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돌이 / 무상
1절만 부릅니다.
(1절)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부처님은 성중에서 중생들을 잡으시고
하늘중에 하늘이며 온누리에 빛이시어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자대비 상설벌은 온누리를 감싸시고
대지에 가꾼수정 모든 중생 기르시네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하늘보다 넓고넓은 열영바다 깊으시고
훤칠하신 그미덕은 백살같이 눈부셔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오~~~~~~~~~~~~~~~~~~~~~~~~~~~~~~~~~
(2절)
부처님은 성중에서 중생들을 잡으시고
하늘중에 하늘이며 온누리에 빛이시어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자대비 상설벌은 온누리를 감싸시고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지에 가꾼수정 모든 중생 기르시네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하늘보다 넓고넓은 열영바다 깊으시고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오~~~~~~~~~~~~~~~~~~~~~~~~~~~~~~~~~
(후렴)
부처님은 성중에서 중생들을 잡으시고
하늘중에 하늘이며 온누리에 빛이시어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자대비 상설벌은 온누리를 감싸시고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지에 가꾼수정 모든 중생 기르시네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하늘보다 넓고넓은 열영바다 깊으시고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오~~~~~~~~~~~~~~~~~~~~~~~~~~~~~~~~~
부처님은 성중에서 중생들을 잡으시고
하늘중에 하늘이며 온누리에 빛이시어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훤칠하신 그미덕은 백살같이 눈부셔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육중하신 자비만큼 모든중생 건지시네
오~~~~~~~~~~~~~~~~~~~~~~~~~~~~~~~~~
부처님은 성중에서 중생들을 잡으시고
하늘중에 하늘이며 온누리에 빛이시어라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
탑돌이는 사월 초파일에 밤새도록 탑을 돌며 부처의 공덕을 찬미하고 각자의 소원을 비는 행사이다.
원래 탑돌이는 승려가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불교의식이었으나, 불교가 대중화하면서 민속놀이로 변천되었다.
이에 따라, 처음에는 불교음악으로 법악기(法樂器)인 범종(梵鐘)·운판(雲板)·목어(木魚)·법고(法鼓)를 치면서 범패(梵唄)와 염불만 하였으나, 뒤에 와서 삼현육각(三絃六角)이 연주되고 <포념 布念>·<백팔정진가 百八精進歌> 등 민요풍의 노래도 부르게 되었다.
또한, 부처에 대한 칭송과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내용에서 크게는 국태민안(國泰民安)과 작게는 개인의 소원을 비는 것으로 내용이 바뀌고, 큰 절에서는 수백 명이 참가하는 탑돌이가 장관을 이루기도 하였다.
탑돌이는 먼저 귀의불양족존(歸依佛兩足尊)·귀의법이욕존(歸依法離欲尊)·귀의승중중존(歸依僧衆中尊)을 제창하는 삼귀의례(三歸依禮)를 한 다음에 시작되는데, 십바라밀다정진도(十波羅蜜多精進圖)를 그리면서 돌게 된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보시(布施)라 하여, 단월형(丹月形)을 그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둥근 달을 그리면서 돌고,
② 지계(持戒)라 하여, 반월형(半月形)을 그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반달을 그리면서 돌고, ③ 인욕(忍辱)이라 하여, 혜경형(鞋經形)을 그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신날 모양을 그리면서 돈다.
④ 정진(精進)이라 하여, 전자형(剪子形)을 그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위 모양을 그리면서 돌고,
⑤ 선정(禪定)이라 하여 구름 모양을 이루며,
⑥ 지혜(智慧)라 하여, 금강저형(金剛杵形)을 그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절구 모양을 그리면서 돌고,
⑦ 방편(方便)이라 하여, 좌우쌍정형(左右雙井形)을 그려 좌우에서 두 우물 모양을 그리면서 돈다.
⑧ 원(願)이라 하여, 전후쌍정형(前後雙井形)을 그려 상하에서 두 우물 모양을 그리면서 돌고,
⑨ 역(力)이라 하여, 탁환이주형(卓環二周形)을 그려 두개의 이중고리 모양을 그리면서 돈다.
⑩ 지(智)라 하여, 성중단월형(星中丹月形)을 그려 작은 원 셋을 싼 큰 원 모양을 그리면서 돈다. 탑돌이는 민속놀이지만 원래가 불교의식이었기 때문에 매우 경건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근래에 탑돌이가 불교의 교세와 더불어 쇠퇴하였는데, 1970년에 속리산 법주사의 탑돌이가 재연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탑돌이에 대한 예절
- 합장한 채 시계 방향으로 세 번 돌고 나서 선 채로 합장 삼배와 반배를 하고 법당으로 행한다.
※ 편단우견의 의미 - 법당의 부처님, 스님들의 가사를 입은 모양새의 하나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형식.
※ 우요삼잡의 의미
- 오른쪽 어깨가 탑을 향하도록 하며 합장하여 세법 도는 것을 말한다.
탑돌이 예경법
1. 큰 법당 정면에 서서 탑을 향해 합장 반배를 올린다.
2. 합장한 채 오른쪽 어깨가 탑을 향하게 한다.
3. 세 번 돌고 나서 선 채로 합장 반배를 한다.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고 좀 아래를 본다. 위를 보거나 두리번 거리지 말고 발걸음을 또박 또박 하게 걷는다)
4. 정근을 하면서 탑돌이를 하며 서원을 세운다.
(시간을 정하거나 108번 하기도 한다. 참회와 기도하는 마음)
* 법당에서 재나 법회가 열려서 참배가 여의치 않을 때 또는 혼자 조용히 기도하고 싶을 때 탑을 돈다.
------------------------------------------------
탑돌이 예경법에 대하여 경전의 근거 금강경 제2분(선현기청분)
時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시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이 때, 대중 가운데 있던 장로 수보리가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두손을 모아 공경하며 부처님께 말씀 올리기를.......
이 내용은 금강경이 성립되던 시기의 예경법입니다.
爾時諸比丘來詣佛所 到已頂禮佛足 右遶三匝退坐一面。
爾時慧命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偏袒右肩右膝著地
向佛合掌恭敬而立 白佛言
이시제비구내예불소 도이정례불족 우요삼잡퇴좌일면
이시혜명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편단우견우슬착지
향불합장공경이립 백불언
이 때, 모든 비구들이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 부처님의 발에 절을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바퀴 돈 후에 한쪽으로 물러가서 앉았다.
이 때, 혜명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두손 모아 공경하며 일어나서 부처님께 가로되........
頂禮佛足 右遶三匝(부처님의 발에 절을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바퀴 돈 후)
1. 정례불족 : 부처님의 발에다 절을 올린다.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갖다 대는 절을 올리고)
2. 우요삼잡 : 오른쪽으로 세바퀴 돈다. (오른쪽으로 부처님을 세바퀴 돈다)
3. 편단우견 : 오른 어깨를 드러낸다. (한쪽 어깨를 드러내다 : 오른쪽이라는 언급은 없지만 가사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착의법이므로.....)
4. 우슬착지 :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5.합장공경 : 두 손바닥을 합하여 (두손을 모은 팔을 구부린 자세에서 일어나서)
이 다섯가지가 부처님 당시의 예경법이 됩니다.
탑돌이를 할 때는 오른쪽으로 세바퀴 도는 것(우요삼잡)이 바른 예경법입니다.
나의 오른쪽이 탑과 가까운 방향(시계방향)으로 하여 세번 돌면 됩니다.
-------------------------------------------------
“탑돌이”는 불교가요(佛敎歌謠)의 한 곡명으로 해방 직후에 만들어진 "탑돌이"는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에 관등놀이와 찬불(讚佛)하는 것을 엮은 노래이다. 장단은 도드리에 맞추는 멋진 노래이다.
민요풍(民謠風)으로 불리는 이 노래 가사는 불교의 명절일 음력 4월 초파일(初八日)의 관등(觀燈)놀이와 찬불(讚佛)의 내용이다.
사람에 따라서 이 노래를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도드리장단에 맞추어 불리는 이 노래의 가락은 5음음계(B♭·D♭·E♭·F·G)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E♭이다. 5선악보는 『한국음악』 권7에 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사월이라 초파일(初八日)은
관등가절(觀燈佳節) 이 아니냐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봉축(奉祝)하세 석가세존(釋迦世尊)
명(命)을 빌고 복(福)을 비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대자대비(大慈大悲) 넓으신 덕(德)
만세봉축(萬歲奉祝) 하오리라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충효(忠孝)하여 입신(立身)하고
염불(念佛)하여 극락세계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도세 도세 백팔번을 도세
'불교인연방 > 찬불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표준 천수경 (0) | 2018.09.09 |
---|---|
우리도 부처님 같이 - 찬불가요대상 (0) | 2015.12.02 |
홍법사 단기출가 동자승 / 신묘장구대다라니 (0) | 2014.05.03 |
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시 (0) | 2014.04.19 |
반야심경(般若心經) - 힙합리듬 / 안치행 (0) | 201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