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각명부 (刻銘部, Exergue) 주화의 하단 부위로 주화의 가장자리와 도안 사이를 말한다. 주로 발행일, 제조 기관의 명칭 등을 새겨 넣는 곳이다.
까메오 (Cameo) 통용화가 아닌 프루프(Proof) 품위로 주조된 주화. 프루프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프루프의 표현 상태에 따라 딥 까메오(Deep Cameo)와 까메오로 나뉜다. 딥 까메오는 거울처럼 빛나는 주화 표면(Field)과 서리처럼 짙은 우윳빛으로 처리된 도안 표현 부분
(Device)이 그 특징이다. 까메오는 도안 부분의 처리가 딥 까메오 보다 짙지 못해 도안 부분과 표면
부분의 대조가 딥 까메오 보다 선명하지 못하다. 참고) 프루프, 프루프-라이크, 유광 프루프.
견본권 ☞ 견양권 참조
견양권 (Specimen) 견본권이라고도 한다. 지폐 발행 전에 증정이나 내부용 등의 특수한 용도로 발행된 것으로 지폐 위에
'견양', '견본‘ 또는 ‘Specimen' 등이 인쇄되어 통용권과 구별된다. 지폐에 천공을 뚫는 경우도 있다. 지폐의 일련번호는 0 으로만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나 통상의 시리얼 번호가 부여되기도 한다. |
|
 
(유료 및 한국 견양권) |
|
|
|
경화 (Coin, Hard currency) 1) 동화, 은화 등 금속으로 만들어진 화폐 2) 금이나 다른 화폐로 교환이 가능한 화폐.
군표 (Military note) 군용수표. 전쟁 중에 군에서 필요한 물품의 구입 또는 민간 징발의 목적으로 발행된 통화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미국 그리고 일본 등에서 발행되었다.
고전 (古錢, Ancient) 일반적으로 BC 600년에서 AD 450년 사이에 제조된 화폐를 말한다.
관봉 주화를 보관하는 상자 또는 자루를 말하는 것으로, 발권 은행에서 출하된 것이다. 원래는 지폐 10 다발(지폐 한 다발은 100장을 말함)을 포장한 후 관에서 봉인(관봉)을 한 것을 말한다. |
|
 
|
|
(미국 니켈 주화 관봉 백과 롤) |
|
그린 백 (Green BackS) 미국 지폐를 일컫는 수집계의 속어. 미국 지폐 뒷면이 녹색인 데서 유래됨.
극인 (Die) 주화에 압인할 도안이 음각 또는 양각된 2개 1조로 이루어진 형판을 말한다. 극인에 소전(Planchet)을 삽입 한 후 압인하여 주화의 도안을 표현한다. |
|

|
|
(극인) |
|
기념 주화 (Commemorative Coin) 국가적인 행사나 사건, 인물, 장소, 동식물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하는 주화. 액면가 그대로 발행되는 ‘액면가 발행’과 재정 충당을 위한 ‘프리미멈가 발행’ 이 있다. 세계 최초의 기념주화는 BC 479년 시라쿠스(시칠리아)에서 발행한 ‘시라쿠스 전승 기념 은화’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기념주화는 1970년대에 발행된 ‘대한민국 반만년 역사 기념주화’
이다.
기념 지폐 (Commemorative Issue) 특정한 인물이나 사건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 지폐. |
|
|
㉡ |
|
놋겔트 (Notgeld) 비상 화폐(Emergency Money)로 번역되며, 전쟁 등 비상 사태에 수반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낮은 액면의 화폐를 제조 원가가 비싼 주화로 제조하기 어려운 경우에 소액 유통을 위해 발행된 화폐
이다. 주로 지폐가 많으나 천, 나무, 우표, 알루미늄 등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발행되었다. 이러한 놋겔트는 주로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1, 2차 대전 중에 많이 발행되었으며, 중앙은행이 아닌
지방 자치단체, 지방 은행, 기업 등 다양한 경제 주체가 발행하였다.
니켈 (Nickel) 니켈 금속, 또는 미국 5센트 주화의 별칭. 1938년 이후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흉상이 새겨졌다. 참고) 1 Cent; Penny, 5 Cent; Nickel, 10 Cent; Dime, 50 Cent; Half Dollar |
|
|
㉢ |
|
다발 (Bundle) 지폐 100장을 칭하는 단위.
다이 (Die) ☞ 극인 참조
다임 (Dime) 미국 10 센트 주화의 별칭. '10분의 1‘을 뜻하는 불어 ’Disme'에서 유래되었다. 원래의 철자는 ‘Disme'이었으나 1800년 대 이후 'S'가 탈락하고 Dime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주화의 전면에는 루즈벨트 대통령의 흉상이 새겨져 있다. 참고) 1 Cent; Penny, 5 Cent; Nickel, 10 Cent; Dime, 50 Cent; Half Dollar
단면 지폐 (Uniface Banknote) 지폐의 한쪽 면에만 도안이 인쇄된 지폐. 즉, 뒷면은 공란이다. 주로 저액권이나 비상 지폐에서 발견
된다.
단순 화폐 (Flat Money) 금, 은본위제와 달리 발행된 화폐의 액면 가치만큼의 금, 또는 은으로의 교환이 불가능한 화폐.
현재 대부분의 화폐가 여기에 해당된다.
더캣 (Ducat) 1924년 베니스에서 처음 발행되어 1차 대전까지 유럽 각지에서 발행, 유통 되었던 금화
단편 지폐 (Fractional Currency) 미국 남북 전쟁 기간과 그 이후에 발행 유통 되었던 미국의 소액 지폐 (3, 5, 10, 15, 25, 50 센트) 전쟁 중 주화 소전용 금, 은, 동의 품귀로 인해 주화를 지폐로 대체한 것이다. |
|
데빌스 헤드(페이스) 노트 (Devil's Head Notes / Devil's Face) 1954년 초반기에 발행되었던 캐나다 지폐들을 말하는 것으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초상 귀 뒷부분
의 머리칼 일부분이 악마의 머리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유래되었다. 이러한 소문이 들끓자 캐나다 조폐당국은 1956년 도안의 밝기를 조절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
|
  |
|
(데빌스 헤드, 1954 캐나다 1 달러)
|
|
독 (Dog) 극단적으로 훼손되었거나 가치가 없는 주화를 일컫는 수집계 속어
똥돈 2차 천원권 중 초기에 발행되었던 일부 지폐를 의미하는 수집게 속어. 타 천원권에 비해 지폐가 누런 색깔을 보이고, 냄새가 심해 이런 속칭이 생겼다. 똥돈의 범위에 대해서는 가가가권부터 가차마권까지 인정하는 의견과 범위를 더 좁게 보는 다양한
의견들이 있다.
둘레 (Rim) ☞ 림 참조.
뒷면 (Reverse / Back) 주화의 뒷면으로 주로 액면이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Tail' 이라고도 한다. 지폐의 경우 뒷면을
'Back' 이라고 한다. 反) 앞면(Obverse / Face / Head)
디너리어스 (Denarius) 3 그람 무게의 로마 고대 은화. 미국의 다임(dime)과 비슷한 크기나 두께가 두껍다.
디센딩 노트 (descending note) ☞ 스트레이트 어센딩 노트 참조
디바이스 (Device) 인물의 흉상과 같은 화폐의 주된 디자인 요소.
딥 까메오 (Deep Cameo) ☞ 까메오 참조
더블 이글 (Double eagle) 1949년에서 1933년 사이에 제조된 미국의 20불 금화
드라크마 (Drachma) 1) 3 그람 무게의 고대 그리스 은화. 2) 그리스의 화폐 단위로 1892년 처음 도입되어 2001년 유로로 통합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
|
|
|
|
|
|
㉣ |
|
라지 센트 (Large cent) 1793년에서 1857년 사이에 미국에서 제조된 액면가 1센트 주화로 현행 미국 Quarter 보다 사이즈가
크다.
레이더 노트(Radar note) radar는 ‘d'를 기준으로 앞에서 읽으나 뒤에서 읽으나 철자가 같다. 이와 같이 지폐의 일련번호가
중앙에 위치한 숫자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예) 0010100 (가운데 0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고 있다.)
로 코인(Raw Coin) 그레이딩 되어 슬랩에 수납되지 않는 맨주화
로 넘버드 노트(Low Numbered Notes) ☞ 빠른 번호 지폐 참조
리피트 노트 (Repeat note) 지폐의 일련번호가 반복되는 숫자의 조합을 말한다. 예) 001001 (001이 반복되고 있다.)
림 (Rim) 주화 표면의 마모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주화 테두리의 튀어나온 부분을 말한다. |
|
|
㉤ |
|
마일라 홀더 (Mylar Holderf) 카드보드 코인 플립. 종일 홀더. 미국의 경우 카드보이 코인 플립에 사용되는 비닐 재질이 무독성 마일라 소재이며, 이로 인해 마일라
홀더라고 부른다. ☞ 카드보드 코인 플립 참조
매트 프루프 (Matte proof) 세밀한 표면을 얻기 위해 과립상으로 제조된 프루프.
명문 (Legend) 주화의 표면에 압인된 글자나 문장 등을 말한다.
모전 (母錢) 엽전 주조를 위한 틀을 뜨기 위해 만드는 견본 엽전이다. 점토를 모전을 찍어 틀을 만든 후 금속을
부어 엽전을 만든다. 그러므로 일반 엽전 보다 품질이 뛰어나며 가치도 높은 편이다.
무광 프루프 주화의 양각 또는 음각 중 한 부분 만 무광택 처리하여 화폐의 디자인이 선명하도록 제작된 프루프. 주화의 바닥이 거울처럼 빛나는 광택을 갖고 있으며 주화 중에서 최고의 품위를 가진다. 참조) 프루프, 프루프 라이크, 유광 프루프
무역 달러 ☞트레이드 달러 참조
미사용품 (UNC. Uncirculated) 발행 후 시중에서 사용되지 않은 화폐. 주화의 경우 민트 스테이트로도 부른다.
민트 (Mint) 조폐창 또는 주화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또는 시설. 형용사로서 조폐창에서 갓 나온 상태를 말하기도
한다.
민트 마크 (Mintmark) 발행처(조폐창)를 알리기 위해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화폐 상에 나타낸 표시. 예) 美 필라델피아 주조소에서 제조된 주화의 경우 알파벳 'P '가 압인되어 있다. |
|

|
|
민트 브룸 (Mint bloom) 새로 제작된 화폐에 나타나는 원래의 표면 광택, 빛깔
민트 세트 (Mint set) 화폐 발행처에 의해 제조된 특별한 세트로서, 특정 연도에 발행된 미사용 주화를 1개 씩 모아
특정한 용기에 담아 세트로 제작한 것. 주의 할 점은 수집가가 주화를 모아 세트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반드시 화폐 발행처에서 제작 된
것을 말한다. 또한 용기에서 주화를 분리할 경우 세트로서의 가치가 상실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영국의 경우 동화와 은화가 포함된 것을 쇼트(short)세트, 대형 금화가 포함 될 경우 롱(long)세트로
부른다. ☞ 유통 주화 민트 세트, 프루프 민트 세트, 실버 프루프 민트 세트 참조 |
|
 
|
|
(2004 한국 민트 세트) (2007 미국 민트 세트) |
|
민트 스테이트(Mint State) 일반적으로 미사용(UNC)과 동의어로 쓰이며, 유통되어 사용되지 않은, 민트(주조소)에서 갓 나온
상태를 말한다. 단, 백마크는 민트 스테이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밀리언 노트 지폐의 일련번호 중 앞의 첫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 전체가 '0' 인 경우 예) 6000000 |
|
|
㉥ |
|
바이메탈 주화 (Bimetal Coin) ☞ 바이메탈릭 참조
바이메탈릭 (Bimetallic) 두 가지의 다른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주화. 바이메탈 주화
|
|

|
|
(독일 유로, 바이메탈 주화의 구성) |
|
빠른 번호 지폐 (low numbered Notes) 통상 지폐의 일련번호가 0000000(견양권)에서 000099 이내인 경우. 999 번 이하를 빠른 번호로
보는 의견도 있다.
백 마크 (Bag marks) 표면 스크레치. 여러 주화가 동일한 보관함(Bag)에 담겨 운송되면서 서로 부딪히며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백 마크는 주화의 등급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백마크가 있어도 UNC(미사용품)
로 취급된다. ☞ 유사어; contact marks, keg marks
번들 (Bundle) ☞ 다발 참조
법화 (Legal tender) 법정 통화. 법률에 의해 강제 통용력이 부여된 화폐.
별전 (別錢 : Charm) 통용 주화와 다르게 만든 일종의 기념 주화.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을 거쳐 삼국시대 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대량 주조된 상평통보의 무게, 형상을 시험하기 위해 숙종 4년(1678) 시주화 형태로 제작
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오복, 다산, 효행 등의 의미를 담아 다양한 도안으로 제조되어 사가(私家)의
장식품, 혼수품 등으로 사용되었다.
보충권 ☞ 스타 노트 참조
불리온 (Bullion) 사전적 의미는 금 또는 은덩이이나, 바(Bar) 코인(Coin/Round) 잉곳(Ingot) 등의 형태로 제작된 금,
은, 플라티니움, 팔라디움 등을 말한다. 수집용이라기 보다는 투자용의 목적으로 취급된다. 불리온 금, 은화의 경우 민트에서 출시될 때 기념 주화같은 고가의 프리미엄이 아닌 소재가에
가공비, 유통 원가 등이 붙은 가격으로 판매된다. 예) 미국의 실버 이글 1 온스 은화, 버팔로 골드 코인 등
불완전 주조화 (Brockage) 주화의 앞면에 뒷면의 디자인이 압인이 된 경우처럼 불완전하게 제조된 주화.
불환 지폐 (Fiat money) 금태환성이 없는 법정 불환 지폐. 대부분의 현행 지폐가 여기에 해당한다.
비상 지폐 (Emergency Notes) 전쟁 등 비상시기에 발행된 지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액면, 조악한 지질과 도안이 나타 날 수 있으며, 과거에 발행되었던 지폐에
덧인쇄를 하는 경우도 있다.
비즈니스 스트라이크 (Business Strike) 통용을 목적으로 제작된 주화. 反) 프루프
빌런 (Billon) 화폐 주조용 은동(銀銅) 또는 은동으로 만들어진 주화를 말한다. |
|
|
㉦ |
|
사용품 (Circulated)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된 화폐 反) 미사용품(Uncirculated)
소재가 (地金價 / Intrinsic Value) 액면가가 아닌 화폐의 소재(재료) 자체가 가진 가격. 예) 불리온의 소재 가격. 反) 액면가
세미 너미스메틱 (Semi-Numismatic) 수집용 주화로서의 가치가 소재가에 불과한 주화
소전 (素錢, Blank) 주화를 만들기 위해 준비된 민무늬의 금속판으로 테두리가 만들어지기 전의 상태를 말한다.
손상된 프루프 (Impaired proof) 유통이 되었거나 손상을 입어 프루프로서의 가치를 잃은 프루프 주화. 푸루프 주화의 경우 주화의 보존 상태를 가늠하는 등급이 아니라 특별하게 제조된 프루프 주화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되거나 손상된 프루프도 프루프 주화이므로 발생하는 개념이다.
솔리드 노트 (Solid Notes) 지폐의 일련 번호가 한 가지 숫자로 반복하는 것. 예) 7777777
스타 노트 (Star Note, Replacement Notes) 보충권이라고 한다. 잘못 제조된 불량 지폐 등을 교체하기 위해 다시 제조된 대체 지폐. 이미 매겨진 일련번호 앞이나 뒤에 별(Star) 등의 표시를 하며 통상의 지폐와 구분한다. |
|

|
|
(2달러 스타 노트, 일련 번호 끝에 별이 붙어 있음.) |
|
스텔라 (Stella) 1879년과 1880년대에 제작된 4 달러 미국 금화.
스트레이트 디센딩 노트 (Straight descending note) 차차 낮아지는 일련번호가 인쇄된 지폐. 디센딩 노트라고 짧게 부르기도 한다. 예) 87654321
스트레이트 어센딩 노트 (Straight ascending note) 차자 높아지는 일련번호가 인쇄된 지폐. 어센딩 노트라고 짧게 부르기도 한다. 예)12345678
스터링 실버 (Sterling Silver ; 정은, 접정은) 순도 92.5% 함량의 은. 순은의 경우 너무 물러 특정 형상을 만들기 힘든 탓에 합금을 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99.9%의 파인 실버(순은) 은화도 제조된다.
스팟 프라이스 (Spot Price) ☞ 현물 가격 참조
스페시멘 (Specimen) ☞ 견양권 참조
슬랩 (Slab) 사전적인 의이는 '널판지'이나 수집계에서는 그레이딩된 주화를 수납하고 있는 두꺼운 플라스틱
케이스를 말한다.
시쇄권 (Essay Notes; 시쇄화) 새로운 지폐를 발행하기 위해 디자인 검토 등의 목적으로 시험적으로 제조 지폐. 채택되어 유통되는 지폐와 도안과 재질 크기 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견양권과
구별된다.
시주화 (Pattern Coins) 새로운 주화를 제조하기 위한 실험의 목적으로 제조된 주화로 통용화로 채택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시지 피스 (Siege Pieces) 전시에 발행된 비상 주화
신프레스터 (Shinplaster) 19 세기에 대량의로 발행되었던 소액 지폐. 은행 또는 기업 등 다양한 주체기 발행하여 지폐 또는 약식 차용증의 역할을 하였다. 사전적 의미는 '고약'으로 재질이 워낙 조악하고, 녹말 성분이 포함되어 고약을 붙일 때 덮는
종이로 사용될 만큼 저액면이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단편 지폐 (Fractional Currency) 참조 |
|
|
㉧ |
|
앞면 (Obverse / Face) 1) 주화의 주된 디자인이 압인되어 있는 주화의 바른 면. 헤드(Head)라고도 한다. 2) 지폐의 경우 'Face' 라고 부른다. 反) 뒷면 (Reverse / Back / Tail)
양성 기호 1983년에 발행되었던 프리픽스 '가가가' 애서 '차차차' 까지의 2차 천원권권을 말한다. 이후 2001년 6월 이후 발행된 2차 나 천원권 프리픽스 '거거거' 에서 '처처처' 까지를 음성 기호라고
한다.
어센딩 노트 (Straight ascending note) ☞ 스트레이트 어센딩 노트 참조
엣지 (Edge ; 테두리) ☞ 주화의 테두리. 민무늬도 있으나 톱니 또는 문자 등을 세길 경우 위조 방지 역할도 한다. (과거 금화의 테두리를 칼로 갂아 중량을 속인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주화 테두리에 톱니를 새기기
시작함)
유니페이스 노트 (Uniface Notes) ☞ 단면지폐 참조
액면가 (Face Value) 화폐에 기재된 액면 금액. 反) 소재가
앨범 (Album) 주화 또는 지폐를 보관하기 위해 제조된 보관 장치. 일반적으로 사진첩(앨범)의 형상을 하고 있다. 참고) 코인(주화) 앨범, 지폐 앨범. |
|
 
|
|
(코인 앨범) (지폐 앨범) |
|
어드저스트먼트 마크 (Adjustment marks) 주화를 압인하기 전에 주화용 판금에 표시된 마크. 주화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언서큘레이티드 (Uncirculated) ☞ 미사용품 참조
언서큘레이티드 세트 (Uncirculated Set) ☞ 유앤씨 세트, 유통주화 세트 참조,
언컷 커런시 (Uncut currency, Uncut Sheets) ☞ 연결권 참조
연결권 (Uncut currency, Uncut Sheets) 통상 사용하는 지폐와 달리 2장 이상의 지폐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 통용이 아닌 수집의
목적으로 발행되기도 한다. 同) 언텃 커런시 |
|

|
|
(미, 2 달러 32장 연결권 - 전지) |
|
연화 (Paper money, Currency) 1) 경화에 반대되는 말로 지폐를 일컬음. 2) 금이나 다른 화폐로의 교환이 불가능한 화폐 (교환 불능
통화)
에머전시 노트 (Emergency Notes) ☞ 비상 지폐 참조
올터드 (Altered) 화폐의 변조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행위. 예) 인쇄 또는 압인된 1978을 1918로 고쳐 가치를 속이는
행위
유엔씨 (UNC, Uncirculated) ☞ 이사용품 참조
유엔씨 세트 ((UNC Set, Uncirculated Set) ☞ 유통주화 세트 참조
엑센뉴미어 (Exonumia) 화폐 이외의 토큰, 메달, 레테르, 쿠폰류 등의 수집 대상물
엣지 (Edge) 주화의 테두리. 잡기 좋도록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위조 방지의 효과도 가진다. ☞ 테두리 참조
오볼 (Obol) 고대 그리스의 소형 은화. 1.5 페니에 해당한다. 원래 노잡이 또는 배심원 일당으로 주어지던 은화
였다.
유광 프루프 (Brilliant Proof) 프루프 라이크(Proof-like)라고도 한다. 무광 프루프와는 달리 주화의 양각과 음각 모두를 광택 처리한 프루프. 무광 프루프에 비해 주화의
디자인 부분이 도드라지지 않으며, 무광 프루프보다 심미감이 떨어진다. ☞ 프루프 참조
유통주화 세트 (Uncirculated Set) ☞ 민트 세트 참조
음성기호 ☞ 양성 기호 설명 참조
이어 세트 (Year Sett) 특정 연도에 발행된 모든 액면의 주화를 한데 모은 세트
인베스트먼트 그레이드 (Investment Gradet) 소위 투자 가치가 있는 화폐 등급을 말하며 통상 MS 65 등급이 해당된다.
인증 주화 (Certifided Coin) 그레이딩 사에 의해 등급이 인증 된 후 슬랩에 수납된 주화. 同) Encapsuled coin
인증 지폐 (Certifided Currency) ☞ 인증 주화 참조 |
|
|
|
㉨ |
|
저승돈 (Hell Money / Hell Bank notes) 중국의 장례식 때 사용될 저승돈의 용도로 만들어진 지폐. 장례가 끝난후 불태우며 망자가 이 돈
으로 저승사자에게 뇌물로 사용한다고 한다.
지그재그 노트 (Zigzag note) 지폐의 일련번호가 두 가지 숫자로 반복하는 것. 예) 37373737
지금(地金, Bullion coin) 중금주의 사상에 의거 금 또는 은 등으로 제조된 주화 또는 메달. 사용된 귀금속 이상의 액면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음.
지폐 마운트 (Currency Mount) 지폐를 수납, 전시, 보존하기 위한 수집용품으로 비닐, PVC, 아크릴, PET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우표의 영향으로 마운트란 말을 많이 쓰나 외국에서는 주로 슬리브 혹은 홀더라고
부른다. 수집용으로는 무독성 PET 등의 재질이 추천된다.
|
|

|
|
(지폐 슬리브) |
|
지폐 슬리브 (Currency Sleeve) ☞지폐 마운트 참조. |
|
|
㉩ |
|
체리 피커 (Cherrypicker) 수집가를 일컽는 속어. (캐잌은 관심이 없고 그 위의 높인 체리만 노리듯) 희귀한 화폐를 찾아 이곳저곳 헤집고 다시는 수집인.
춉 마크 (Chop mark) 주화의 소재 진위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주화 표면을 펀칭한 자국. |
|

|
|
(춉마크가 있는 미, 트레이드 달러 1874) |
|
|
|
|
㉪ |
|
카드보드 코인 플립 (Cardboard Coin flip) 흔히 코인 홀더로 불리며, 외국에서는 주로 마일라 홀더로 칭한다. 양면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종이에 비닐이 입힌 둥근 구멍이 뚫려있다. 그 사이에 주화를 수납한 후
스팸플러를 찍어 주화를 고정한다. (외국 제품 중는 스팸플러가 필요없는 접착식도 있음)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가장 많이 쓰이는 주화 수납용품이나 보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 코인 플립, 비닐 코인 플립. 코인 홀더, 마일라 홀더 참고 |
|
 
|
|
(다양한 크기의 코인 홀더) |
|
카탈로그 넘버 (Catalog No.) 특정 단체 또는 회사에서 발행된 화폐 도감 (Catalogue)에 기재된 화폐의 분류 번호 예) P-123의 경우 크라우제 출판사의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의 카탈로그
넘버를 말한다. * C-번호 -Campbell L.K. "Prisoner of war camp money" * D-번호 -Denis Ch. "Catalogue des Monnaies Russie" * J-번호 -Jablonski T."Katalog papierowych pieniedzy" * JP-번호 -Pirot J."Les billets des Cambres de Commerce" * K-번호 -Kardakoff N."Katalog der Geldsheine von Russia" * M-번호 -Major W."Belgium Local emergency issues" IBNS * P-번호 -Pick A.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 SB-번호 -Schwan F. &Boling J."World War II Remembered"
카운트마크 (Countmark / Countmarked Coin) 1) 외국 주화의 자국 사용을 위해 인장 또는 마크를 압인하여 실효(實效)를 인증한 주화. 2) 주화의 액면가를 새로 고쳐 유통하기 위해 또는 은의 성분을 확인 한 후 스탬프 또는 마크를 찍은
주화
커드 (Cud) 주화 표면에 도드라지게 나타난 작은 덩어리. 주화을 압인하는 거푸집(die)이 손상되면서 발생한다.
컬 (Cull) 심하게 손상, 훼손된 주화.
컷 노트 (Cut Notes) 기존 지폐를 이분, 사분 등으로 잘라 각각의 부분이 특정 액면가을 갖도록 한 것으로 동전이 부족한
비상시에 주로 사용된다. 잘린 부분에 새로운 액면가를 덧인쇄(Overprinting) 하기도 한다.
코인 튜브 (Coin tube) 같은 크기의 주화를 함께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플라스틱 보관 용기. 낱주화를 수납하거나 롤 채로 수납하기도 한다. |
|

|
|
(코인 튜브) |
|
코인 플립 (Coin flip) 주화의 보관에 사용되는 플립으로 투명한 소재의 비닐, PET 재질로 제작된니다. 포켓에 주화를 삽인한 후 플립을 닫으면 주화의 수납이 완료되며, 씰링기로 씰링할 경우 밀봉도 가능
하다. 참고) 카드보드 코인 플립, 비닐 코인 플립, 코인 홀더 |
|

|
|
(플립에 수납된 코인) |
|
코인 홀더 (Coin Holder) ☞ 카드보드 코인 플립 참조
콘택트 마크 (Contact Mark) 자루(Coin Bag) 또는 롤(Roll)에서 다른 주화와 부팆혀 발행한 미사용(UNC) 주화의 미세한 마모. ☞ 백마크 참조
쿠퍼 니켈 (백동; Cupronickel) 백동. 구리와 니켈의 합금
크라운 (Crown) 1526년 영국에서 발행되었던 5 실링 금화, "Crown of the double rose" 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금, 은 등 귀금속으로 제조되었으나 이후 다양한 금속으로 제조되기 시작하였다.
크래드 (Clad) 구리에 니켈을 도금한 주화와 같이 두 레이어 이상으로 구성된 주화. 예) 미국의 25센트 주화(quarter) 등
크랙 아웃 (Crack Out) 그레이딩 슬랩에서 이탈된 주화 |
|
|
㉫ |
|
타입 (Type) 특정 주화를 다른 주화와 구별되게하는 특이한 디자인
타입 세트 (Type Set) 특정 디자인, 시리즈, 연도 중 한 개씩 만 모아 구성한 주화 컬렉션
탈러 (Thaler) 16세기 유럽의 세인트요아힘스탈 지방에서 주조된 대형 은화에서 유래. 처음에는 생산지의 이름을 따서 요아킴스탈러(Joachimsthaler)라고 불렀으나, 이후 탈러(Thaler)
로 축약되어 불려진 것이다. 유럽 전역에서 무역 결제용을 널리 사용되었고 이후 미국 달러(Dollar)의
어원이 되었다.
테두리 ☞ 엣지(Edge) 참조
토큰 (Token) 개인 또는 사기업에서 발행된 교환 수단. 법정 주화 아님.
통용 주화 (Circulating Coin) 통용화. 시중 유통을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는 주화. ☞ 비즈니스 스트라이크(Business Strike) 참조 反) 기념 주화, 프루프 주화
트레이드 달러 (Trade Dollar) 무역 달러, 외국과의 무역 거래에서 발생하는 결제를 위해 제조된 은화. 미국의 경우 동방 무역을 위해 1873년에 처음 발행되었다.
특이 번호 지폐 (Fancy Number Ntoes) 지폐의 일련 번호가 특이한 조합을 가진 지폐를 말한다. 아래의 종류로 대별 가능하다.
* 레이더 노트(Radar Note) radar는 ‘d'를 기준으로 앞에서 읽으나 뒤에서 읽으나 철자가 같다. 이와 같이 지폐의 일련번호가
중앙에 위치한 숫자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예) 0010100 (가운데 0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고 있다.) * 리피트 노트(Repeat Notes) 지폐의 일련번호가 반복되는 되는 것을 말한다. 예) 0010001 (가운데 0을 기준으로 001이 반복되고 있다.) * 스트레이트 어센딩 노트 (Straight Ascending Notes) 노트지폐의 일련번호가 차차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예)1234567 * 스트레이트 디센딩 노트 지폐의 일련번호가 차차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예) 8765432 * 지그재그 노트 지폐의 일련번호가 두 가지 숫자로 반복하는 것. 예) 37373737 * 솔리드 노트 지폐의 일련번호가 한 가지 숫자로 반복하는 것. 예) 7777777 * 밀리언 노트 지폐의 일련번호 중 앞의 첫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 전체가 0인 경우 예) 6000000 * 빠른 번호 지폐 통상 지폐의 일련번호가 0000000(견양권)에서 000999 이내인 경우. (99번 이하로 보는 견해도 있다.) |
|
|
㉬ |
|
파티나 (Patina) 오랜 시간의 산화 과정을 거치면서 주화 표면에 형성되는 푸른색 또는 갈색의 막. 주로 구리 또는 동 재질의 고대 주화의 표면에서 발견되며, 파티나의 표현 형태에 따라 주화의 가치의
상승 요인이 되기도 한다.
패턴 코인 (Pattern Coins) ☞ 시주화 참조
페니 (Penny) 미국 1 센트의 별칭. 1/100 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1909년 이후 링컨의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뒷면
에는 링컨 기념관이 압인되어 있다. 참고) 1 Cent; Penny, 5 Cent; Nickel, 10 Cent; Dime, 50 Cent; Half Dollar
프렉셔날 커런시 (Fractional Currency) ☞ 단편 지폐 참조
폴리머 지폐 (Polymer Note)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지폐 또는 그 재질.을 말한다. 통상 면으로 만들어진 기존의 지폐 보다
내구성과 도안 표현력이 뛰어나다. 1988년 호주에서 발행되었던 호주 발견 100주년 기념 지폐가
그 효시로 추정된다.
프레스티지 세트 (Prestige set) 1983~84, 1986~97년 사이에 미국에서 제조되었던 프리미엄 포장의 프루프 세트.
|
|

(1987 프레스티지 프루프 세트) |
|
|
|
프루프 (Proof) 전시용, 수집용, 증정용 등의 목적으로 주조소에서 특별히 정교하게 제조된 최고 품위의 주화이다. 주화의 표면은 거울처럼 광택 처리되고, 도안 부분은 서리처럼 무광으로 처리되어 도안과 표면이
크게 대조되어 심미감을 극대화한다. 정교한 극인(Die)과 특별하게 만들어진 소전을 사용하여 세밀한 디테일과 99%에 가까운 무결성,
거울 같은 표면 등이 특징이다. 특별한 품질을 위해 두 차례 이상의 압인 과정을 거친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주화끼리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백마크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프루프는 무광
프루프를 말하며, 유광 프루프와 구별된다. ☞ 무광 프루프, 유광 프루프, 프루프-라이크, 까메오, 딥 까메오 참고 反) 통용화 (Business Strike)
프루프 라이크 (Proof-Like) ☞ 유광 프루프
프루프 세트 (Proof set) 프루프 민트 세트라고도 한다. 화폐 발행처에 의해 제조된 특별한 세트로서, 특정 연도에 발행된
프루프 주화를 1개 씩 모아 세트로 제작한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 또는 일반 기업이 프루프 주화를 모아 세트를 구성하더라도 프루프 세트가 되지는
않는다. ☞) 민트 세트, 유통주화 세트 참조 |
|

|
|
(2006 미국 실버 프루프 세트) |
|
플랫 머니 (Flat Money) ☞ 단순 화폐 참조
피에포르 (Piedfort) 사전적 의미(불어)로 '무거운 무게'를 뜻하며 통상의 주화보다 두꺼운 두깨의 소전으로 제조된 주화를
말한다. 통상 2배 두깨가 많으며 유통이 아닌 수집 목적으로 주조된다. 참고로 2007년 영국에서 2배 무게, 2개 두께의 Five Coin Proof Set이 발행되었다.
피큐 (PQ; Premium Quality) 동급 그레드의 화폐에 비해 뛰어난 보존 상태를 보이는 화폐
필그림 지폐 (Pilgrim Receipts) 순례자들이 타국의 순례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버프린트 된 지폐. 파키스탄, 사우디 등에서 발행
된다.
필드 (Field) 동전, 토큰, 메달 등의 평평한 표면 |
|
|
㉭ |
현물 가격 스팟 프라이스(Spot Price). 실제의 물품과 즉시 교환 가능한 재화의 가격. 불리온 주화의 경우 현물 가격에 따라 거래 시세가 변동되므로 관심을 가져야한다. 反) Fixed Price.
헤어라인 (Hairlines) 주화의 표면에 생긴 머리카락처럼 가느다란 스크래치
헬 머니(Hell Mony / Hell Bank notes) ☞ 저승돈 참조
홀더 (Holder ) 화폐의 수납과 보관 또는 전시를 휘한 위한 각종 케이스류
화폐학 (Numismatics) 주화, 지폐와 기타 교환 가치를 가지는 토큰, 메달 등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학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