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씨(賈氏)는 본래 주(周)나라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후예다. 강왕(康王)이 당숙우(唐叔虞)의 유자(幼子) 공명(公明)을 가(賈)땅의 백(伯ㆍ長)으로 봉하면서 가씨(賈氏)로 성씨를 삼았다. 주나라 혜왕 때 가화(賈華)란 사람이 있었고, 한나라 고려 후기에 가수(賈壽)는 낭중령(郞中令)이 되었으며, 진(晋)나라 때 가효(賈孝)는 나라에 공을 세워 가(賈)성을 하사받았다.
가씨(賈氏)는 소주(蘇州)를 단본으로 하며, 중국 무위(武威ㆍ지금의 감숙성 감량도)에 연원(淵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가씨(賈氏)는 명(明)나라 신종(神宗) 때 추밀원사(樞密院使)ㆍ병부상서(兵部尙書)ㆍ태자 소부(太子少傅)ㆍ문연각 태학사(文淵閣太學士ㆍ북경의 궁중 안에 있던 장서의 전각에 소속된 관직) 등을 지낸 가유약(賈維鑰ㆍ자는 무편, 호는 지백당)을 시조(始組)로 하고 있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가유약(賈維鑰)은 중국 소주(蘇州) 사람으로서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난 이듬해인 선조(宣祖) 26년(1593년) 신종(神宗)의 명을 받들어 계요안찰사(薊療按察使)로 이여송(李如松)ㆍ마귀(麻貴) 등과 함께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와서 안주(安州) 등지의 싸움에 공을 세우고 돌아갔다. 그후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유격장군(遊擊將軍)인 아들 상(祥)과 병부종사관(兵部從事官)인 손자(孫子) 침(琛)을 데리고 다시 조선(朝鮮)에 들어와 소사(素沙ㆍ지금의 부천), 남원(南原) 등지의 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부산(釜山) 포구(浦口)의 싸움에서 용전(勇戰)하던 중, 적진에 뛰어들었던 상(祥)이 왜군의 칼에 오른팔이 잘렸다. 아들의 위급함을 직감한 아버지 가유약(賈維鑰)이 적진에 뛰어들었으나 중과부적으로 부자가 함께 장렬히 전사했다.
▲ (左)가주사(賈主事ㆍ가유약)가 황제의 칙서를 받들고 조선에 왔다는 선조실록 선조 26년(1593년) 5월 27일 기록. (中)선조가 모화관(慕華館)에 행행해 낭중(郎中) 가유약(賈維鑰)을 위문했다는 선조실록 선조 32년(1599년) 4월 7일 기록. (右)선조가 가유약(賈維鑰)의 관소에 나아가 주례(酒禮)를 하였다는 선조실록 선조 32년(1599년) 10월 5일 기록에는 가유약(賈維鑰)의 사람됨이 음험하고 거만하여 문예(文藝)의 재능만 있다고 되어 있다.
그의 손자 침(琛)은 영내(營內)에 머무르고 있다 이같은 비보(悲報)를 접하고는 대성통곡(大聲痛哭)하며 즉시 전지(戰地)로 달려가 원수를 갚으려 했으나 주위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어 울산 서생진 도독동(西生鎭都督洞)에 무덤을 만들었다.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侍墓)를 하였으며, 그가 일생동안 조선에 살면서 왜국(倭國)쪽을 향하여 앉지도 않았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전쟁이 끝나서 명(明)나라 원병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도독(覩督) 마귀(麻貴)가 침(琛)에게 함께 귀국할 것을 권유했으나, 그는 조부와 부친의 묘를 두고 어찌 이 곳을 떠나겠느냐 하며 조선에 귀화하여 조상의 무덤이 있는 울산(蔚山)에 자리잡아 안동부사(安東府使) 권순(權純)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도내리에 자리한 가침(賈琛)의 장남 증통정대부 용양위부호군(贈通政大夫龍驤衛副護軍) 가성(賈晟)의 묘.
인조 24년(1647년) 침(琛)이 죽자 아들 성(晟)ㆍ호(昊)ㆍ병(昺)ㆍ수(遂) 4형제는 고국인 중국으로 돌아가고자 뱃길이 가까운 태안반도 안흥만(安興灣)에 도착했으나, 그때는 명(明)나라가 망하고 청(淸)나라가 들어서는 난세였으므로 결국 귀환을 포기하고 충남 서산(瑞山)으로 자리를 옮겨 가씨(賈氏)의 터전을 이루었다. ▲ 정유재란 때 전사한 가유약(賈維鑰)과 아들 가상(賈祥) 및 손자 가침(賈琛)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1851년 세운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숭의사(崇義祠ㆍ충남지방문화재 제300호).
3대에 걸친 공을 조선 조정이 인정하여 철종(哲宗) 2년(1851년) 왕명으로 시조 가유약(賈維鑰)과 아들 가상(賈祥), 손자 가침(賈琛) 삼대(三代)의 충효를 기리는 ‘이충일효(二忠一孝)’의 ‘불천지사우(不遷之祠宇)’와 정문(旌門)을 하사했다. 그 뒤 1988년 8월30일 숭의사(崇義祠)라 이름하여 충남지방문화재 제300호로 지정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도내리에 자리한 선략장군 훈련원 판관(宣略將軍訓鍊院判官) 7세 가림(賈琳)의 묘.
5세 원남(元男)은 숙종 때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를 역임했고, 7세 림(琳)은 자는 변문(采文)으로 숙종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략장군 훈련원 판관(宣略將軍訓鍊院判官)을, 8세 권민(勸民)은 숙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와 정의현감(旋義縣監)을, 9세 문혁(文赫)은 통정대부(通政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와 가선대부(嘉善大夫) 용양위부호군(龍楊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에 자리한 9세 가문혁(賈文赫)의 묘와 교지.
14세 행건(行健)은 조선 헌종(憲宗) 때의 명신으로 천성이 어질어 도덕군자(道德君子)로 칭송이 높았다. 충청도 수군병마첨절제사(水軍兵馬僉節制使)로 있을 때 안흥지방은 전복과 해삼이 지방 특산으로 궁중에 올리는 진상품으로 엄동설한에도 백성들은 차가운 바닷물에 드나들며 해삼, 전복을 따다 관가에 바쳐 서울로 올려야 했다. 행건(行健)은 이러한 민폐의 시정을 중앙에 강력히 건의해 영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이를 받아들여 진상공납을 폐지해 백성들의 고달픔을 덜게 했다. 훗날 고을주민들은 돌과 구리로 각각 비석을 세워 그 공적을 새겼다고 한다.
▲ 14세 가행건(賈行健)을 기리기 위해 1860년 세운 충남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가행건애민선정비(賈行健愛民善政碑)와 교지.
그의 아들 일영(日永)은 철종(哲宗) 때 울진현령(蔚珍縣令)에 올랐고, 중영(中永)은 충량과(忠良科)에 장원급제하고 고종(高宗) 때 가선대부(嘉善大夫ㆍ종2품)를 역임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함대의 강화도 점령 때 의병을 일으킨 익건(翊健)과 구한말의 청백리 정로(廷魯)도 알려진 인물들이다.
클릭하시면 큰 계보도를 볼 수 있습니다
'보 학 방 > 기타성씨 연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어씨(忠州魚氏)의 연원 (0) | 2014.07.26 |
---|---|
하양 허씨(河陽許氏)의 연원 (0) | 2014.07.26 |
개성 왕씨(開城王氏)의 연원 (0) | 2014.07.26 |
제남 왕씨(濟南王氏)의 연원 (0) | 2014.07.26 |
경주·순창 설씨(慶州·淳昌薛氏)의 연원 (0) | 201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