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심리(color psychology)는 색채현상에 숨겨진 인간의 심리를 해명하기 위한 학문을 말한다.
자유로운 색채 표현과 예술 활동을 통해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스스로 치유하며 더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색채 이미지연구, 색채 조화원리, 색채계획의 문제와 관계되고 특히 생활색의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색채는 심리적인 안정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컬러 테라피 (color therapy)는 색채의 전달을 통해 정서적, 정취적인 안정을 얻는 방법이다.
색채의 자극은 시신경을 통해 대뇌에 전달되어 성장 조직으로 연결되므로 필요에 따라 선별하여 사용하면, 자극과 생기, 휴식과 진정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심리적 역할을 하는 관리 방법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색상은 빨강, 노랑, 파랑이며, 그 밖의 색상으로 빨강과 노랑의 중간색 주황, 파랑과 노랑의 중간색 초록, 빨강과 파랑의 중간색 보라가 있다.
빨강 : 자신감, 추진력
주황 : 인간관계 열망
노랑 : 인정, 격려
초록 : 힐링, 육체적 피로
파랑 : 안정, 집중
남색 : 두뇌회전
보라 : 창의력, 독창적 에너지
----------------------------------------
연지, 빨강, 다홍색 : 정열, 흥분, 피, 위험
주황, 귤색 : 온정, 풍부
노랑색 : 희망, 명랑, 질투, 발전
노랑연두, 연두, 풀색 : 휴식, 위안
녹색, 초록색 : 평화, 안전, 성장, 순정
청록, 바다색 : 태동, 외로움
파랑, 감청, 남색 : 숭고, 냉철, 심원, 고집
남보라색 : 침정, 냉정
보라, 붉은보라색 : 창조, 우아, 예술, 신비
자주색 : 화려함, 환상
-----------------------------------------------------------------------------------
컬러의 심리적 작용
빨강 : 지도자, 결의, 열정, 자극, 섹시, 위험, 죽음, 폭력
노랑 : 민첩, 따뜻함, 즐거움, 활동적, 경솔, 예민, 주의
초록 : 안정, 유능, 균형, 현명, 생명, 분노, 탐욕, 나태
파랑 : 심성, 평온, 성실, 신뢰, 논리적, 냉담, 강박, 차가움
보라 : 위엄, 리더십, 치유력, 방만, 속물, 고독, 무한함
흰색 : 순수, 탁월함, 평화 , 고결함, 실패, 냉혹, 은둔, 침묵
검정 : 예술, 강인함, 경양, 절제, 절망, 거만, 상실, 불행
--------------------------------------------------------------
이미지 컬러 | |||||||||||||||||||||||||
먼셀 색상환
미국의 화가 먼셀(Albert H. Munsell, 1858~1918)이 1905년에 고안한 체계로, 1940년 미국 광학회(OAS)에 의해 수정되었다.
현재 먼셀 색체계는 수정된 것을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공업 규격에서 색의 삼속성에 의한 표기 방법으로 제정되었고, 교육용 20색상환으로 채택된 색체계이다. 또한 표색 방법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현재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이다.
먼셀의 20색상환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를 기본으로 20색으로 표현하였으며 각각의 색상이 주는 이미지는 다르며 색상환을 이용해 다양한 색상을 설계를 할 수 있다.
보색(complementary color, 補色)은 색상 대비를 이루는 한 쌍의 색상을 말한다.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 보는 색상이 보색인데 빨강-청록 같이 색상환의 반대편에 위치한 색을 보색이라 한다. 보색을 사용하여 두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을 보색 대비라 한다.
연지, 빨강, 다홍색 : 정열, 흥분, 피, 위험
주황, 귤색 : 온정, 풍부
노랑색 : 희망, 명랑, 질투, 발전
노랑연두, 연두, 풀색 : 휴식, 위안
녹색, 초록색 : 평화, 안전, 성장, 순정
청록, 바다색 : 태동, 외로움
파랑, 감청, 남색 : 숭고, 냉철, 심원, 고집
남보라색 : 침정, 냉정
보라, 붉은보라색 : 창조, 우아, 예술, 신비
자주색 : 화려함, 환상
-------------------------------------------------------------------
□ 계절 색채
- 봄 : 분홍, 레몬옐로우, 은색
- 여름 : 흰색, 진노랑, 청색, 청록색
- 가을 : 자주, 오렌지, 브라운, 자색
- 겨울 : 황금색, 적색, 흑색
□ 색채와 성격
난색계통 : 동정적이거나 호의적이고 주위에 잘 적응
한색계통 : 공격적, 확고한 의지, 이기적이며 독립적인 경향의 특징
□ 색채 반응과 이상성격
- 퇴행이 심한 환자 정신분열증 환자 : 황색계통선택
- 조울증과 신경증환자 : 적색 선호
- 정신병자들이 선호하는 색채순서(Eyeenck, 1955)) : 청, 록, 적 (특히 청색 많이 사용)
- 조울증환자 : 적, 오렌지, 황색계통 (다른 증상 환자보다 많이 사용)
- 불안 신경증 환자 : 녹색계통
- 소아천식 : 보라색 즐겨 사용
․ 질병으로 야기되는 감정 : 보라사용
․ 병원 입원한 아동의 색채요구 순서 : 보라, 분홍, 빨강, 노랑
- 정신지체아 : 초록, 보라, 노랑순으로 선호
- 시각장애아가 좋아하는 색 : 흰색, 초록, 빨강, 노랑 / 싫어하는 색 : 검정, 회색
□ 아사리 색채언어의 심리적· 생리적 의미
□ 색의 연상과 치료효과
===========================================================================
===========================================================================
===========================================================================
============================================================================
===========================================================================
================================================
CRR(ColorReflectionReading) 분석법 : 좋아하는 색 선택
아래에 보이는 8가지 색상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색을 순서대로 세 가지 선택한다.
선택은 고민 없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평소 좋아하던 색은 잠시 잊고 본능적으로 해야 한다. 지금 이 순간 가장 끌리는 색을 세 가지만 순서대로 고른다.
어떤 색을 선택했나? ( ) ( ) ( )
선택한 세 가지의 색상은 순서에 따라 그리고 색의 조화에 따라 복합적으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순서가 지니는 의미
첫 번째로 고른 색은 개인의 본질을 나타내며, 내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 말해준다. 솔직한 나의 표현이고 기본 성격과 상황에 따른 반응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색상 | 의 미 (나는 진짜 어떤 사람인가?) |
빨강 | 남을 따르기보다 먼저 앞서 이끄는 성격으로 사교적이며 지도력이 있다. 경쟁심이 강하고 정열적이다. 목표 달성, 성공이라는 말을 자주 언급하며, 계획이나 전략보다 결단력을 믿고 목표를 향해 행동한다. 끊임없이 에너지가 솟구치는 당신, 논리와 감정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자. |
주황 | 경쾌하고 낙천적인 성격으로 활기차고 행복한 기질을 가진 사람이다. 인생을 즐기면서 어느 곳이든지 능동적으로 참여해 주위 사람들을 즐겁게 한다. 지나친 활동은 피로를 부를 수 있다. 균형 있게 일의 순위를 정하고, 전체적인 상황을 살펴보려고 노력하자. |
노랑 |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인생을 바라보며, 지적이고 분석적이다. 지배하기보다 우월하기 위해 노력하며, 관심 있는 분야에서 전문성을 자랑한다. 말솜씨가 뛰어나 말이나 숫자 관련 일에 참여하며, 책임감과 권위를 필요로 하는 곳에 어울린다. |
초록 | 언제나 균형을 추구해 행동하기 전에 심사숙고하며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는다. 능률적이고 성실하며, 깔끔하고 단정하다. 자연에 탄복하며 탁 트인 공간과 자연 소재 제품에 매력을 느낀다. 주변 상황이나 사람에 대해 지나친 조심성을 가진 당신,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보자. |
파랑 | 겉으로 침착하고 차분한 모습으로 어려운 일도 수월하게 처리하며, 상황에 따라 참신한 상상력을 발휘한다. 빠른 결단과 행동으로 장애물에 대처하는 모습과 편안한 대화 방식은 인기 요인이 되며, 뛰어난 통찰력을 지니고 있어 자신의 목적이나 방향의식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반영시킬 수 있다. 너무 영적인 면에 치중하기보다 현실성 있는 아이디어를 창출하자. |
진청 | 부드럽고 온화하며 쉽게 흥분하지 않는 성격은 다른 이들에게 소극적인 사람으로 보인다. 정신적인 면을 중요시해 진실함을 자산으로 여기며, 믿음직하고 충실하다. 안정된 에너지를 발산하는 당신과 함께하는 사람들은 편안함을 느낀다. 자신에 대한 지나친 몰입은 고립과 자신감 결여로 이어지니 주의하자. |
보라 | 신비함과 정신적 세계에 관심이 많아 영적인 면을 활용하지만 현실에는 잘 적응한다. 가치 있는 봉사를 원하며, 고상하고 예술적 표현력이 뛰어나 예술, 종교 등의 활동을 직업으로 삼으면 좋다. 설정한 비전을 달성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자신감 부족을 이겨내자. |
자주 | 친절하고 사려 깊은 사람으로 타인에게 사랑과 연민을 보낼 줄 아는 세상의 소금 같은 존재. 인생에 대한 성숙한 이해심으로 주위 사람들을 격려하고 지지하려 노력한다. 타인과의 협응력이 뛰어나 상담이나 간호사, 사회사업가 같이 타인을 보살피는 분야에 일하는 경우가 많다. |
두 번째 색상 | 의 미 (현재 내가 처한 상황은?) |
빨강 | 나를 자극하고 분발시켜야 할 때. 몸이 지치지 않도록 신체적 힘을 기르고 에너지를 적절히 조절하며 인내심을 가지려 노력하자. |
주황 | 내적으로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할 때. 강압적 태도가 자주 보일 수 있으니 느긋하고 편안하게 나에게 시간을 주자. |
노랑 | 현재에 맞는 에너지를 표현할 때. 너무 앞선 아이디어는 불만족 상태를 야기할 수 있으니 현실을 인지하자. |
초록 | 내면의 상처를 돌봐야 할 때. 감정을 억누르고 솔직한 표현을 어려워해 위축감을 느낄 수 있으니 나를 치유할 수 있는 무언가 혹은 누군가를 찾아보자. |
파랑 | 사람들과 조금 거리를 두어야 할 때. 당신의 에너지에 이끌린 사람들의 요구로 자신만의 공간을 침범당한 지금, 심신의 정화가 필요하다. |
진청 | 침묵을 깨야 할 때. 고요함과 평화로운 외면은 강점이기도 하지만 지나치면 우울과 의기소침에 빠질 수 있으니 자기 표현력과 말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
보라 | 자신을 믿고 성숙해져야 할 때. 뛰어난 능력에 비해 자긍심이 부족한 당신.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신을 찾기보다 성실하고 끈기 있는 상황 극복을 통해 성장해보자. |
자주 | 나를 먼저 사랑해야 할 때. 타인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과 협조는 나의 욕구에 대한 가치를 잊게 만들 수 있으니 의무적 보답은 자제하자. |
세 번째로 고른 색은 나의 내면적 비전이 반영되어 있으며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행동이 필요한지 알려준다.
세 번째 색상 | 의 미 (목표 달성을 위해 지금 내게 필요한 건?) |
빨강 | 생각해둔 새로운 일에 대한 행동을 미루지 말고 현실에 집중해 기회를 잡자. 에너지가 고갈되어 재충전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일 수도 있는데, 이때 파란색은 에너지 보충을 도울 수 있다. |
주황 | 순간적 충동을 자제하고 신중하게 건설적으로 행동하자. 내적 위축으로 인한 선택이라면 용감한 행동력과 인생을 즐기려는 의지를 찾아야 한다. |
노랑 | 자신의 선택에 대해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행동하자. 휴식의 필요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데, 이때 충분한 태양빛을 받아보자. 또한 나의 지식을 유익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일 때 타고난 직감과 지혜를 활용하면 노력이 빛을 발할 것이다. |
초록 | 편안한 사람들과의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을 통해 나의 가치를 찾아보자. 인생을 즐거움을 찾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계기를 통해 상실과 무기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
파랑 | 변화와 도전을 통해 인생의 성장을 도모하자. 인생의 시련과 장애물을 반기고 도전 정신으로 이겨나가면 활력과 강인함으로 보상된다. |
진청 | 삶의 순리를 깨닫고 매일 매일의 현실에 평범함을 중요시하자. 생각이나 명상만이 전부가 아닌 일상 속에서 순조롭게 적응하는 융통성을 발휘해야 진정한 자유를 찾을 수 있다. |
보라 | 타고난 능력을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자. 특별한 치유력을 타인과 나누고 싶다면 자신을 믿고 그 능력을 갈고 닦아야 한다. |
자주 | 이미 목표를 향해 노력 중이거나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한 상태. 이럴 때일수록 자만과 우월함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조심해야 사람들과의 관계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보색 관계의 두 가지 색상 | 의 미 |
첫 번째 색 + 세 번째 색 | 나에게 맞는 장기적 목표를 잘 설정하여 인생의 성공 가능성이 높지만, 두 번째 색에서 드러난 장애물을 극복해야 한다. |
첫 번째 색 + 두 번째 색 | 현재 나의 본래 성격이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어 긍정적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
두 번째 색 + 세 번째 색 | 성공을 위한 노력이 나 자신을 위한 것이기보다는 현재 상황과 맞물려 있지만 도전 과제를 극복하면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선호하는 색에 따른 전형적인 성격의 특징을 파악하여 대인관계에 적용해보는 것도 원만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오행도 오행색상
오행(五行)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상생(相生)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상극(相剋)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오방(五方) | 동(東) | 남(南) | 중앙(中央) | 서(西) | 북(北) |
오시(五時) | 춘(春) | 하(夏) | 계하(季夏) 토용(土用) | 추(秋) | 동(東) |
오기(五氣) | 인애(仁愛) | 강맹(剛猛) | 관굉(寬宏) | 살벌(殺伐) | 유화(柔和) |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色) | 청(靑) | 적(赤) | 황(黃) | 백(白) | 흑(黑) |
오장(五臟) | 간(肝) | 심(心) | 비(脾) | 폐(肺) | 신(腎) |
수(數) 성명학(자연수) | 3,8 1,2 | 2,7 3,4 | 5,10 5,6 | 4,9 7,8 | 1,6 9,10 |
음(音) | 각(角) | 징(徵)치) | 궁(宮) | 상(商) | 우(羽) |
ㄱ ㅋ아음 (牙音) |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 ㅇ ㅎ후음 (喉音) | ㅅ ㅈ ㅊ 치음(齒音) | ㅁ ㅂ ㅅ 진음(震音) | |
천간(天干) | 양음(陽陰) 갑을(甲乙) | 양음(陽陰) 병정(丙丁) | 양음(陽陰) 무기(戊己) | 양음(陽陰) 경신(庚辛) | 양음(陽陰) 임계(壬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 | 오(午)사(巳) | 진(辰) 축(丑) 술(戌) 미(未) | 신(申)유(酉) | 자(子)해(亥) |
□ 성명학은 기본구성은 음양(陰陽)
○ 발음상 분류
"아,야,오,요" 양이고 "어, 여, 우, 유" 는 음에 해당
○ 숫자의 기본 음양
홀수는 양이고 짝수는 음
○ 오행의 분류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발음 | ㄱ, ㄲ | ㄴ, ㄷ, ㄹ | ㅇ, ㅎ | ㅅ, ㅈ, ㅊ | ㅁ, ㅂ, ㅍ |
※ 木火는 양이고 金水는 음이며 土는 중앙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획수 | 1,2 | 3,4 | 5,6 | 7,8 | 9,0 |
陰陽五行(음양오행)에서 수(數)를 분류함에 있어는 기수(奇數)와 우수(偶數)로 분류한다.
홀수 一, 三, 五, 七, 九, 는 기수(陽數)라 하고, 짝수 二, 四, 六, 八, 十, 은 우수(陰數)라 한다.
□ 음양오행(陰陽五行) 분류
○ 一, 二는 오행 상 목(木)에 속한다.
一은 갑목(甲木) 양(陽), 二는 을목(乙木)음(陰)
○ 三, 四는 오행 상 화(火)
三은 병화(丙火) 양(陽), 四는 정화(丁火) 음(陰)
○ 五, 六은 오행 상 토(土)
五는 무토(戊土) 양(陽), 六은 기토(己土) 음(陰)
○ 七, 八은 오행 상 금(金)
七은 경금(庚金) 양(陽), 八은 신금(辛金) 음(陰)
○ 九, 十은 오행 상 수(水)
九는 임수(壬水) 양(陽), 十은 계수(癸水) 음(陰)에 속한다.
10 이상의 숫자 11은 양목(陽木)이고, 12는 음목(陰木), 13은 양화(陽火), 14는 음화(陰火), 15는 양토(陽土), 16은 음토(陰土), 17은 양금(陽金), 18은 음금(陰金), 19는 양수(陽水), 20은 음수(陰水)로 단위만 10씩 높아진다. 단위가 높아질수록 그 기세(氣勢)가 강하다.
□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질
○ 一, 甲(木)의 특성 : 매사에 신중하고 조심성이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고 타인에게 지배받는 것을 싫어한다.
○ 二, 乙(木)의 특성 : 매사에 끊기가 있고 시기심과 질투심이 있으나 외유내강(外柔內剛)하다.
○ 三, 丙(火)의 특성 : 활발하고 급진적이고 경솔하고 기분파적인 성격이나 명랑하다.
○ 四, 丁(火)의 특성 : 온유한 반면 강한 반발심과 경솔한 점은 있으나 내적사고력이 깊고 강유를 겸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五, 戊(土)의 특성 : 아량이 넓고 동화력이 있어 상하예의를 존중하고 통솔력이 있다. 반면 강한 반발심을 가졌다.
○ 六, 己(土)의 특성 : 꾸준한 인내력과 아량이 풍부하며 사고력이 깊고 세심한 반면 표리가 부동한 면이 있다.
○ 七, 庚(金)의 특성 : 정의감과 의리가 있고 명예심 자존심이 강한 반면 고집이 세고 강자에게는 대립한다.
○ 八, 辛(金)의 특성 : 완고한 고집이 있으나 외유내강하고 자중성과 인내심이 강하다.
○ 九, 壬(水)의 특성 : 매사에 신중하고 꾸준하며 활동적이고 대륙적이나 고집이 세다.
○ 十, 癸(水)의 특성 : 지혜가 있고 순진하며 끊기가 있으나 반발심이 강하고 야욕적이다.
오행 천간, 지지
오행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
천간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지지 | 인(寅) | 묘(卯) | 오(午) | 사(巳) | 진(辰)술(戌) | 축(丑)미(未) | 신(申) | 유(酉) | 해(亥) | 자(子) |
음양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양(陽) + | 음(陰) - |
오행 분류표 (五行 分類表) | |||||||
分類 五行 | 木 | 火 | 土 | 金 | 水 | ||
自
然
界 | 天干(천간) | 甲(陽)乙(陰) | 丙(陽)丁(陰) | 戊(陽)己(陰) | 庚(陽)辛(陰) | 壬(陽)癸(陰) | |
地支(지지) | 寅(양)卯(陰) | 午(陽)巳(陰) | 辰戌陽 丑未陰 | 申(陽)(酉陰)
| 亥(陽)子陰 | ||
五方(오방) | 東 | 南 | 中央 (중앙) | 西) | 北 | ||
五數(오수) | 3 8 | 2 7 | 5 10 | 4 9 | 1 6 | ||
五宮(오궁) | 靑龍(청룡) | 朱雀(주 작) | 黃龍(황룡) | 白虎(백호) | 玄武(현무) | ||
五味(오미) | 酸(초.산)시다 | 苦 (쓸 고) | 甘 (달 감) | 辛 | 鹹(짤 함) | ||
五化(오화) | 생 (날 생) | 長 (길 장 | 化 (될 화) | 收(거둘수) | 藏(저장할 장) | ||
五色(오색) | 靑 | 赤(붉을 적) | 黃(누를 황) | 白 (흰 백) | 黑(검을 흑) | ||
五音 | 角 | ? (검붉을 치) | 宮 (집 궁) | 商(행위 상) | 羽(깃 우) | ||
가 카 | 나 다 라 타 | 아 하 | 사 자 차 | 마 바 파 | |||
五季(오계) | 春 (봄 춘) | 夏(여름 하) | 長夏(장하) | 秋(가을 추) | 冬(겨울 동) | ||
五氣(오기) | 風 | 暑 | 濕(습할 습) | 燥(마를 조) | 寒(찰 한) | ||
五象(오상) | 直(곧을 직) | 尖(뽀족할 첨) | 方 (모방) | 圓(둥글 원) | 曲(굽을 곡) | ||
五牲(오생) | 羊 (양 양) | 鷄 (닭 계) | 牛 (소 우) | 견 (개 견) | 豕(돼지 시) | ||
五蟲(오충) | 鱗비늘 린) | 羽 (깃 우) | 裸(벗을 라) | 毛 (털 모) | 介(껍질 개) | ||
五穀(오곡) | 麻 (삼 마) | 麥(보리 맥) | 米 (쌀 미) | 黍(기장 서) | 豆(콩 두) | ||
五晨(오신 | 星 (별 성) | 日(날 일) | 地 (땅 지) | 宿 (별 수) | 月(달 월) | ||
五器(오기) | 規 (법 규) | 衡(저울 형) | 繩(먹줄 승) | 矩(구척 구) | 權(저울추 권) | ||
五臭(오취) | ?(누린내 단) | 焦(태울 초) | 香(향기 향) | 腥(비릴 성) | 朽(썩을 후) | ||
人
事
社
會 | 五臟(오장) | 間 | 心 (마음 심) | 脾(지라 비) | 肺(허파 폐) | 申(거듭할신) | |
六腑(육부) | 膽(쓸개 담) | 小腸 (소장) | 胃腸 (위장) | 大腸(대장) | 膀胱(방광) | ||
形體(형체) | 筋(힘줄 근) | 脈 (맥) | 肉(고기 육) | 毛皮(모피) | 骨(뼈 골) | ||
情志(정지) | 怒(성낼 노) | 喜 (기쁠 희) | 思(생각 사) | 悲(슬플 비) | 恐(두려워할 공) | ||
變動(변동) | 握(쥘 악) | 嘔 (노래 구) | ?(새소리 홰) | ?(기침 해) | 栗(여물 율) | ||
五官(오관) | 目(눈 목) | 舌 (혀 설) | 口 (입 구) | 鼻(코 비) | 耳(귀 이) | ||
五聲 | 呼(부를 호) | 笑 (웃음 소) | 歌(노래 가) | 哭(곡) | 呻(끙끙거릴 신) | ||
五神(오신) | 魂 (넋 혼) | 神(정신 신) | 意 (뜻 의) | 魄(형체 백) | 志(뜻 지) | ||
五液(오액) | 淚 (흐를 루) | 汗 (땀 한) | 涎 (침 연) | 涕(눈물 체) | 唾(침 타) | ||
五事(오사) | 視 (볼 시) | 言 (말씀 언) | 思(생각 사) | 聽(들을 청) | 貌(얼굴 모) | ||
五政(오정) | 寬(너그러울 관) | 明 (밝을 명) | 恭(공손할 공) | 力(힘 력) | 靜(고요할 정) | ||
五性(오성) | 仁(어질 인) | 禮(예도 예) | 信(믿을 신) | 義(옳을 의) | 智(슬기 지) | ||
오전 3시(폐) | 5시(대장) | 화장실 | 7시 (위장 식사) | 9시(비장) | 11(심장) | 오후( 1시 소장) | |
3시(방광) | 5시(신장) | 7시(심뽀) | 9시(삼초) | 11시(담) | 밤1시(간) | ||
삼초:어깨. 심장.폐 | 중초: 폐~ 배꼽까지 | 하초:배꼽~ 배꼽아래 | 담은 기름기를 제거해준다 담이 약하면 우유부단하다 |
오행 五行 | 木나무 | 火불 | 土흙 | 金쇠 | 水물 |
오장 五臟 | 간장 肝臟 | 심장 心臟 | 비장 脾臟 | 폐장 肺臟 | 신장 腎臟 |
육부 六腑 | 담:마음 膽 | 소장 小腸 | 위 胃 | 대장 大腸 | 방광 膀胱 |
관규 管竅 | 눈 目 | 혀 舌 | 입 口 | 비 鼻 | 귀 耳 |
오체 五體 | 근 筋 | 맥 脈 | 육 肉 | 피.모 皮毛 | 골.수 骨髓 |
季節 | 春 | 夏 | 長夏 | 秋 | 冬 |
五色 | 靑 푸르다 | 赤빨갛다 | 黃노랑다 | 白희다 | 黑검다 |
五化 | 生나다 | 長자라다 | 化바뀌다 | 收거두다 | 藏간직하다 |
五味 | 酸 시다 | 苦쓰다 | 甘달다 | 辛매웁다 | 鹹짜다 |
五氣 | 風 바람 | 暑 더위 | 濕 습함 | 燥마름 | 寒차다 |
오취 | 臊누리다 | 焦그을리다 | 香향기롭다 | 腥비리다 | 腐섞다 |
오곡 | 보리 | 기장 | 피 | 벼 | 콩 |
오과 | 오얏 | 은행 | 대추 | 복숭아 | 밤 |
오축 | 닭 | 양 | 소 | 말.개 | 돼지 |
오감 | 노(성냄)怒 | 희(기쁨)憙 | 사(생각)思 | 비(슬픔)悲 | 공(무서움)恐 |
오방색 (五方色)
오행의 각 기운과 직결된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의 다섯 가지 기본색을 말한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 풀어낸 다섯 가지 순수하고 섞음이 없는 기본색을 오정색(正色, 定色, 五方色)이라 불렀으며 오색(五色), 오채(五彩)라고 하였다.
청은 동방, 적은 남방, 황은 중앙, 백은 서방, 흑은 북방으로 오방이 주된 골격을 이루며 양(陽)의 색이다.
정색 (오방정색) :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청색(靑, 파랑) 청색은 오행 중 목(木)에 해당, 동쪽,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쓰였고, 청색은 하늘, 바다, 물의 빛에 비유되어 우리나라 신화의 우주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동쪽은 태양이 떠오르는 방향이기 때문에 해돋이, 밝음, 맑음 등과 연관되어 상징성을 지닌다.
적색(赤, 빨강) 적색은 오행 중 화(火)에 해당, 태양과 남쪽, 여름의 색이다. 적색은 양의 기운을 가진 색으로 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며, 예전에 궁궐이나 민가에서 귀신을 물리치는 역할을 해왔다. 동짓날 팥죽이나 부적, 손톱 물들이는 봉숭아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황색(黃, 노랑) 황색은 오행 중 토(土)에 해당, 우주의 중심(중앙), 수도(서울)를 상징하는 색으로 중국에서는 부귀와 권위를 상징하여 황제의 의복과 황궁의 지붕기와까지 황금색으로 장식하였다. 백색(白, 흰색) 백색은 오행 중 금(金)에 해당, 서쪽, 가을의 색이며, 백색은 신화적으로 출산과 자연의 길함을 상징한다. 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해 우리 민족의 자존심과 곧은 의지의 마음을 흰 옷을 즐겨 입는 것으로써 나타난다. 우리 민족이 백의민족이라 불리는 이유이다.
검정(黑, 검정) 흑색은 오행 중 수(水)에 해당, 북쪽, 겨울의 색이다. 밤이 되면 빛이 없어 어둡고, 사람이 죽으면 지하에 묻혀 암흑 속에 갇히기에 검은 빛은 밤, 공포, 불행, 파멸, 죽음을 상징한다. 반면에 정직과 명예, 인간의 지혜를 관장하는 색이기에 법관의 법복 또한 검정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방간색 녹색 : 청색과 황색의 조합으로 동방의 간색 홍색 : 적색과 백색의 조합으로 남방의 간색 벽색 : 청색과 백색의 조합으로 서방의 간색 자색 : 적색과 흑색의 조합으로 북방의 간색 유황색 : 황색과 흑색의 조합으로 중앙 간색. 오방간색은 다시 70색으로 나누어 '잡색'이라고 한다.
|
오행일람표
구 분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음양(陰陽) | 음(陰) | 양(陽) | 양(陽) | 양(陽) | 음(陰) |
성질(五性) | 생성 | 성장, 분열 | 조화, 완성 | 수렴, 결실 | 휴식, 응집 |
방위(方位) | 동방(東方) | 남방(南方) | 중앙(中央) | 서방(西方) | 북방(北方) |
천간(天干) | 갑(甲), 을(乙) | 병(丙), 정(丁) | 무(戊), 기(己) | 경(庚), 신(申) | 임(壬), 계(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진(辰) | 사(巳),오(午),미(未) | - | 신(申),유(酉),술(戌) | 해(亥),자(子),축(丑) |
계절(季節) | 봄(春) | 여름(夏) | 긴 여름(長夏) | 가을(秋) | 겨울(冬) |
기후(氣候) | 바람(風) | 뜨거움(熱) | 습기(濕氣) | 메마름(乾燥) | 차가움(寒) |
기운(氣運) | 기(氣) | 광명의 신(神) | 뜻(意) | 혈(血) | 정(精) |
사대문(四大門) | 동대문(崇仁門) | 남대문(崇禮門) | 중궁(中宮) | 서대문(崇義門) | 북대문(崇智門) |
경복궁(景福宮) | 동문(建春門) | 남문(光化門) | 경복궁(五皇極) | 서문(迎秋門) | 북문(神武門) |
사단(四端)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깔(五色) | 푸른색(靑) | 붉은색(赤) | 노랑색(黃) | 흰색(白) | 검은색(黑) |
상징 동물 | 청룡(靑龍) | 주작(朱雀) | - | 백호(白虎) | 현무(玄武) |
창조 덕성 | 元(放) | 亨(蕩) | 통합(統合) | 利(神) | 貞(道) |
욕심(五慾) | 정욕(情慾) | 색욕(色慾) | - | 탐욕(貪慾) | 노욕(老慾) |
오관(五官) | 눈(目) | 혀(舌) | 입(口) | 코(鼻) | 귀(耳) |
오성(五星) | 목성(木星) | 화성(火星) | 토성(土星) | 금성(金星) | 수성(水星) |
오제(五帝) | 청제(靑帝) | 적제(赤帝) | 황제(黃帝) | 백제(白帝) | 흑제(黑帝) |
오성(五聲) | 각(角) | 징(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수(五數) | 팔(八) | 칠(七) | 오(五) | 구(九) | 육(六) |
신체(五體) | 근육(筋) | 혈맥(血脈) | 살(肉) | 털(毛) | 뼈(骨) |
맛(五味) | 신맛(酸) | 쓴맛(苦) | 단맛(甘) | 매운맛(辛) | 짠맛(鹽) |
감정(五情) | 분노(怒) | 기쁨(喜) | 사려(思) | 슬픔(悲) | 두려움(恐) |
오장(五臟) | 간(肝) : 血 | 심장(心) : 神 | 비장(脾) | 허파(肺) : 氣 | 콩팥(腎) : 精 |
육부(六腑) | 쓸개(膽) | 작은창자(小腸) | 위(胃), 삼초(三焦) | 큰창자(大腸) | 오줌보(膀胱) |
정신(精神) | 혼(魂) | 신(神) | 뜻(意) | 백(魄) : 넋 | 정(精) |
짐승의 종류 | 들짐승(走類) | 날짐승(飛類) | 사람(人類) | 갑각류(甲類) | 어류(魚類) |
종교(宗敎) | 유(儒) | 기독교(西仙) | 신교(神敎) | 불교(佛) | 선(東仙) |
오대양(五大洋) | 태평양(太平洋) | 남빙양(南氷洋) | 인도양(印度洋) | 대서양(大西洋) | 북빙양(北氷洋) |
육대주(六大洲) | 아시아주 | 구라파주 | 오세아니아주 | 아메리카주 | 아프리카주 |
한글 발음 | ㄱ, ㅋ | ㄴ, ㄷ, ㄹ, ㅌ | ㅇ, ㅎ | ㅅ, ㅈ, ㅊ | ㅁ, ㅂ, ㅍ |
성씨(姓氏) | 徐, 成, 黃, 元, 韓, 南, 張, 柳, 申, 安, 梁, 蔣, 方, 杜, 河, 白, 楊, 片, 慶, 郭, 盧, 裵, 文, 王, 班, 陰, 晋, 邵 | 金, 趙, 朴, 崔, 兪, 孔, 高, 車, 康, 劉, 廉, 朱, 陸, 洪, 薰, 固, 虞, 鼎, 周, 延, 火, 秋, 簡, 曺 | 吳, 呂, 禹, 奇, 許, 蘇, 馬, 魯, 曾, 余, 千, 孟, 卞, 卜, 梅, 尙 魚, 瘦, 龍, 皐, 牟, 毛, 南宮, 皇甫, 鮮于 | 李, 尹, 鄭, 姜, 蔡, 羅, 愼, 辛, 丁, 全, 邊, 池, 石, 陳, 吉, 玉, 卓, 薛, 咸, 具, 秦, 唐, 宣, 段, 燈, 陛, 董 | 宋, 權, 閔, 任, 林, 嚴, 孫, 皮, 丘, 都, 田, 沈, 奉, 明, 貢, 牛, 甘, 玄, 陶, 睦, 再, 仇, 童, 東方 |
===========================================================================
색채심리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검정, 흰색, 분홍)
빨간색 심리 _빨강은 근원적인 생명의 색
저녁놀이나 활활 타오르는 불의 빨강, 혹은 유혈의 빨강. 우리들은 빨강을 보면, 왠지 모르게 가슴이 덜컥한다. 그것은 빨강이 살아갈 힘을 자극하는 근원적인 생명의 색이기 때문이다. 사랑이나 일에 대해 말할 때 무엇보다도 빨강은 힘을 부여한다.
빨강에는 자기주장, 분노, 정열, 활동적인, 정열, 흥분, 파워라는 이미지가 연상되고, ‘긴장의 고조 및 심리상태의 고양’ 이라는 공통점이 견출된다.
▶ 빨간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빨강색을 좋아하는 심리에는 두 가지 상태가 있다. 첫번째는 심신이 건강하여 건강한 에너지가 가득 넘치는 심리상태이다. 인생이 개화할 시기로, 무슨 일이든 적극적으로 임하면 좋다. 두번째는 긴장이나 불안으로 스트레스와 불만이 가득 찬 심리상태이다. 이런 경우에는 한번쯤 속이 후련해질 때까지 빨강색을 사용해 보는 것도 좋다. 이 후에는 중화제로서 기분 좋은 녹색이나 파란색 계열의 색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면 좋다.
※ 처음부터 빨간색을 좋아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전엔 빨간색을 좋아했지만 지금은 빨간색이 낯설게 느껴지거나 좋아하지 않게될 수도 있다. 빨간색을 싫어하는 심리는 빨강이 너무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인데 이는 마음에 평정을 찾고 싶을 때이다. 마음에 걸리는 일이나 슬픈 일을 천천히 해결하여 재충전을 해보자. 밝은색이나 강한색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고, 온화한 색조로 안정을 취하면 새로운 힘이 솟아날 것이다.
주황색 심리 (오랜지색 심리)_주황은 생명력을 불러 일으키는 색
주황색은 빨강과 노랑의 중간에 있는 색으로 빨강의 강렬함, 노랑의 즐거움이 서로 혼합된 기분을 표출하는 색이다. 주황색은 자기어필, 개화, 건강, 양기 등과 같은 단어들이 연상되듯이 정신이나 기운을 강하게 복돋아주는 색이다.
태고의 사람들에게 빛나는 태양의 색이나 과실의 색에 자연의 은혜를 느끼게 하고, 생명력을 불러 일으킨 주황색. 이 색은 현대의 우리들에게도 건강의 원천이 된다.
▶ 주황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주황색이 예뻐 보인다는 것은, 매우 개방적인 심리상태이다. 혹은 밖을 향하여 자신을 점점 어필해가고 싶다는 적극적인 자세이다. 서비스 정신으로 가득차 친구들이나 연인의 마음을 밝고 건강하게 해주는 존재이다. 그러나, 그러한 상태가 오랫동안 계속된다면 에너지가 소멸되어 버리기 때문에 때로는 자신의 세계를 되돌아보며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 별로 눈에 띄고 싶지 않을 때 주황색은 어울리지 않는다. 지금 무엇인가를 집중해서 하고 싶거나, 천천히 생각하고 싶은 심리상태로 생각할 수 있다. 인간관계에서도 자기 주장을 하고 싶지 않은 시기일지도 모른다. 그것은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다.
노란색 심리 _ 노랑은 희망이라는 의미의 세계 공통의 색
아이들의 그림을 조사해 보면, 유아기의 어린이일수록 노란색을 좋아한다. 유아기라고 하면, 무엇보다도 부모에게 애정을 요구하는 시기이다. 부모의 애정을 가득 받으며 아이의 마음은 성장해간다. 그 사랑의 에너지의 상징이 노란색으로 묘사되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소중한 사람에 대한 생각을 전하고 싶을 때, 노랑의 신호를 보내고 싶어하는 것 같다. 아프간이나 이라크 전쟁 시, 미국 병사의 안전을 기원하는 가족들이 집집마다 노랑색 리본을 달고 있었다.
▶ 노랑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노랑은 색 중에서도 멀리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밝은 색이다. 그런 노랑이 좋을 때는, 자신의 광채를 마음껏 표현하고 싶은 심리상태라고 할 수 있다. 자신과 희망으로 가득 찬 긍정적인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그 노랑을 항상 필요로 한다면, 누군가에게 주목 받고 싶어하는 원망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 노랑은 밝은 이미지를 갖는 만큼, 어딘지 유치한 느낌과 소란스러운 분위기를 떠오르게 한다. 침착한 어른으로서의 이미지를 연출하고 싶을 때는 어울리지 않는 색이다. 노랑을 별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성숙한 자신으로 탈피하는 시기이든지, 혹은 누군가에게 응석부리고 싶어하는 자신 안에 있는 “어린이 마음”을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 심리상태일수도 있다.
초록색 심리 _ 초록은 몸과 마음에 휴식을 주는 색
우리들은 자연을 떠올려 안정을 취하기도 한다. 초록색이야말로 이 지구상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색이며, 몸과 마음에 휴식을 주는 색이다.
인간의 시각은 색을 느끼는 능력이 뛰어나서 빨강에서 보라까지 볼 수가 있다. 각각의 색은 서로 다른 빛의 파장을 가지고 있고, 정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초록이다. 그만큼 인간에게 있어서 초록은 밸런스를 갖춘 색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초록색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릴렉스 효과가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어있다.
▶ 초록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초록이 좋게 느껴질 때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휴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초록은 노랑과 파랑의 중간에 있는 색으로, 즉 난색과 한색을 혼합한 색이다. 그것은, 흥분상태도 아니고, 침체된 상태도 아닌 당신의 잠재의식이 균형을 취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이럴 때는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심신을 쉬게 하는 것이 좋다. 식물 등의 푸르름을 바라보는 것도 적극적인 치료가 된다고 생각한다.
※ 자연의 초록은 좋아도 인공적인 페인트와 같은 초록은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 분명한 빨강이나 파랑이 좋아질 때는 심리적으로도 비비드한 상태가 되어, 중간색인 초록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그리고 초록에 좋지 않다는 것은, 그 색에 좋지 않은 기억이 있어 언제부터인가 멀리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어떤 기억이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 이유를 알게 되고, 그럼 초록을 좋아하게 될 수도 있다.
파란색 심리 _ 파랑은 마음을 고요함으로 이끄는 색
파랑은 여러가지 색조의 파랑이 있다. 예를 들면 청바지의 밝은 파랑은 자유로움을 느끼게 하고, 남색의 슈트는 긴장감을 준다. 또한 라피스 라즐리의 파랑은 신비로운 세계를 연상하게 한다.
파란색은 마음을 고요함으로 이끄는 색이다. 일상의 인간관계에서 빠져 나와 무한 세계로 자신을 해방시켜 준다. 고독함 속에서도 자립한 자유로운 삶을 시작할 때, 파랑은 용기를 부여해 줄지도 모른다.
▶ 파랑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파랑이 예뻐 보일 때는 문자 그대로 “조용한” 기분일 때라고 생각할 수 있다. 조용하다는 것은 차분히 생각할 때나 자신을 들여다볼 때, 마음이 매우 지적인 모드로 돌입했을 때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실연이나 소중한 사람과의 이별 등, 상실감을 느낄 때에도 파랑에 끌릴 수 있다. 그런 때는 충분히 파랑에 잠겨 슬픔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제복에는 남색과 같은 진한 파랑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 점에서 파랑을 부자유스러움, 딱딱함을 연상시켜 파랑을 싫어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자기다움과 개성을 소중히 하고 싶을 때는 마음도 외향적이 되기 때문에 굳이 선택을 하자면 난색계의 분명한 색채에 끌리게 된다. 그러나, 무언가에 집중하고 싶을 때에는 주위에 파랑을 띤 물건을 놓아두면 효과적이다.
보라색 심리 _ 보라는 신비로운 힘을 나타내는 색
보라색은 왠지 신비하고 이상한 기분이 든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하는 마녀는 이상하게도 항상 보라색의 망토를 입고 나왔는데.. 이는 보라색이 신비스러운 힘을 나타내는 색이기 때문이다.
빨강으로 상징되는 야심과 정열, 파랑으로 상징되는 고독과 불안. 항상 그 상반되는 두 가지의 감정에 흔들리는 심리. 그것이 빨강과 파랑을 혼합한 보라라고 하는 색으로 이어지는 듯한 기분이 든다. 그 고뇌가 극단적이 되면, 몸과 마음이 병들게 된다. 우리는 심신이 피곤할 때, 무의식 중에 보라색을 고르고 그 색의 힘으로 스스로를 치유하려고 하는지도 모른다.
▶ 보라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보라색은 빨강과 파랑, 두 가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색이다. 슬플 때에는 기운을 주고, 흥분을 가라앉히고 싶을 때에는 마음을 진정시켜 준다. 무슨 만병통치약 같은 복잡한 효용을 가지고 있다. 보라색에 마음이 끌릴 때에는, 몸과 마음이 조화를 원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기쁨도 슬픔도 온화한 마음으로 안정시켜 준다. 그러한 색인만큼 보라색은 인간적인 깊이와 성숙을 느끼게 해주는 색이기도 하다.
※ 보라는 애매한 색인데다 빨강이나 파랑 등에 비하면, 어두운 느낌이 있기 때문에 희로애락의 감정이 분명한 어린 시절에는 수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남성은, 보라에 「여성적인 정념」을 느끼는 듯 보라색을 어려워하는 사람도 있다. 어느 쪽인가 하면 인생경험을 거쳐 인간의 복잡한 심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 보라색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될 지도 모른다. 지금은 이해하기 어려워도 언젠가 보라색을 즐길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검정색과 흰색 (무채색) 심리 _ 마음을 진정시켜 주는 어른의 색
옷의 색이 모노톤이라고 하면, 격식을 갖춘 느낌이 들어 형식적인 장소에서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왜 공적인 자리에서는 빨강이나 파랑과 같은 유채색이 아닌, 무채색이 당연시 되는 것일까? 그것은 검정색과 흰색은 마음을 진정시켜 주는 어른의 색이기 때문이다.
공적인 장소뿐 아니라, 인간의 개인적인 취향에 의해 검정색이나 흰색을 좋아하기도 한다. 그것은 빨강이나 노랑으로 표현되는 듯한 화려한 감정과는 거리가 있는, 특별한 기분을 들게 한다. 소중한 사람과 헤어졌을 때나 인생을 새롭게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와 같은 그런 중요한 시점에 있을 때, 사람의 마음은 새하얗게 된다. 혹은, 모든 감정을 마음에 담아둘 때, 모든 색을 포함한 감정이 마음을 진정시켜줄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모노톤을 ‘어른의 색’이라고 하는 것이다.
▶ 검정색과 흰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색을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흰색과 검정색의 모노톤은 마음을 차분하게 해준다. 이것은 당신이 인생의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평상시의 기분과는 다르게 조금 떨어진 곳에서 나 자신을 바라보고 싶어진다. 희망에 가득 차있을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자신의 세계를 혼자서 살아가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재생과 다시 시작하는 것의 일보가 아닐까? 이런 심경은 자신을 성장시켜 어른이 되어가는 멋진 찬스라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 검정색과 흰색의 모노톤은 긴장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릴렉스 할 수 없다고 느낄 때가 있다. 분명 즐거운 기분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싶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명할지도 모른다. 흑백은 감각이나 감정을 억누르는 색이다. 반대로 마음을 조이고 자신의 세계를 단련시키고 싶을 때에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어떤 마음으로 살고 싶은지, 변화를 주면서 유채색과 무채색을 섞어가면서 사용해보면 좋을 듯 싶다.
핑크색 심리 _ 핑크는 행복으로 가는 꿈을 이야기 하는 색
핑크색은 원래 빨강의 일종으로 빨강을 점점 밝게 하면 핑크가 된다. 빨강은 강한 에너지가 느껴지지만, 빨강을 밝게 한 핑크에서는 부드러운 에너지가 전해진다. 「부드러움」과「덧없음」의 이미지로부터 여성상을 상징하는 색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핑크색은 「사랑」의 이미지와도 관계가 있다. 화가 피카소는 20대 중반에 페르난도라는 연인이 생기고 나서부터 핑크색을 메인 컬러로 한 작품을 계속 그려내어, 「장미의 시대」라고 불리는 걸작 시리즈를 남겼다. 핑크에는 긴장을 풀어주고 안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연애감정이나 부드러움이 핑크와 연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른다.
▶ 핑크색을 좋아하는 사람의 심리
평소 핑크를 좋아해 왔다면 자신은 물론 주위에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자신을 받아 주는 축복 받은 환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설령, 삶 중에 힘든 일이 있었다 하더라도 스스로 행복해 지려고 매우 노력하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그러한 퍼스널리티는, 분명 주위 사람들에게도 편안함과 즐거운 기분을 느끼게 해주었 것이다.
※ 핑크와 관련이 있는 여성스러움 귀여움의 이미지를 강요 받은 것에 대해 저항감을 느끼는 여성이 적지 않다. 그럴 때는 인간으로서 또는 어른으로서 성장해 가는 자신을 소중히 하고 싶어진다. 자신만의 세계를 확립해가는 멋진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럴땐 녹색, 청색이나 모노톤의 긴장감 잇는 색조가 좋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시기를 지나 언젠가 자신 안에 여성성을 받아들여, 당신의 마음에 맞는 핑크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
색채 심리학 - 심리분석 사례
주요 색상(빨강, 노랑, 파랑, 초록, 주황, 보라)
1. 빨강색
1) 색의 연상
‣ 매우 다양한 방식, 색채와 관련되어 유추되는 넓은 범위의 것.
- 긍정적인 연상 : 행복, 충동성, 낙관주의, 강인함, 남자다움, 역동성, 열정 등
- 부정적인 연상 : 폭발성, 전쟁, 죽음, 무질서, 악마, 피 등
- 맛 : 감미롭다, 익었다, 달다, 강한 맛
- 소리 : 크다, 트럼펫 소리
- 연상되는 말 : 달력의 빨간 날, 얼굴이 붉다, 빨간 줄, 빨간 글씨, 공산주의자
- 육체적 효과 : 따뜻함
‣ 정서 반응 : 공격성, 파괴, 죽음, 사랑, 희생
2) 색의 상징
‣ 대부분의 사람이 공통적으로 연상하게 되면서 또 어떤 특정의 의미를 나타내게 되는 것.
① 안정색광사용
- 사용 장소 : 정지, 방화, 금지, 위험 및 긴급에 관계가 있는 장소에 사용
- 정지 : 신호의 ‘정지’ 색광
- 방화 : 소화전, 소화기, 화재경보기, 기타 소방용구 등
- 금지 : 안정 표지 등에 규정하는 금지표지 등
- 위험 : 도로공사 중의 빨간색 램프, 일반 차량 전, 후방에 적재물 표시, 화약 등 위험물 탑재
차량의 야간 표지 등
- 긴급 : 긴급 자동차에 사용하는 빨간 색, 긴급 정지 누름 단추, 구조를 청하는 발광신호
② 태극의 빨강
- 우주만물의 근원을 상징
- 태극으로부터 음과 양이 생기고, 조화에 따라 오행이 생긴 것
- 태양과 달은 음과 양의 상징적 표현 임
- 우주만물과 땅을 상징하고 남녀를 상징하는 우리의 태극기는 우주 전체의 함축된 의미를 갖고
있음
- 태극기의 빨강은 양(陽)에 해당
- 중국, 일본 국기의 빨강과는 다른 의미를 지님
‣ 중국 - 혁명, 일본 - 동방의 태양
3) 색의 심리적 의미
① 공격성, 남성적 성질
- 적의 공격을 알리기 위해 붉은 깃발 사용
- 붉은 군복
② 단호함, 도발
③ 생명체, 삶
고대 사냥꾼이 동물에 의해 피를 흘리고 죽는 것을 보고 빨간 물질에 생명 부여, 삶의 의미
④ 사랑
- 그리스 신화 : 그리스인들은 희생과 사랑의 상징으로 붉은 색 의복을 입음
- 기독교 : 예수의 피와 사랑
- 고대 유대인 : 희생과 원죄
⑤ 육감적, 관능적 사랑
⑥ 주술적인 상징 - 악귀를 쫒기 위해 입술에 붉은 흙을 바름
4) 색과 성격
- 관심사에 대해 고민하는 일 없이 과감하게 덤벼 듦
- 사업의욕도 왕성하고 충동적인 성향이 있으며, 운동선수 타입
- 성적매력이 넘치며 생각한 것은 좋든 나쁘든 즉시 입 밖에 내어 표현함
-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조금이라도 잘못되는 일이 있으면 다른 사람이나 세상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음
- 조울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니 상당한 자제가 필요함
- 빨간색을 좋아하는 사람은 외향적, 적극적, 정력적, 충동적인데 그렇게 되고 싶어하는 사람도
빨간색을 좋아함
- 불행한 일은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리고 싶어함
- 사람들을 비난하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기를 잘함
- 단조로운 일에는 곧 싫증을 냄
- 빨간색이 싫다면 통속적이고 욕구불만에 찬 사람일 가능성이 있음
5) 빨강과 관련된 유형
- 밖으로 관심을 보이며 솔직하게 색을 선택한 경우 : 자기 생각의 옳고 그름을 빨리 말해버린다. 순색의 빨강을 선호하는 경우는 감정의 기복이 있고 자신들의 괴로움 때문에 다른 사람이나 세상을 비난함
- 순색이 아닌 빨간 계열의 색을 선호하는 유형 : 온순하고 소심함
- 빨강을 싫어하는 경우 : 어느 면에서 좌절하고, 패배당하고, 실현되지 못한 욕망 때문에 괴로워하고 노여워하는 사람일 수 있음
6) 색채의 치료적 효과
- 빨간색은 자극적이고 불안과 긴장을 증가시키는 색
- 활동을 향상시키고 피곤과 싸우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신진대사, 피부에 자극적인 효과를
줌
- 성 기관의 에너지를 보충해 줌
- 우울증 치료
- 고혈압이나 불안한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음
- 색채치료를 한의학에서는 음양오행설에 따른 인체의 장기 중 심장으로 보며 오미자, 붉은
대추, 구기자차를 사용함
- 옷을 치료적으로 사용할 때 속옷으로 입음
- 자극을 유발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색, 아이디어를 창안해내는데 매우좋은환경을 제공해줌
7)임상적 사례와 작품에 나타난 빨간색의 상징적 의미
‣ 뭉크 : 빈민가 의사의 아들, 5세 때 어머니가 폐결핵으로 죽고, 엄마와 같은 역할을 해주던 누나도 14세에 폐결핵으로 죽음, 24세에 아버지의 죽음, 33세 때 남동생도 죽음. 정신과 치료를 계속 받지만 늘 죽음과 공포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살게 됨.
<절규> <불안>
<8세 아동-공격성> <만성 우울증-대인관계불안감>
2. 노란 색
1) 색의 연상
① 햇빛(밝음의 본성)
② 노랑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의미 및 연상
긍정의 의미
- 빛나는 노랑
- 영혼의 완성, 평화, 휴식을 나타내며 햇빛, 젊음, 기쁨, 즐거움의 색
- 부엌에 좋은 색
- 노란색 과일과 채소는 변비를 완화, 신경을 진정
- 금빛 노랑
- 익은 채소와 익은 과일
- 보호색의 의미
부정적 의미
- 깨지고 찌르는 듯하며 번쩍이는 노란 톤
- 날카롭게 지저귀는 카나리아의 노랑
- 소변과 고름, 파충류들의 노란 독소
- 너무 밝거나 너무 자주 사용하면 정신과 신경을 과하게 자극, 분열증세를 일으킬 정도로
초조함
- 겁쟁이, 편견, 파괴적 지배의 색
③ 색채와 형태
- 추상적 관념 속에서는 색채와 형태와 관련
- 역삼각형이나 피라미드 모양과 연관됨
- 명료도가 가장 높은 색이며, 뾰족하고 날카로운 느낌을 줌
- 세속적이기보다는 영적인 느낌을 주는 색이며 질감과 중량감이 부족함
④ 색채와 개성
- 두뇌형인 사람은 노란색을 좋아함
- 영적인 기질이 강한 사람 또는 형이상학적인 기질의 사람들에 의해 선호됨
⑤ 색채와 음향
- 파이프 오르간의 부드러운 소리에 노란색이 연상
- 뉴튼은 노란색을 음계 중 ‘미’에 연관시킴
⑥ 색채와 음식
- 엷은 노란색은 순수한 노란색 보다는 좀 더 맛있어 보이는 색이며 대부분의 사람에게 복숭아색, 빨간색, 주황색 등과 더불어 진노랑도 가장 식욕을 돋워 주는 색으로 통함
2)색의 상징과 원형
. 생명의 노랑과 죽음의 노랑 : 생명의 노랑은 따뜻한 황금빛 노랑의 의미를, 죽음의 노랑은
차갑거나 창백한 노랑의 의미를 가짐
. 어린 생명의 상징성 .여름과 성숙 .명시성의 노랑
.악의와 질투의 색 .병과 죽음 .태양과 빛의 색 .영적인 색
.인종의 상징적 원형 : 황색인은 높은 지력, 생존력, 강인함의 상징 .해탈의 상징
3) 색의 심리적 의미와 성격
①노랑의 심리적 작용
- 괴테의 색채론 : 노란색은 그 색이 지니는 순수함에서 항상 밝음의 본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명랑하고, 다채로우며 부드러운 자극을 주는 특성을 지님
- 생동감이 있는 충동과 외향성과 일반적 원동력과 활동력으로 봄
- 고대에는 노랑을 담즙과 분노를 강하게 폭발하려는 경향이 있는 기질과 관련지음
- 칸딘스키 : 부정적 견해를 가짐. 노랑은 인간을 불안하게 하며 빈정대고 흥분시키며 뻔뻔하고
강제적인 기분에 작용되는 색을 폭력의 성격을 나타낸다고 주장. 날카로운 트럼펫처럼 들리고
정신 병리적 경험에 의하면 광기의 색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함
- 기쁨에 넘치는 감정을 갖게 함
② 노란색이 가지는 효험과 속성
- 노란색 : 인체의 신진대사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짐
- 명료도가 높음 : 안전표지판
- 색채조절의 경우 밝기 : 조명이 어둠침침, 넓고 천정이 높아 조명상태가 바람직하지 못한 곳에
쓰면 제격
- 병원에서 연노란색, 상아색, 연두색 등은 사람의 얼굴을 유령처럼 보이게 하며 혐오감을
주므로 피함
- 어린이들의 충동적 기질은 따뜻한 색과 관련
③ 노란색이 말해주는 자신의 모습
- 뛰어난 상상력과 정력적인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생각들이 잘 정리되어 있음.
- 마음을 터놓지 않고 실행보다는 이론에 더 집중함 (실행이 약함)
- 남에게 존경 받기를 갈망하며 총명함에 대해 찬양 받기를 바람
- 정신적인 외톨이일 수 있으나,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며 믿을 만한 사람임.
④ 색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
- 정신적이고 영적인 인상을 강하게 주는 색
- 높은 지능과 지식을 가진 사람과 지능의 발달이 더딘 사람들이 선택 함
- 퇴보하거나 두드러지게 유아수준을 넘어서는데 실패한 환자들은 거의 예외 없이 노랑을
선택 (Emery)
- 노랑을 선호하는 사람은 내성적이고 분석적이며 세상에 대해 높고 심각하게 생각하며 재능
있는 사람들이 많음
- 노랑을 싫어하는 사람은 정신적 장애가 있거나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지적인 것과
관련된 복잡한 모든 것을 경멸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남
4) 색채의 치료적 효과
- 당뇨, 소화불량, 간 질환에 영향을 줌
- 운동신경을 활성화하고 근육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생성하게 해줌
- 노란색(빛)을 쏘이며 소화제의 기능을 함
5) 임상적 사례와 작품에 나타난 노란색의 상징적 의미
<해바라기> <침실>
3. 파란색
1) 색의 연상
① 하늘과 바다
② 긍정적 연상 : 고요함, 안정성, 평안함, 온전함,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