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방/로봇(robot), IT

아리랑 3호 성공적 발사 - 우주궤도 안착

by 연송 김환수 2012. 5. 18.

 

‘아리랑 3호’ 발사 976초 뒤 로켓에서 분리 성공

 

남극 트롤 기지와 2시20분 첫 교신 성공…3시 19분 대전과 통신 해야 최종 성공

 

 

18일 새벽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일본의 H2A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아리랑 3호’ 발사 성공…우주 궤도 안착

 

아리랑 3호는 발사 39분 뒤 남극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이어 발사 1시간 29분 뒤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 두 번째 교신도 무사히 마무리했다.

 

 

…아리랑 3호의 발사 대행을 맡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한국의 아리랑 3호가 이날 새벽 1시 55분 3초 필리핀 남동부 해상(북위 2.0591, 동경 129.189)의 676.35㎞ 상공에서 함께 실려있는 4개 위성 가운데 가장 먼저 H2A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고 밝혔다.

 

 

 

 

 

위 사진 "이슈&뉴스" 는 아리랑3호 사진이 아닌 참고용입니다

 

아리랑 3호는 또 2시 20분께 남극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발사 후 1시간 29분 뒤인 3시 9분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 두번째 교신을 시도한다.

 

이규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홍보실장은 “당초 676㎞ 고도에서 분리되기로 했지만 오차범위 1㎞ 이내에 있어 정상적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리랑 3호는 당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1시 39분 일본 규슈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일본의 인공위성 ‘GCOM-W1(시주쿠)’와 소형실증위성4호(SDS-4), ‘소형실증위성 4호(SDS-4)’와 ‘호류(鳳龍) 2호’와 함께 H2A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아리랑 3호는 로켓에서 분리된 직후 태양을 향해 자세를 잡은 뒤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펼치게 된다. 위성의 정상 작동을 좌우하는 태양전지판이 제대로 펼쳐졌는지 여부는 이륙 후 1시간 40분 뒤인 새벽 3시 20분께 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서 확인될 예정이다.

 

최해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3호 사업단장은 “만에 하나 아리랑 3호가 항우연의 지상국과 교신에 실패해도 4시간 뒤면 위성의 정확한 궤도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리랑 3호가 실려있는 일본의 H2A로켓은 전날인 17일 오후 12시 30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조립동을 나서 발사대로 이동했다. 이어 오후 4시 10분 발사 카운트다운이 시작됐고 저녁 6시 55분부터는 연료주입을 위해 발사대 주변 3000m가 통제됐다.

 

오후 8시 55분쯤에는 1단과 2단 로켓에 액체수소와 액체산소 주입이 끝났고 발사 1시간 전인 18일 새벽 0시 39분께와 발사 10분전인 새벽 1시 29분에 발사 결정이 내려졌다.

 

발사 4분 30초 전 발사를 위한 자동발사시퀀스가 시작됐고 발사 4.7초전 1단 로켓 엔진이, 이어 발사 0초에 1단 로켓에 보조로 붙어있던 고체부스터에 가 점화됐다.

 

아리랑3호는 약 6개월간 테스트를 거쳐 향후 4년간 지상에서 685km 떨어진 궤도에서 매일 지구 주변을 14바퀴 반 돌며 지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아리랑 3호에는 국내 주도로 개발된 0.7m급 고해상도 디지털 광학카메라가 실려 있다. 이는 가로세로 0.7m 물체를 한점으로 인식하는 수준으로 지상에 서있는 중형차와 소형차를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네가시마우주센터(일본)=이현경 기자 uneasy75@donga.com

아리랑3호 공동 취재단

 

 

아리랑 3호 성공적 발사, 3시30분께 첫 교신 (2012. 5.18)

 

 

▲ 18일 오전 1시39분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아리랑 3호 상상도.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는 오전 시간대 한반도 위성 영상을 송신하고 있고 아리랑 3호는 오후 영상을 송신할 예정이어서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한반도 영상을 우리 위성으로 하루 종일 송신받게 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의 세 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18일 새벽 1시39분 어둠을 가르고 하늘로 솟구쳤다. 아리랑 3호는 이날 오전 1시 39분 일본 규슈 남단 가고시마(鹿兒島) 현의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일본의 ‘H-IIA 로켓’에 실려 올라갔다. JAXA 제공

 

[라이프팀] 한국의 세 번째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3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012년 5월18일 새벽 1시39분 아리랑 3호는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남동쪽을 향해 발사됐고 발사 2분6초 고체로켓부스터에 이어 4분 10초경 상단 페어링이 정상적으로 분리됐다.

 

16분 후에는 로켓과 분리돼 우주 궤도에 진입했다.

 

아리랑 3호는 발사 1시간 40분 뒤인 새벽 3시20분께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하게 된다.

 

교신이 성공하면 아리랑 3호는 약 3개월 동안 시험 운영을 거친 뒤 9월부터 본격적인 지구 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첫 서브미터급 지구관측 위성인 아리랑 3호는 재해재난, 국토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 활용된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제보 star@bntnews.co.kr

 

=======================================================

 

‘아리랑 3호’ 발사 성공…우주 궤도 안착

 

한국의 세 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우주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아리랑 3호가 18일(현지시간) 새벽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의 다네가시마(種子島) 섬 남쪽 해변에 위치한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 상단페어링 분리에 성공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아리랑 3호의 발사 대행을 맡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한국의 아리랑 3호와 일본 인공위성 3기를 실은 H2A로켓이 당초 예정대로 이날 새벽 1시 39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아리랑 3호는 이날 2단형 액체로켓인 H2A로켓에 실려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남동쪽을 향해 발사됐으며 발사후 2분 6초 고체로켓부스터, 4분 10초 상단 페어링을 정상적으로 분리했다.

 

아리랑 3호는 이후 방향을 남서쪽으로 바꾼 뒤 발사 후 16분 13초 필리핀 남동부 676㎞상공에서 H2A로켓과 분리, 태양 쪽을 향해 자세를 잡은 뒤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펼쳤다.

 

아리랑 3호는 발사 39분 뒤 남극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트롤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이어 발사 1시간 29분 뒤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에 있는 기지국과 두 번째 교신도 무사히 마무리했다.

=======================================================

 

▲ 발사장으로 이송되는 아리랑 3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발사 기다리는 '아리랑 3호' 탑재 로켓

 

 

 

 

 

 

위성은 강국...발사체 개발 시급

 

2012-05-18 04:00

 

서브미터급 위성인 아리랑 3호와 전천후 위성 아리랑 5호까지, 우리나라의 위성기술은 우주 선진국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습니다.

 

반면 발사체는 일본이 50년 전 수준이라고 평가할만큼 미흡해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시급해 보입니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첫 서브미터급 위성 아리랑 3호.

 

올해 내 발사될 아리랑 5호는 레이더를 이용해 구름이 끼거나 야간에도 지상 촬영이 가능한 전천후 위성입니다.

 

우리나라의 위성 제작과 운용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습니다.

 

[인터뷰 : 최해진, 다목적실용위성 3호 사업단장]

"저희들이 최초로 우리 기술로 모든 것을 주도해 만든 위성입니다. 기술적인 의미도 많고요, 보다 밝은 눈을 가진 위성이 하나 더 생긴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반면 발사체 기술은 위성에 비하면 걸음마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일본이 보유한 H-2A로켓은 아리랑 3호와 자국 위성 3기 등 모두 4기의 실용 위성을 동시에 발사할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작사의 전문가도 한국의 로켓 기술이 일본의 1960년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할 정도입니다.

 

우리나라는 나로호 발사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될 한국형 발사체 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75톤급 액체엔진 4기를 묶어 1단에서 300톤의 추력을 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겨우 30톤급 엔진을 시험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인터뷰 : 김승조, 항공우주연구원장]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우리가 설계 개발한 것을 시험해 봐야 합니다. 한국형 발사체를 하기 위해 시험 시설 9개 정도를 만들어야 하는데..."

 

발사체 기술은 위성과 달리 기술이전도 거의 불가능해 결국 독자 기술로 완성해 가야 합니다.

 

중국과 일본 뿐 아니라 북한도 독자 발사체 기술을 보유한 상황에서 한국형 발사체에 대한 관심과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