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 사 방/고구려,백제,신라

견훤(甄萱)의 탄생 설화

by 연송 김환수 2018. 3. 11.

견훤(甄萱)의 탄생 설화

 

왕건(王建) 궁예(弓裔)와 함께 후삼국(後三國)을 다툰 후백제왕 견훤(甄萱)의 탄생에 얽힌 설화는 사실 여러 지방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경북 문경 가은면의 이야기다.

 

일연(一然)스님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견훤이 광주(光州)태생이라고 쓰여 있기는 하지만 그곳 문경 가은면에는 천마산 농바위 전설, 아차동의 전설, 가은면 갈전2리 아차마을의 전설 등, 견훤의 탄생과 관한 전설이 여러 가지 있고,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상주 가은현(加恩縣)태생이라고 기록되었듯이 견훤이 경북 상주에서 출생한 것이 정설처럼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을 것만 같은 이 곳 충북 영동군 상촌땅(상촌면 유곡2리 진들마을)에도 견훤의 탄생설화가 불과 얼마 전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었고, 이런 설을 뒷받침할만한 역사적 사실도 있기에 함께 적는다.

 

옛날 상촌땅 진들마을(현 유곡2리 진들)에 사는 한 양반 집에 혼기가 다찬 예쁜 규수가 살고 있었다.

 

이 처녀는 인물도 고왔지만 행실도 바르고 마음씨도 착해서 인근 마을 뭇 청년들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는데 이 처녀는 어렸을적부터 오줌이 마려우면 집 동쪽 담 모퉁이에 있는 수채구멍(빗물이나 허드레 물을 받아내는 하수구)에 가서 오줌을 누는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처녀는 집안에 있을때나 아니면 집밖에 마실을 나가서도 오줌이 마려우면 언제나 집으로 돌아와 그곳에서 볼일을 보왔고, 이처럼 10여년을 하루 같이 한 장소에서만 소변을 본 그 처녀는 어느듯 철이 들어 의젓한 처녀가 될 무렵부터는 밤에만 그 곳에서 소변을 보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부터인가 처녀의 고운 얼굴에는 까닭 모를 수심이 드리워지기 시작했다.

 

처녀의 부모는 처음에는 예사로 알고 며칠 지나면 괜찮겠지 여겼으나 날이 갈수록 딸의 얼굴에 병색이 짙어지자 마침내 무슨 일이 있는 것이 틀림없다고 짐작한 부모는 딸을 조용히 불러 놓고 자초지종을 물어보았다.

 

그러자 처녀는 결심을 한 듯이 “이미 오래 전부터 왠 낮모르는 총각이 밤마다 제 방에 놀러와서 새벽에 돌아가곤 했는데 도저히 정체를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다가 서로 사모하게 되어 결국 동침까지 하였으며 그런 일이 계속되자 배가 점점 불러와서 걱정이 되어 점점 불안해 지는 마음으로 잠도 못이루었습니다. 아버님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용서해 주세요”라며 자초지종을 고했다. 이런 딸의 고백을 듣고 난 부모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충격을 느꼈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을 되담을 수는 없었다.

 

대신 그 총각의 정체를 밝혀서 자기 딸과 혼인을 시키기로 결심한 부모는 궁리 끝에 딸에게 그 총각이 밤에 찾아 왔다가 새벽에 돌아갈 때, 바늘에 실을 꿰어 옷섶에 꽂아 두도록 당부를 했고, 처녀는 그날밤에도 어김없이 자기 방에 찾아온 총각이 옷에 바늘을 꽂아두었다.

 

다음 날 아침, 날이 밝은 뒤 딸의 방 뒷문에서부터 뻗어 나와 서쪽으로 이어진 기와를 얹은 토담 위를 넘어간 실을 발견한 부모가 그 실을 따라가보자, 그 실은 마침 반쯤 무너진 토담너머 수북히 쌓여 있는 나뭇단 속으로 들어 가 있었다.

 

처녀의 부모는 급히 머슴을 불러 나뭇단을 허물도록 했다. 그리고 그 곳을 다 허물고 나니 땅 바닥에는 큰 구멍이 나 있었고, 실은 그 구멍속으로 들어가 깊은 굴속으로 이어져 있어서 머슴은 긴장하면서 그 실을 따라 굴을 파기 시작했다.

 

한참동안 굴을 파들어 가다보니 마침내 그 끝부분까지 도달할 수 있었으나 놀랍게도 그곳에는 커다란 뱀처럼 생긴 것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 순간 깜짝 놀란 머슴이 다시 정신을 차리고 끝까지 다 파헤치자 그 곳에는 뱀이 아닌 커다란 지렁이가 몸뚱이에 실꿰인 바늘이 꽂인 채 죽어 있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해서 지렁이는 죽고 말았으나 처녀의 배는 점점 불러오고 있었고, 그로부터 열달이 지나자 건강한 사내아이가 태어 났으니 이 아이가 곧 견훤(甄萱)이었던 것이다.

 

처녀의 부모는 이처럼 기막힌 일에 어찌 할 바를 모르고 고민 끝에 딸에게 약간의 땅을 떼어주며 아이와 함께 먼 곳으로 옮겨가 따로 살게 한 뒤, 이 사실을 황간의 원님께 낱낱이 고하며 이 아이의 장래를 위하여 성을 지어 주기를 간청했다.

 

원님은 한동안 생각에 잠겼다가 묘책이 떠 오른 듯, 무릎을 치며 실이 서쪽(西) 토담(土)의 기와(瓦)를 타고 넘었으니 성(姓)을 견(甄)으로 하라고 했고, 그 후 무럭무럭 자란 그 아이는 결국 영웅이 되어 마침내 후백제의 왕이 되었다.

 

이렇게 생긴 성씨가 황간견씨(黃澗甄氏)라고 하며, 견훤을 때로는 진훤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지렁이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말이 있어 견훤이 출생한 그곳을 진들(進坪)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는 전설이 있다.(영동 향토연구, 2001. 11호 박우상, 송문영)



 

이처럼 견훤의 탄생에 얽힌 지렁이의 설화는 여러 곳에서 전해지고 있고, 바로 옆의 매곡면 내동(內洞, 안골)마을에도 견훤의 탄생설화가 있다고 하지만 상촌의 이야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그러나 내동에는 지금은 이 곳 주위에서 모두 자취를 감췄지만 조선 중엽까지 황간을 본관(本貫)으로 삼는 황간견씨(黃澗甄氏)가 거주했다는 사실이 이곳 지리지(地理志)인 黃溪誌 등에 기록되어 있어 이 지역에서의 견훤탄생에 얽힌 전설을 그냥 지나칠 수 만은 없는 것이다.(內洞, 在赤良之下, 古爲甄姓所居, 今爲朴姓所居..... 聽籟亭, 在梧谷川邊, 溪山淸奇, 縣人甄胤世亭也....) 사실 옛 황간현을 본관으로 삼는 토성(土姓,)인 황간견씨가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춰버린 사연을 자세히는 알 수가 없다.

 

다만 황간견씨 이후 내동에 터를 잡은 朴址(박지, 충주박씨)가 그곳에 오래전부터 대대로 살아오던 參軍 甄季達(참군 견계달)의 무남독녀와 혼인, 贅居(췌거, 당시의 풍습으로 남자가 여자집으로 장가들어 처가살이 하는 것)하여 그 집 재산을 물려받아 후손이 번성했다는 충주박씨의 기록에서 그 사실을 유추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황간견씨(黃磵甄氏)

 

황간(黃磵)은 충청북도 남부지방에 위치한 지역으로, 신라 경덕왕 때 황간(黃磵)이라 개칭하여, 영동군의 영현(領縣)에 넣었다.

 

조선씨족통보와 각종 문헌에 의하면, 견씨(甄氏)의 본관은 남양(南陽), 상주(尙州), 청양(靑陽), 전주(全州), 남원(南原), 경주(慶州), 안주(安州), 선산(善山), 황간(黃磵) 등 9본(本)이 있는 것으로 전하나, 황간(黃磵)과 상주(尙州)를 제외한 나머지 본관은 세거(世居)하는 지명(地名)이라고 한다.

 

상주견씨(尙州甄氏) 시조(始祖)는 원래 이씨(李氏)였던 아자개(阿慈介)로 전하며, 그의 아들 견훤(甄萱)이 황간견씨(黃磵甄氏) 시조이다.

 

견훤(甄萱)의 아버지인 아자개(阿慈介)는 상주 가은현 사람으로, 본래의 성씨가 이씨(李氏)였는데 농사를 짓다가 신라말기에 사불성(沙弗城:지금의 상주시)에 웅거(雄據:일정한 지역을 차지하고 굳게 막아 지킴)하여 스스로 장군이 되어 고을을 다스린 호족(豪族)이었다.

 

그의 아들인 견훤은 후백제의 왕 견훤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견훤이 어렸을 때 그의 아버지가 밭에서 일을 하면서 견훤을 숲 아래 두었더니 호랑이가 나타나 젖을 먹여주었다고 하며, 고기(古記)에는 견훤의 출생에 대한 일화가 다음과 같이 전한다.

 

옛날 상주 북촌에 부자가 살았는데 그에게는 아름다운 딸이 있었다. 하루는 딸이 아버지에게 말하기를“매일 자주색 옷을 입은 남자가 제 침실을 찾아옵니다.”하니 그의 아버지는 딸에게“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하여 딸은 그 말을 따랐다.

 

날이 밝자 실을 따라가 보니 북쪽 담 밑에 큰 지렁이 허리에 바늘이 꽂혀 있었다.

 

그로 말미암아 아기를 잉태하여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그 아이가 15세가 되자 스스로 견훤이라 일컬었다 한다.

 

견훤은 신라에서 서남해 지방의 방어에 공을 세우고 비장이 되었으며, 신라말기의 혼란한 틈을 타 서기 892년(진성여왕6) 무리를 모아 신라에 반기를 들고 일어나, 900년(효공왕 4) 완산주에 후백제를 세워 왕이라 칭하고, 관제를 정비하는 한편 중국에도 사신을 보내 국교를 맺으면서, 궁예의 태봉과 자주 충돌하며 세력 확장에 힘썼다.

 

견훤의 후백제는 이후 왕건의 고려와도 수시로 혈전을 벌여 군사적 우위를 유지했으며, 935년 왕위계승문제로 맏아들 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유폐되었다가, 왕건에 투항하여 양주를 식읍으로 하사받았다.

 

이듬해인 936년(태조19) 왕건에게 아들인 신검의 토벌을 요청하여, 후백제를 멸망케 했으며, 충남 논산시 연산면의 불사(佛舍)에서 등창이 악화돼 숨졌다.

 

논산지방의 전설에는 견훤이 숨질 때 무진주가 보이는 곳에 묻어달라고 해서 논산에 묘를 썼다고 하며, 현재의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 산 17번지에 그의 묘소로 추정되는 능이 있고 비석에는 “후백제왕 견훤 능”이라 음각되어 있다. 또한 경북 문경(당시는 상주)에는 견훤이 태어났다는 집터가 있다.

 

인구조사에서 견씨(甄氏)는 1960년에는 446명, 1985년에는 236가구 990명이었고, 2000년에는 8본관에 1,141명이었다.


=================================================================


황간면 현재의 위치와 범위


읍치 위치 : 충청북도 황간면 신흥리고을 범위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상촌면(황간면(), 용산면()-백자전리·청화리, 추풍령면()-계룡리 /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광천리·덕천리·상금리·신암리·예지리·태화리, 대항면()-덕전동·복전동·향천동

 

옛지도의 지명 찾아보기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駕鶴樓

가학루

-

()남성리

客舍

객사

-

()남성리

乾川寺

건천사

-

()어촌리

掛榜嶺

괘방령

-

()어촌리

南面

남면

-

南面倉

남면창

-

()태화리

冷泉

냉천

참샘

()원촌리

訥伊項烽臺

눌이항봉대

누리산·느릅산

()계룡리

梅下面

매하면

-

白華山

백화산

-

()우매리

三道峯

삼도봉

-

()물한리

揷峙

삽치

삽재

()서송원리

上村面

상촌면

-

西面

서면

-

石橋山

석교산

-

()흥덕리

石川橋

석천교

-

-

所伊山烽臺

소이산봉대

(봉대산)

()광평리

松溪書院

송계서원

-

()수원리

松峴

송현

솔티·소재

()원촌리

衙舍

아사

-

()남성리

吾谷面

오곡면

-

龍淵臺

용연대

-

()원촌리

牛峙

우치

솔티

()원촌리

月留峯

월류봉

-

()원촌리

邑內面

읍내면

-

臨淸樓

임청루

-

()남성리

長川橋

장천교

-

-

鼎岩1)

주암

-

()원촌리

-

()남성리

秋風嶺

추풍령

-

()추풍령리

寒泉書院

한천서원

-

()원촌리

鄕校

향교

-

()남성리

華岳樓

화악루

-

()남성리

黃岳山

황악산

-

()궁촌리



南面(남면) : 김천시 봉산면 광천리·덕천리·상금리·신암리·예지리·태화리, 대항면 덕전동·복전동·향천동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可幕里

가막리

가매기

()태화리

可幕柳器店里

가막유기점리

가매기

()태화리

可城里

가성리

가재

()신암리

可店里

가점리

-

-

高道巖里

고도암리

고대미

()신암리

坤川里

곤천리

-

()광천리

舊藍田

구남전

-

()덕천리

金化沙器店里

금화사기점리

-

()상금리

金化店里

금화점리

-

()상금리

都山里

도산리

-

()광천리

敦睦里

돈목리

돌목

()광천리

馬甘里

마감리

-

-

馬田里

마전리

-

()복전리

方下峙里

방하치리

방아재

()향천동

上里

상리

-

()상금리

細松里

세송리

-

()덕전리

松羅谷里

송라곡리

-

()광천리

枾木里

시목리

감나무골

()광천리

新藍田

신남전

-

()덕천리

新村里

신촌리

새삼골

()신암리

汝里洞里

여리동리

-

-

龍背里

용배리

-

()덕천리

立石里

입석리

선돌

()예지리

井浦里

정포리

샘재

()덕천리

中里

중리

-

()상금리

太平里

태평리

-

()태화리

下里

하리

-

()태화리


梅下面(매하면) : 영동군 매곡면 강진리·공수리·돈대리·수원리·어촌리·유전리, 상촌면 임산리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江津洞里

강진동리

-

()강진리

坤德里

곤덕리

건덕리

()유전리

功須洞里

공수동리

공숫골

()공수리

官基里

관기리

관터

()임산리

官基店里

관기점리

관터

()임산리

橋洞里

교동리

다릿골

()돈대리

九萬里

구만리

-

-

敦大里

돈대리

돈대

()돈대리

銅店里

동점리

퉁점

()강진리

暮煙臺里

모연대리

모른대

()수원리

物如大里

물여대리

물여대

()강진리

沙也洞里

사야동리

새별

()공수리

桑林里

상림리

-

()돈대리

楊州里

양주리

양주골

()임산리

漁村里

어촌리

오두니

()어촌리

梧里洞里

오리동리

오리골

()공수리

院村里

원촌리

서원마

()수원리

林山里

임산리

-

()임산리

見龍里

현룡리

-

()돈대리


上村面(상촌면) : 영동군 상촌면 궁촌리·대해리·둔전리·물한리·상도대리·유곡리·하도대리·흥덕리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道大里

도대리

도대

()하도대리

物閑里

물한리

물한이

()물한리

盤店里

반점리

-

()상도대리

白如大里

백여대리

-

-

上弓村里

상궁촌리

웃활골

()궁촌리

石峴里

석현리

돌고개

()대해리

宣化峙里

선화치리

선화티

()상도대리

雪五味里

설오미리

설보름

()흥덕리

柳谷里

유곡리

버드실

()유곡리

二老里

이로리

-

()하도대리

竹谷里

죽곡리

대실

()유곡리

車踰洞店里

차유동점리

수레너미

()상도대리

土項里

토항리

흙목·흘목

()대해리

下弓村里

하궁촌리

아래활골

()궁촌리


西面(서면) : 영동군 용산면 백자전리·청화리, 황간면 금계리·노근리·서송원리·용암리·우천리·회포리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曲巖里2)

곡암리

누룩바우

()용암리

金雞里

금계리

진개

()금계리

老隱里

노은리

노근

()노근리

唐底里

당저리

당저

()용암리

陶洞里

도동리

도골·독골

()우천리

木花谷里

목화곡리

목화실

()노근리

栢子洞里

백자동리

잣밭골

()백자전리

西松院里

서송원리

-

()서송원리

新儀店里

신의점리

-

()서송원리

安大里

안대리

안대

()노근리

如洞里

여동리

-

-

牛川里

우천리

쇠내

()우천리

竹田里

죽전리

-

()금계리

靑化里

청화리

-

()청화리

回浦里

회포리

구미·후미

()회포리


梧谷面(오곡면·오리실면) : 영동군 매곡면 광평리·노천리·옥전리·유전리·장척리, 추풍령면 계룡리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巨皮洞里

거피동리

-

-

廣坪里

광평리

너분들

()광평리

內洞里

내동리

안골

()노천리

德谷里

덕곡리

-

()계룡리

寶賢里

보현리

-

-

上赤良里

상적량리

-

-

石亭子里

석정자리

-

-

安寧里

안녕리

안니이

()옥전리

五里谷里

오리곡리

오리실

()유전리

玉田里

옥전리

구삿

()옥전리

泥村里

이촌리

-

()장척리

藏尺洞里

장척동리

장자울

()장척리

中赤良里

중적량리

-

-

檜谷里

회곡리

저실

()계룡리


邑內面(읍내면) :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남성리·마산리·소계리·신흥리·우매리·원촌리

한자

한자소리

불리던이름

현재위치

槐村里

괴촌리

-

-

校村里

교촌리

향교골

()남성리

南門里

남문리

-

-

南城里

남성리

-

()남성리

馬山里

마산리

말미

()마산리

栢子洞里

백자동리

-

-

上東部里

상동부리

-

()신흥리

上西部里

상서부리

-

-

邵溪里

소계리

-

()소계리

松溪里

송계리

-

-

瑟峙里

슬치리

슬실티

()우매리

新興里

신흥리

-

()신흥리

艾橋里

애교리

쑥다리

()소계리

完亭里

완정리

-

()우매리

牛馬里

우마리

우매

()우매리

牛峙里

우치리

소재·솔틔

()원촌리

院村里

원촌리

한천

()원촌리

土閑里

토한리

-

-

通川里

통천리

-

()남성리

下東部里

하동부리

-

()신흥리

下西部里

하서부리

-

()신흥리

 

각주

1) 를 잘못 옮겨 쓴 것이다.

2) 을 잘못 옮겨 쓴 것이다.

 

황간 (黃澗)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2, 2012. 11. 30., 국립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