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폐수집방/모임사진,수집용어

이화 문양 (李花 文樣)

by 연송 김환수 2011. 2. 23.

이화문양 (李花文樣)

 

 

 

 

 

 

 

 

 

 

 

 

사전적 의미

 

이화 (李花)

 ○ [명사] 자두나무의 꽃. ※ 오얏나무 [명사] ‘자두나무’의 잘못.

 ○ <역사>조선 후기에, 관리들이 쓰던 휘장(徽章).

 ○ 같은 말 : 모자표(帽子標)(모자에 붙이는 일정한 표지).

   * 이화(李花) : 오얏꽃, 자두나무꽃

이화 (梨花)

  ○ [명사] 같은 말 : 배꽃(배나무의 꽃).

  ○ 유의어] 배꽃.

 

조선 태조 이성계에 의해 건국되어, 1897년 고종 황제에 의해 대한

제국으로 국호를 바꾸면서 오얏 이(李)자에서 따온 오얏꽃 곧 이화문(李花文)을 상징 문장으로 삼았습니다.

 

이화문은 다섯꽃잎의 꽃잎마다 셋의 꽃술을 놓고 꽃잎 사이에 또 꽃술을 하나씩 놓은 꼴로 정형화시켜 매우 깔끔하게 만들었습니다.

 

빛깔은 황제국을 상징하는 황금색으로 하였습니다. 대한제국 최고 훈장인 태극장 수상자 가운데 더 큰 공훈자 에게는 바로 이화문을 넣은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을 수여하여 최상의 영예로 삼았습니다.

 이화대훈장

 

태극 일등장을 받은 문무관 중 특별한 공로가 있을 떄 황제의 명령으로 수여하는 상

대한제국 훈장 http://blog.daum.net/yescheers/8597826

 

이러한 이화문은 황실의 상징으로 황실복과 창덕궁 인정전 용마루 등의 궁궐 건물 안팎장식, 도자기와 목기 등 각종 황실용품과 어차(御車)나 조명기구 나아가서는 석물 등을 비롯한 각종 기물 등에 두루 쓰여졌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궁중유물전시관에서는 1997년 [오얏꽃 황실생활유물] 특별전의 내용을 도록으로 발간한 바 있습니다.

 

오얏꽃 문양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학계에서는 두가지 주장이 존재하지만 저는 첫 번째가 맞다고

생각 합니다.

 

첫 번째는 주장입니다.

고종황제와 독립협회, 그리고 일부 정치인들에 의해 중국의 속국이 아닌 사대정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라는 것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국호를 바꾸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 황실의 상징인 국화문양에 맞서서 오얏꽃문양을 사용했다는 주장입니다.

 

일제의 강압에 의해 덕수궁, 인정전 등 궁궐 곳곳에 그리고 독립문에 까지 문양을 새겨넣는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좀 무리가 있다는 겁니다. 

 

 덕수궁 석조전

  

앞, 뒤로는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 이라고 쓰고 좌, 우에 태극기를

조각한 현판을 달았고  이맛돌에 세겨진 문양은 조선황실의 상징인

"이화(李花 : 오얏꽃, 자두나무꽃) 문양

 

 

 

 

 

 

당시 고종이 대한제국을 표방하면서 각종 기록에 일제에 자주의지를

표명했다는 기록들을 본다면 강압적이기 보다는 자의적인 의지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얏꽃 문장

 

창덕궁 비원에 가면 인정전 용마루와 인정문에 각각 다섯 개와 세 개의 오얏꽃 문장이 장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정전 용마루에 붙어 있는 오얏꽃 문양

 

두번째 주장입니다.

일제의 압력에 의해 유럽이나 일본의 지방 봉건영주처럼 문양을

상징으로 만들어 강요했다는 것으로 지방정부처럼 권위를 떨어뜨렸다는 겁니다.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용이나 봉황 등의 문양을 무시하고 단순하게 오얏 리(李)를 강조하여 품위를 격하시킨 것으로

 

조선 왕조는 한민족을 대표하는 국가가 아니라 이씨라는 일개 가문에 의해 지배되는 왕조라는 뜻이 됩니다. 

 

인정전의 용마루에 오얏꽃 문양은 일제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오얏꽃 문양은 일제의 강압에 의해 사용되었다는 주장입니다. 인정하고 싶지 않은 주장이지요.

 

-------------------------------------------------------

 

이화 (오얏꽃) - 대한제국의 꽃

 

화는 대한제국의 국화이기 때문에 대한제국의 인장이 찍힌 칙서나 정부의 문서등에 대한제국기인 태극기와 함께 이화가 그려져 있었습니다.  이화는 대한제국의 황실 문장이기도 하였습니다.

 

이화는 황제의 의복에도 문양이 새겨져 있고, 대한제국군의 의복

자체에도 있었고 모자에도 있고 견장으로도 쓰였습니다.

 

             고종황제의 모자 중앙에 달려있는 문양이 바로 이화입니다.

 

 

 

 

 

 대한제국군의 제복입니다. 군데 군데 이화문양이 새겨져있음

 

 

대한제국군의 모자 (이화문양)

 

 

  대한제국군의 견장입니다. 밑 부분에 보면 이화무늬가 박혀있음

 

 대한제국 황실문장입니다.

  

붉은 바탕에 위에는 '전주이씨'全州李氏라고 적혀져 있고 이화 문양 가운대에는 마루 종宗자가 적혀져 있습니다.

 

  정미 7조약으로 인해 대한제국군이 강제해산을

당했을 때 자결을 한 박승환 참령의 초상화

 

 

 

당시 주화의 앞면 상단에도 이화 문양 사용

 

 

  이화 문양이 선명하게 금박된 순종황제와 순종효황후의 사진

                           뉴스일자: 2010년02월27일 00시50분

【서울=뉴시스】김종현 기자 = 26일 오후 대학로 사단법인 후암미래연구소

         (차길진 대표)에서 공개한 대한제국의 황실 상징, 이화 문양이 선명하게

         금박되어 있는 순종황제와 순종효황후의 사진.

 

 

대한제국 훈장에 들어 있는 이화 문양 

 

  • 1.금척대훈장

         - 서성대훈장을 받은 사람이 특별한 공로가 있을 때 황제의 명령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대한제국시대 최고의 훈장인데 황실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 근세조선에 수여된 금척대훈장 모습



    고종은 구 한말 1876년 조일수교조약(강화도 조약) 이후 서구 열강들 틈속

    에서 근대국가로서의 기틀을 마련 1897년 황제로 등극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게 되었다.


    근대국가로서의 국가 상징인 국기(國旗)로 1883년 1월 27일 태극기를 제정 반포를 시작으로, 국문장(國紋章), 국가(國歌), 훈장(勳章) 등 여러 상징을 사용 하게 되었다.


    이때 사용한 상징물중 우리 민족의 얼을 계승한 유일한 상징물인 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한제국의 훈장제도는 1899년 7월4일 칙령 제30호에 표훈원 관제에 처음 반포되어 1900년 4월17일 칙령 제13호에 훈장조례가 제정 반포되었다.

     

    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이 무궁화대훈장(無窮花大勳章)으로 바뀌다.

    * 대한민국의 최고 훈장 무궁화 대훈장



     

     

     2. 서성대훈장

         -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사람이 특별한 공로가 있을 때 황제의 명령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3. 이화대훈장

     

    태극 일등장을 받은 문무관 중 특별한 공로가 있을 떄 황제의 명령으로 수여하는 상

  •  

    대한제국의 국장(大韓帝國國章) 또는 이화문(李花紋)은 대한제국의 나라 상징 중 하나로 원래는 황실의 문장이나 사실상 국장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조선 왕조(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꽃인 이화(李花, 오얏꽃)를

    도안화하였다.

       덕수궁 석조전의 이화문                        대한제국의 국장

     

    대한제국 국장

     

     대한민국 나라문장 (국장)

    우리나라에서는 국장을 '나라문장'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국장(Coat of arms of South Korea)은 동아시아 한반도에 위치한 국가인 대한민국의 국장으로 1963년에 제정되었다.

     

    국장 가운데에는 태극이 그려져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화인 무궁화꽃잎 다섯 개가 태극을 감싸고 있다. 무궁화 꽃잎 아래쪽에 있는 파란색 리본에는 "대한민국"이라는 국명이 한국어로 쓰여져 있다.

     

    대한민국의 국장은 외국에 보내는 공문서와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서 그리고 그 외의 시설이나 물자 등에서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장

    大韓民國의 國章

     

    세부 정보
    국가 대한민국
    채택 1963년
    상징 -

    문장 형태

    -

    요소

    무궁화, 태극
    표어 대한민국

    기타 요소

    대한민국의 국호가 쓰여져 있는 리본
    용도 공문서, 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