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방/부자분석, 상업

시황브리핑 및 채권리스트

by 연송 김환수 2010. 10. 26.

 

■ 전일채권시장 동향

종  류  명

전일수익률

금일수익률

대  비

CD(3개월)

2.66%

2.66%

-

CP(3개월)

2.77%

2.77%

-

통안(1년)

2.83%

2.82%

-1bp

통안(2년)

3.25%

3.29%

+4bp

회사채(AA-)(3년)

4.05%

4.09%

+4bp

국고채권(3년)

3.23%

3.29%

+6bp

국고채권(5년)

3.73%

3.80%

+7bp

국고채권(10년)

4.22%

4.30%

+8bp

====================================================

<전일>

전일 시장금리는 국고 20 입찰 부진 한은 총재의 G20 관련 발언으로 상승

주말 G20 회의결과에서 시장 결정적인 환율정책을 공조키로 결정하면서 통화관련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 투자심리 개선되며 금리는 하락 출발, 또한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외국인 투자여건이 개선된 것도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

반면 국고 20 낙찰금리가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보인데다, G20 이후 김중수

    총재는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줄었다" 기자간담회에서 밝히며 11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으로 금리는 일제히 상승 전환, 장을 마감

특수채 유통시장에서는 보험권의 7 이상 장기물 순매수 증가가 유통시장을

    주도, 은행 자산운용은 단기물 중심의 채권 순매도세 이어감

 

 <금일>

금일 시장금리는 미국의 양적완화 규모 불확실성 11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으로 상승 마감 전망

시장 약세 요인 : 미국 9 기존주택판매 증가(전월비 +10%) 경기회복 기대감

    따른 연준의 양적완화 논란 지속, 전일 한은 총재의 발언으로 인한 11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

시장 강세 요인 : G20 결과로 원달러 환율 하락 가능성 높아져 단기적 원화강세로

    인한 외국인 매수세 유입 가능성, 한은의 0.7조원 단순매입에 따른 수급면에서의

    호재

 

=============================================================================================

USD/KRW

*    G20합의 및 Fed의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환율 하락*    저가 매수 수요도 강했지만 달러 

      매도 심리가 강했음
*    외환당국은 스무딩 오퍼레이션에 나선 것으로 추정
    
    New York
    
*    증시: G20에서 통화절하를 자제하자는 합의 및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증시 상승
*    외환: Fed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달러 약세
*    유가: 달러 약세로 유가 상승    
    USD/KRW Outlook
    
*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환율은 하락 압력을 받겠지만
*    레벨에 대한 부담감 및 저가 매수 등이 환율을 지지할 것으로 보이고
*    증시 및 EUR 움직임에 따라 1120원을 중심으로 등락할 것으로 예상
*    예상 거래 범위: 1115 - 1125 
    

USD/KRW            USD/KRW NDF                    
Open    1121.70    -1.30        High    1120.00        KOSPI    1,915.71    +0.97%    
High    1122.80             Low    1116.00        Dow Jones    11,164.05    +0.28%    
Low    1115.30             Close    1120.00        Nasdaq    2,490.85    +0.46%    
Close    1116.30    -6.70                    S&P 500    1,185.62    +0.21%    
                            WTI F    82.52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