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당시의 고려 인종의 풍모(+이자겸,김부식등) | 한국사토론
2011.12.29 03:07
1123년 6월 송나라는 급사중(給事中) 노윤적(路允迪) [고려사에는 예부 시랑], 중서사인(中書舍人)인 부묵경(傅墨卿)으로 사신단을 꾸려 고려에 방문합니다.
이때 사신단중 한명인 봉의랑(奉議郞) 서긍(徐兢)도 따라왔는데, 개성에 한달여를 머물다가 송나라로 돌아가 고려에서 보고 들은것을 글과 그림으로 엮어 8월6일 송나라 황제 휘종에게 바칩니다.
그러나 3년후엔 고려도경에서 금나라에게 송나라 수도 개봉이 함락되면서 휘종에게 바쳤던 고려도경 정본도 사라져 버리고 말지요.
훗날 서긍의 조카에 의해 부본이 공개됐지만, 부본에는 그림이 없는 관계로 너무나 아쉽게 되었지요.
특히나 이자겸, 김부식등 5명의 그림을 그렸다는데 역시 전하지 않지요.
1123년은 인종이 1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 해입니다.
서긍은 인종을 알현하고 그 풍모를 고려도경에 적어 놓았습니다.
아마 인종의 풍모를 전하는 유일한 기록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고려도경中
(왕)해[인종]는 용모가 준수하고 키는 작으나 얼굴이 풍후하며 살이 찐 편이었다. 성격이 지혜롭고 배운 것이 많으며, 또한 매우 엄명하며, 동궁(東宮)에 있을 때 관속(官屬)들이 과오를 범하면 반드시 꾸지람을 당했다. 즉위하여서는 비록 나이가 어렸지만 나라 관원들이 자못 두려워하고 꺼렸다.
이번에 신사(信使)가 가매, 그가 조서(詔書)와 표문(表文)을 받고 연향(燕饗)하는 예를 거행하는데, 올라가고 내려감과 나아가고 물러감이 여유가 있어 성인(成人)의 풍도가 있으니, 역시 동이(東夷)의 어진 왕이 됨직했다.
한마디로 키작고 통통+매우 현명함+어린나이에 위엄 가득!
-----------------------------------------------
서긍이 본 5명의 고려 관리에 대한 풍모
--------------------------------
이자겸(李資謙)
자겸은 풍모(風貌)가 의젓하고 거동이 화락하고 어진이를 좋아하고 선(善)을 즐겁게 여겨, 비록 정권을 장악하고 있으면서도 자못 왕씨(王氏)를 높일 줄 알아서, 오랑캐 중에서는 능히 왕실을 부장(扶獎)하는 자이니, 역시 현신(賢臣)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참소를 믿고 이득을 즐기며 전토(田土)와 제택(第宅)을 치장하여 전답이 연달아 있고 집 제도가 사치스러웠고, 사방에서 궤유(饋遺 선물)하여 썩는 고기가 늘 수만 근이었는데, 여타의 것도 모두 이와 같았다. 나라 사람들이 이 때문에 비루하게 여겼으니 애석한 노릇이다.
한마디로 당당+거만+부패!
---------------------
김부식(金富軾)
부식은 풍만한 얼굴과 석대한 체구에 얼굴이 검고 눈이 튀어 나왔다. 그러나 널리 배우고 많이 기억하여 글을 잘 짓고 고금 일을 잘 알아, 학사(學士)들에게 신복(信服)을 받는 것이 그보다 앞설 사람이 없다.
한마디로 흑형?+매우 똑똑함!
------------------------
윤언식(尹彦植) [윤관의 아들]
언식은 풍채가 아름답고 자질이 훤칠하여 완연(宛然)히 유자(儒者)의 기풍이 있어, 오랑캐로 대할 수 없었다.
한마디로 선비!
------------
김인규(金仁揆) [문하시중을 지낸 김경용의 아들]
인규는 키가 훤칠하고 수염이 아름답고 모습이 빼어났으며, 행동도 단정하고 장중하므로, 선발하여 사신을 접대하게 한 것이다.
한마디로 엘리트!
--------------
이지미(李之美) [이자겸의 아들]
지미는 곧 자겸의 아들인데, 풍채와 용모가 준수하고 아름답다. 언젠가 천궐(天闕 중국의 황제가 있는 궁궐)에 조회하고 여러 달 동안 관(館)에 머무르면서 크고 작은 모든 일을 지미가 처결하였는데 예(禮)에 맞지 않는 것이 없었고, 동작이 찬찬하고 단아하여 여유 작작하게 중화(中華)의 풍도(風度)가 있었으며, 매양 조정(朝廷) 일에 언급되면 반드시 권권(眷眷 애타게 그리워하는 모습)하게 쏠리는 뜻이 있었으니, 그의 충성이 또한 가상하다고 할 만했다.
한마디로 귀공자!
--------------
[출처] 15세 당시의 고려 인종의 풍모(+이자겸,김부식등) (삼국지 도원결의) |작성자 길공구 http://cafe.naver.com/sam10/286790
======================================================
참고로 찾아본 김인규 계보도
경순왕 김부 (897년? ~ 978년 5월 13일) 김은열(金殷說, 936년 ~ 1028년 음력 3월 4일)
↓
1776년 족보 기록 (1766년 족보?) 1세 시조(始祖) 김긍필 (金肯弼) ? ∼ ?), 안산현 개국후 2세 김은부 (金殷傅) ? ∼1017(고려 현종 8년) 고려성종 때 견관승(甄官丞), 목종 때 어주사(御廚使)를 거쳐 현종 초에 공주절도사(公州節度使)가 되었다. 이후 현종의 국구(장인), 안산군 개국후 ※ 고려 성종(成宗, 960~997, 재위 981∼997)
근대 3세 계대추가 (1989년) : 경덕국사 묘지명 ----------------------------------------------------- 3세 김충찬(金忠贊) ?(998년이전) ∼ 1036(정종 2). 김난원 경덕국사(景德國師) 고려 목종 2년(999) ~ 문종 20년(1066)
근대 4세부터 7세까지 계대추가 (1978년) 가승(고려시대 기록) : 균의 12세 후손 안산김씨 시적(始籍) *** 고려 인종이 김인규를 외삼촌으로 존대하고 신임 (문종의 왕비 안산김씨 인평왕후) 1123년(인종 1) 동지추밀원사로서 송나라의 사신 서긍(徐兢) 등을 접대한 기록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2500552 ***경주김씨, 인천이씨, 삼성연원보, 안산김씨 계보 분석 *** 은열묘지명 해설, 균의 후손 고려시대 기록 : 경주김씨 월성세승 [평장사공 23세손 덕운(1687-1767) 가승 기록] *** 1772년 경주김씨 계림군파 창시 임진보 서문 : 계림군 균의 후손으로 언급은 맞지않는다. 이는 원성왕의 손자 균정의 후손으로 원성왕 12세 후손으로 보면 맞아 떨어 진다. ----------------------------------------------------- 4세 김원황(金元晃) ?∼1062(문종 16) 5세 김경용(金景庸) 1041(정종 7)∼1125(인종 3) 6세 김인규 (金仁揆) ?~1142 7세 김지우(金之祐) 1108(예종 3)∼1151(의종 5)
근대 8세 계대추가 (1989년) : 김지우 묘지명 (*** 참고로 묘지명에는 원황의 아버지는 인위로 되어 있다. 묘지명에 기록된 가승 계대기록이 착오가 아니라면 안산김씨의 추가 계대편성은 잘못된 것으로 바로 잡아 야 한다고 이전에 밝힌 적이 있다.
계대추가시 위에서 언급한 고려시대 가승과 김인규를 외삼촌으로 존대한 기록과 1700년대 분적 기록에 대한 족보논쟁 등에 대하여 확실한 증거와 고증을 거쳤 더라면 좋았을 텐데 아쉬운 점이다. 물론, 누락된 계보를 찾기 위해 애쓰신 그 분들의 노고 는 후손 된 입장에서 진위 여부를 떠나 감사한 일이고, 잊을수 없다.
최선을 다한 기록이 확실한 증거와 검증으로 입증되어 야 할 것이다.
오래전 계대추가시 위와 같은 증거와 자료도 있었겠 지만 종원인 내가 어렸을 적 일이라 알수 없는 일이다. 추가 계대편성에 관여하셨던 분들이 연세가 많으셔서 대부분 작고하셨겠지만 검토한 관련자료는 보관 하셨을 것으로 믿고 있다.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며 계보를 찾는 나로서는 이 자료를 접하지 못하여 가슴 아픈 일이다. ---------------------------------------------------------- 8세 김충언 (忠彦) ? ∼ ?
위 계보가 실려 있는 경주김씨 계보연구회 발간책자 - 계보연구 <2002 십주년기념> (경주김씨계보연구회, 2002. 8.20 발행, 발행인 김창묵) * 신라김씨 분관연원계보도 (234page, 253page) - 사단법인 경주김씨 계보연구회 계보연구 (2007. 추동계합본) (2008. 춘하계 합본 26page) * 신라김씨 분관선원도 (계보) *** 이전연도 발간 자료는 미 확인
----------------------------------------------------- 1776년 족보 기록 1726년(崇禎紀元後 再丙午 3月)에 작성된 이의현(李宜顯, 당시 대제학, 영의정)의 국조인물고 묘표(墓表) 기록 9세 김위 (金渭) ? ∼ ? 10세 김원상 (金元祥) ? ~ 1339(충숙왕 복위 8) 11세 김성경 (金星慶) ? ∼ ? 12세 김정경 (金定卿) 1345(충목왕 1)∼1419(세종 1) 13세 김지 (金沚) ? ∼ ? 1남 김관 (金寬) ? ∼ ? 2남 김척 (金滌) ? ∼ ? 3남 김개 (金慨) 1405(태종 5)∼1484 4남 김한(金澣) ? ∼1485 5남
※ 국조인물고 묘표(墓表) 1726년(崇禎紀元後 再丙午 3月)에 작성된 이의현(李宜顯, 당시 대제학, 영의정)의 기록으로 위정공(김정경)이 돌아가신 지(1419년) 이미 3백여 년이나 되어 묘비에 새긴 글자가 닳아서 없어졌으므로, 지금 김필(金珌)의 6대손 정랑(正郞) 김정오(金定五)와 동종(同宗)의 여러 사람들이 다시 비석을 세울 것을 도모하여 나 이의현(李宜顯)에게 묘비의 글을 가지고 와서 그 뒤에다 추기(追記)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는 내용으로 보면 1726년 이전부터 묘표(墓表)가 있었다.
|
고려도경(高麗圖經) 김인규(金仁揆)
-[館伴金紫光祿大夫守司空同知樞密院事上柱國金仁揆] 관반 금자광록대부 수사공 동지추밀원사 상주국 김인규 金景融。王顒世太傅守中書令。仁揆卽其子也。顒父徽。嘗娶金氏女。▣于仁揆。有元舅之尊。韓繳如等叛。李資謙挾王楷以誅羣惡。而仁揆與有力焉。故▣位司空。使▣樞府。仁揆頎而美髥。皃魁秀。進止端重。▣爲所擇以接使華也。
김경융(金景融)은 왕옹(王顒) 때의 태부 수중서령(太傅守中書令)이니, 인규는 곧 그의 아들이다. 옹(숙종)의 아버지 휘(徽 문종)가 일찍이 김씨의 딸을 맞이하였으니, 왕해(王楷, 인종)가 인규를 원구(元舅 큰 외삼촌)로 존대할 분의가 있다. 한교여(韓繳如) 등이 반역하였을 때, 이자겸(李資謙)이 왕해를 도와 여러 반역 도당을 베었는데, 인규가 참여하여 공력이 있었기 때문에, 사공(司空)에 오르고 중추부(中樞府)에 있도록 했다. 인규는 키가 훤칠하고 수염이 아름답고 모습이 빼어났으며, 행동도 단정하고 장중하므로, 선발하여 사신을 접대하게 한 것이다.
|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1124년)에 김경용과 그 아들 김인규에 대하여 이렇게 기록하였다.
“김경융(고려사에는 김인규의 부친이 김경용(金景庸)으로 되어 있다)은 숙종 때의 태보수중서령인데, 인규는 바로 그의 아들이다.
숙종의 부친 문종이 김씨의 딸을 맞이하였으므로 인종은 김인규를 외숙으로 존대했다.
한교여 등이 반역하였을 때 이자겸이 인종을 보호하여 반역의 무리들을 베었다. 그때 김인규가 참여하여 공이 있었기 때문에 사공(司空)으로 승진시켜 중추부에 있도록 했다.
김인규는 풍채가 좋고 수염이 아름다우며 모습은 특이하게 빼어났고 행동은 단정하였다” 서긍, 고려도경, p.141, 지평(2005년)
“문종이 김씨의 딸을 맞이하였으므로 숙종은 김인규를 외숙으로 존대했다”
|
김인규 : 고려 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안산(安山). 아버지는 중서령 김경용(金景庸), 처는 개주군부인(開州郡夫人)으로서 좌복야참지정사 왕하(王嘏)의 딸이다. 아들로 김지효(金之孝), 김지우(金之祐)가 있으며, 이자겸(李資謙)의 아들 이지언(李之彦)을 사위로 두었다.
[활동사항] 김인규는 키가 훤칠하고 수염이 아름답고 모습이 빼어났으며, 성품이 너그러웠고 다른 사람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꺼렸다. 또 행동도 단정하고 장중하므로, 권세를 믿고 남에게 교만하지 않았다 한다. 예종 때 문과를 통해 벼슬길에 올랐다. 1117년(예종 12) 6월 급사중추밀원좌승선겸태자좌찬선(給事中樞密院左承宣兼太子左贊善)이 되었다. 1122년 2월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가 되었으며, 이어 지주사(知奏事)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진사 나경순(羅景純) 등 31인의 급제자를 선발하였다.
1122년 4월 예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자 예종의 총애를 받았던 한안인(韓安仁)은 이자겸과 대립하게 되었는데 같은 해 12월 이자겸 일파는 인종의 작은아버지인 대방공(帶方公) 왕보(王俌), 한안인, 문공인(文公仁) 등이 역모를 꾀했다며 주모자와 그 일당 50여 명을 살해하거나 유배보냈다. 이때 김인규는 사돈 이자겸 편에 서서 한안인의 제거에 참여하였다. 그 공로로 사공(司空)에 오르고 중추부사가 되었으며, 인종이 외삼촌으로 존대할 정도로 신임하였다.
1123년(인종 1) 동지추밀원사로서 송나라의 사신 서긍(徐兢) 등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1124년 검교사공이부상서지문하성사(檢校司空吏部尙書知門下省事)가 되고 이듬해 참지정사로 승진하였다. 1126년 이자겸의 난이 실패로 돌아가자 사위 이지언의 장인으로 연좌되어 지춘주사(知春州事)로 좌천되었다. 이때 누이의 남편인 이숙(李璹)이 김인규의 집을 차지하고 재산과 노비를 빼앗았는데, 김인규가 곧 복직되어 돌아오자 재산을 사이에 두고 다투게 되었다.
이숙은 아들 이온경(李溫卿)을 시켜 김인규의 모반을 무고하는 투서를 어사대(御史臺)에 넣다가 발각되어 처벌을 받았다. 1135년 3월에 호부상서로서 예부낭중 왕창윤(王昌胤)과 함께 금나라에 가서 희종(熙宗)의 즉위를 축하하고 돌아왔다. 1141년(인종 19) 수사공좌복야참지정사(守司空左僕射參知政事)를 지내고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고려도경(高麗圖經)』 • 『안산김씨족보(安山金氏族譜)』 • 김윤곤, 「이자겸의 세력기반에 대하여」(『대구사학』10, 대구사학회, 1976) • 신수정, 「고려시대 경원이씨 가문의 정치적 변화에서의 혼인망」 (『한국사학보』21, 한국사학회, 2005)
출처 : http://ansan.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2500552
여성구 (국민대학교 한국고대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거나 붙임 파일을 열어서 보셔도 됩니다.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
고려도경 [高麗圖經]
이칭별칭 : 선화봉사고려도경
유형 : 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고문헌, 역사서, 견문록
편저자 : 서긍
제작시기 : 1123년(인종 1)
권수·책수 : 40권
간행·발행·발급자(처) : 중국 송
고려도경 : 1123년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지은 책
정의
1123년(인종 1)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이 지은 책.
개설전40권. 정식명칭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인데, 흔히 줄여서 『고려도경』이라 부르고 있다.
책의 명칭에서 보듯이, 1123년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고려에 와서 견문한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이라 칭하였다.
편찬/발간 경위서긍은 개성에 한 달 남짓 머무르는 동안, 그의 견문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지었다.
책은 모두 28문(門)으로 나누었고, 다시 300여 항으로 세분하였다. 형상을 그릴 수 있는 것은 먼저 글로써 설명하고 그림을 덧붙이는 형식을 취하였다.
서긍은 돌아가, 곧 이 책을 만들어 휘종에게 바치고 그 부본을 집안에 두었다. 휘종은 책을 보고 크게 기뻐해 동진사출신(同進士出身)을 내리고, 지대종정승사(知大宗正丞事)로 발탁하였다.
서지적 사항1126년(인종 4) 금나라가 송나라의 수도 개봉(開封 : 汴京)을 함락시킬 때, 휘종에게 바친 정본이 없어졌다. 1167년(의종 21) 서긍의 조카 천(蕆)이 서긍의 집에 있던 부본에 의거해서 징강군(澂江郡)에서 간각(刊刻)하였다.
그 부본에는 그림이 없었기 때문에 그림이 없는 도경이 되고 말았다. 이 간본은 간행의 연대·장소에 따라 ‘건도각본(乾道刻本)’ 또는 ‘징강본(澂江本)’이라고도 한다. 고려 인종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청나라 때 포정박(鮑廷博)이 편찬한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에 이 책을 수록·간행하면서 비롯되었다.
포정박은 발문에서 ‘건도(建都) 3년에 간행된 송판본과 간행 연대 미상의 고려본이 있으나 볼 수가 없고, 세상에 유전하는 것은 명나라 말기의 정휴중(鄭休仲)의 중간본(重刊本 : 鄭本)뿐이다.
이 정본(鄭本)은 탈자가 수천자에 달하고, 또 착간(錯簡)으로 읽을 수 없는 부분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그 간본이 좋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하여 포정박은 자기 소장의 사본과 정본을 참합(參合), 간행하였다. 그러나 그 지부족재본도 미비한 점이 많았다. 그는 발문에서 송판본의 출현을 기다려 그 잘못을 바로잡겠다는 말로써 아쉬움을 표하였다.
1910년대 초 일본인들의 조선고서간행회에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활인(活印)하였고, 1932년 일본인 학자 이마니시(今西龍)가 『조선학총서(朝鮮學叢書)』의 하나로서 활인하였는데, 역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하였다.
또한 건도 3년에 간행된 송판본 한 질을 소장하고 있던 중국 북경(北京)의 고궁박물원(故宮博物院)에서 1931년 『천록임랑총서(天祿琳琅叢書)』 제1집의 하나로서 영인하였다.
이것은 현재 미국 하버드대학의 합불연경도서관(哈佛燕京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1970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에서 그것을 다시 영인, 널리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의의와 평가이 책은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송나라 사람으로서 고려에 관한 기사를 남긴 것으로는 오식(吳栻)의 『계림기(鷄林記)』(20권), 왕운(王雲)의 『계림지(鷄林志)』(30권), 손목(孫穆)의 『계림유사(鷄林類事)』(3권)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완전히 없어졌거나 겨우 그 일부분만이 전하고 있을 뿐이어서 『고려도경』이 가지고 있는 사료적 가치는 매우 높다.
다른 고려사 관계자료들에서는 볼 수 없는 귀중한 기사를 많이 수록하고 있으며, 특히 고려 인종 때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사회가 중국인의 눈에 어떻게 비쳤으며, 또 어떻게 중국과 비교되고 특색지어졌는가를 이해하는 데 긴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잘못 이해하고 서술한 부분도 적지 않다. 따라서 이 자료의 이용에는 반드시 엄밀한 검토 및 비판과 취사선택이 곁들여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고려도경(高麗圖經)』(이화사학연구소영인본, 1970)
------------------------------------------------------
《고려도경》(高麗圖經)은 송나라의 사신 서긍(徐兢, 1091년 ~ 1153년)이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다. 원명은 송 휘종의 연호인 선화(宣和, 1119년~1125년)를 넣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라고 하며, 이를 줄여서 《고려도경》이라고 한다.
선화봉사고려도경
배경
1123년(선화 5년)[1] 서긍은 휘종 황제의 명을 받고 고려 예종의 조의를 위해, 정사 노윤적(允迪), 묵경(墨卿)과 함께 사신으로 파견된다.[2]
그들은 예성강 하구 벽란도를 통해 배를 타고, 입국하여 고려의 도성인 개경에 있는 사신의 숙소인 순천관에서 몇 개월을 머물다가 중국에 돌아온 후 다음 해 1124년 선화 6년 8월 6일[2] 이 책을 완성하고, 황제에게 보고서 형식으로 바친 책이다.[3]
원래 글과 그림이 같이 있어 도경(圖經)이라 한 것이나, 1126년 정강의 변을 거치며 완전판은 소실되었고, 1167년 송 효종 건도 3년 서긍의 조카인 서천(徐蕆)이 이 책을 다시 간행했지만, 그림은 없어지고 글만 전한다.[4]
전 40권으로, 고려 시대 당대의 자료라는 점에서, 고려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군사, 예술, 기술, 복식, 풍속 등등의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내용
1124년(선화 6년) 8월 6일 지어진 서문에는 고려 예종(王俁)의 조위를 위한 사신단에 도적(圖籍, 지도, 그림 등)의 수집 제작을 위해 고려로 간다는 목적을 기술하고 있다. 중국과 다른 풍속 등 300여 조를 수집하여 책 40권으로 만들었고, 그림과 주석을 달아 《선화봉사고려도경》이라는 이름을 지었다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 또한 참고 서적인 《계림지》(鷄林志) 등을 참고 하여 건국부터 풍속 등까지 내용을 소개하고, 작업 과정 등을 설명하였다.
제1권에는 고려의 건국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여기서 고려란 고구려를 말하며, 기자의 제후라고 밝히고 있다. 이 고려도경에서는 고려의 선조가 주나라 무왕이 봉한 기자 서여(胥餘)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어 주나라, 진나라를 지나 한나라 고조 12년 연나라 사람 위만이 무리를 모아 오랑캐를 복속하고, 조선 땅을 차지하였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부여에서 주몽이 등장하여 고구려라고 부르며, 국명을 고려라고 했다고 주장한다. 건국(建國) 부분에는 고씨의 고려(고구려)의 건국부터 멸망까지 설명하고 있다.[출처 필요][5]
제2권 세차(世次)에는 또한 왕씨가 등장하여 당시까지의 고려 왕의 계보를 설명하고 있다. [6]
제3권 성읍(城邑), 봉경(封境)에서도 모든 역사관의 중심을 기자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종묘와 사직 등의 배치가 기자가 봉작을 받은 옛 땅이어서, 중화의 풍속과 습관이 전해오고 있다고 주장한다. [7]
제8권 인물 편에는 북송을 중심으로 동남쪽 이적(夷狄)들 중에는 고려의 인재(人材)가 가장 왕성하다고 소개하고 있는데, 척준경 등 만났던 벼슬아치들의 이름과 이자겸, 윤언식, 김부식, 김인규, 이지미 등은 따로 소개를 하고 있다.
제16권에는 국자감(國子監)을 비롯한 약국(藥局), 창름(倉廩), 영어(囹圄), 부고(府庫) 등의 인상적인 용도의 건물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고려는 다른 모든 물품은 물물교환을 통하여 교역을 했지만, 약을 사는 것은 반드시 전보(錢寶)를 통해서 하였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제17권 사우(祠宇)에서는 팔관재 행사를 설명하며, 이 의식이 극히 성대하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는 정국안화사(靖國安和寺),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 흥국사(興國寺), 국청사(國淸寺) 등의 사찰과 숭산묘(崧山廟), 동신사(東神祠), 오룡묘(五龍廟) 등의 사당을 소개하고 있다.
제23권 잡속2 한탁(澣濯)에는 고려인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여 자주 씻고, 중국인들의 더러운 위생상태를 비웃으며, 남녀가 시내에서 혼욕을 하였도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라는 기록이 나온다.[8] 어(漁)에는 미꾸라지(鰌), 전복(鰒), 조개(蚌), 진주조개(珠母), 왕새우(蝦王), 문합(文蛤), 붉은게(紫蟹), 굴(蠣房), 거북이다리(龜脚), 해조(海藻), 다시마(昆布)는 귀천없이 잘 먹는 해산물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32권에는 기명 3(器皿 三)에서는 다기(茶俎), 술독(瓦尊), 등잔(藤尊), 도로(陶爐), 밥그릇, 옹기 등의 자기와 그릇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9]
목차[편집]
제1권 건국 建國
제2권 세차 世次
제3권 성읍 城邑
제4권 궁궐문 門闕
제5권 궁전 宮殿 1
제6권 궁전 宮殿 2
제7권 관복 冠服
제8권 인물 人物 이자겸 / 윤언식 / 김부식 / 김인규 / 이지미
제9권 의례용품 儀物 1
제10권 의례용품 儀物 2
제11권 의장대 仗衛 1
제12권 의장대 仗衛 2
제13권 병기 兵器
제14권 기치 旗幟
제15권 수레와 말 車馬
제16권 관부 官府
제17권 사우 祠宇
제18권 도교 道敎
제19권 백성 民庶
제20권 부인 婦人
제21권 하급 관리
제22권 풍속 雜俗 1 궁정의 화톳불 / 초롱을 잡는 관리 / 시간을 알려주는 관리 / 고려 연회 / 공무 수행 / 답례 / 급사 / 말타는 부인
제23권 풍속 雜俗 2 한탁(澣濯, 목욕과 세탁)
종예(種蓺, 농업)
고기잡이
땔감
기록(刻記)
도축(屠宰)
무료 급식(施水)
토산품(土産)
토산품으로는 소나무, 인삼, 더덕, 복령과 같은 약재나 나물과 같은 것과 모시, 삼베옷, 비단, 모직물 등의 천 그리고 구리와 같은 광물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나전칠기와 같은 것은 세밀하고, 귀하다고 찬사를 한다. 밤이 복숭아만하며, 달고 맛있고, 사과나 참외, 복숭아, 배, 대추와 같은 것은 맛이 없고, 작다고 기록하고 있다.
제24권 사절의 행렬 節仗
제25권 조서를 받는 절차 受詔
제26권 연회 의례 燕禮
제27권 관사 館舍
제28권 장막류 供張 1
제29권 장막류 供張 1
제30권 생활용기 器皿 1
제31권 생활용기 器皿 2
제32권 생활용기 器皿 3
제33권 배 舟楫
제34권 바닷길 海道 1
제35권 바닷길 海道 2
제36권 바닷길 海道 3
제37권 바닷길 海道 4
제38권 바닷길 海道 5
제39권 바닷길 海道 6
제40권 동일한 문물 同文
주석
1.↑ http://www.epochweekly.com/b5/015/2931.htm
2.↑ 가 나 宣和奉使高麗圖經序
3.↑ 李仙竹《古代朝鮮文獻解題》,54-55頁
4.↑ 중국어 위키번역
5.↑ 선화봉사고려도경 제1권
6.↑ 선화봉사고려도경 제2권
7.↑ 선화봉사고려도경 제3권
8.↑ “[커버스토리/목욕탕한국 목욕의 역사]”, 《동아일보》,
2003년 9월 4일 작성.
9.↑ 선화봉사고려도경 제 32권, 기명3(器皿 三)
10.↑ 타이완 국립 고궁박물원 출처 : 위키백과
---------------------------------------------------
《고려도경(高麗圖經)》해제(解題)
차주환(車柱環)
서긍(徐兢, 1091~1153)의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하《고려도경》이라 약칭함) 40권은 그가 송 휘종(宋徽宗)이 파견한 고려에의 국신사(國信使) 일행에 제할인선예물관(提轄人船禮物官)으로 개경에 다녀간 경과와 견문을 그림을 곁들여서 엮어 낸 사행보고서다.
서긍이 개경을 다녀간 것은 선화 5년(1123, 고려 인종1)으로, 북송이 금(金)에 멸망되기 4년 전이고 고려 예종(睿宗)이 훙거하고 인종(仁宗)이 즉위한 이듬해다.
서긍의 평생은 본서에 부록된 장효백(張孝伯)이 작성한 그의 행장에 극히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되풀이하지 않기로 하겠다. 다만 서긍은 가학(家學)의 연원(淵源)도 있고 해서, 서화(書畵)에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었던 점은 간단하게나마 보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송대 초기에 중국에서 전자(篆字)를 잘 쓰기로 이름을 떨치고 그림에도 뛰어난 솜씨를 보였던 서현(徐鉉, 916~991)이 바로 서긍의 조상이다. 서긍은 어릴 때부터 집안에서 서현의 후신으로 인정을 받기도 하였고, 그 자신 서화에 취미가 있기도 해서 그 방면에 많은 힘을 기울였다.
마침내는 휘종 앞에서 ‘진덕수업(進德修業)’ 네 글자를 기세 좋게 휘호하여 탄상을 받고, 동진사출신(同進士出身)이 내려져 지대종정승사(知大宗正丞事)로 발탁되어 장서학(掌書學)까지 겸임하게 되었다.
이러한 탁월한 서예의 소지자로 그림에도 비범하여, 그의 그림은 신품(神品)의 경지에 들어간 것으로 칭송되었고 특히 산수와 인물 두 가지에 있어서는 당대에 으뜸갔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렇듯 서화에 있어 거장의 경지에 육박해 있던 서긍이었으므로, 단시일의 사행 기간 중에 《고려도경》같은 내용이 풍부하고 관찰이 예리한 보고서를 그림과 글씨로 편성해 낼 수 있었던 것이라 하겠다. 어부(御府)에 바친 것으로 전해지는 《고려도경》의 원본은 그 내용을 차치하고서라도 하나의 드문 예술품이었을 것이다.
《고려도경》의 원본은 1126년 이른바 정강(靖康)의 난리로 금군(金軍)에게 북송의 수도가 유린되는 분란 속에서 가석하게도 없어져 버리고 말았다.
한편 서긍은 중국 고전의 학술적인 연구에는 취미가 없었으나 독서를 좋아하여, 고금의 전적을 거의 유루 없이 섭렵한 나머지 대단히 박식하여져서, 역사와 장고(掌故)에 밝아 매사를 보는 눈이 남달리 예리하였다.
그래서 그는 개경에서 1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을 체류하면서 공식적인 행사에 몰리고 행동에 제약을 받는 가운데서, 《고려도경》을 엮어 낼 만한 자료를 면밀 주도하게 수집할 수 있었던 것이라 여겨진다. 그는 사절단으로 수행하는 동안 일기의 형태로 소묘(素描)와 비망기를 적어 두었으리라 짐작된다.
당시 중국 북방의 대부분의 지역은 금제국(金帝國) 치하에 있었으므로, 북송에서 고려에 사절단을 파견할 경우에 육로는 이용할 수 없고 해로로 황해를 건너가야 했었다. 그것도 산동 방면의 항구에서 떠나는 짧고 안전한 항로가 아니라, 지금의 절강성 연안의 항구에서 떠나 황해의 폭이 넓은 부분을 건너 전라남도 근해에 와서 다시 예성항까지 북상하는 우회 노선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송 휘종은 본래 선화 4년(1122, 고려 인종 즉위년) 3월에 노윤적(路允迪)과 부묵경(傅墨卿)을 국신소의 정사ㆍ부사로 하여 사절단을 고려에 파견하기로 하였으나, 고려 예종의 훙거를 알게 되어 동년 9월에 제전(祭奠)ㆍ조위(弔慰)의 임무까지 그들에게 겸임시켰다.
노윤적을 정사로 하는 고려행 사절단 일행은 그 이듬해 2월부터 사행 준비에 착수하여 3월 14일에 배편으로 수도 변경(汴京 지금의 개봉(開封))을 떠나 5월 4일에 지금의 절강성 근현(鄞縣) 땅인 명주(明州)에 도착하였다. 거기서 사절단을 위해 특별히 건조한 관선(官船)인 신주(神舟) 2척과 민간 소유 선박인 객주(客舟) 6척, 도합 8척으로 선단을 짜고 인마와 예물을 비롯하여 각종 장비와 물품을 적재하여 출항 준비를 했다.
이 사절단은 정ㆍ부사를 정점으로 하여 상ㆍ중ㆍ하 3절(節)로 구성되었고, 실지의 사무는 도제할관(都提轄官)이 관장하여 처리하였는데, 뱃사람들까지 합하면 2백 인을 돌파하는 큰 규모의 것이었다.
이 사절단을 실은 선단이 명주를 떠난 것은 5월 16일이었고, 동 24일에 정식으로 바닷길로 나서서 28일에 큰 바다로 들어가, 7일간의 거센 항해를 하여 6월 6일에 군산도(群山島)에 당도하였다.
다시 6일간의 항행 끝에 예성항에 입항하여 6월 12일에 개경으로 들어가 순천관(順天館)에 입주하였다. 그 후 약 1개월 동안 공식 행사를 끝내고 사절단은 7월 13일에 개경을 떠나 다시 배에 올랐는데, 풍세가 좋지 않아 42일 만에 명주로 돌아갔다.
명주를 떠났다가 명주로 되돌아오는 데 대략 3개월이 걸렸다. 다소의 과장이 없지는 않겠지만, 서긍의 서술에 따르면 사절단 일행은 황해를 횡단 내왕하는 항해 중에 극심한 고생과 많은 위험을 겪어야 했다.
제34권부터 39권까지의 6권은 ‘해도(海道)’라는 대제 하에 사절단 일행의 항해를 일지의 성격을 띠어 서술한 것이다.
《고려도경》을 어부(御府)에 바친 일이 언급된 서긍의 자서(自序)는 선화 6년 8월 6일로 되어 있다. 그가 고려를 다녀간 후 약 1년 만에 《고려도경》의 저술을 완결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림과 글씨를 다 서긍 자신이 직접 그리고 쓰고 한 것이어서, 장효백의 행장에 따르면, 그것을 열람한 휘종을 대단히 기쁘게 만들 수 있었고 또 그 일로 인해 서긍의 지위와 관직이 더 올라가게 되었다 한다.
《고려도경》 40권은 29류로 나누어져 있고, 그 아래에 3백여 목으로 세분되어 있다. 그리고 29류의 제하에는 그 내용에 해설하는 서문 형식의 글이 있고, 세목에 가서 역시 분제(分題)를 제시하고 설명을 달았다. 29류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1. 건국(建國) 2. 세차(世次) 3. 성읍(城邑) 4. 문궐(門闕) 5. 궁전(宮殿, 2권) 6. 관복(冠服) 7. 인물(人物) 8. 의물(儀物, 2권) 9. 장위(仗衛, 2권) 10. 병기(兵器) 11. 기치(旗幟) 12. 거마(車馬) 13. 관부(官府) 14. 사우(祠宇) 15. 도교(道敎) 16. 석씨(釋氏 도교와 석씨는 모두 제18권에 포함) 17. 민서(民庶) 18. 부인(婦人) 19. 조례(皁隷) 20. 잡속(雜俗, 2권) 21. 절장(節仗) 22. 수조(受詔) 23. 연례(燕禮) 24. 관사(館舍) 25. 공장(供張, 2권) 26. 기명(器皿, 3권) 27. 주즙(舟楫) 28. 해도(海道, 6권) 29. 동문(同文)
3백여 종에 달하는 세목에는 대체로 그림이 그려져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그렇다고 그 전부에 그림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가 분명하게 그림은 생략한다고 말한 데가 몇 군데 있다.
이를테면 제40권 ‘동문(同文)’의 서문 말미에 ‘그 그림은 생략한다.[省其繪畫]’ 한 것이라든지, 제17권 ‘사우(祠宇)’의 제6목인 왕성내외제사(王城內外諸寺)의 설명문 끝에 ‘그 그림은 생략하고 그 이름들을 여기에 싣는다.
[略其圖而載其名焉]’ 한 것은 그 뚜렷한 예들이다. 그 밖에도 확실하지는 않으나, 제1권 ‘건국(建國)’의 시봉(始封), 제2권 ‘세차(世次)’의 왕씨(王氏) 등 그 내용으로 보아 본래부터 그림이 없었던 곳도 없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서긍은 《고려도경》의 부본을 한 부 만들어 자기집에 보관하고 있었으나, 한마을 사람 서주빈(徐周賓)이라는 자가 그것을 1127년 초 정강의 난리 직전에 빌려가서 반환하지 않은 채로 난리를 당해, 그 부본마저 소재불명이 되고 말았다.
그 후 10년째 되던 해에 지금의 강서성(江西省) 남창현(南昌縣)의 땅인 홍주(洪州)에서 그 부본이 발견되었으나, 낙결(落缺) 없이 그림과 글씨가 완전한 것은 단지 해도(海道) 부분의 2권뿐이었다.
그러나 그때에도 어떤 경로였는지는 몰라도 《고려도경》의 문자 부분은 전사(傳寫)되어 세상에 유통하였던 것 같아서, 서긍이 그의 장질(長姪)인 서천(徐蕆)에게 ‘세상에 전해지는 내 책은 왕왕 그림은 없어지고 경문이 남아 있다.
내가 후에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한 말이 건도본(乾道本) 발문에 보인다. 그러나 서긍은 그림 그릴 비단을 펼쳐 놓고도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한 해가 지나가도 화필을 잡지 않는 성벽의 소유자여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마음이 안 내켜서였던지 그는 《고려도경》의 그림을 다시 그려 놓지 않고 말았다.
그래서 결국 《고려도경》은 서명에만 ‘도(圖)’ 자가 남아 있고 본제의 그림은 전연 전해지지 않게 되어 버렸다.
서천은 그의 중부 서긍이 세상을 떠난 지 13년 후인 건도(乾道) 3년(1167, 고려 의종21)에, 《고려도경》을 그 문자 부분이라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지금의 운남성(雲南省) 징강현(徵江縣)의 땅인 징강군의 군재(郡齋)의 인화조씨소산당(仁和趙氏小山堂)에서 서긍의 자서(自序)와 장효백의 서긍행장 및 서천의 발문을 붙인 40권본의 《고려도경》을 판각해 냈다.
이것이 《고려도경》의 송본(宋本)으로, 건도본이라고도 부른다. 이 건도본이 지금 전해지는 《고려도경》으로서는 가장 오래되고 의거할 만한 판본이다. 그러나 이 건도본은 오랫동안 세상에 유통되지 않아, 청대 중기의 대장서가인 포정박(鮑廷博, 1728~1814)조차도 그 원본의 소재를 모르고 있었다.
그런데 요행 건도본의 완질 하나가 청 고종, 즉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5) 때 궁중 송ㆍ원ㆍ명 선본의 장서처인 천록임랑전(天祿琳瑯殿)에 보존되어 내려왔다.
청실의 서화골동과 고완진보(古玩珍寶)를 인계, 관리하게 된 고궁박물원(古宮博物院)에서 천록임랑총서의 하나로 중화민국 20년(1931)에 이 송 건도본 《고려도경》의 영인본을 발간하였다.
그 후 이 영인본도 희귀해져서 대만으로 옮겨간 고궁박물원에서 중화민국 63년(1974)에, 다시 원장 장복총(蔣復璁) 박사의 서문과 서지학자 창피득(昌彼得) 교수의 발문을 추가하여 원본에서 새로 찍은 선명한 영인본을 발간하였다.
이 3책으로 된 영인 건도본 《고려도경》에는 ‘건륭어람지보(乾隆御覽之寶)’를 비롯한 7종의 홍색 장서인이 각 책마다 찍혀 있다.
고려본의 《고려도경》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나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건륭 58년(1793, 조선 정조17)에 포정박이 그의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의 하나로 《고려도경》을 간행하였다.
이 지부족재본은 포정박의 가장본(家藏本)을 저본으로 하여 명말에 해염(海鹽) 사람 정휴중(鄭休中)이 낸 중간본과 참합(參合)한 것으로, 정휴중의 중간본은 초록송본(鈔錄宋本)과도 대교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근세에는 이 지부족재본의 《고려도경》이 널리 통행되었다. 이 밖에 금세기 초엽에 일본에서 지부족재본을 저본으로 하여 건도본을 참교한 근대식 활자본 《고려도경》이 나와 광범하게 유통되었다. 그러나 이 활자본은 건도본과의 대교가 철저하지 않고 베풀어진 구두점에 착오가 적지 않다.
고려 시대를 연구하는 데 있어 자료가 풍부하지 못한 상황에 놓여 있는 우리에게는, 북송 때의 중국인에 의해 저술된 것이라고는 하지만, 이 《고려도경》이 오늘날까지 보존되었다는 사실은 어떤 의미로서든 다행한 일이다.
당시 북송은 북쪽으로는 요(遼)와 금(金)의 무서운 압박을 받고 있었고 서남쪽으로는 서하(西夏)가 독립국으로 버티고 있어, 한족(漢族)의 국가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중국을 지배하는 입장에는 놓여 있지 않았다. 그러하였기 때문에 휘종 치하의 북송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고려의 지지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휘종은 정화(政和, 1111~1117) 연간에 고려와의 교빙을 요와 대등한 국신(國信)의 수준으로 제고시켜, 그 업무를 국신소로 이관했던 것이다. 그리고 고려의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과명(科名)을 주어 돌려보내기도 하였다.
한편, 서긍이 보고 간 고려는 인종 치하에 있었기는 하나, 예종이 16년 동안 경영하여 안정시켜 놓은 데서 크게 변화하지 않은 상황을 유지하고 있었다.
예종은 육지로 연접해 있는 요와 금을 적절하게 조종해서 국내의 안정을 기하기를 꾀하고, 북송과 교빙하여 문치의 터전을 닦기에 힘써 볼 만한 치적을 올렸다.
예종은 강성해지는 여진족을 초기에는 무력으로 제압하는 정책을 써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고,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가 칭제하여 금제국을 세우고부터는 그 세력이 강성하여지지 못하게 하는 방도를 강구하기에 부심하였다.
예종은 거란의 요와 여진의 금이 힘의 평형을 이뤄서 북송을 포함한 네 나라가 균형을 유지하면서 공존하게 되기를 바랐었다. 그런데 북송의 휘종은 요에 대한 굴욕을 씻기 위해 신흥 세력인 금과 협력하여 요를 타도하려고 했다.
예종은 그 일을 알아차리고 그의 재위 말년(1122)에 중국의 의관(醫官)을 통해 휘종에게 요를 타도하려는 계획을 포기하도록 종용하기도 하였다.
휘종은 그 후 고려 예종의 종용을 무시하고 금과 함께 협공하여 요를 멸망시켰고, 또 그렇게 해서 강성해진 금에 의해 북송도 망국의 화를 입고, 휘종 부자는 북으로 잡혀가 버리는 참변을 당했다.
예종 11년(1116)부터는 고려에서는 요의 연호 사용을 중지하고 간지기년(干支紀年)을 실시하면서 송ㆍ요ㆍ금과는 그야말로 등거리 외교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의 고려의 실정을 보고한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고려를 마치 북송의 복속국가를 다루는 듯한 어투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국력이 대단치 않고 점유한 영토도 퍽 작았던 북송은 당시 말로라도 허세를 부리지 않을 수 없는 입장에 놓여 있었다.
이것은 북송의 학자나 정치가들이 이른바 정통론(正統論)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짙은 낭만적 색채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과 비슷한 심리가 작용한 소치라고 이해된다.
고려는 당시 15세의 소년 국왕인 인종 치하에 있었으나, 북송의 사절단을 맞이하는 규모와 방법이 극히 엄연하였고, 사절단을 극력 환대하면서도 사절 인원이 방자하게 굴지 못하도록 절도 있게 조종하였다.
서긍은 고려에 와서 주로 개경에 머물러 있었고 또 개경은 고려의 수도였으므로, 《고려도경》에는 자연 개경을 중심으로 한 기사가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는 《고려도경》 첫머리에 ‘건국’과 ‘세차’ 두 권을 두어, 고려족의 건국전세(建國傳世)의 개략과 상고 이래 중국과의 접촉 상황을 간단하게 적어서 전체의 실마리로 삼았다.
건국에 관한 기사는 제사(諸史)를 참고해서 작성하였다고는 하였으나 오늘날에 와서 본다면, 그 중에 참고되는 부분이 전무하지는 않지만, 사실(史實)을 왜곡하였거나 사실과 맞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고려를 고구려와 연결시켜 이해하려고 하여 혼동을 일으켰고, 삼국의 정립과 통일신라 내지는 후삼국 등에 관해서는 극히 무식하였음을 나타냈다.
다만 발해를 고구려의 후예로 보고 고려와의 동족성 내지는 연계성을 의식하는 듯한 서술은, 《오대사(五代史)》 사이전(四夷傳)의 발해 부분을 적기한 것이기는 하나 다소간 시사를 던져 주는 점이 없지 않을 것 같다. 소년 국왕 인종을 성인(成人)의 풍도가 있어 동이(東夷)의 현왕(賢王)이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이 주목을 끌기도 한다.
서긍은 제3권 ‘성읍’의 서문에서, ‘그 땅에 들어가면 성곽이 우뚝하여 사실 깔보기 어렵다.’라고 개경에 들어오면서 다소간 위압을 느낀 듯한 말을 했다. 그는 고려의 강토와 군읍(郡邑)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상세하지는 않고, 개경의 형세와 도성 및 황성의 성문ㆍ문궐(門闕)ㆍ궁전 등에 걸쳐 중점적으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고려사》 지리지 등 우리의 자료에서 볼 수 있는 규모가 완전히 파악되어 있지는 않으나, 직접 관찰한 기록이어서 우리 자료에서 볼 수 없는 사실을 보존한 의의가 크다.
일례를 들면, 장령전(長齡殿)은 건덕전(乾德殿)의 동자문(東紫門) 안에 있는, 규모가 건덕전을 능가하는 전각인데, 거기서 중국 사신의 도착 통지의 서한을 받고 중국 상인들이 오면 역시 거기서 그들의 물품을 헌납 형식으로 받고, 그 가치를 따져서 방물(方物)로 그 가치의 수배에 상당하게 그들에게 보상해 준다는 것이다.
관부(官府)는 서긍이 가 본 곳이 적어서였던지 창고ㆍ약국ㆍ감옥 등을 포함한 6종만을 기술했다. 다만 그 기사를 통해 관록(官祿)ㆍ의약ㆍ형벌 등에 관한 당시의 실제 상황을 추측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서긍은 고려의 인물을 소개하는 데 있어, 서문에서 지전주(知全州) 오준화(吳俊和)를 위시한 관원 57인을 직함과 함께 나열하고서, 이자겸(李資謙)ㆍ윤언식(尹彦植)ㆍ김부식(金富軾)ㆍ김인규(金仁揆)ㆍ이지미(李之美)의 5인을 개별적으로 소개하였다.
이 5인은 당시 문벌귀족의 인물로, 이자겸ㆍ지미 부자(父子)가 끼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자겸을 현신(賢臣)이라고 말해 놓고 그의 탐욕 치부하는 상황에 언급하여 가석하다고 맺었다. 그리고 김부식을 당시의 고려에서 으뜸가는 문장으로 소개하였다. 서긍에게 비친 당시 고려 인물의 면모라고 하겠다.
국왕의 관속과 의장 물건을 비롯하여, 황성을 중심으로 한 개경의 경비를 담당하는 친위부대의 규모와 무기 및 거마에 이르는 제반 사항을 비교적 주도하게 기술하고 있다. 《고려사》의 여복지(輿服志)에 따르면, 요ㆍ금ㆍ송에서 각기 국왕의 관복을 보내 주었다.
그러한 연유로 국왕의 관복은 자연 중국풍이 짙어졌던 것으로서, 서긍의 기술에도 그 점이 지적되어 있다. 평시에는 국왕도 서민과 다름없이 조건백저포(皁巾白紵袍), 즉 검은 두건에 흰 모시 웃옷을 입는다고 하였는데, 서긍이 그것을 목격하지는 못하고 전문을 기록한 데 불과하였을 것이다.
국왕의 의장 물건 12종, 의장대 18종, 병기 8종, 기치 7종, 거마 7종이 각각 소개되어 있는데, 《고려사》 여복지의 의위(儀衛)에 열거되어 있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만 각종 의장 물건의 형제(形制)와 용도가 설명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당시 도성을 수비하는 친위부대의 병력이 상시 3만을 유지한다고 하였다. 당시의 인구나 국력으로 보아 규모가 큰 편에 속한다.
고려에서는 국가의 종교로 불교와 도교가 신봉되었으나, 도교의 규모는 불교의 그것에 미치지 못했다. 개경에는 불교 사원이 많았는데, 서긍은 사원에 관심이 컸던 것 같아서 짧은 체류 기간 중에 28개소에 달하는 사원을 답사하였다. 그 중에서 정국안화사(靖國安和寺)를 가장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안화사는 예종이 창건한 사원으로, 당시 고려에서 가장 웅장ㆍ미려한 것으로 알려졌고, 송 휘종도 이 절의 건립 소식을 듣고 사신을 시켜 건축비ㆍ불상ㆍ어서 전액(御書殿額)ㆍ채경(蔡京)의 사명문액(寺名門額) 등을 보내주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송 휘종과의 인연도 있고 하여, 사절단 일행은 안화사를 찾아가 휘종의 글씨가 수장되어 있는 어서전(御書殿) 아래서 배례하고서 불승들을 공양하고 복을 빌고 돌아갔다. 서긍은 불승의 의복제도에 관해서도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했다.
한 가지 주목되는 것은, 법안종(法眼宗) 일파가 중국에서 동래하여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것으로 말한 점이다.
법안종은 중국의 건업 청량사(建業淸涼寺)의 법안 문익(法眼文益)에 의해 전해진 선종(禪宗)의 일파로, 화엄초지(華嚴初地) 중의 육상의(六相義)를 들어 삼계유심(三界唯心)과 만법유식(萬法唯識)을 종지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법안종의 전래에 대한 역사적 규명은 한 가지 흥미 있는 과제라고 하겠다.
또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당시의 불승 중에 중국어로 독경할 수 있는 자가 있어 서긍이 그것을 똑똑하게 알아들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범패(梵唄)는 우리말이어서 그가 전연 알아듣지 못했다.
다만 지금도 불가의 독경은 현토하지 않고 한자음만을 절주에 맞춰 낭송하는 것으로 미루어서, 서긍이 들은 중국어의 독경뿐만 아니라 당시 고려의 한자음으로 읽는 독경도 절주가 중국 독경의 그것과 별 차이가 없어서, 중국인도 대체로 알아들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고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승려의 계급으로는 왕사(王師)를 정상으로 하여, 국사(國師)ㆍ삼중화상대사(三重和尙大師)ㆍ아사리대덕(阿闍梨大德)ㆍ사미비구(沙彌比丘)ㆍ재가화상(在家和尙) 여섯을 들었는데, 그 중 재가화상이 가장 주목을 끈다.
서긍의 설명으로는 이들은 결코 승려가 아니고 머리털과 수염을 깎인 형여지역인(刑餘之役人)으로, 관가의 각종 노역에 복무하고 전시에도 출정하여 전투에 참여하는 자들이다. 품종(品從)이나 백정(白丁)을 두고 하는 말인지 분명하지 않다.
도교에 관해서는 복원관(福源觀)과 도사의 복장에 관한 기술뿐이다. 서긍은 서문에서 예종이 도록(道籙)을 받아 도교에 정식으로 귀의해서 불교 대신 도교를 국가의 종교로 올려놓겠다는 생각이 간절했다는 말을 했다.
이것은 고구려 말년의 연개소문의 종교 정책을 연상하게 한다. 예종이 도교에 대해 관심이 컸던 것에 비추어 볼 때 당시 고려 상하에 그런 말이 나돌고 있었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한편 또 서긍의 이러한 말은, 도교 황제인 송 휘종에 대한 일종의 아유적인 언사로 풀이될 수도 있다. 그런데 예종이 훙거하자 그의 장자인 인종이 이자겸의 힘으로 곧 즉위하였는데, 그해 12월에 예종의 도교 정책과 관련이 깊었던 한안인(韓安仁)과 이중약(李仲若)은 왕권을 위요한 갈등에 말려들어 피살되었다.
이러한 일 등을 가지고 본다면, 또 예종 생전의 도교로의 경도(傾倒)가 어떠한 의의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고도 여겨진다. 도불 이외에 각종 신사(神祠)에 관해서도 기술되어 있다.
서긍은 서민과 그 생활 전반에 관해서도 널리 관찰하였고, 그것을 5권의 편목을 써서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당시는 8세기 경의 과거였으나 오늘날과 유사한 성향 내지 풍습을 보여 주는 예가 적지 않았다. 민간에 팽배한 교육열을 그 한 가지 예로 들 수 있다.
제19권 ‘민서(民庶)’의 서문에서 ‘사민(四民)의 업 중에서 선비[儒]를 귀하게 여긴다. 그래서 그 나라에서는 글을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하였고, 제40권 ‘동문(同文)’의 유학(儒學)에서는 국자감 같은 국립 교육기관 이외에도 민간의 교육열의 대단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민간 마을에 경관(經館)과 서사(書舍)가 두셋씩 늘어서 있어, 그 백성들의 자제로 결혼하지 않은 자들은 무리지어 살면서 스승으로부터 경서를 배운다. 좀 장성하여서는 벗을 택해 각각 그 부류에 따라 절간에서 강습하고, 아래로 군졸과 어린아이들에 이르기까지도 향선생(鄕先生)한테서 글을 배우니, 아아, 훌륭하기도 하다.”
이러한 교육열은 과거에 급제해서 벼슬을 살아야겠다는 의욕의 표현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일반적으로 글을 모르는 것을 수치로 생각하는 정도였으므로 당시의 교육열은 대체적으로 볼 때, 우리 겨레가 문화를 애중하는 성향을 나타낸 것이 극히 오래 전부터임을 말해 주는 사례로 이해되어야 마땅할 것 같다.
여자가 아기를 등에 업고 물동이를 머리에 이고 다니는 풍경을 당시에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려인들은 깨끗해서 목욕을 자주 하고 중국인이 때가 많은 것을 웃곤 했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오늘날과 조금 다른 점도 없지 않았다. 황성의 긴 행랑에는 10칸마다 장막을 치고 불상을 설치하고서는, 큰 독에 숭늉을 채워 놓고 국자 따위를 마련하여 두어 오가는 사람이 귀천 없이 아무나 마시게 하고, 중이 그 일을 맡아 보게 하였다.
철저한 급수공덕의 실천이다. 물론 지금도 공원이나 유원지 같은 데에 수도가 마련되어 물을 마시게 해 주고 있지만 그 작풍이 판이하다.
당시의 고려에서는 공예를 숭상해서 그 기술자 중에 뛰어난 자들은 복두소(幞頭所)와 장작감(將作監)에서 일하게 하였고, 그들의 수입과 사회적 지위는 농민들이 따라가지 못했다. 공예품에 관해서는 제28권부터 5권에 걸쳐 ‘공장(工匠)’ㆍ‘기명(器皿)’이라는 두 가지 제목 하에 수십 가지 종류를 소개하고 있다.
서긍은 고려에서 청도기(靑陶器)를 소중히 여긴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곧 우리가 말하는 고려청자다. 그는 도기의 빛깔이 푸른 것을 고려인은 비취색이라 한다 하였는데, 그 만듦새는 솜씨가 좋고 빛깔이 더욱 좋아졌다고 말했다.
고려청자로 된 기물은 대부분 중국의 것들과 형태가 같아 생략하고, 술준[樽]만은 같지 않아서 소개하였다.
그 술준의 형상은 오이 같은데 위에 작은 뚜껑이 있는 것이 연꽃에 엎드린 오리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오늘날에도 볼 수 있는 청자 술준이다.
서긍을 가장 감탄케 한 것은 청자 향로다. 그것은 산예출향(狻猊出香)이라 하여 사자모양으로 된 청자 향로다. 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위에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맞이하는 연꽃이 있어서 그것을 받치고 있다. 여러 기물들 가운데 오직 이 물건이 가장 정절(精絶)하고, 그 나머지는 월주(越州)의 고비색(古祕色)과 여주(汝州)의 신요기(新窯器)와 대체로 유사하다.”
이 산예출향으로 불리는 청자 향로도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다. 당시의 청자공예는 이미 중국을 능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려도경》에는 북송과 고려의 선박 구조가 소개되어 있다. 신주(神舟)로 부르는 중국의 관선(官船)은 그 구조에 관한 설명이 없으나, 민간 선박인 객주(客舟)의 구조는 비교적 상밀하게 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이 객주는 목선으로, 길이 약 30m, 깊이 약 9m, 위폭 약 8m로 선창이 3분되어 위아래로 각종 시설이 베풀어져 있다. 신주는 물에 뜨면 산악같이 우뚝하다고 형용하고 고금에 그 유례가 없다고까지 하여, 객주보다 훨씬 거대한 것으로 되어있다.
한편 고려의 선박은 4종이 소개되어 있는데 다 구조가 간략하다. 서긍이 소개한 고려의 선박들은 그가 목격한 연안을 항해하는 것들에 그치고 고려의 외항선은 볼 기회가 없어서 소개되지 않았을는지도 모른다.
사절단의 숙소는 순천관(順天館)으로 웅장하기가 왕궁을 능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래는 요의 사신을 유숙시키기 위해 건립하였던 것이다. 수백 명의 사절단 일행이 불편 없이 살 수 있을 정도였으니 그 규모를 상상할 수 있다.
서긍은 순천관을 극히 면밀하게 구석구석까지 설명을 시도하였다. 순천관에서 사절단 일행에게 매일 3식을 계급에 따라 차등을 두어 제공하고 차도 역시 매일 세 차례씩 끓여서 대접한다. 그리고 사절단이 순천관에 도착한 날에 베푸는 불진회(拂塵會)를 첫 번으로 하여 5일에 한 차례씩 사절단 전원에게 주연을 베푼다.
물론 사절단도 자체의 숙수들이 있어 가지고 온 식료품과 기명을 써서 주연을 마련하기도 한다. 이러한 순천관에서의 일상생활 이외에 국왕과의 사적(私覿 사적인 상면)ㆍ연음(燕飮)ㆍ헌수(獻酬) 등 연례(燕禮)가 있으나 다 극히 형식적이었다.
사절단의 공식 임무인 송 휘종의 조서를 전달하는 의식은 번잡한 절차를 취해 가며 절도 있게 거행되었다. 조서는 인종의 즉위에 붙여 송에의 협력을 당부하는 내용의 것이 주요한 것이고, 인종에게 문상(問喪)하는 내용의 조위조서(弔慰詔書)는 부수적인 것이다.
예종에의 제전(祭典)에 쓰는 송 휘종의 어제 제문이 있다. 먼저 회경전(會慶殿)에서 조서를 받고, 수일 후에 장경궁(長慶宮)의 제실(祭室)에서 제전 예물을 진열해 놓고 휘종의 제문을 정사가 낭독하게 하여 제전 의식을 끝내고, 잠시 후에 다시 인종의 조위 조서를 정사로부터 받는다. 이렇게 해서 공식절차를 끝낸다.
이러한 조서를 받는 의식절차는 송 황제와 고려 국왕 및 주인과 빈객을 따지는 예법상의 논리가 엄연하다.
이러한 서긍의 《고려도경》은 고려 시대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당시의 국제 사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적이 보탬이 될 것이다.
1977년 12월 일
'안김 뿌리찾기 > 뿌리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전기까지 인물의 향명은 세거향과 본관향 이다. (0) | 2013.08.18 |
---|---|
자신의 뿌리를 찾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0) | 2013.08.10 |
신라김씨 김알지의 선조는 누구인가 ? (0) | 2013.06.29 |
蒼巖集(창암집) 영인간행 및 해제(解題) 작성 중 (0) | 2012.02.10 |
보호수 (수암동 은행나무) (0) | 201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