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사주학)/삼재,오복,손금

삼재(三災)와 오복(五福)은 무엇일까요?

by 연송 김환수 2014. 6. 21.

삼재(三災)와 오복(五福)은 무엇일까요?

 

띠별 삼재, 삼재팔난(三災八難) 알아보기

 

집안의 어르신이나 부모님으로 부터 "올해는 삼재가 들어있으니 조심하여라" 는 말을 한번쯤 들었을 겁니다. 삼재(三災)가 무엇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1. 삼재(三災)의 뜻은?

 

 

 

 

-------------------------------------------------------

 

삼재란 한 해 12개월 중에 추운 겨울이 3개월 찾아오듯이, 사람이 살아가며 겪는 겨울의 시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는 제각각 태어난 해에 12가지 동물신을 상징하는 띠를 갖고 있으며 민속 신앙에서도 이와 같이 12년을 하나의 주기로 보고 있다.

 

12년동안 3년은 1년중 3개월의 겨울과 같이 힘들고 어려운 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로 '삼재(三災)'의 개념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9년마다 삼재가 돌아온다고 보면 됩니다.

 

도교의 정통 사주학인 명리학(命理學)에서는 이와 같은 삼재를 깊이 다루고 있지 않지만, 불교의 달마도사가 창시한 당사주(唐四柱)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삼재(三災)란 3가지 재앙을 뜻하고 있는데 

① 천재(天災),

② 지재(地災),

③ 인재(人災)로 구분합니다.

 

 

 

① 천재(天災)란,

 

하늘에서 오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수재(水災), 한재(旱災) 등입니다.

 

홍수로 인해 생명에 위협적인 일이 발생한다거나 또는 논과 밭 건물 등이 물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등과 같이 물로 인한 재앙과 가뭄 등으로 인한 식수난, 농경수, 공업수, 발전수량 부족등의 한재 등이 천재에 해당합니다.

 

② 지재(地災)란,

땅에서 일어나는 재앙으로 교통사고, 화재, 지진 등 인화물로 인한 폭발사고나 건축물의 붕괴로 인한 사고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③ 인재(人災)란,

사람으로 인한 재앙으로 도둑, 사기, 납치, 감금 등 사람으로 인한 재앙이 여기에 속합니다.

 

2. 삼재팔난(三災八難) - 3가지 재앙과 8가지 어려움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한 삼재를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고 부르는데, 삼재(三災)가 천재, 지재, 인재의 3가지 재앙을 뜻한다면 팔난(八難)은 삼재의 기간동안 맞게 되는 여덟가지 어려움을 뜻합니다.

 

① 군위란(君爲難) - 나라가 어지러우면

② 신위란(臣爲難) - 임금과 신화가 제 노릇하기 어렵고

③ 부위란(父爲難) - 아버지 노릇 하기가 어렵고

④ 자위란(子爲難) - 자식노릇 하기가 어렵다.

⑤ 부위란(夫爲難) - 지아비(남편)노릇 하기 어렵고

⑥ 부위란(婦爲難) - 아내 노릇하기도 어렵다.

⑦ 붕위란(朋爲難) - 벗노릇 하기도 어렵고

⑧ 우위란(友爲難) - 친구 노릇하기도 어렵다.

 

3가지 재앙과 여덟가지 어려움을 삼재팔란이라 부릅니다.

 

예로부터 이러한 삼재팔난(三災八難)이 들어오면 위에서 언급된 재앙과 어려움을 면하기 위해서 '삼재소멸부'(三災消滅符)라고 하는 부적을 만들어서 이 부적을 몸에 지니고 다니고, 침실로 들어가는 출입문에 부착해두고 언제나 삼재팔난에 대해 조심하고 경계함으로써 해당 기간에 부딪치게 될지 모르는 재앙과 어려움을 미리 방지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삼재소멸부 부적 사용법

 

 

※ 삼재소멸부 부적 사용방법

- 삼재 소멸부는 2장을 작성하여 1장은 몸에 지니고, 나머지 한장은

   침실의 출입문 위에 붙입니다.

   (효력은 1년. 1년이 경과하면 새로운 부적으로 교환한 후,

     이전의 부적은 불에 태 워버려야 한다고 합니다)

 

 

 

3. 띠별 삼재 알아보기, 삼재 계산하는 법, 삼재 띠

 

삼재가 어떤 것인지 알았다면 자신이 언제부터 삼재에 드는 지 알아봅니다. 

삼재를 계산할 때에는 본인이 십이지띠 중에서 무슨 띠인지 먼저 알아야 합니다.

 

① 자신의 띠 알아보기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범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

 

 

 

 

 

동물

 

자(子)

 

 

축(丑)

 

 

인(寅)

 

호랑이

 

묘(卯)

 

토끼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원숭이

 

유(酉)

 

 

술(戌)

 

 

해(亥)

 

돼지

 

 


② 띠별 삼재 알아보기

 

1) 신자진(申子辰)생은 인묘진(寅卯辰)년이 삼재

2) 인오술(寅午戌)생은 신유술(申酉戌)년이 삼재

3) 사유축(巳酉丑)생은 해자축(亥子丑)년이 삼재

4) 해묘미(亥卯未)생은 사오미(巳午未)년이 삼재

 

한문만 보고 비교하면 잘 모를 수 있으니 뜻풀이로 알아볼까요?

 

1) 원숭이띠, 쥐띠, 용띠인 사람 → 호랑이, 토끼, 용의 해에 삼재

2) 호랑이띠, 말띠, 개띠인 사람 → 원숭이, 닭, 개의 해에 삼재

3) 뱀띠, 닭띠, 소띠인 사람 → 돼지, 쥐, 소의 해에 삼재

4) 돼지띠, 토끼띠, 양띠인 사람 → 뱀, 말, 양의 해에 삼재

 

예를 들어 올해는 2013년 계사년, 뱀의 해입니다.

 

뱀의 해이기 때문에 '돼지띠, 토끼띠, 양띠'인 분들의 삼재 중 첫 해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삼재는 3년동안 진행되므로 앞으로 2014년, 2015년까지 돼지띠, 토끼띠, 양띠인 분들의 삼재가 진행된다 할 수 있겠습니다.

 

※ 2013년(뱀의 해) 삼재, 2014년(말의 해) 삼재, 2015년(양의 해)

    삼재 - 돼지띠, 토끼띠, 양띠

 

※ 2016년(원숭이의 해), 2017년(닭의 해), 2018년(개의 해)의

    삼재 - 호랑이띠, 말띠, 개띠

 

 

4. 삼재(三災)는 무조건 나쁠까요? 무서운 해일까요?

 

사실, 삼재라고 해서 모든 사람이 다 나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 누가 들어도 주위에서 삼재가 들었으니 조심하라 라는 말을 듣는다면 기뻐하거나 즐거운 사람은 아무도 없겠지요.

 

오히려 삼재로 인해 좋지 않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더 들지도 모릅니다.

 

예로부터 전해져내려오는 삼재, 삼재팔난. 사실 동양 철학관이나 역학에 관련한 분들은 운이 좋은 복삼재 혹은 운이 나쁜 삼재팔난 등에 대한 관련성보다 각각 서로에게 해당되는 그 사람의 사주와 운의 흐름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사람마다 겨울의 계절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듯이, 삼재 기간에 오히려 운이 좋은 사람도 있고 심지어 김대중 전대통령은 삼재 기간 중에 대통령에 당선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사례를 보면 삼재라고 해서 무조건 겁을 먹거나 걱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5. 삼재(三災) 기간 도중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삼재기간에 해당되는 분들은 근신하는 마음으로 언제나 생활하고, 무리한 투자를 한다거나 사업을 확장하는 등의 일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매사 건강에 유의하고 교통사고, 화재사고 등과 같은 다양한 사고피해 예방을 위해 미리 조심하고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나 구설수에 오를 수 있는 말이나 보증 등을 서주는 것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이에 더해 삼재를 예방하는 부적 (삼재소멸부)를 지니고 침실 출입문에 붙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삼재(三災)를 크게 나누어보면 물과 불과 바람(..)의 세 가지로 일어나는 재난이라 하는

화재(火災), 수재(水災), 풍재(風災)도 담겨 있다.

 

여덟가지 재난이 발생한다고 해서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고 하는데 현대에서의 삼재(三災)

손재, 관재, 질병, 주색, 이별, 학업중단, 시비구설, 상재(喪災) 등 다양하게 재난이 발생한다.

 

자연에서는 사계절이 있고, 인생도 마찬가지로 운로(運路)가 있다.

그 운로에 삼재가 포함이 되는데 삼재(三災)는 어느 누구나 12년마다 한 번씩은 돌아온다.

이 삼재가 들어오면 3년을 머물게 된다.

 

삼재(三災)라 함은 천살(天殺), 지살(地殺), 인살(人殺)이다.

  - 천살(天殺) : 천재지변, 불가항력적인 사고

  - 지살(地殺) : 교통사고, 상해, 노상횡액

  - 인살(人殺) : 보증, 사기, 손재

 

포태법(12운성)상 년지(태어난 년도)를 기준으로 병(). (). ()에 해당되는 3년간에 걸쳐 병들고 죽어서 장례를 지낸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삼재가 들어오는 첫 해()'들삼재', 다음 해()'눌삼재'라 하고 마지막 해()'날삼재'라고 한다.

 

들삼재(입삼재)

    삼재가 들어왔다는 해()로 재난이 서서히 일어나기 시작한다.

눌삼재

    삼재가 들어와 눌러 앉은 해()로 삼재가 극에 달하여 각종 재난이 세차게 몰아닥친다.

날삼재

    삼재가 나가는 해()로 재난이 서서히 사라지는데 마지막에 꼭 해코지를 한다.

 

- 삼재 표

년지(태어난 해)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申子辰(원숭이,,용띠)

(호랑이해)

(토끼해)

(용해)

巳酉丑(, , 소띠)

(돼지해)

(쥐해)

(소해)

寅午戌(, , 개때)

(원숭이해)

(닭해)

(개해)

亥卯未(돼지, 토끼, 양띠생)

(뱀해)

(말해)

(양해)

 

악삼재(惡三災)와 흉삼재(凶三災)

- 사맹(四孟生 : ,,,亥 生)

   범. 원숭이. . 돼지띠 ...년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 사정(四正生 : ,,,酉生)

   쥐. . 토끼. 닭띠 ...년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 사고(四庫生 : ,,,未生)

   용. . . 양띠 ,,,년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만약 운()까지 흉한 경우, 삼재를 만나면 그 흉함이 배가 된다.

 

평삼재(平三災)

무해무탈(無害無?), 무해무덕(無害無德)이니 좋지도 나쁘지도 않게 그저 평범하게 지나가는 삼재이다. 즉 사주팔자에서 희신도 기신도 아닌 한신(閑神)의 운()이라고 보면 된다.

 

복삼재(福三災)

단식판명으로 삼재기간 중에 사주팔자에 합()이 찾아오면 복삼재라고 한다.

그래서 오히려 복()이 온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역시 사주팔자를 정확하게 파악을 한 후에 삼재에 걸려 있어도 희신 운이 왔을 때가 진정한 복삼재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주팔자에서 용신, 희신, 기신, 한신, (), ()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삼재중 가장 뚜렷한 것은 변화는 역마성(驛馬性)이다.

사주팔자에 역마성이 흉하게 자리를 한 경우, 삼재가 들어오면 질병으로 고통을 받기도 하고, 죽기도 하며 관재, 손재, 이별 등 난리가 일어난다.

-----------------------------------------------------------------------------------

 

용(龍)호(虎)를 집 대문에 붙이면 속을 썩이든 집이 팔린다는 속설이 있는데, 용호의 음양의 강한 부딪힘을 감당하기 어려워 집이 나간다는 믿음이 있다.

 

또한, 집 대문 등에 붙이는 용(龍)호(虎)의 용은 오복을 가져오고, 호는 삼재를 예방한다고 한다.

 

 

삼재(三災)는 3가지 재앙을 뜻하고 있는데 이 3가지 재앙은 ① 천재(天災), ② 지재(地災), ③ 인재(人災)로 구분한다.

 

오복(五福)은 유교에서 말하는 다섯가지의 복. 곧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유호덕과 고종명대신 귀(貴)와 자손중다(子孫衆多)를 꼽기도 한다.

 

전통적인 관념으로 전해져 오는 오복(五福)이란 말이 있다,

즉,일생을 통해 다섯가지 福이란?

 

첫째는 수(壽)

오래오래 죽지않고..

천수(天 壽)를 다함이 즉,복이다,

 

둘째는 부(富)

남에게 손해를 끼지지 않고..

남을 괴롭히지 않으며 살아가는데

불편하지 않을 만큼의 재물을 소유함이다,

 

셋째는 강령(康寧)

강(康)은 육체적 건강을 말하고..

령(寧)은 마음의 건강을 말하는것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깨끗하게 살아가는것,

 

넷째는 유호덕(攸好德)

즉, 덕을 좋아하는 일상적 태도로서 남에게

늘 주는 연습을 하고 남을 도우려 애쓰며

건전한 마음과 평온한 분위기 조성이다.

 

다섯째는 고종명(考終命)

일생을 깨끗하고 건강하고 덕을 좋아하며

주변에 많이 베풀고 적당하게 오래 살아

마지막 죽음에 임해 고통없이 평한 모습으로 생을 마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