) | 무(戊), 기(己) | 경(庚), 신(申) | 임(壬), 계(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진(辰) | 사(巳),오(午),미(未) | - | 신(申),유(酉),술(戌) | 해(亥),자(子),축(丑) |
계절(季節) | 봄(春) | 여름(夏) | 긴 여름(長夏) | 가을(秋) | 겨울(冬) |
기후(氣候) | 바람(風) | 뜨거움(熱) | 습기(濕氣) | 메마름(乾燥) | 차가움(寒) |
기운(氣運) | 기(氣) | 광명의 신(神) | 뜻(意) | 혈(血) | 정(精) |
사대문(四大門) | 동대문(崇仁門) | 남대문(崇禮門) | 중궁(中宮) | 서대문(崇義門) | 북대문(崇智門) |
경복궁(景福宮) | 동문(建春門) | 남문(光化門) | 경복궁(五皇極) | 서문(迎秋門) | 북문(神武門) |
사단(四端)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깔(五色) | 푸른색(靑) | 붉은색(赤) | 노랑색(黃) | 흰색(白) | 검은색(黑) |
상징 동물 | 청룡(靑龍) | 주작(朱雀) | - | 백호(白虎) | 현무(玄武) |
창조 덕성 | 元(放) | 亨(蕩) | 통합(統合) | 利(神) | 貞(道) |
욕심(五慾) | 정욕(情慾) | 색욕(色慾) | - | 탐욕(貪慾) | 노욕(老慾) |
오관(五官) | 눈(目)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오성(五星) | 목성(木星) | 화성(火星) | 토성(土星) | 금성(金星) | 수성(水星) |
오제(五帝) | 청제(靑帝) | 적제(赤帝) | 황제(黃帝) | 백제(白帝) | 흑제(黑帝) |
오성(五聲) | 각(角) | 징(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수(五數) | 팔(八) | 칠(七) | 오(五) | 구(九) | 육(六) |
신체(五體) | 근육(筋) | 혈맥(血脈) | 살(肉) | 털(毛) | 뼈(骨) |
맛(五味)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鹽) |
감정(五情) | 분노(怒) | 기쁨(喜) | 사려(思) | 슬픔(悲) | 두려움(恐) |
오장(五臟) | 간(肝) : 血 | 심장(心) : 神 | 비장(脾) | 허파(肺) : 氣 | 콩팥(腎) : 精 |
육부(六腑) | 쓸개(膽) | 작은창자(小腸) | 위(胃), 삼초(三焦) | 큰창자(大腸) | 오줌보(膀胱) |
정신(精神) | 혼(魂) | 신(神) | 뜻(意) | 백(魄) : 넋 | 정(精) |
짐승의 종류 | 들짐승(走類) | 날짐승(飛類) | 사람(人類) | 갑각류(甲類) | 어류(魚類) |
종교(宗敎) | 유(儒) | 기독교(西仙) | 신교(神敎) | 불교(佛) | 선(東仙) |
오대양(五大洋) | 태평양(太平洋) | 남빙양(南氷洋) | 인도양(印度洋) | 대서양(大西洋) | 북빙양(北氷洋) |
육대주(六大洲) | 아시아주 | 구라파주 | 오세아니아주 | 아메리카주 | 아프리카주 |
한글 발음 | ㄱ, ㅋ | ㄴ, ㄷ, ㄹ, ㅌ | ㅇ, ㅎ | ㅅ, ㅈ, ㅊ | ㅁ, ㅂ, ㅍ |
성씨(姓氏) | 徐, 成, 黃, 元, 韓, 南, 張, 柳, 申, 安, 梁, 蔣, 方, 杜, 河, 白, 楊, 片, 慶, 郭, 盧, 裵, 文, 王, 班, 陰, 晋, 邵 | 金, 趙, 朴, 崔, 兪, 孔, 高, 車, 康, 劉, 廉, 朱, 陸, 洪, 薰, 固, 虞, 鼎, 周, 延, 火, 秋, 簡, 曺 | 吳, 呂, 禹, 奇, 許, 蘇, 馬, 魯, 曾, 余, 千, 孟, 卞, 卜, 梅, 尙 魚, 瘦, 龍, 皐, 牟, 毛, 南宮, 皇甫, 鮮于 | 李, 尹, 鄭, 姜, 蔡, 羅, 愼, 辛, 丁, 全, 邊, 池, 石, 陳, 吉, 玉, 卓, 薛, 咸, 具, 秦, 唐, 宣, 段, 燈, 陛, 董 | 宋, 權, 閔, 任, 林, 嚴, 孫, 皮, 丘, 都, 田, 沈, 奉, 明, 貢, 牛, 甘, 玄, 陶, 睦, 再, 仇, 童, 東方 |
상생(相生)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낳는다. 나무에서 불이 난다.
화생토(火生土): 불은 흙을 낳는다. 불이 나면 재가 나와 흙이 된다
(재가 흙을 비옥하게 만든다).
토생금(土生金): 흙은 쇠를 낳는다. 흙에서 쇠가 난다.
금생수(金生水): 쇠는 물을 낳는다. 쇠에서 물이 맺힌다(쇠가 물을 맑게한다).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낳는다. 물은 나무를 살린다.
상극(相剋)
목극토(木剋土): 나무는 흙을 이긴다. 나무가 흙에 뿌리를 내린다.
토극수(土剋水): 흙은 물을 이긴다. 흙은 물을 가둔다(혹은 흙은 물을 탁하게 한다).
수극화(水剋火): 물은 불을 이긴다. 물은 불을 끈다.
화극금(火剋金): 불은 쇠를 이긴다. 불은 쇠를 녹인다.
금극목(金剋木): 쇠는 나무를 이긴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오행 | 목 | 화 | 토 | 금 | 수 |
오재(五材) | |||||
오색(五色) | 파랑(青) | 빨강(赤) | 노랑(黄) | 하양(白) | 검정(黑) |
오방(五方) | 동(東) | 남(南) | 중(中) | 서(西) | 북(北) |
오계(五季) | 봄(春) | 여름(夏) | 장하(長夏) | 가을(秋) | 겨울(冬) |
오시(五時) | 오전(平旦) | 한낮(日中) | 오후(日西) | 저녁(日入) | 밤(夜半) |
오절(五節) | 설날(新年) | 상사(上巳) | 단오(端午) | 칠석(七夕) | 중양절(重阳) |
오성(五星) | 목성(木星) | 화성(火星) | 토성(土星) | 금성(金星) | 수성(水星) |
오성(五聲) | 부름(呼) | 웃음(笑) | 가창(歌) | 울음(哭) | 읊조림(呻) |
오음(五音) | 각(角) | 치(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장(五臟) | 간(肝) | 심장(心) | 비장(脾) | 허파(肺) | 콩팥(腎) |
오부(五腑) | 쓸개(膽) | 소장(小腸) | 위(胃)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오체(五體) | 힘줄(筋) | 경맥(脈) | 근육(肉) | 피부(皮) | 뼈(骨) |
오지(五志) | 노여움(怒) | 기쁨(喜) | 생각(思) | 슬픔(悲) | 공포(恐) |
오지(五指) | 집게손가락(食指) | 가운뎃손가락 | 엄지손가락 | 약손가락 | 새끼손가락(小指) |
오관(五官) | 눈(目)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오각(五觉) | 시각(色) | 촉각(觸) | 미각(味) | 후각(香) | 청각(聲) |
오액(五液) | 눈물(泣) | 땀(汗) | 침(涎) | 콧물(涕) | 가래(唾) |
오미(五味)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鹹) |
오취(五臭) | 누린내(膻) | 탄내(焦) | 향기(香) | 비린내(腥) | 구린내(朽) |
오기(五氣) | 힘줄(筋) | 혈액(血) | 근육(肉) | 숨(氣) | 뼈(骨) |
손톱(爪) | 얼굴(面) | 입술(唇) | 눈썹(毛) | 털(髮) | |
오수(五獸) | 청룡(青龍) | 주작(朱雀) | 백호(白虎) | 현무(玄武) | |
오축(五畜) | 개(狗) | 양(羊) | 소(牛) | 닭(鸡) | 돼지(猪) |
오충(五蟲) | 우충 | 나충 | 모충 | ||
오곡(五穀) | 모시풀(苧麻) | 기장(黍) | 쌀(稻) | 옥수수(粟) | 콩(菽) |
오과(五果) | 자두(李) | 살구(杏) | 대추(枣) | 복숭아(桃) | 밤(栗) |
오채(五菜) | 부추(韭) | 염교(薤) | 해바라기(葵) | 파(葱) | 콩잎(藿) |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오경(五經) | 《시경》(诗) | 《의례》(礼) | 《춘추》(春秋) | 《서경》(书) | 《역경》(易) |
오정(五政) | 너그러움(宽) | 밝음(明) | 공손함(恭) | 힘(力) | 고요함(静) |
바람(風) | 열(热) | 젖음(湿) | 마름(燥) | 차가움(寒) | |
오화(五化) | 생명(生) | 자람(長) | 가르침(化) | 거둠(收) | 감춤(藏) |
오사(五祀) | 집(戶) | 부엌(灶) | 처마(霤) | 문(門) | 우물(井) |
괘상(卦象) | 진(震) | 이(離) | 곤(坤) | 태(兌) | 감(坎) |
성수(成數) | 8(八) | 7(七) | 5(五) | 9(九) | 6(六) |
쥠(握) | 우울(憂) | 구토(噦) | 기침(咳) | 소름(粟) | |
병위(病位) | 목(頸項) | 흉협(胸脅) | 등마루(脊) | 견배(肩背) | 요고(腰股) |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오방색 (五方色)
오행의 각 기운과 직결된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의 다섯 가지 기본색을 말한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 풀어낸 다섯 가지 순수하고 섞음이 없는 기본색을 오정색(正色, 定色, 五方色)이라 불렀으며 오색(五色), 오채(五彩)라고 하였다.
청은 동방, 적은 남방, 황은 중앙, 백은 서방, 흑은 북방으로 오방이 주된 골격을 이루며 양(陽)의 색이다.
정색 (오방정색) :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청색(靑, 파랑) 청색은 오행 중 목(木)에 해당, 동쪽,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쓰였고, 청색은 하늘, 바다, 물의 빛에 비유되어 우리나라 신화의 우주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동쪽은 태양이 떠오르는 방향이기 때문에 해돋이, 밝음, 맑음 등과 연관되어 상징성을 지닌다.
적색(赤, 빨강) 적색은 오행 중 화(火)에 해당, 태양과 남쪽, 여름의 색이다. 적색은 양의 기운을 가진 색으로 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며, 예전에 궁궐이나 민가에서 귀신을 물리치는 역할을 해왔다. 동짓날 팥죽이나 부적, 손톱 물들이는 봉숭아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황색(黃, 노랑) 황색은 오행 중 토(土)에 해당, 우주의 중심(중앙), 수도(서울)를 상징하는 색으로 중국에서는 부귀와 권위를 상징하여 황제의 의복과 황궁의 지붕기와까지 황금색으로 장식하였다. 백색(白, 흰색) 백색은 오행 중 금(金)에 해당, 서쪽, 가을의 색이며, 백색은 신화적으로 출산과 자연의 길함을 상징한다. 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해 우리 민족의 자존심과 곧은 의지의 마음을 흰 옷을 즐겨 입는 것으로써 나타난다. 우리 민족이 백의민족이라 불리는 이유이다.
검정(黑, 검정) 흑색은 오행 중 수(水)에 해당, 북쪽, 겨울의 색이다. 밤이 되면 빛이 없어 어둡고, 사람이 죽으면 지하에 묻혀 암흑 속에 갇히기에 검은 빛은 밤, 공포, 불행, 파멸, 죽음을 상징한다. 반면에 정직과 명예, 인간의 지혜를 관장하는 색이기에 법관의 법복 또한 검정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방간색 녹색 : 청색과 황색의 조합으로 동방의 간색 홍색 : 적색과 백색의 조합으로 남방의 간색 벽색 : 청색과 백색의 조합으로 서방의 간색 자색 : 적색과 흑색의 조합으로 북방의 간색 유황색 : 황색과 흑색의 조합으로 중앙 간색. 오방간색은 다시 70색으로 나누어 '잡색'이라고 한다.
|
한 사람의 사주에서 오행은 항상 8개까지 나오며, 그래서 팔자(八字)라고 합니다.
팔자의 가장 좋은 배열은 오행이 골고루 2개씩 나뉘어 나오는 것인데, 당연히 십(十)은 될 수 없으므로...
이는 어떤 사람이든 오행 중 2개는 부족하여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이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사주에 오행 중 어느 것이 지나치게 많거나, 지나치게 적은 것은 좋지 못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참조> - 상기 오행표의 숫자 참조
만약, 사주에 木火는 많고, 土金은 부족한 사람이 있다면,
木火는 이미 충만하니, 숫자 2378은 본인에게 좋은 숫자는 아니고,
土金은 부족하니, 이를 보충하기 위해 숫자 1490 을 주변에 가급적 많이 사용하면 좋다는 의미입니다.(ex.전화번호)
■ 오행의 상생과 상극
자연이 봄-여름-가을-겨울로 순환하듯,
오행 역시, 목-화-토-금-수로 순행하면 좋은 기운(상생-생명이 생겨남)이 되고,
만약, 수-화-금-목-토로 역행하면 나쁜 기운(상극-생명이 멸함)이 된다고 하며,
이 상생과 상극은 아래와 같습니다.
○ 오행의 상생(相生) - 긍정적의미 / 부정적의미
*목생화 : 목을 통해 빛과 열을 제공하는 화가 나옴 / 목이 너무 많으면 화가 꺼짐
*화생토 : 화가 지나가면 재가 남고, 토가 거름지게 됨 / 화가 지나치면 토가 갈라짐
*토생금 : 토가 굳으면 금이 나옴-광맥 / 금이 너무 많으면 토가 약해짐
*금생수 : 금이 녹으면 수가되고 이를 뿌림 / 금이 너무 많으면 함께 많아진 수로 인해 잠겨짐
*수생목 : 수가 있어야 목이 자람 / 수가 너무 많으면 목이 썩고 떠버림
○ 오행의 상극(相剋) - 부정적의미 / 긍정적의미
*목극토 : 목은 토의 영양분을 흡수해버림 / 토를 목으로 파서 유용한 것을 만듬
*화극금 : 화는 금을 녹임 / 금을 화로 녹여 유용한 것을 만듬
*토극수 : 토는 수를 막아 가두어 버림 / 수로 토를 막을 수 있음
*금극목 : 금은 목을 베어버림 / 목을 금으로 잘라 유용한 것을 만듬
*수극화 : 수는 화을 꺼버림 / 화를 수로 끌 수 있음
<참조>
-풍수상, 거주할 곳은 상생관계를 고려해, 적절한 장식물이나 색으로 인테리어 하면 좋은 기운 발동한다고 함
-상기 내용과 같이, 상생이라고 무조건 좋은 의미가 아니며, 상극이라고 무조건 나쁜 의미가 아니라는 점 주의
-상극은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일방적으로 누른다는 의미로, 서로 부딪힌다는 의미의 상충과 구분하여 이해해야 한다.
음양오행 : 기가 가진 성격 및 색상
○ 목(나무) : 어머니 - 곧고 휘며 뻗어나감(양은 큰나무,거목,고목, 음은 작은 품이나 잡초, 화초-곧고 휘면서 위로 빠르게 올라가는 운동성)
○ 화(불) : 불같은 아버지의 성격 - 번지고 확산을 함(양은 빠르게 번지고 움직이고 음은 움직이지 못하고 그 자리에 멈추어져 있는것)
○ 토(흙) : 아버지와 어머니의 중간 - 수렴하고 발산을 함(억누르고 수렴하고 받아들임, 모든 오행을 받아들여 이것을 확산시키는 역할)
○ 금(쇠) : 아버지 - 변형하는 성질을 가짐(가공되지 않은 자연상태물질, 보석, 농기구-양은 어떠한 형태로 변형을 할 수 있는 성질,음은 변형되지 못하고 처음부터 자신의 가지고 있는 모습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
○ 수(물) : 조용한 어머니의 성격 - 응축되고 결집함(바다,강,호수,시냇물, 비, 눈-양은 활동성을 가지고 응집.결속이 되고, 음은 그자리에 움직이지 못하는 응집력과 결속력을 가진다.)
■ 인의예지신 오방색 (청,황,적,백,흑색)
○ 목 : 푸른색. 봄. 동쪽 스스로 성장한다. 기본성향은 착하고 어질다, 목이 많으면 명예 지향적이고 자기의 의견을 굽히지 않는다.
○ 화 : 붉은색, 여름, 남쪽 결과물을 만들지 않는다. 정신세계를 표현한다. 예의바르고 적극적이다. 의사표현이 명확하나 다혈질이다.
○ 토 : 노란색,환절기,중앙 불처럼 화려하지도 나무처럼 생동감도 없다. 금처럼 결실의 결과를 돌아보지도 않고 물처럼 지혜를 짜내지도 안는다. 그러나 모든것을 포용한다. 토의 기본성향은 믿음직스럽고 끈기가 있다. 토가 많으면 끈기가 있지만 고집이 세다
○ 금 : 거두고 뭉치고 동시에 잘라 내기도 한다. 그래서 칼에 비유된다. 온갖 어렴움에 잘견디고 흔들지 않는다. 의리 절제가 있다.
금이 많으면 비판정신이 강해 시시비비를 잘가리나 잔소리가 불평불만이 많다.
○ 수 : 식물을 물에서 시작하여 물로 자라고 물로 꽃피운후 결실이라는 금으로 변신하여 수로 생명을 이어간다. 물이 많아야 생각이 많아 지혜가 발달한다. 물의 기본성향은 총명하고 지혜롭다. 타인에 대한 배려가 깊은대신 쓸데없는 생각이 많다.
◆ 목,화,토,금,수 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
식물(나무)가 싹트는 계절 : 봄
태양(불)이 가장 뜨거운 계절 : 여름
변절기(흙) 계하(季夏), 토용(土用) : 환절기
곡식이 익어 낫(쇠)로 결실을 거두는 계절 : 가을
눈과 얼음(물)의 계절 : 겨울
◆ 목화토금수 방향 (동,서,남,북)
나무 : 동쪽, 불은 남쪽, 흙은 중앙, 쇠는 서쪽, 물을 북쪽
동쪽은 청색, 남쪽은 적색, 중앙은 황색, 서쪽은 백색, 북쪽은 흑색
간.쓸개는 나무, 심장.소장은 불. 비장.위는 토, 폐. 대장은 쇠, 신장.방광은 물
신맛은 나무, 쓴맛은 불, 단맛은 흙, 매운맛은 금
나무-인, 불-예, 흙-신, 쇠-의, 물-지
목-화-토-금-수 → 상생
목-금 상극
목-토 상극
수-토 상극
수-화 상극
금-목 상극
금-화 상극
■ 오행 체질
○ 목형체질 : 얼굴이 긴 사람을 말하며 간과 담낭이 크며 기능이 강하고 좋으나 토가 약해진다. 인자하고 다정하며 학문적이고 교육하고 양육을 잘하는 성격이며 목이 토를 극하므로 간장과 담낭이 너무 강해서 비장과 위장이 약하다. 위궤양, 소화불량, 비만증, 입과 입술 병, 무릎통증 등이 발생하고 공상과 망상이 커져서 쓸데없는 생각을 하고 의심이 많아지고 게으르고 의욕이 없으며 만사가 귀찮아 눕고 싶어 함.
○ 화형체질 : 이미가 넓고 턱이 뾰족한 사람을 말하며 심장과 소장이 크고 기능이 강하고 좋으니 금이 약해진다. 예의바르고 용감하며 탐구적인 성격이다. 화가 금을 극하므로 심장과 소장이 너무 차갑고, 가슴이 답답, 기침, 기관지 천식, 피부가 약하며, 치질, 코에 병이 오고 손목, 비관적이고 눈물이 많다.
○ 상화형체질 : 화형과 비슷한데 눈썹이 짙고 관자놀이 부위가 불록하게 튀어 나온 사람을 말한다.
- 심포, 삼초가 발달되어 장수하는 사람이 많고, 천재적이고 다재다능하고 못하는 것이 없는 사람이다.
- 신경과민, 초조, 불명증, 손발 저림, 뒷목이 아프고, 허리 아래 엉덩이가 아프고, 임파선 암, 식은 땀, 노이로제, 어깨통증 등이 나타난다.
○ 토형체질 : 얼굴이 동그랗게 공처럼 생겼으며 비장과 위장이 크고 기능이 강하고 좋으나 수가 약해진다. 정확하고 철저하여 하나밖에 모른 외골수이며 토가 수를 극하므로 비장과 위장이 강하고 신장과 방광이 약하며 부종, 요통, 어지럼증, 눈이 빠질듯이 아프고 귀에 소리가 난다. 종아리가 당기며 중이염, 골수염, 신장염, 신부전증이 나타난다.
○ 금형체질 : 얼굴 모양이 사각형이 사람을 말하며, 폐와 대장이 크고 기능이 강하고 좋으나 목이 약해진다. 준법정신이 강하고 냉정하며 의리를 지키고 독선적이다. 금이 목을 극하므로 폐와 대장이 강하고 간과 담이 약하다. 근육경련, 구토, 소화불량, 간경화, 간염, 담석증, 늑막염, 옆구리 통증, 신경질적이고 화를 잘 내며 심술을 잘 부린다.
○ 수형체질 : 얼굴 모양이 삼각형으로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사람을 말한다. 신장과 방광이 크고 강하여 좋으나 화가 약해진다. 참고 견디는 것을 잘하고 비밀을 잘 지키고 저장하고 수학적이다. 수가 화를 극하므로 신장과 방광이 강하고 심장과 소장이 약하며, 가슴이 두근거리며, 잘 놀라고 어깨와 팔꿈치 통증, 좌골신경통, 심근경색, 혀와 얼굴에 병, 잘 웃고 버릇이 없다.
◆ 목(간장과 담낭에 좋은 식품) 보리, 메밀, 깻잎, 부추, 닭, 계란, 메추리, 개, 사과, 유자, 귤, 매실, 포도, 딸기, 오미자, 유자차, 오렌지, 들깨
◆ 화(심장과 소장에 좋은 식품) 수수, 상추, 쑥갓, 쑥, 냉이, 취나물, 풋고추, 염소, 칠면조, 곱창, 살구, 은행, 자몽,영지, 홍차, 작설차, 커피
◆ 토(비장과 위장에 좋은 식품) 기장, 시금치, 미나리, 쇠고기, 토끼, 감, 대추, 참외, 구기자, 임삼, 칡, 두충
◆ 금(폐와 대장에 좋은 식품) 율무, 현미, 배추, 양파, 파, 마늘, 생선, 조개, 말, 복숭아, 배, 율무, 생강
◆ 수(신장과 방광에 좋은 식품) 검은 콩, 약콩(서목태), 김, 미역, 다시마, 파래, 돼지, 해삼, 새우젓, 수박, 밤, 두유, 베지밀
■ 상화-오행기운을 돌려주는 식품
녹두, 옥수수, 콩나물, 양배추, 우엉, 아욱, 고사리, 오리, 꿩, 토마토, 바나나, 넝쿨 차, 코코아, 알로에, 화분
목(신맛, 간장과 담낭), 화(쓴맛, 심장과 소장), 토(단맛, 비장과 위장), 금(매운맛, 폐장과 대장), 수(짠맛, 신장과 방광)
'명리학(사주학) > 사주명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신(吉神) 용어 해설 (0) | 2020.01.25 |
---|---|
천간과 지지의 특징 (0) | 2019.12.07 |
천간의 특징 (0) | 2019.12.07 |
명리학(사주학) 유래 / 사주적용 작명법 (0) | 2019.12.01 |
음양오행 이야기 (0) | 201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