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 사 방/역사 조선시대

"안중근 구출하라" 고종, 러에 밀사(密使)

by 연송 김환수 2013. 2. 21.

"안중근 구출하라" 고종, 러에 밀사(密使) '재판 관할권' 변경 시도

 

김기철 기자 kichul@chosun.com

입력 : 2009.08.29 02:33

 

"排日의 本元은 한국 황제"… 日, 안중근 의거 배후로 고종 지목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 의거로 체포된 직후, 고종이 블라디보스토크에 밀사를 보내 안 의사 구출 작전을 펼친 사실이 밝혀졌다. 또 일본 정부가 하얼빈 의거의 배후 세력으로 고종을 지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안중근·하얼빈학회 공동대표인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국사학)는 28일 하얼빈 의거 이듬해인 1910년 2월과 3월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일본 총영사가 고무라(小村) 당시 일본 외무대신에게 보낸 기밀보고서 3건을 공개했다.

 

이 기밀보고서는 경성에서 하얼빈을 거쳐 1910년 1월 27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고종의 밀사 2명이 안 의사를 일본 법정에서 러시아 법정으로 관할권을 옮겨 구해내려 했던 동향을 추적하고 있다.

 

단발 양복 차림인 이 밀사들의 이름은 '송선춘'과 '조병한'이며, 송선춘은 37~38세의 관리 출신으로 일본어와 영어에 능숙하고 일본과 미국에도 다녀온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910년 2월 17일자 '태황제밀사(太皇帝密使)'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이들 밀사가 블라디보스토크 거류민회에 출석, "아태황제(我太皇帝·고종) 폐하의 칙명(勅命)을 받고 이렇게 폐하의 친새(親璽)가 찍힌 밀서를 가지고 여순(旅順) 옥중에 있는 안중근을 구해내어 러시아령에 있는 우리 동포와 함께 극력 이를 러시아의 재판에 맡기기 위해 당지에 왔다"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닷새 후인 2월 22일자 보고서 '한황(韓皇)의 밀사 송모(宋某)에 관한 건'은 "위 밀사는 도착 당시 다수의 한인으로부터 어느 정도 진위를 의심당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한인들이 위 밀사 밀칙(密勅)을 믿기에 이르렀다"고 썼다.

 

▲ 고종이 파견한 밀사를 현지 한인들이 신뢰하고 있다는 1910년 2월 22일자

    일본 기밀보고서‘韓皇密使宋某에 관한 件’.

 

3월 2일자 보고서 '한국 궁정으로부터의 밀사'는 "밀정의 말에 의하면, 목하 이곳을 떠나 여순으로 간 송·조 두 사람의 밀사는 결코 위물(僞物·가짜)이 아니고, 니코리스크 시에서 사망한 이용익도 한황(韓皇)의 밀사로서 당시 그가 가지고 온 내탕(內帑) 잔금 7000엔은 지금도 최봉준의 집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고 했다.

 

이날 자 보고서는 특히 "배일(排日)의 본원(本元)은 물론 한국황제라고 한다. 재작년 경성 및 평양 사람 다수가 와서 배일을 종용한 것도 궁정이 준 돈으로서 이 무렵부터 당지의 거류민회 및 신문사가 점차 세력을 얻게 되었다고 하고, 작년 10월 하얼빈에서의 흉변(凶變) 사건도 궁정으로부터 연추(煙秋·크라스키노)의 최재형 집으로 선동해온 것으로서…"라며 안중근 거사의 배후로 고종을 지목했다.

 

한편 소네 조선통감이 1910년 1월 8일자로 고무라 외무대신에게 보낸 또 다른 보고서는 안중근 의사를 구출하기 위해 고용한 상하이의 영국인 변호사 더글러스의 변호 비용을 고종 측근인 민영익·민영철·현상건이 댔다고 기록했다.

 

이처럼 고종이 파견한 두 밀사는 연해주 한인들을 상대로 안중근 의사 지원을 호소하는 등 구출 작업에 나섰고, 더글러스 변호사도 여순법정에 출석했지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변론을 거부당해 안 의사는 결국 사형 판결을 받았다.

 

이태진 교수는 "이들 밀사는 고종이 1902년 국내 첩보와 해외정보 수집을 위해 설립한 첩보기관 익문사(益聞社) 요원으로 추정된다"면서 "기밀보고서는 고종이 연해주에 건설한 항일 독립운동기지를 배경으로 하얼빈 의거가 일어났고, 일본측이 이런 사실에 주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대한황실 직속 정보기관 '제국익문사(帝國益聞社)

 

"고종황제, 통신사 가장한 황제직속 정보기관 운영"

 

[정치] 1998.11.06 (금) Joins.com(중앙일보) 00:00

 

대한제국시절 고종황제가 일본의 침략 등 열강의 각축장이던 조국을 구하기위해 통신사를 가장한 '제국익문사'라는 황제직속의 정보기관을 운영했던 사실이 6일 밝혀졌다.

 

국가안전기획부는 이날 국회정보위의 안기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1902년 6월 고종황제가 만든 비밀정보기관인 제국익문사의 설치목적과 활동영역 및 조직 운영체계 등을 명시한 규정집 '제국익문사비보장정'을 공개했다.

 

서울대 이태진교수(국사학과)의 논문을 토대로 만든 만든 이 규정집에 따르면제국익문사는 표면적으로는 '매일 사보를 발간해 국민들이 보도록 하고 국가에 긴요한 서적도 인쇄'하는 현대판 통신사 기능을 담당했지만 내면적으로는 황제 직속의국가정보기관 역할을 수행했다.

 

이에 따라 익문사 수장인 독리는 '황제가 특별히 신뢰하는 사람으로 임명'했고 독리 아래 현재의 안기부 차장급에 해당하는 사무.사기.사신등을 두고 16명의 상임통신원 등 모두 61명의 정보원이 활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익문사 요원들은 주로 당시 정부고관과 서울주재 외국공관원들의 동정, 국사범과 외국인들의 간첩행위 그리고 학교.종교.사회단체의 반국가적 행위 등을 탐지하는 역할을 주로 했는데 서울과 지방은 물론 일본 중국 러시아에서까지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규정집 내용중 일본인과 일본기관을 지칭한 사항이 10개항에 달해 이들의 활동이 일본의 대한제국 침략을 저지하려는데 맞춰졌고 특히 1907년 7월 고종황제가 강제 퇴위당하기 전까지 황제가 전개했던 을사보호조약 무효화운동을 집중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기부의 한 관계자는 "대한제국 당시 많은 고급관료들이 일본측의 매수공작 대상이 돼 조정의 중요 정보가 수없이 빠져나감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위해 정보기관을 설립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익문사 요원들은 수집된 정보를 황제에게 '직보'하는 체제를 구축했는데 황제보고시 붓글씨(흑서)로 쓰지않고 불빛에 비춰야 읽을수 있는 '화학비사법'을 사용했고 봉투에 오얏꽃으로 된 황실문장과 '성총보좌'라는 글귀를 넣은 전용 인장을 봉투에 찍었던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익문사가 언제 해체됐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게 없으며 일본이 1905년 을사보호조약과 1910년 한국합병조약 등을 차례로 강요해 한국의 국권을 강제로 탈취하는 과정에서 해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안기부가 이처럼 고종황제 시대의 정보기관 역사를 공개한 것은 새 정부 출범후 전개되고 있는 국가정보기관으로서의 본연의 자세를 재확립하고 뿌리를 찾으려는 운동의 일환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