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에 가서 설 명절을 보내고 집으로 오는 길에 둘러 본 곳입니다.
충북 단양 구인사, 고수동굴 조수석에 앉은 분께서 안동 "하회마을"
보고 싶다고 해서 다시 찾아가 보았습니다.
구인사
다른 사찰하고는 다르게 천왕문 2층 누각에 사천왕이 있습니다.
5층 대법당으로 불리는 설법보전입니다.
5층 대법당 앞에 늘어선 12지신상 입니다.
5층 대법당옆 종각입니다.
5층법당 앞에 세워진 3층석탑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습니다.
이건물의 7층에 대조사전이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2대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대조사전 모습입니다.
대조사전
천태종 重創 및 총본산을 건립하신 상월원각 대조사상 (대조사전) 상월원각 대조사께서는 1911년 11월 28일, 강원도 삼척군 노곡면 상마읍리 봉촌에서 부친 朴泳鎭씨와 모친 삼척 김씨 사이에서 2대 독자로 탄생하였다. 본관은 밀양으로서 속명은 準東이고 上月은 법명이며 圓覺은 법호이며 1974년 4월 27일에 열반에 드셨습니다.
대조사전 우측(구인사 뒷편 수리봉)으로 상월원각대조사를 모신 적멸궁(무덤) 가는 길이 있습니다.
* 적멸궁(寂滅宮) : 불상을 모시지 아니하고 법당만 있는 불전(佛殿)
아침 8시30분 가파른 계단으로 적멸궁을 향하는 불자님이 끝없이 이어집니다.
벌써 다녀오시는 불자님도 보입니다.
드디어 산 정상 적멸궁 도착입니다. 설법 말씀이 있어 한 컷..
수리봉 정상에는 주요한 참배 대상이 되는 상월선사의 묘가 있는데, 이는 화장을 기본으로 하는 일반 불교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다.
상월선사는 생전에 화장을 원치 않는다며 미리 이 묘자리를 잡아놓았다고 한다.
이 절은 특히 치병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매일같이 수백 명의 신도들이 찾아와 관음기도를 드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상월원각 대조사님의 비석 및 뒷쪽 눈덮힌 둥근 봉분이 적멸궁인가 봅니다. (상월원각대조사 적멸궁비)
참배 하시는 분들이 많고 사진촬영 금지로 되어 있어 눈치보아가며
몇 컷 찍었습니다. 사실 저 혼자만 찍었는데 죄송한 마음입니다.
상월원각대조사 적멸궁비(上月圓覺大祖師 寂滅宮碑) 겨울보다는 초가을 사진이 보기는 좋습니다.
적멸궁 뒤 약 40m거리에 있는 전망대 인데 시설물은 없고 그냥
산정상에서 내려 보는 그러한장소입니다.
================================================================
고수동굴
예전부터 좋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가보지 못한 곳이라 들러 보았
는데 울진 성류굴과 비슷한 정도이고 오래전에 환선굴을 다녀와서
그런지 좋다는 느낌보다는 갔다 왔다는 것에 만족합니다.
================================================================
안동 하회마을
다시 가본 곳인데 예전에는 마을입구 주차장까지 차가 들어 갔는데
지금은 약 1km 전방에 주차를 해야 하고 주차장 주변에 기념품점과
먹거리 식당들이 생겼습니다.
낙동강변 산책로를 걸어서 마을입구까지 10분정도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하회마을까지 걸어가기 싫은 분들을 위하여 왕복버스를 운행하는데 편도 500원입니다. 한번 갔다 와서 그런지 찍은 사진이 적네요. 처음 가면 이곳 저곳 많이 찍어 오는데 집에 와서 보니 사진이 별로 없습니다.ㅎㅎ
마을입구에 있는 안내문입니다.
마을 한복판에 자리잡은 600년된 느티나무 삼신당 신목 입니다.
하얀 쪽지는 소원을 적어서 끼워놓은(부착) 소원성취문입니다.
아기 점지, 출산, 성장을 돕는 신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양진당입니다. 풍산류씨 대종택 입니다.
정면에는 사랑채 당호인 석봉 한호의 글씨로 ‘입암고택’(立巖古宅)이라 씌어 있는 편액이 걸려 있다. 입암 류중영의 고택이란 뜻이다.
양진당(養眞堂)이라는 당호는 겸암의 6대손인
류영(柳泳,1687∼1761)의 아호에서 비롯된 것이다.
충효당입니다. 서애 류성룡 선생의 종택입니다.
대청에는 명필 미수(眉수) 허목(許穆, 이조판서,우의정, 1595-1682)공이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선생의 충효사상을 기려서, 전서체(篆書體)로 충효당(忠孝堂)이라 쓴 편액으로 허목은 전서체를 잘 쓰기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영모각 건물에 전시해 놓은 유물들입니다.
관자입니다. 벼슬아치들이 망건의 당줄을 꿰는 작은고리 입니다.
3품은 옥관자, 2품은 금관자, 1품은 다시 옥관자를 달아서 재상이
되는 것을 환옥(還玉) 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보충설명
갓
탕건 모습-조선시대 성인남자들이 망건의 덮개로 쓰거나 갓 아래에 받쳐 쓰던 의관이다
망건 모습-성인 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위로 걷어올리기 위해 이마에 두르는 건(巾)
* 관자 : 망건의 아랫당줄을 꿰는 지름 1.2cm 내외의 고리. 편자의 귀 부근에 달려 있고 관품에 따라 재료 ·새김장식이 다르다. 1품은 조각 없는 질이 좋고 작은 옥관자(민옥관자 ·도리옥이라 함), 정2품은 조각 없는 소형 금관자(도리금), 종2품은 조각한 대형 금관자, 정3품은 조각한 대형 옥관자이다. 그 밖에 대모(玳瑁:거북이 등딱지) ·마노 ·호박 ·골 ·각 등으로도 만들었다. 조각한 무늬는 주로 화(花) ·죽(竹) ·연(蓮) 등이다.
* 풍잠(風簪) : 망건의 당 중앙을 꾸미는 장식품으로 갓을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갓모자가 풍잠에 걸려 바람이 불어도 갓이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상류층에서는 대모 ·마노 ·호박 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은 골 ·각을 사용하였다.
망건의 좌우에 달아 당줄을 꿰어 거는 지름 1.2cm 내외의 작은 고리로, 권자(圈子)라고도 한다. 망건편자의 귀 부근에 달아 편자 끝에 있는 좌우의 당줄을 걸어 넘기는 구실을 하는 것이지만, 관품(官品)에 따라 재료나 새김장식을 달리 하여 신분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1~3품의 당상관은 금·옥을 사용하였으며, 3품 이하 서민에 이르기까지는 뼈[骨]·뿔[角]·대모(玳瑁)·호박(琥珀)·마노(瑪瑙) 등을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었다. 또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1품은 만옥권(漫玉圈) 속칭 옥환(玉環)을 하였고, 2품은 견우화(牽牛花)·매화·오이꽃 모양의 금권(金圈:금관자)을, 3품은 견우화·매화 모양의 옥권(玉圈:옥관자)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후세에 이르러 실제 사용된 예를 보면, 1품은 새김장식이 없는 작은 옥관자(민옥관자·도리옥), 정2품은 새김장식이 없는 소형 금관자(도리금), 종2품은 새김장식이 있는 대형 금관자, 정3품은 새김장식이 있는 대형 옥관자, 당하3품 이하 서민은 뼈·뿔·대모·마노·호박 등을 사용하였으며, 상인(喪人)은 우제(牛蹄:소발굽)를 사용하였다. 새김장식에 사용된 무늬는 주로 꽃·대나무·연꽃 등이다.
갓 끈입니다. 지위에 따라 재질이 다릅니다.
류성룡이 예조판서로 별세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어 그 부인에게
내려진 정경부인 교지 (남편 벼슬에 따라 부인의 품계가 정해짐)
엘리자베스 여왕 방문기념 식수 (구상나무)
---------------------------------------------------------
몇년전 하회마을 가서 폰카로 혼자 찍은 사진(화질 엉망)
엘리자베스 여왕 방문 기념관 사진
삼신당
가마, 사인교
양진당
굴뚝
마을앞 부용대 나룻터
마을입구
하회마을 전경
'불교인연방 > 사찰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의 아침 (0) | 2011.02.26 |
---|---|
구인사 적멸궁 (상월원각 대조사 묘) (0) | 2011.02.06 |
부산 해동 용궁사 (0) | 2011.01.12 |
다시 가본 홍법사 (0) | 2010.10.30 |
조선말 불국사 전경 (0) | 201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