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사주학)/음양오행

오행, 천간의 특징

by 연송 김환수 2020. 2. 9.

오행(五行), 천간(天干)의 특징


오행이란 역학(易學)에서 우주 만물의 다섯 가지 걸음걸이를 의미한다. 걸음걸이라는 말은 만물이 지나가는 방향, 만물의 상태가 변화하는 양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우주 만물이 어떠한 변화의 길을 걷게 될 때, 그 변화의 길에서 발생하는 원칙을 오행이라 이름 붙인 것이다.

 

오행(五行)은 사람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개념에서 만물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 목()은 뭉쳐있지만 유약한 것이고,

  - 화()는 정밀하지만 적은 것이고,

  - 토()는 실하지만 흩어져 있는 것이고,

  - 금()은 강하고 견고한 것이고,

  - 수()는 많으나 허한 것을 뜻했다.

상생(相生) 관계

  - 목생화(木生火) : 나무는 불을 낳는다. 나무에서 불이 난다.

  - 화생토(火生土) : 불은 흙을 낳는다. 불에서 재가 나와 흙이 된다(재가 흙을 비옥하게 한다)

  - 토생금(土生金) : 흙은 쇠를 낳는다. 흙에서 쇠가 난다.

  - 금생수(金生水) : 쇠는 물을 낳는다. 쇠에서 물이 맺힌다(쇠가 물을 맑게한다).

  - 수생목(水生木) : 물은 나무를 낳는다. 물은 나무를 살린다.

 

상극(相剋) 관계

  - 목극토(木剋土) : 나무는 흙을 이긴다. 나무가 흙에 뿌리를 내린다.

  - 토극수(土剋水) : 흙은 물을 이긴다. 흙은 물을 가둔다(또는 흙은 물을 탁하게 한다).

  - 수극화(水剋火) : 물은 불을 이긴다. 물은 불을 끈다.

  - 화극금(火剋金) : 불은 쇠를 이긴다. 불은 쇠를 녹인다.

  - 금극목(金剋木) : 쇠는 나무를 이긴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 오행의 상생(相生) - 긍정적의미 / 부정적의미

  - 목생화 : 목을 통해 빛과 열을 제공하는 화가 나옴 / 목이 너무 많으면 화가 꺼짐

  - 화생토 : 화가 지나가면 재가 남고, 토가 거름지게 됨 / 화가 지나치면 토가 갈라짐

  - 토생금 : 토가 굳으면 금이 나옴-광맥 / 금이 너무 많으면 토가 약해짐

  - 금생수 : 금이 녹으면 수가되고 이를 뿌림 / 금이 너무 많으면 함께 많아진 수로 인해 잠겨짐

  - 수생목 : 수가 있어야 목이 자람 / 수가 너무 많으면 목이 썩고 떠버림


○ 오행의 상극(相剋) - 부정적의미 / 긍정적의미

  - 목극토 : 목은 토의 영양분을 흡수해버림 / 토를 목으로 파서 유용한 것을 만듬

  - 화극금 : 화는 금을 녹임 / 금을 화로 녹여 유용한 것을 만듬

  - 토극수 : 토는 수를 막아 가두어 버림 / 수로 토를 막을 수 있음

  - 금극목 : 금은 목을 베어버림 / 목을 금으로 잘라 유용한 것을 만듬

  - 수극화 : 수는 화을 꺼버림 / 화를 수로 끌 수 있음

 

음양오행 : 기가 가진 성격 및 색상

○ (나무) : 어머니

  - 곧고 휘며 뻗어나감(양은 큰나무,거목,고목, 음은 작은 품이나 잡초, 화초-곧고 휘면서

     위로 빠르게 올라가는 운동성)

() : 불같은 아버지의 성격

  - 번지고 확산을 함(양은 빠르게 번지고 움직이고 음은 움직이지 못하고 그 자리에 멈추어져

    있는것)

() : 아버지와 어머니의 중간

  - 수렴하고 발산을 함(억누르고 수렴하고 받아들임, 모든 오행을 받아들여 이것을 확산시키는

    역할)

() : 아버지

  - 변형하는 성질을 가짐(가공되지 않은 자연상태물질, 보석, 농기구-양은 어떠한 형태로

    변형을 할 수 있는 성질,음은 변형되지 못하고 처음부터 자신의 가지고 있는 모습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

() : 조용한 어머니의 성격

  - 응축되고 결집함(바다,,호수,시냇물, , -양은 활동성을 가지고 응집.결속이 되고

    음은 그자리에 움직이지 못하는 응집력과 결속력을 가진다.)

 

□  인의예지신(색상순서 ,백,적,흑,황색) 오방색 (,적,,,흑색)

: 푸른색. . 동쪽 스스로 성장한다. 기본성향은 착하고 어질다.

          목이 많으면 명예 지향적이고 자기의 의견을 굽히지 않는다.

: 붉은색, 여름, 남쪽 결과물을 만들지 않는다. 정신세계를 표현한다.

          예의바르고 적극적이다. 의사표현이 명확하나 다혈질이다.

: 노란색, 환절기, 중앙 불처럼 화려하지도 나무처럼 생동감도 없다.

          금처럼 결실의 결과를 돌아보지도 않고 물처럼 지혜를 짜내지도 안는다.

          그러나 모든것을 포용한다. 토의 기본성향은 믿음직스럽고 끈기가 있다.

          토가 많으면 끈기가 있지만 고집이 세다

: 흰색, 거두고 뭉치고 동시에 잘라 내기도 한다. 그래서 칼에 비유된다.

          온갖 어렴움에 잘견디고 흔들지 않는다. 의리 절제가 있다.

          금이 많으면 비판정신이 강해 시시비비를 잘가리나 잔소리가 불평불만이 많다.

: 검은색, 식물을 물에서 시작하여 물로 자라고 물로 꽃피운후 결실이라는 금으로 변신

          하여 수로 생명을 이어간다. 물이 많아야 생각이 많아 지혜가 발달한다.

          물의 기본성향은 총명하고 지혜롭다.

          타인에 대한 배려가 깊은대신 쓸데없는 생각이 많다.

 

오행의 속성 (성질)


()의 성질

위로 자라나는 성질이 있다. 자연계의 모든 사물과 현상 중 쉽게 자라고 움직이는 특성이 있는 것은 목()의 기질에 속한다.

()은 솟구치고 뻗어나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사주에서 목()이 많으면 고집이 세고 성격이 꼿꼿하고 출세욕이 남보다 강하다.

 

()이란 세상 만물이 살아있는 것을 가리킨다. 방위는 동방에 속하는데 태양이 동방에서 솟아오르고 모든 생명의 시작에 속하는 것이다.

 

()의 성질

물체를 태우는 특성이 있다. 자연계의 모든 형상 중에서 물질을 용해하여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불은 따뜻하고 뜨거운 열기가 있어서 물체를 태울 때는 불꽃이 위로 솟아오르는 속성을 가졌다. 불은 가장 강렬하게 자신을 태워 주위를 밝히는 성분이 있기에 성격이 급하고 활발함과 솔직함을 간직하고 있다.

 

태양은 큰 불이므로 양화(陽火)인 병화(丙火)이고 태양보다 작은 불을 음화(陰火) 즉 정화(丁火)라 한다. 전기불, 촛불, 화롯불, 형광등의 불빛 등을 음의 불이라고 한다.

 

()의 성질

모든 것을 중화시키는 도량역할을 한다. ()는 자연계의 중재자라 일컬으므로 자연계의 모든 사물과 현상을 중재하고 중화시킨다.

()의 성질은 생물을 자라게 하고 자기 몸을 헌신한다. 자연계의 물질은 흙 속에서 생물을 성장시키고 받아들이는 속성을 가진다.

 

큰 토()를 무토(戊土)라 하고 작은 토()를 기토(己土)라 한다. 무토(戊土)가 제방이나 산을 의미한다면 기토(己土)는 전답이나 초지처럼 작은 땅을 의미한다. 무토(戊土)의 성격은 우둔하고 신의가 있다면 기토(己土)는 다소 순종적이고 온화한 부드러운 면이 있다.

 

()의 성질

한랭하며 싸늘하고 나무처럼 포근한 느낌이 없다. 금속을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데 자연계의 사물 중 쇠소리를 내는 특성이 있는 것은 모두 금()에 속한다.

()은 예리하고 날카로운 무사의 칼날처럼 결단력이 있으며 두려움이 없다.

 

()의 성질

차갑고 서늘한 특성이 있고 아래로 흐르는 특성이 있다. 자연계의 사물과 현상 중 아래로 향하는 것은 모두 수()의 기질에 속한다. ()가 사주에서 많으면 고집이 센 반면 남에게 베푸는 일을 잘하게 된다. 만물이 살아나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물이다.

 

큰물로는 임수(壬水)가 있다. 수성을 따라 도는 또 하나의 별은 음의 물기를 머금은 채 검은 빛을 띠며 돌고 있는 별을 수성이라 한다.

 

물은 높은 곳에서부터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그러므로 물의 성정은 지혜롭고 유동적이며 추상적인 생명력과 원동력을 상징한다. 사주에서 물이 적게 되면 성격은 독단적이 되며 매사 반복됨이 많고 용기가 적고 계획성이 없다.


오행도

오행(五行)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상생(相生)화(火)토(土)금(金)수(水)목(木)
상극(相剋)토(土)금(金)수(水)목(木)화(火)
오방(五方)동(東)남(南)중앙(中央)서(西)북(北)
오시(五時)춘(春)하(夏)계하(季夏)
토용(土用)
추(秋)동(東)
오기(五氣)인애(仁愛)강맹(剛猛)관굉(寬宏)살벌(殺伐)유화(柔和)
오상(五常)인(仁)예(禮)신(信)의(義)지(智)
색(色)청(靑)적(赤)황(黃)백(白)흑(黑)

오장(五臟)

간(肝)심(心)비(脾)폐(肺)신(腎)

수(數)

성명학(자연수)

3,8

1,2

2,7

3,4

5,10

5,6

4,9

7,8

1,6

9,10

음(音)각(角)징(徵)치)궁(宮)상(商)우(羽)
ㄱ ㅋ아음
(牙音)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ㅇ ㅎ후음
(喉音)
ㅅ ㅈ ㅊ
치음(齒音)

ㅁ ㅂ ㅍ

순음(脣音)


천간(天干)양음(陽陰)
갑을(甲乙)
양음(陽陰)
병정(丙丁)
양음(陽陰)
무기(戊己)
양음(陽陰)
경신(庚辛)
양음(陽陰)
임계(壬癸)
지지(地支)인(寅)묘(卯)오(午)사(巳)()  축(丑)

(()

신(申)유(酉)해(亥)자(子)




 

()

()

()

()

()

음양(陰陽)

()

()

()

()

()

성질(五性)

생성

성장, 분열

조화, 완성

수렴, 결실

휴식, 응집

방위(方位)     

동방(東方)

남방(南方)

중앙(中央)

서방(西方)

북방(北方)

천간(天干)

(), ()

(), ()

(), ()

(), ()

(), ()

지지(地支)

(),(),()

(),(),()

-

(),(),()

(),(),()

계절(季節)

()

여름()

긴 여름(長夏)

가을()

겨울()

기후(氣候)

바람()

뜨거움()

습기(濕氣)

메마름(乾燥)

차가움()

기운(氣運)

()

광명의 신()

()

()

()

사대문(四大門)  

동대문(興仁之門)

남대문(崇禮門)

중궁(中宮)

보신각

서대문(敦義門)

북대문(弘智門)

경복궁(景福宮)

동문(建春門)

남문(光化門)

경복궁(五皇極)

서문(迎秋門)

북문(神武門)

사단(四端)

()

()

()

()

()

색깔(五色)

푸른색()

붉은색()

노랑색()

흰색()

검은색()

상징 동물

청룡(靑龍)

주작(朱雀)

-

백호(白虎)

현무(玄武)

창조 덕성

()

()

통합(統合)

()

()

욕심(五慾)     

정욕(情慾)

색욕(色慾)

-

탐욕(貪慾)

노욕(老慾)

오관(五官)

()

()

()

()

()

오성(五星)

목성(木星)

화성(火星)

토성(土星)

금성(金星)

수성(水星)

오제(五帝)

청제(靑帝)

적제(赤帝)

황제(黃帝)

백제(白帝)

흑제(黑帝)

오성(五聲)     

()

()

()

()

()

오수(五數)

()

()

()

()

()

신체(五體)

근육()

혈맥(血脈)

()

()

()

(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감정(五情)

분노()

기쁨()

사려()

슬픔()

두려움()

오장(五臟)

() :

심장() :

비장()

허파() :

콩팥() :

육부(六腑)

쓸개()

작은창자(小腸)

(), 삼초(三焦)

큰창자(大腸)

오줌보(膀胱)

정신(精神)

()

()

()

() :

()

짐승의 종류

들짐승(走類)

날짐승(飛類)

사람(人類)

갑각류(甲類)

어류(魚類)

종교(宗敎)

()

기독교(西仙)

신교(神敎)

불교()

(東仙)

오대양(五大洋)

태평양(太平洋)

남빙양(南氷洋)

인도양(印度洋)

대서양(大西洋)

북빙양(北氷洋)

육대주(六大洲)

아시아주

구라파주

오세아니아주

아메리카주

아프리카주

한글 발음

,

, , ,

,

, ,

, ,

성씨(姓氏)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南宮, 皇甫, 鮮于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東方



12

동 물

토끼

원숭이

돼지

시 간

23-01

+30분

01-03

+30분

03-05

+30분

05-07

+30분

07-09

+30분

09-11

+30분

11-13

+30분

13-15

+30분

15-17

+30분

17-19

+30분

19-21

+30분

21-23

+30분

방 위

북북동

北北東

동북동

東北東

동남동

東南東

남남동

南南東

남남서

南南西

서남서

西南西

西

서북서

西北西

북북서

北北西

음력

11

12

1

2

3

4

5

6

7

8

9

10

 


오행

오재(五材)

나무

오색(五色)

파랑()   

빨강()   

노랑()   

하양()   

검정()   

오방(五方)

()

()

()

(西)

()

오계(五季)

()

여름()

장하(長夏)

가을()

겨울()

오시(五時)

오전(平旦)

한낮(日中)

오후(日西)

저녁(日入)

(夜半)

오절(五節)

설날(新年)

상사(上巳)

단오(端午)

칠석(七夕)

중양절(重阳)

오성(五星)

목성(木星)

화성(火星)

토성(土星)

금성(金星)

수성(水星)

오성(五聲)

부름()

웃음()

가창()

울음()

읊조림()

오음(五音)

()

()

()

()

()

오장(五臟)

()

심장()

비장()

허파()

콩팥()

오부(五腑)

쓸개()

소장(小腸)

()

대장(大腸)

방광(膀胱)

오체(五體)

힘줄()

경맥()

근육()

피부()

()

오지(五志)

노여움()

기쁨()

생각()

슬픔()

공포()

오지(五指)

집게손가락(食指)

가운뎃손가락
(中指)

엄지손가락
(大拇指)

약손가락
(無名指)

새끼손가락(小指)

오관(五官)

()

()

()

()

()

오각(五觉)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오액(五液)

눈물()

()

()

콧물()

가래()

오미(五味)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오취(五臭)

누린내()

탄내()

향기()

비린내()

구린내()

오기(五氣)

힘줄()

혈액()

근육()

()

()

오영/오화(五榮/五華)

손톱()

얼굴()

입술()

눈썹()

()

오수(五獸)

청룡(青龍)

주작(朱雀)

기린/등사/구진
(黄麟/螣蛇/勾陳)

백호(白虎)

현무(玄武)

오축(五畜)

()

()

()

()

돼지()

오충(五蟲)

인충
(鱗蟲: 물고기, 곤충, 파충류)

우충
(羽蟲: )

나충
(裸蟲: 사람)

모충
(毛蟲: 포유류)

개충
(介蟲: 거북, 갑각류, 양서류)

오곡(五穀)

모시풀(苧麻)

기장()

()

옥수수()

()

오과(五果)

자두()

살구()

대추()

복숭아()

()

오채(五菜)

부추()

염교()

해바라기()

()

콩잎()

오상(五常)

()

()

()

()

()

오경(五經)

시경()

의례()

춘추(春秋)

서경()

역경()

오정(五政)

너그러움()

밝음()

공손함()

()

고요함()

오악/오기(五惡/五氣)

바람()

()

젖음(湿)

마름()

차가움()

오화(五化)

생명()

자람()

가르침()

거둠()

감춤()

오사(五祀)

()

부엌()

처마()

()

우물()

괘상(卦象)

()

()

()

()

()

성수(成數)

8()

7()

5()

9()

6()

병변/오변/오동(病變/五變/五動)

()

우울()

구토()

기침()

소름()

병위(病位)

(頸項)

흉협(胸脅)

등마루()

견배(肩背)

요고(腰股)

오상(五常)

()

()

()

()

()


천간(天干)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가 있다.


십간은 다시 음간과 양간으로 나누어진다.

양간(陽干)은 갑(), (), (), (), ()이고

음간(陰干)은 계(), (), (), (), ()이다.

 

양간의 특성은 활동적, 공격적, 직선적, 지배적, 적극적이고 음간은 방어적, 이성적, 곡선적, 소극적이며 정적이다.

천간은 음양관계에서 양이며 양은 빛나는 태양이며 하늘을 상징한다.


천간의 특징

  - 갑목, 을목, 병화, 정화, 무토, 기토, 경금, 신금, 임수, 계

  - 천간 도표

천간

()

()

()

()

()

()

()

()

()

()

음양

오행

()

()

()

()

()

()

()

()

()

()

 

갑목(甲木)

 

갑목을 옥편에서 찾으면 갑옷, 첫째 천간, 거북의등, 껍질, 첫째, 우두머리, 싹이트다, 시작하다, 손톰, 발톱, 아무개(이름대용)등의 뜻이 있다.

()은 새싹이 껍질을 둘러쓰고 땅에서 솟아 나고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갑목을 처음, 시작, 제일등의 의미가 있다. 갑목은 우두머리의 기질이 있기에 구속 받기를 싫어한다.

 

갑목은 편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통제받기를 싫어하고 생각대로 행동하고 즉흥적인면이 많다. 과장이 심하고 고집이 세다. 호기심이 많고 시작하는것을 좋아한다.

 

하늘을 솟아 직선적으로 자라려는 기운이 있어 병화를 바란다. 생장.성장을 뜻한다.

 

을목(乙木)

 

을목을 옥편에서 찾으면 새, 재비, 둘째천간, 둘째(차례,등급), 굽다, 휘다, 물고기 창자, 아무개(이름대용)등의 뜻이 있다. ()은 새싹이 옆으로 굽어져 자라는 모습, 새가 앉아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을목을 풀, , 묘목, 곡식, 화초등에 비유하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모난돌이 정 맞는다고 앞서가는 갑목이 눈에 잘 뛰어 정맞기 쉽다.

넝쿨이 나무를 감고 올라가듯 남을 의지하여 이용하려는 심성이 있다. 갑목, 경금을 만나면 타고 올라가려는 특성이 있다.

 

을목은 정재적 특성이 있다. 현실적이고 실속적이며 안정을 추구한다. 계산적이고 소유욕이 강하다. 심성이 소박하고 선량하며 인자하다. 뿐만 아니라 성격까지 부드럽다.

 

병화(丙火)

 

병화를 옥편에 찾으면 남녘, 셋째 천간, , 사물의 등급이나 차례에서 3, 환하다, 밝다 등의 뜻이 있다. 병화는 양()중의 양()이다.

조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지나친 화국일때에는 본성을 잃는다. 병화는 빛으로 작용하기에 경금을 녹일수가 없어 극할수는 있지만 경금을 제련할수 없다.

병화는 경금을 함부로 대하지만 신금은 합으로 묶어 고분 고분하게 된다. 병화는 하늘의 태양이라 천간에 하나만 있는게 가장 좋다.

병화는 임수를 겁내지 않는다. 임수는 거울처럼 병화를 반사시켜 빛내기 때문이다. 반면 병화는 계수를 싫어한다. 안개, 검은구름이 병화를 가리기 때문이다. 이때 무토가 곁에 있으면 계수를 합하여 묶어둔다.

 

정화(丁火)

 

정화를 옥편에 찾으면 넷째 천간, 장정(젊은 남자, 일꾼, 부역에 동원된 남자), 4번째, 성하다, 강성하다, 씩씩하다, 말뚝 박는 소리, 물 흐르는 소리, 거문고 타는소리, 바둑두는 소리, 제사 이름 등의 뜻이 있다.

정화의 물상으로는 등, 촛불, 유등, 전등, , , 모닥불, 화로, 용광로, 가스불, 용접불, 향불, 전열기구, 전자, 종교등이 있다. 정화를 인체에 비유하면 심장, 심혈관, , 시력, 신경, 턱이다.

 

정화의 심성을 십성으로 비유하면 정관에 해당한다. 원칙을 좋아하고 보수적이며 합리적이다. 온화하고 예의가 바르고 외유내강의 실속형이다. 하지만 우유부단하고 생각이 많다. 물질세계보다는 정신세계를 좋아하는 경우가 많다. 지혜가 많고 신비로운것에 관심이 많다. 정화는 근본이 부드럽고 중도적이다.

 

정화는 음간으로 양간에 비해 주변 간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화는 무토를 반긴다. 무토가 화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정화는 허약할때 을 녹이기 힘들다. 득령했을때 을 녹일수 있다.

 

무토(戊土)

 

무토를 옥편에 찾으면 다섯째 천간, 무성하다, 우거지다 등의 뜻이 있다. 무토의 물상으로는 산, 황야, 대지, 언덕, 제방, 방파제, 무성한 모양, 우거진 모양, 성곽, 부동산, 골동품, 정류장, 넓고 큰 도로 등이 있다.

 

무토의 심성을 십성으로 비유하면 편인에 해당한다. 신비로운것을 좋아하고 고독하며 직관력이 뛰어나다. 점잖고 인정이 많다. 친절하고 정중하며 성실하다. 느리지만 노련하고 신용이 있다.

 

무토는 화기(火氣)를 조절한다. 특히 정화를 조절하고 보호한다. 무토는 수()기가 있으면 갑목.을목을 키울수 있다. 무토는 임수를 능히 제극할 수 있으나, 임수가 계수와 같이 있으면 무계합으로 인해 임수를 극하지 않는다.

계수도 무토와 함께 있으면 정화를 극하지 않는다. .여름의 무토는 조열하여 수()로서 윤택하게 하고, 가을.겨울의 무토는 화()로 따뜻하게 해 주어야 제구실을 한다.

 

 

기토(己土)

 

기토를 옥편에 찾으면 몸, 자기, 자신, 자아, 여섯째 천간, 사욕, 다스리다 등의 뜻이 있다. ()자는 길이가 긴 끈 모양, 뱀이 머리를 들고 달려드는 모양이다. 기토의 물상으로 논, , 정원, 습한 땅, , 교육기관, 묘지, 구름, 작은도로 등이다.

기토를 심성을 십성으로 비유하면 정인에 해당한다. 안정적이고 보수적이고 자비심이 많고 선량하다. 신중하지만 의심이 많고 정신적인 세계에 관심이 많다. 도량이 넓고 신용도 좋다. 거절을 못하고 수용성이 뛰어나다. 기토는 임수를 만나면 흙탕물이 되게 한다.

 

신금은 기토를 받기지 않는다. 보석에 흙이 묻는것을 싫어한다. 기토는 왠만큼 강하지 않으면 물을 가둘수 없다. 이때 무토의 도움을 받을경우 그 결실은 무토의 것이 되기 쉽다. 기토는 같은 기토보다 무토를 더 좋아한다.

 

기토는 무토에 비해 낮고 습하다. 기토는 모아서 감추거나 거두어 둔다. 기토는 유연하여 목()의 극함을 두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목()을 키워내며, ()의 범람을 수용, 저장할수 있다. 기토는 만물 생장의 기본이다.

 

경금(庚金)

 

경금을 옥편에 찾으면 일곱째 천간, 나이, , 다시금, 더욱더, 바뀌다, 변화하다, 갚다, 배상하다, 잇다, 이어지다, 정의 등의 뜻이 있다. ()은 만물이 결실을 한 모양, 절굿공이로 곡식을 찧는 것을 모양 하였다.

경금의 물상으로 무쇠, 강철, 금속, 숙살지기, 냉정, 서리, 무기, 무기, 철기, 기계, 갱신, 혁신, 광물, 광산, 공장, 기차, 차량, 군대, 경찰, 제조업, 금융, 병원, 수술등이 있다.

 

경금의 심성을 십성에 비유하면 비견이다. 주체성, 독립심이 강하고 고집이 세다. 성정이 강렬하고 위엄이 있고 씩씩하다. 개혁을 좋아하고 정이 깊고 의리가 있다.

 

경금은 정화를 만나야 제련되어 그릇이 될수 있고, 자신을 녹슬게 하는 계수를 싫어한다. 무토가 너무 많으면 경금이 땅에 뭍히어 약하게 된다. 봄의 나무는 경금을 꺼리고, 가을, 겨울의 갑목은 경금을 반긴다. 경금으로 갑목을 쪼개어 정화를 도울수 있기 때문이다. 경금은 임수를 만나면 기운이 맑아지고, 정화를 만나면 더 예리해진다. 습토는 금()을 생할수 있지만, 메마른 토는 금()을 생할수 없다.

 

 

신금(辛金)

 

신금을 옥편에 찾으면 멥다, 매운맛, 고생하다, 괴롭다, 살상하다, 여덟번째 천간, 슬프다, 새것, 허물, 큰죄 등의 뜻이 있다. 신금의 물상으로 금, , 가공된 금속, 보석, 날카로운 금속, , 동전, 금융, 날카로운 기계, 정밀한 기계, 의약, 치밀한 것 등이 있다.

신금에 해당하는 인체로는 폐, 호흡기계통, 목구멍, 성대, 콧무멍, 근육과 뼈, 치아, 대장등이 있다.

 

신금의 심성을 십성으로 보면 겁재에 해당한다. 경쟁적 주체성, , 질투, 남보다 돋보이는것을 좋아함, 멋을 부림, 체면을 중히 여기고 경쟁자에게 뒤지는것을 싫어한다. 새로운것을 좋아한다. 깨끗한것을 좋아하고 변덕이 심하다. 기억력이 좋고, 민첩하고 결단력이 있다. 의리를 중히 여긴다.

 

이미 가공된 신금이기에 정화를 싫어하고 자신을 빛내줄 병화를 반긴다. 신금은 갑목을 어떻게 할수 없으나 을목은 일방적으로 극한다.

화 바로 옆에 정화나 기토가 있으면 그 해가 가중된다.

 

임수(壬水)

 

임수를 옥편에서 찾으면 북방, 북녘, 아홉째 천간, 간사하다, 크다, 성대하다 등의 뜻이 있다. 임수의 물상으로 호수, 바다, , 큰물등이 있다. 임수의 직업으로 수산업, 양식업, 수도, 주류, 유흥업, 얼음, 냉동, 빙과류, 무역, 선원, 목욕탕, 여관, 식품, 법조계 등이 있다. 임수를 인체에 비유하면 방광, , 혈액, 순환계통 등으로 나타낼수 있다.

 

임수의 성정을 십신으로 나타내면 식신이다. 머리가 좋으며 뭔가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만들어 낸다. 창조성과 자부심이 강하며, 자기 멋대로 움직이고 간섭 받는것을 싫어한다. 모험정신이 강하고 매사에 적극적이다. 임기응변이 능하다. 임수는 흐르는 것이 본성이라 나아가기는 쉬우나 돌아가기는 어렵다.

 

임수는 기토를 반기지 않는다. 흙탕물로 만들기 때문이다. 임수는 기토를 붙들어 줄 갑목을 반긴다.(갑기합) 임수 옆에 갑목이 있으면 강가의 버드나무로 자수성가 상이다. 이때 병화가 있으면 더욱 좋다.

 

계수(癸水)

 

계수를 옥편에서 찾으면 열째 천간, 북방, 북쪽, 헤아리다, 월경, 무기 등의 뜻이 있다. 계수의 물상으로 비, 이슬, , 서리, , 연못, 지하수, 물웅덩이, 개울, 구름, 안개, 눈물, 정액, 먹물, , 월경, 지식업, 모략등이 있다.

 

계수의 심성을 십성으로 나타내면 상관의 기운이 있다. 사고적이고 자신을 드러내는것을 좋아한다. 자기표현 능력이 뛰어나다. 눈치가 빠르다. 꾀가 많고 총명하다. 온유하고 현실적이다.

 

계수는 다른 양간들 처럼 계절과 뿌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월지에 亥子를 만나면 임수처럼 강하고 큰물이 된다. 계수는 의 생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

계수는 구름의 상으로 병화를 가린다. 계수가 많다고 물이 많은것은 아니다. 계수가 너무 강하면 오히려 火土의 극제를 반기므로 문제될것이 없고, 너무 약하면 아예 火土에 스며들어서 종()하므로 이를 근심하거나 두려워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