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산김씨 세계

안산김씨 교감공파 교지, 지방(신주), 축문, 시제 홀기

by 연송 김환수 2008. 1. 14.

교감공파 (청산파) 분파 현황

 

안산김씨 김긍필의 14세(13대손) 암, 을신,맹감,지,맹린,맹전,맹추,맹균,맹일,맹강,

맹유,맹철,맹혁,맹현에서 다음과 같이 1520년 전후로 분파되었습니다.

(윗어른 자제분의 과거급제 시기가 1510년대임, 근거 안김족보 1776년, 1989년)

 

11세

(10대손)

12세

(11대손)

13세

(12대손)

14

(13대손)

분 파 내 용 (집성촌)

성경

정경

別將

(상호군)

 의주파

의주파, 용천파

 

진주목사

삼사우사

의정부사

자헌대부

 

좌명공신

연성군

(안산군)

이조전서

숭정대부

위정공

上護軍

을신

(사직)

 강진파

강진파

맹감

(학생)

 강진파

황해도 황주파

別將

(대제학)

 합천파

괴산파,합천파,산청파,만경파

左參贊

맹린

(부정)

 포천,

 안산,

 천안파

포천파, 양주파

맹전

(사재정)

   〃

안산파

맹추

(첨정)

   〃

한산파

맹균

(참봉)

   〃

황해도파

맹일

(직장)

   〃

포천파

맹강

(교감)

   〃

옥천파(청산파), 천안파

맹유

(첨중추)

   〃

  ?

大護軍

맹철

(판서)

 괴산파

 괴산파

맹혁

(참판)

 포천,

 청산파

 포천파, 청산파

주경

(판서)

이용

(별장)

判決事

맹현

(첨지중추부사)

 장단파

 장단파

 

 ===============================================================================================

 

시조 김긍필의 12세 연성군 김정경(金定卿)

 

1345(충목왕 1)∼1419(세종 1).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

(安山). 시호는 위정, 아버지는 진주목사 성경(星慶)이다.

일찍이 고려 때에 벼슬하였으나, 새 왕조 창업에 찬성하고 이성계

(李成桂)를 지지하였다. 조선 개국 후 삼군절도사를 거쳐 이조전서

(판서)를 지냈는데, 인사관리를 잘하였다.

1396년(태조 5)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가 되어 전라도와 충청도

각지의 성을 수축하고 군비를 점검하는 한편 병선(兵船)의 허실을

조사하였다.

1400년 방간(芳幹)의 난이 일어나자 한성부윤(현서울시장)으로서

방원(芳遠)에 협력하여 이를 진압,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연성군

(蓮城君)에 봉해졌다.

그뒤 공안부윤(恭安府尹)이 되었는데, 병을 핑계로 명나라의 사행을

회피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1404년(태종 4)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 1408년 개성부유후(開城

府留後)를 역임하고, 1410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용맹하고

매사에 적극적이었다. 시호는 위정(威靖)이다.

참고문헌 太祖實錄, 太宗實錄, 國朝人物考. 〈崔完基〉

 

 

 

  

                             위정각 (경기도 하남시 감북면)

 

 

 김정경(1345∼1419)은 조선 초기 문신으로 고려말에 벼슬을 하였

으나 새 왕조 창업을 지지하고 태조와 태종을 섬겼다.

삼군절도사를 거쳐 이조전서를 역임했고, 1400년 방간의 난이 일어

나자 방원을 도와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연성군에 봉해졌다.

위정사는 숙종 8년(1667)에 세운 이 사당은 앞면3칸·옆면 1칸 규모

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이곳에서는 해마다 음력 7월 15일과 10월 29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음력 7월 15일 위정사 기제 (국불천위 제사)

    음력 10월 29일은 하남시 감북동 위정각 양력 4월 5일 향사로 변경 

 

공은 부인을 세 번 맞이하였으니, 판서 신익지, 신양군 노영, 남평군 왕화의

딸이다. 5남 1녀를 낳았다.

별장 지는 신씨 소출이요, 상호군 관, 별장 척은 노씨 소출이요,

판중추 평호공 개와 안성위 한과 서령 안철산 처는 왕씨 소출이다.

 

  소생 5남 1녀 {사위 안철산}  

 

지 (별장)

沚 (別將)

관 (상호군)

寬 (上護軍)

척 (별장)

滌 (別將)

개 (좌참찬)

漑 (左參贊)

한 (대호군)

澣 (大護軍)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의주파

 

강진파

 

합천파

 

포천, 안산,

 

 

 

천안파

 

 

괴산파

 

위 정 사

 

종목 : 문화재자료 제12호 (충북)

수량 : 1동

지정일 : 1994.01.07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장연면 광진리 291

소유자 : 안산김씨종중

관리자 : 김재천

연락처 : 충청북도 괴산군 문화체육과 043-830-3444

 

위정공 김정경(연성군=안산군)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시조의 13세 김개(金慨)

 

1405(태종 5)∼1484(성종 15).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

(安山). 자는 선택(宣澤). 아버지는 연성군(蓮城君) 정경(定卿)

이다. 1422년(세종 4) 음직(蔭職)으로 남부녹사(南部錄事)에 제수

되었다.

이후 세자우시직(世子右侍直)·전농시주부(典農寺主簿)·대호군

겸 판통례문사(大護軍兼判通禮門事)·상서원소윤(尙瑞院少尹)

등을 역임하였다. 1455년(세조 1) 첨지중추부사로 원종이등공신

(原從二等功臣)에 책록되면서 동지중추부사에 승진하였다.

1457년 중추부사가 되고 다음해 사은사 김세민(金世敏)의 부사

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59년 열무(閱武) 때에 보인 무재

(武才)로 가정대부(嘉靖大夫)가 되었다. 1461년 자헌대부

(資憲大夫)에 오르면서 행상호군(行上護軍), 이어 행첨지중추

부사·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하였다.

1465년 원각사제조(圓覺寺提調)로서 원각사의 조성을 지휘

하였다. 1467년 행의정부 좌참찬(行議政府左參贊)에 임명되었다.

 1468년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승진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된 사위 조경치(曺敬治)로 인하여 파직되었다.

 

1470년(성종 1) 서용되었고, 이후 행상호군·의묘조성제조(懿廟

造成提調)·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역임하였다. 또 공혜왕후

(恭惠王后)의 산릉도감(山陵都監)과 선공감(繕工監)의 제조를

겸하였다. 성품이 민첩하고 해서(楷書)에 능하였으며, 영선(營繕)

에 공이 있었다. 시호는 평호(平胡)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 成宗實錄, 訥齋集

 

성종 172권, 15년(1484 갑진 / 명 성화(成化) 20년) 11월 25일(무신) 4번째기사


판중추부사 김개의 졸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김개(金漑)가 졸(卒)하였다. 철조(輟朝)15579)

·조제(弔祭)·예장(禮葬)하기를 예(例)와 같이 하였다. 김개의 자(字)는 선택(宣澤)이며

본관이 안산(安山)인데 연성군(蓮城君)김정경(金定卿)의 아들이다.

 

영락(永樂) 임인년에 음직(蔭職)으로 처음에 남부 녹사(南部錄事)에 제수되어 전농시 주부

(典農寺主簿)를 거쳐서 여러 번 올라 대호군(大護軍) 겸 판통례문사(兼判通禮門事)와 상서원

소윤(尙瑞院少尹)이 되었다. 경태(景泰)) 계유년에 뛰어올라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에

임명되고 을해년에 가선 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올랐으며, 천순

(天順)) 기묘년)에 세조(世祖)가 동교(東郊)에서 열무(閱武)) 하면서 김개를 장(將)으로 삼았

는데, 세조가 진(陣)을 설치한 형세를 바라보고 그 남다름에 크게 감탄하여 특별히 가정

대부(嘉靖大夫)에 올렸다.

 

신사년에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또 정헌 대부(正憲大夫)에 올랐으며, 성화(成化))

을유년에는 숭정 대부(崇政大夫)에 오르고 정해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에 제수

되었다.

 

무자년에 숭록 대부(崇祿大夫)에 가해지고 계사년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제수되었

는데, 이때에 이르러 졸(卒)하니, 나이가 80세이다. 평호(平胡)라고 시호(諡號)하니,

다스림에 사고가 없은 것을 평(平)이라 하고, 오래 수(壽)한 것을 호(胡)라 한다. 김개는

용모가 아름답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성품이 정교(精巧)하고 민첩하여 국가에 영선

(營繕))이 있으면 감독하여 관장한 것이 많았다.

 

성종 184권, 16년(1485 을사 / 명 성화(成化) 21년) 10월 15일(임진) 6번째기사


지중추부사 김한(兄김개)의 졸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김한(金澣)이 졸(卒)하니, 철조(輟朝)하고

부의(賻儀)를 내려 주고 조제(弔祭)하기를 예(例)와 같이 하였다.

김한안산인(安山人)이며,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아들이다.

공정 대왕(恭靖大王)의 딸인 고성 군주(高城君主)에게 장가들었

는데,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

(知中樞府事)에 이르러 졸(卒)하니, 향년이 77세이다.

시호는 호평(胡平)인데, 오래도록 장수(長壽)한 것이 호(胡)이고,

다스려 재앙이 없는 것이 평(平)이다.

 


 

===============================================

 

시조 14세 김맹강(金孟鋼) 교감공파 파조

 

성종(成宗) 14년 (계묘, 1483년), 춘당대시(春塘臺試) 병과19(丙科19) 

자(字) : 극유(克柔)

본관(本貫) : 안산(安山)

자(子) : 김위(瑋, 無後),  김령(玲,無後),  김장(障,無後 系 孟監),  필(珌)

부(父) : 김개(金漑)

조부(祖父) : 연성군 김정경(金定卿)

증조부(曾祖父) : 김성경(金星慶)

외조부(外祖父) : 윤구(尹救)

처부(妻父) : 강희안(姜希顔)

전력(前歷) : 충의랑(忠義郞)

관직(官職) : 승문원 교감(校勘)

 

15세

(14대손)

16세

(15대손)

17세

(16대손)

18세

(17대손)

김필

김원회

김수온

김계남

문과장원

수의부위

동지중추부사

종2품

군관,주부

전적

문화유씨

조헌문하학문

홍문관교리

 

3형제장남

율곡,성혼강론

증 부제학

 

남원양씨

조헌 금산전투참가

4형제넷째

 

 

이조정랑한유행장

완산(전주)이씨

 

 

청주한씨

 

===============================================================

 

 

교지 (敎旨)

 

 

김필 (金珌 : 별시 문과장원 급제)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자수(子修), 호는 모기재(慕箕齋). 증조부는 정경(定卿)이며,

아버지는 교감(校勘) 맹강(孟綱)이다. 김식(金湜)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 별시문과에 갑과로 장원하여 전적이 되었다. 그해 기묘사화로 유배되는

김식을 전송하다가 처벌을 받자 벼슬을 버리고 집에서 독서에만 열중하였다.

 

이어서 1521년에 전적으로 신사무옥에 연루되었으나 겨우 죄를 면한 뒤부터는 정신이상을

가장하고 공적인 일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乙卯錄補遺. 〈朴翼煥〉


<국조 문과 방목> 김필(金珌) 중종(中宗)14년(1519년), 별시(別試) 갑과1(甲科1)

 

중종 37권, 14년(1519 기묘 / 명 정덕(正德) 14년) 10월 22일(임오) 2번째기사

문과(文科)에 김필(金珌,x) 등 19인을 뽑았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15책 573면

【분류】 *인사-선발(選拔)

 

장원 급제후 전적(성균관 정6품)되었다가 기묘사화로 유배되는

스승 김식(부제학, 대사성, 영의정 추증)을 전송하다가 처벌을

받게 되자 벼슬을 그만두었고 후에 홍문관의 교리(정5품)에 제수

되었으나 불취(不就 : 나서지 않음)하고 독서에만 전념하였습니다.

 

정승 벼슬도 가능하셨던 할아버지인데 우리 집안으로 볼 때는

너무나 안타까운 일입니다. 관운은 하늘이 내리는가...

홍문관 부제학(통정대부 : 정3품 당상관),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에 추증되었다.

 

김필(金珌 : 별시 문과장원 급제, 부제학)  가족사항

 

부(父) : 김맹강(金孟鋼)

조부(祖父) : 김개(金漑)

증조부(曾祖父) : 김정경(金定卿)

외조부(外祖父) : 강희안(姜希顔)

처부(妻父) : 오원군 이보정(五原君 李寶貞)

처조부(妻祖父) : 신종군 이효백(新宗君 李孝伯)

처증조부(妻曾祖父) :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처고조부(妻曾祖父) : 정종 공정대왕(定宗 恭靖大王)

형(兄) : 김위(金瑋)

 

                                 14세 김필(金珌)

 

교지

전 부사 김필 증 통정대부 홍문관 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 자  건륭 11년 9월 일 (영조 22년, 1746년 9월)

 

교지(敎旨)란 조선시대 임금이 4품이상의 벼슬아치를 임명할 때에 내려주던

임명장으로 관고, 관교, 왕지라고도 한다. 본 교지는 김필(金必)에게 통정대부의

지위를 주고 홍문관 부제학과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및 춘추관 수찬관을 추증

한다는 내용의 교지이다.(건륭 11년 9월 일)

 

    * 부사(府使) : 조선 시대에 둔 대도호부사와 도호부사를 통틀어 이르던 말

 

교지는 아래 영조실록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영조 64권, 22년(1746 병인 / 청 건륭(乾隆) 11년) 9월 6일(기해) 7번째기사

김재로가 기묘명현 중에 가려서 시호를 내리기를 청하다

------------------------------------------------------------------

 

영의정 김재로가 입대를 청하여 진계하고 이어 상직을 사임하니, 임금이 윤허하지

않았다. 김재로가 말하기를,

“지난번 고 좌상의 말로 인하여 기묘 명현(己卯名賢)11113) 들에게 모두 시호를

내릴 것을 명하셨습니다만, 허다한 사람들에게 한꺼번에 다 시호를 내릴 수는

없습니다. 벼슬이 정경(正卿)으로서 시법상 시호를 내려야 할 이장곤(李長坤)·

채세영(蔡世英) 등의 몇 사람 외에 기준(奇遵)·신명인(申命仁)·김구(金絿)·한충

(韓忠)·윤자임(尹自任)·박세희(朴世憙)·박영(朴英)·유운(柳雲)·박훈(朴薰)·김세필

(金世弼) 등 열 사람 및 종실인 파릉군(巴陵君) 경(璥)·시산정(詩山正) 정숙(正叔)

은 학문과 명절이 특이한 만큼, 해조로 하여금 증직과 증시를 시행하도록 하소서.”

하니, 임금이 그대로 따랐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43책 224면

【분류】 *정론(政論) / *인사(人事)

   

[註 11113]기묘 명현(己卯名賢) : 조선 중종 14년(1519) 훈구파가 사림파를 몰아내기 위해 일으킨 기묘

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입은 조광조(趙光祖) 등의 사림들을 말함.

 

홍문관 부제학의 지위에 대하여

 

조선시대 홍문관의 구성원은 영사(領事:정l품) ·대제학(大提學:정2품) ·제학(提學:

종2품) ·부제학(副提學:정3품) ·직제학(直提學:정3품) ·전한(典翰:종3품) ·응교(應敎:

정4품) ·부응교(副應敎:종4품) 각 l명, 교리(校理:정5품) ·부교리(副校理:종5품) ·수찬

(修撰:정6품) ·부수찬(종6품) 각 2명, 박사(博士:정 7품) ·저작(著作:정8품) 각1명,

정자(正字:정9품) 등인데, 3정승을 비롯해서 경연청(經筵廳)과 춘추관(春秋館)

등의 관원들이 이를 겸직하였습니다.

 

이 가운데 실제 책임을 맡은 것은 부제학이었고 이를 보통 홍문관의 장관이라 불렀

습니다. 부제학은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지제교

(知製敎) 등을 겸해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하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관리

하면서, 삼사(三司) 장관의 1명으로 언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현재의 직제와 비교하면 차관급이라고 보면 되는데 실세라는 의미에서

‘차관’보다 더 권력이 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4세 김필 숙부인

교지

숙인 이씨 증 숙부인 자  건륭 11년 9월 일 (영조 22년,1746년 9월)

증 통정대부 홍문관 부제학 김필의 부인 전주이씨에게 내린 교지

 

숙   인 : 조선시대 정3품 당하관(堂下官) 및 종3품 문·무관의 외명부(外命婦).

숙부인 : 조선(朝鮮) 때 당상관(堂上官) 정3품(正三品) 문무관(文武官)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封爵)

 

숙부인 이씨 : 父(부) 오원군 이보정 (정종대왕 증손자)

 

김필公의 장인되시는 전주이씨 오원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종대왕에 10째 아들이신 덕천군에 자손으로

덕천군에 장자 신종군 신종군에 5자 오원군입니다.

 

오원군께서는 두 아드님과 두따님을 두시었는데

장자는 진강령이시고 차자는 금마령이십니다.

 

장녀는 박씨집안으로 출가하셨고 차녀는 안산김씨 집안으로

출가 하셨습니다.

 

즉 오원군에 사위는 교감 맹강님에 4째 아드님이신 부제학 김필공이십니다.

김필공께서 조광조 김식 사화에 연루되시어 간신히 참화를 면하셨으나

많은 고초를 겪으셨는데 그때 처남이신 진강령께서도 곤욕을 치르시고 장인이신

오원군께서도 곤욕을 치르셨다고 합니다.

 

신종군(新宗君) 효백(孝伯)

아들

완성군 귀정 (莞城君 貴丁), 신곡수 부정 (薪谷守 富丁), 소성수 순정 (召城守 順丁)

학성군 연정 (鶴城君 連丁), 오원군 보정 (五原君 寶丁), 장연령 은동 (長淵令 銀同)

장흥령 은손 (長興令 銀孫), 상산군 말손 (商山君 末孫), 회진군 경손 (會津君 敬孫)

 

참조사항:

장흥령 은손 (長興令 銀孫) - 묘역 위치 미상, 후손이 없음

신곡수 부정 (薪谷守 富丁), 오원군 보정 (五原君 寶丁) - 묘소 실전, 설단 후 제향함

 

                                    신종군 승헌대부 병조판서 효백 묘소

 

신종군(新宗君)은 조선 정종의 제10왕자인 덕천군(德川君)의 장남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군이 효백(孝伯)이라 명명하였다.

시호는 공간(恭簡)이요 배위는 현부인 예안최씨로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한 경례(景禮)의

딸이다.

 

조선초기에 무과 장원, 문과 2등을 하여 문무를 두루 갖춘 문신으로서 조정을 대표하여

수차 중국에 사신으로 왕래하였다. 그 결과 명제(明帝)가 그 충간을 가상히 여겨 자신의

황패영자(黃佩纓子)를 하사하였다.

 

궁술이 비상하여 `태조의 신궁(太祖之神弓)'이라 불렸으며, 1459년(세조 5) 세조대왕이

임어한 모화관(慕華館)에서의 시사(試射)에서 30개의 화살 중 29개를 과녁에 적중시켜

왕을 감탄케 하였다. 세조대왕의 특명으로 당상관에 올랐고 종친부를 창건하여 종법

(宗法)을 일신하니 1467년(세조 13) 신종군으로 봉작되었다.

 

그 해 `이시애(李施愛)의 난'으로 세조대왕이 친정(親征)하려 할 때 선봉장으로 내정

되었다.

또한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판서에, 1468년(세조 14) 승헌대부에 올랐고 겸사복장(兼司

僕將)에 임명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산16(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도론리)에 예장으로

모셨다. 묘소 자리는 신종군이 늘 활을 쏘고 사냥하였던 곳으로, 하루는 문득 이곳에

올라 작은의자를 놓고 앉아 사방을 둘러본 다음 즐거워하며 “내가 죽으면 반드시 이곳에

장사지내라.”고 말하였다.

 

또 하루는 활시위를 당기다가 갓끈에 부딪혀 갓끈의 구슬을 잃은 적이 있었는데 장례

지낼때 광내(壙內)에서 그 구슬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이와같이 신종군은 천품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하였으며 사친보군(事親報君)의 뜻이

뛰어나서 충·효·의로 평생을 마쳤다.

 

12만 후손들이 정성 어린 뜻을 모아 1992년 조선왕조 개국 600주년의 뜻 깊은 해에

신종군의 묘역정화사업을 마쳤다.

 

 

☞ 덕천군 후생(厚生 : 1397∼1465)은 정종의 10남으로 슬하에 4남 6녀를 두었는데,

 

장남 신종군(新宗君) 효백(孝伯),

차남 부윤도정 효숙(孝叔),

3남 운수군(雲水君) 효성(孝誠),

4남 송림군(松林君) 효창(孝昌),

 

장녀는 창녕성씨 찬(瓚)에게 출가하니, 그의 차남 성희안(成希顔 : 1461∼1513)이 중종

반정의 주역이 되어 정국공신이 될 때 외숙인 운수군과 외사촌인 안현군(安賢君 :

松林君의 차남)을 반정에 참여케 하여 다같이 공신이 되었다.

 

신종군 효백(孝伯 : 1416∼1487)은 덕천군의 장남으로 9남을 두었고,

그의 장남 완성군(莞城君)도 9남을 두었고, 그 4남 함풍군(咸豊君)의 후손들이 덕천군

파의 명예를 드높였다.

 

완성군의 4남 함풍군은 외아들 수광(秀光 : 1507∼1561)을 두었고, 수광은 유신(惟信)·

유서(惟恕)·유간(惟侃) 3남을 두었는데, 우곡(愚谷) 유간의 후손 중에서 경직(景稷 :

1577∼1640)·경석(景奭 : 1595∼1671) 형제를 두었다.

 

덕천군 후손들의 문과급제자 수는 도합 34명으로 전주리씨 문중에서 가장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

 

지방(신주) 및 축문

 

신주나 위패를 밤나무로 하였는데 그래서 木主(목주)라고도 한다. 밤나무로

신주를 만든 것은 報本(보본)의 의미이다. 家廟(가묘)에 모신 조상의 경우는 神主

(신주)라 하고, 문묘나 서원의 경우에는 位牌(위패)라 한다.

신주를 만들지 못하였을 때는 종이로 써서 붙이는데 이것을 紙榜(지방)이라 한다.

 

신주는 장사를 지내고 무덤을 만든 뒤에 題主(제주)를 한다. 이미 만들어진 신주에

죽은 사람의 관직을 쓰는 것이다. 신주는 사정에 의해 당일 만들지 못했을 경우

에는 뒷날 만들 수도 있다.

 

지방은 신주를 만들지 못했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나가서 제사를 모실 때 신주를

대신하여 쓰던 방법의 하나였는데, 지금은 큰 종가 이외에는 사당이나 감실을

두고 신주를 모시는 집이 거의 없으니 지방을 써서 붙이고 제사를 모신다.

 

지방과 신주, 위패의 구분

구   분

지방(紙榜)

신주(神主)

위패(位牌)

재   료

종이(한지)

나무(밤나무)

나무(밤나무)

장   소

가정(신주가 없을 때)

가묘, 사당

문묘, 서원

쓰는 방법

... 神位

... 神主

退陶李先生

봉사자 이름

없다

있다

없다

 

위의 기준으로 본다면 우리 집안은 신주형태에 신주(神主)라 쓰지 않고 지방서식인

신위(神位)를 쓰고 위패라 호칭을 한다. (집안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문제삼을

일은 아니며 요즘의 위패는 대부분 격식이 생략되고 있다)

 

다른집안 위패 例)

 

=================================================================================================

 

   

 14세 승문원 교감 김맹강 (교감공파 파조)

 

 

                   산신축문 (시제)                              시제축문

산신제는 시제를 지내기전에 산신께 시제를 지내겠다고 알리는 절차입니다

 

예시

 

山神祝文 解說 (산신축문 해설)

 

維歲次乙酉二月癸巳朔十八日庚戌 幼學 ㅇㅇ敢昭告于

土地之神 廷來恭修歲事于

顯十代祖考處士府君(之墓)

維時保佑 實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奠獻 尙 饗

 

병자 이월 십구일 小生ㅇㅇ은 삼가 土地之神에게 아뢰옵니다.

정래 십대조부께 공손히 시제를 올리고. 저의 십대조의 묘를

시절에 따라 돌봐주신 것은 토지신의 은덕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삼가 술과 반찬으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흠향하십시오.

 

유학 (幼學): ‘벼슬을 하지 아니한 유생(儒生)’을 이르는 말.

공수세사우(恭修歲事于):공손히 시제를 드린다는 뜻이다.

유시보우(惟時保佑): 산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는 뜻이다

실뢰신휴(實賴神休): 신령님의 은혜를 받는다는 뜻이다.

경신전헌(敬伸奠獻) :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린다는 뜻.  

-------------------------------------------------------------------

산신제(山神祭)


산신제를 후사토(后祀土) 라고도 하는데 조상묘지가 있는 산의 신(神)에게 제사지내는 것이다.

묘사나 차례를 지내는 주인이 제주가 되기도 하고, 주인 이외의 사람이 제주가 되기도 한다. 산신제는

묘지에서 묘사를 지내기 직전에 혹은 지낸 직후에 지내기도 한다.

만일 같은 산곡에 상하 누대(累代)의 직계 또는 방계의 묘소가 있을 시는 최상위 묘소의 산신제만

지내고 그 외의 산신제는 지내지 않아도 된다. 산신제의 장소는 묘지의 동북쪽에 제단을 설치하여

지내고, 제수는 차례 때의 제수와 같이 차리기도 한다. 주과포로 약설로 차리기도 한다.

산신제는 신위를 1위로 보아 한상만 차린다.


산신제(山神祭) 절차


① 쇄소제단(灑掃祭壇) : 산신 제단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②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참사자는 제자리에 선다.

③ 진찬(進饌) : 제수를 진설한다.

④ 강신뇌주(降神뇌酒) : 산신은 당연히 지하에 계실 것이므로 분향은 하지 않고 뇌주만 한다.

⑤ 참신(參神) : 참사자는 재배한다.

⑥ 헌주(獻酒) : 술잔에 술을 가득 부어 올린다.

⑦ 정저(正箸) : 젓가락을 시접에 가지런히 한다.

⑧ 독축(讀祝) : 축관이 제관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축을 읽는다. 축문을 읽고 나서 축관만 재배한다.

⑨ 하저(下箸) : 젓가락을 내린다.

⑩ 사신(辭神) : 참사자 일동이 재배한다.

⑪ 철찬(撤饌) : 제수를 물린다.


묘제산신축

유세차경진시월기미삭초오일계해유학박길동

維歲次庚辰十月己未朔初五日癸亥幼學朴吉東

감소고우

敢昭告于

토지지신(초헌관성명)공수세사우

土地之神(초헌관성명)恭修歲事于

육대조고학생부군지묘

六代祖考學生府君之墓

유시보우실뢰신휴감이주찬경신전 헌(또는근이주과지천우신)상

維時保佑實賴神休敢以酒饌敬伸奠 獻(또는謹以酒果紙薦于神)尙

경진 8월 초5일 유학 박길동은 토지신께 감히 고하나이다.

길동이 6대조고 할아버님 학생 부군의 묘소에 삼가 묘제를 받드온 바 때로 도우시어 신의 보우에

힙입고자 여기 술과 안주로 경건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산신축(山神祝)에 '현고(顯考)'는 '선고(先考)'로 '현기대조고(顯幾代祖考)'의 '현(顯)' 자는 높임

   으로 산신에는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비유 에는 '공수세사우(恭修歲事于)' 중 '공(恭)'자를 뺀다.

- 산신축에는 '토(土)'와 '향(饗)'은 한 자 높여 쓴다.

- '지묘(之墓)'는 묘지에서 지내는 경우이고 제단을 모았을 때는 '지단(之壇)' 이라 쓴다.

- 같은 산곡에 상하 누대(累代)의 직계 또는 방계의 묘소가 있을 시는 최상위 묘소에 산신만 지내면

  기외는 산신제를 지내지 않아도 된다. 단, 산의 주령이 틀리거나 최상위의 묘소와 같은 날 행사가

  아니면 산신제는 별도로 지내야 한다.


산신제 총설


산신제 명칭 : 산신제를 사토후라고도 하는데 조상묘지가 있는 산의 신을 제사지내는 것이다.

산신제 봉사자 : 그 산에 있는 조상 묘지에 세일사나 차례를 지내는 주인이 봉사자가 된다.

산신제 일시 : 그 산에 있는 조상 묘지에 세일사나 차례를 지낸 직후에 지낸다. 만일 같은 산에 여러

                    위의 조상묘가 있더라도 산신제는 1년에 한 번만 지낸다.

산신제 장소 : 유대 조상 묘지의 동북쪽에 제단을 설치하고 지낸다.

산신제 제수 : 명절 차례 때의 제수와 같이 차린다. (시접에는 젓가락만 담는다.)

산신제 신위수 : 산신제의 신위를 1위로 보아 한 분의 상만 차린다.


산신제 절차


재계(齎戒) : 몸을 깨끗이 하고 근신한다.

쇄소제단(灑掃祭壇) : 산신제단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수축(修祝) : 산신제의 신은 그것에 있을 것이므로 신위는 필요 없고 축문은 미리 쓴다.

설위진기(設位陳器) : 제단에 제상, 향안, 주가, 소탁, 자리를 배설한다.

척기구찬(滌器具饌) : 제수를 마련한다.

변복서립(變服序立) : 차례와 같다.

설 소과주찬(設蔬果酒饌) : 차례와 같다.

강신뇌주(降神뇌酒) : 산신은 당연히 지하에 계실 것이므로 분향은 하지 않고 뇌주만 한다.

참신, 진찬 , 헌주 는 차례와 같다.

독축(讀祝) : 모두 꿇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방법은 기제와 같다.

정저, 시립, 하저, 사신, 분축, 철찬, 철기구는 기제사 차례와 같다.

산신축에 현고는 선고로 현기대조고의 현자는 높으므로 산신에는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산신는 누대의 묘소가 있을시는 최상위에 대한 산신만 지낸다. 그리고 비위를 병서하지 않는다.

같은 산곡에 상하누대의 지계 또는 방계의 묘소가 있을시는 최상위 묘소의 산신만 지내면 그외는

산신제를 지내지 않아도 된다. 단, 산의 주령이 틀리거나 최상위의 묘소와 같은 날 행사가 아니면

산신제를 별도로 지내야 한다.

 

< 산신제(山神祭)의 절차(節次) >



1. 灑掃祭壇(쇄소제단)

 ○ 산신제를 지낼 제단을 청결하게 쓸고 닦는다.

 ○ 보통 산신제의 제단은 제일 윗대 산소의 좌측 윗쪽[좌상]에 마련한다.

 ○ 제단은 평평한 석재로 한다.

※ 灑掃(쇄소) ~ 물을 뿌리고 비로 쓰는 것.

    灑(쇄) - 물 뿌릴 쇄, 씻을 쇄. 掃(소) - 쓸 소.


2. 參祀者(참사자) 序立(서립)

 ○ 산신제를 지낼 사람들이 제단 앞에 늘어 선다.

 ○ 축관은 좌측, 사준은 우측, 그리고 좌우집사는 좌우에 각각 위치한다.


3. 陳饌(진찬)

 ○ 제물을 제단에 진설한다.

 ○ 제물은 가공을 하지 않는다.

 1) 북어는 머리와 꼬리를 그대로 둔다.

 2) 과일도 일체 깍거나 베어내지 않는다.

 ( 밤은 껍질 채, 기타 과일도 아래 위를 베어내지 않고 그대로...)

 ○ 제물의 위치는 제상의 진설과 동일하다.


4. 降神?酒(강신뢰주)

 ○ 산신제에서는 향은 피우지 않는다.

 ○ 술잔에 술을 따른후 세번에 나누어 땅위에 붓는다.

 ○ 제주는 두번 절한다.

 ※ ?酒(뢰주,뇌주) ~ 강신할 때 술을 땅에 뿌리는 것.

     ?(뢰) - 술 부울 뢰 (제주를 땅에 붓는 것)

 

  

 

5. 參神(참신)

 ○ 산신제에 참사한 사람 모두가 절을 두번 한다.


6. 獻酒(헌주)

○ 제주가 꿇어 앉는다.

○ 잔에 제주를 채워 올린다.


7. 正箸(정저)

 ○ 젓 가락을 고른 다음 접시나 음식 위에 올려 놓는다.


8. 讀祝(독축)

 ○ 참사자 모두 꿇어 앉는다.

 ○ 축관이 제주의 좌측에서 산신축을 읽는다.

 ○ 축관이 별도로 없을 경우에는 제주가 읽는다.

 ○ 축이 끝나면 제주와 축관은 두번 절한다.

 ○ 나머지 사람은 그냥 일어난다.


9. 下箸(하저)

 ○ 산신이 제물을 운감할 동안 잠시 기다린다.

 ○ 젓 가락을 원래의 위치에 내려 놓는다.

 ○ 술잔을 앞쪽으로 조금 당긴다.


10. 辭神(사신)

 ○ 참사자 모두 두번 절한다.

 ○ 축문을 불에 태운다.


11. 撤饌(철찬)

 ○ 참사자들은 음복을 한다.

 ○ 제물을 제단에서 모두 내린다.


유의사항

 1) 산신제의 제단은 가문마다 위치가 다를 수 있다.

 2) 산신제를 지내는 절차도 가문마다 서로 다르다.

 3) 제물은 비교적 간소하게 차린다.

 4) 산신제는 기존에 있던 조상의 산소를 보호해 준 산신에 대한 예이거나,

새롭게 마련하는 산소의 경우에는 후한이 없도록 보살펴 달라는 청을 산신에게 하는

예이다.)


 ( 산신제를 지내는 제물을 준비함에 있어 상례의 경우에는 본제를 지내는 제물과는

달리, 음식을 만들거나 구입하는 장소가 각각 달라야 한다고 한다. 보관 할 때에도 본제의

제물과는 별도로 보관한다.

 그러나 일반 묘제의 경우에는 그렇게는 하지 않는다.)

-------------------------------------------------------------------

 

시제 축문 해설 (時祭 祝文 解說)

 

維 歲次 干支幾月 干支朔 幾日干支 某親某官 某 敢昭告于

顯某親 某官府君(某封某氏)之墓 (祠堂에서는 之墓 삭제)

歲薦一祭 禮有中制 雨露旣濡 彌增感慕

謹以 淸酌時羞 祗薦常事 尙 饗

 

維歲次(유세차): '이해의 차례는'이라는 뜻으로, 제문(祭文)의 첫머리에 관용적으로

                        쓰는 말. 세차(歲次) 간지(干支)를 따라서 정한 해의 차례.

干支幾月(간지기월): 태세(太歲), 그해의 간지(干支)-乙酉. 幾月= 二月

干支朔(간지삭): 今月(금월) 초하루 일진(日辰)( 날의 육십갑자(六十甲子)-癸巳朔

幾日干支(기일간지): 금일 일진(日辰) ,날의 육십갑자(六十甲子) -十八日 庚戌

某親某官某(모친모관모): 부모→효자(孝子), 조부모→효손(孝孫),

                                    고조→효현손(孝玄孫)

五代祖→五代孫 某官=관직, 某=제주(祭主) 이름을 쓰되, 아우 이하는 쓰지 않음.

효현손(장자일경우="효"자를 쓰고, 차자일경우="효"를 빼고 그냥 "현손"이라 한다)

 

敢昭告于(감소고우): 삼가 밝게 고한다는 뜻. 처상(妻喪)일 때는 소고우(昭告于)만

                               쓰고, 아우 이하는 그냥 고우(告于)만 쓴다.

顯某親(현 모친) : 현→축문에서 돌아가신,

                          某親→考 ·祖考·高祖考·五代祖考,妣,祖妣,五代祖妣

某官府君(모관부군): 某官→관직명(吏曹判書, 通德郞),

學生(생전에 벼슬하지 못하고 죽은 사람을 높여 일컫는 말)

府君→돌아가신 아버지, 대대의 할아버지’를 높이어 일컫는 말

某封某氏(모봉모씨): 某封→외명부의 한 품계, 봉작. 貞敬夫人, 恭人

孺人(생전에 벼슬하지 못한 사람의 아내’를 높여 일컫는 말)

某氏→晉州鄭氏, 慶州金氏 등

 

歲薦一祭(세천일제): 일년에 한반 돌아온다는 뜻

禮有中制(예유중제): 예의를 갖추다 라는 뜻

1년에 묘사를 한 번 올리 는 것이 예의에 알 맞는 것이라 생각되옵니다

 

氣序流易(기서유역): 세월의 기운이 바뀌어 가는 차례가 흘러서 바뀌다.

雨露旣濡: 時節을 드러내어 나타냄. 비와 이슬에 이미 젖다.

정월=歲律旣更, 靑陽載回 단오=草木旣長, 時物暢茂

추석=白露旣降,한식=雨露旣濡, 履玆霜露 시월 (찬이슬을 밟으며)

 

微增感慕(미증감모): 사무치는 정이 더욱더 간절하다.

勤以(근이) : 삼가라는 뜻. 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자이(慈以)'라고 씀.

淸酌庶羞(청작서수) : 맑은 술과 철에 나는 여러 가지 음식.

祗薦常事(지봉상사) : 연례행사를 공경하여 드립니다

尙饗(상향) : 흠향하십시오. 신명께서 제물을 받으소서, 제례 축문의 끝에 쓰는 말.

 

維歲次乙酉二月癸巳朔十八日庚戌 十代孫廷來敢昭告于

顯十代祖考處士府君 歲薦一祭 禮有中制 雨露旣濡 彌增感慕

謹以 淸酌時羞 祗薦常事 尙 饗

 

갑자년 이월 십팔일 십대손 정래는 십대조 할아버님께 삼가 고하나이다. 1년에

묘사를 한 번 올리는 것이 제도에 알맞는 것이라 생각되옵니다. 봄을 재촉하는

이슬과 비가 촉촉이 내리니 사무치는 정이 더욱 더 간절합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연례행사를 받자오니 흠향하시기 바랍니다.

   

묘제축문

 

維歲次 乙酉 十月 庚寅 朔 十二日 辛丑 孝 6代孫

유세차 을유 십월 경인 삭 12일 신축 효 6대손

 

泰雲 敢昭告于

태운 감소고우

顯 高祖(女比) 孺人 南平文氏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현 고조비 유인 남평문씨지묘 기서유역 상로기강

瞻掃封瑩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祗奉常事

첨소봉영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지봉상사

常 響

상 향

 

敢昭告于(감소고우) 밝혀서 고한다

朔 (삭) 제사달의 초하루

顯考府君(현고부군)아버지를 존칭하는 말

謹以(근이)삼가 정성을 다한다

淸酌庶羞(청작서수)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을 드린다

尙.饗(상.향) 흠향(歆饗)하십시오 (제물을 받으십시오)

 

歲序遷易(세서천역)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

諱日復臨(휘일부림) 돌아가신 날이 다시 오다. [아내,동생은⇒ 亡日復至 (망일복지)

                             라고 한다.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과 같이 부모님의 은혜가 넓고 크다.(부모님 기제사

                             축에만  사용한다)

不勝永慕(불승영모) 영원하신 조상님의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 (조부이상사용)

不勝感慕(불승감모) 조상님을 사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다는 뜻이다.

追遠感時(추원감시) 돌아가신 때 를 맞아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한다.

維時保佑(유시보우) 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

伏擇吉辰(복택길진)一座合祭(일좌합제) 시제를 산소에서 지내지않고 집에서

                             지낼 때 사용.

實賴神休(실뢰신휴) 신의 은혜를 받는다.

瞻掃封塋(첨소봉영) 산소를 깨끗이 단장하고 바라본다

履玆霜露 (리자상로)찬이슬을 밟으며(시월)

白露旣降(백로기강) 찬이슬이 벌써 내렸다는 뜻

恭修歲事宇(공수세사우) 삼가 공손한 마음으로 세사를 올리옵니다.

禮有中制(예우중제)예문에도 있다(상례의 규범)

祗奉常事(지봉상사) 공경하는(삼가) 마음으로 세사를올리다

歲遷一祭(세천일제) 해가 되어 한번의 제를 드린다.

禮有中制(예유중제) 예문에도 있다(상례의 규범)

玆陳齋室(자진재실)재실에서 시제를 지내겠나이다

 

   

15세 김맹강 아들 

 제용부정 김위 (무후)       장흥고령 김장 (무후)     부제학 김필  (별시 문과장원)

  

 

 

                               16세 수의부위 김원회

 

 

                          17세 동지중추부사 김수온

 

============================================================

 

제향 순서(祭享 順序)


一. 제례 입장(祭禮入場)

二. 행 분향례(行 焚香禮)

三. 행 강신례(行 降神禮)

四. 행 참신례(行 參神禮)

五. 행 초헌례(行 初獻禮)

六. 행 아헌례(行 亞獻禮)

七. 행 종헌례(行 終獻禮)

八. 행 사신례(行 辭神禮)

-----------------------------------------------

 

*홀기(笏記) : 혼례나 제례때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

*창홀(唱笏) : 홀기를 낭독함.


창홀 (唱笏)

집례자(執禮者)가 행사 진행을 맡아 홀기(笏記)를 낭독(朗讀)한다.

 


一. 제례 입장(祭禮入場).

 

獻官 以下 祭員 一同 各 就位序立(헌관 이하 제원 일동 각 취위서립)

=> 헌관 이하 제관 일동은 각각 자리에 서주십시요


二. 행 분향례(行 焚香禮)

1.初獻官 就 盥洗位 盥洗手 詣 神位前(

초헌관 취 관세위 예 관세수 예 신위전궤)

=> 초헌관은 나아가 손을 씻고 향안(香案)앞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2.執事 奉香爐 獻官之左,奉香盒 獻官之右(집사 봉향로 헌관지좌,봉향합 헌관지우)

=> 좌집사는 향로를 받들며, 우집사는 향합을 받들고

3.獻官 焚香 三上香(헌관 분향 삼상향)

=> 헌관은 삼상 분향 하시오(헌관은 세번 향을 위로 올렸다가 향로에 향을 피우시오)

 

三. 행 강신례(行 降神禮)

1.初獻官 詣 神位前跪(초헌관 예 신위전궤)

=> 초헌관은 신위앞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2.執事 擧冪酌酒(집사 거멱작주)

=> 좌집사는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3.獻官 受注 三頃至盡(헌관 수주 삼경지진)

=> 헌관은 세번에 나누어 땅에 부으시고, 좌집사는 빈 잔을 제자리에 놓으시오.

4.再拜 興 小退平身(재배 흥 소퇴평신)

=> 헌관은 재배하고 조금 물러 서시오.

 

四. 행 참신례(行 參神禮)

1.獻官 以下 祭員一同 參神再拜 興 平身 降復位(헌관 이하 제원일동 참신재배 흥 평신 강복위)

=> 헌관 이하 제관 일동은 재배하고 제 자리에 서시오.

 

五. 행 초헌례(行 初獻禮)

1.初獻官 詣 神位前跪(초헌관 예 신위전궤)

=>초헌관은 신위앞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2.執事 陳設饌飯 擧冪酌酒 奉爵 進跪于 獻官之右 奠爵 進跪于 獻官之左

 (집사 진설찬반 거멱작주봉작 진궤우 헌관지우 전작 진궤우 헌관지좌)

=> 좌집사는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3.獻官 以 受爵 神位前 第一坫(헌관 이 수작 신위전 제일점)

=> 좌집사는 헌관의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고

4.執事 開 飯蓋 揷匙正箸(집사 개 반개 삽시정저)

=> 밥을 열고삽시정저하시오.

5.祭員一同 俯伏(제원일동 부복)

=> 제관 일동은 부복하고

6.祝官進跪 獻官之左 讀祝(축관진궤 헌관지좌)

=> 축관은 헌관의 좌측에 꿇어 앉아독축하시오.

7.독흘(讀訖:독축이 끝나고), 祭員一同 興 平身(제원일동 흥 평신)

=> 제관 일동은 일어 서시고

8.獻官 小退再拜 興 平身 降復位(헌관 소퇴재배 흥 강복위)

=> 헌관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六. 行 亞獻禮(행 아헌례)

1.亞獻官 就 盥洗位 盥洗手 詣 神位前跪(아헌관 취 관세위 관세수 예 신위전궤)

=> 아헌관은 손을 씻고 신위전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2.執事撤盞 擧冪酌酒 奉爵 進跪于 獻官之右 奠爵 進跪于 獻官之左

 (집사 진설찬반 거멱작주봉작 진궤우 헌관지우 전작 진궤우 헌관지좌)

=> 좌집사는 철잔하여 빈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3.獻官 以 受爵 神位前 第二坫(헌관 이 수작 신위전 제이점)

=> 좌집사는 헌관의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고

4.執事 進炙正著(집사 진적정저)

=> 정저 하시오.

5.獻官 小退再拜 興 平身 降復位(헌관 소퇴재배 흥 평신 강복위)

=> 헌관은 재배하고 제 자리로 돌아 가시오.

 

七. 行 終獻禮(행 종헌례)

1.終獻官 就 盥洗位 盥洗手 詣 神位前跪(종헌관 취 관세위 관세수 예 신위전궤)

=> 종헌관은 손을 씻고 신위전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2.執事撤盞 擧冪酌酒 奉爵 進跪于 獻官之右 奠爵 進跪于 獻官之左

 (집사철잔 거멱작주봉작 진궤우 헌관지우 전작 진궤우 헌관지좌)

=> 좌집사는 철잔하여 빈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3.獻官 以 受爵 神位前 第三坫(헌관 이 수작 신위전 제삼점)

=> 좌집사는 헌관의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고

4.執事 進炙正著(집사 진적정저)

=> 정저 하시오.

5.獻官 小退再拜 興 平身 降復位(헌관 소퇴재배 흥 평신 강복위)

=> 헌관은 재배하고 제 자리로 돌아 가시오.

6.執事 撤羹 進熟水 三抄飯(집사 철갱 신숙수 삼초반)

=> 집사는 국을 내가고 물에다 세번 초반 하시오.

7.獻官以下 祭員一同 俯伏 肅俟(헌관이하 제원일동 부복 숙사)

=> 헌관이하 제관일동은 부복하고 정숙히 기다리시오.

8.執事 下匙著 闔 飯蓋(집사 하시저 합 반개)

=> 집사는 수저를 내리고 밥을 덮으시오.

9.獻官 以下 祭員 一同 興 平身(헌관이하 제원일동 흥 평신)

=> 헌관이하 제관일동은 일어서시오.


八. 행 사신례(行 辭神禮)

1.獻官 以下 祭員 一同 再拜 興 平身(헌관이하 제원일동 재배 흥 평신)

=> 헌관이하 제관일동은 재배하고 일어서시오.

2.辭神(사신)

=> 축관은 축문을 신위전으로 인도해분축(焚祝)하시오.

3.執事 告 禮畢(집사 고 예필)

=> 집사는 예필을 고하시오.

4.獻官以下 祭員一同 各以 降退出(헌관이하 제원일동 각이 강퇴출)

=> 헌관이하 제관 일동은 각기 퇴출 하십시오.


이상으로서 [ ]공(씨)의 제례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홀기(笏記) 해설


 초헌관(初獻官) : 첫 번 째 잔을 올리는 제관

 아헌관(亞獻官) : 두 번 째 잔을 올리는 제관

 종헌관(終獻官) : 마지막 잔을 올리는 제관

 봉향(奉香) : 향을 준비하여 올리는 사람(전작이 대신 수행)

 봉노(奉爐) : 향로를 준비하여 올리는 사람(봉작이 대신 수행)

 전작(奠爵) : 헌관 오른쪽에서 술을 따르는 집사

 봉작(奉爵) : 헌관 왼쪽에서 헌관이 올리는 술등을 상에 올리는 집사

 집례(執禮) : 제례의식을 집행하는 사람

 대축(大祝) : 축문을 읽는사람

 홀기(笏記) : 제례 절차를 적은 책 혹은 종이

 향안석(香案石) : 향로석, 향로를 올려 놓는 돌

 관세위(盥洗位) : 손씻을 물을 놓는 곳

 숙사소경(肅俟少傾) : 몸을 조금 구부리고 엄숙하게 기다리다



行降神禮(행강신례) 강신례를 행합니다



* 홀기(笏記) : 혼례나 제례때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

* 창홀(唱笏) : 홀기를 낭독함.

* 집례(執禮) : 행사 진행을 맡아 홀기를 낭독하는 사람.

* 알자(謁者) : 헌관과 집사를 행사 위치로 안내 하는 사람.

* 찬인(贊引) : 헌관과 집사에게 절차와 동작을 인도하고 답홀하는 사람.

* 봉향(奉香) : 향합을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우집사)

* 봉로(奉爐) : 향로를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좌집사)

* 봉작(奉爵) :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는 사람(우집사)

* 전작(奠爵) : 헌관으로부터 술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는 사람(좌집사)

* 축관(祝官) : 축문을 작성하여 독축하고 불사르는 사람.

* 예필(禮畢) : 예를 마침.

* 독축(讀祝) : 축을 읽음.

 

==================================================


시제 홀기(笏記)  예시1


아래의 시제 홀기(笏記)는 일반적인 예문

 

 謹敢 請 行祀

 근감 청 행사

 삼가 재물을 갖추어 제사를 봉행합니다


 獻官以下 諸子孫 入就체下拜位

 헌관이하 재자손 입취체하배위

 헌관 이하 제자손은 섬돌 아래 절할 위치에 서시오


 諸執事入,관手세手 在位敍立

 제집사입,관수세수 재위서립

 제집사자 들어와 대야에 손을 씻어 닦고 위치에 서시오


 行降神禮

 행강신례

 강신례를 행합니다


 獻官 詣 관洗位 洗訖

 헌관 예 관세위 세흘

 헌관은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으시오


 獻官 詣 香案前 궤

 헌관 예 향안전 궤

 헌관은 향안전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으시오


 三上香 俯伏 興 平身 小退 再拜 궤

 삼상향 부복 흥 평신 소퇴 재배 궤

 향을 세번 피워올리고 부복했다일어나 물러서 재배하고 꿇어앉으시오


 執事 取 高位 盞盤 進初獻官

 집사 취 고위 잔반 진초헌관

 집사는 고위 잔반을 들어 초헌관에게 나아가 드리시오


 獻官 受 盞盤 執事 침酒

 헌관 수 잔반 집사 침주

 헌관이 잔을 받으면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獻官 灌于茅上 執事 受 盞盤 奠于故處

 헌관 관우모상 집사 수 잔반 전우고처

 헌관이 모사위에 술을지우거든 집사는 잔반을받아 전의 자리에

 놓으시오


 獻官 俯伏 興平身 小退 再拜

 헌관 부복 흥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 하시오


 獻官 因 降復位

 헌관 인 강복위

 헌관은 전의 자리로 물러가시오


 行參神禮

 행참신례

 참신례를 행합니다


 獻官 以下 皆敍立 再拜

 헌관 이하 개서립 재배

 헌관이하 모두 나란히 서 재배하시오


 行初獻禮

 행초헌례

 초헌례를 행합니다


 獻官 詣 香案前 궤

 헌관 예 향안전 궤

 헌관은 향안전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執事二人 詣 神位前 取奉考비位 盞盤

 집사이인 예 신위전 취봉고비위 잔반

 두집사는 신위 앞에 나아가 고비위 잔반을 받들고 오시오


 獻身先受 考位 盞盤 침酒奠酌

 헌신선수 고위 잔반 침주전작

 초헌관은 먼저 고위 잔반을 받아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次受 비位盞盤 執事 침酒奠酌

 차수 비위잔반 집사 침주전작

 다음에는 비위잔반을 받아들고 집사가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獻官以下 皆俯復

 헌관이하 개부복

 헌관 이하 모두 부복하시오


 祝進 獻官之左 讀祝

 축진 헌관지좌 독축

 축관은 헌관의 왼쪽으로 나아가 축문을 읽으시오


 祝官因 降復位

 축관인 강복위

 축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興 平身 獻官 小退 再拜

 흥 평신 헌관 소퇴 재배

 모두 일어서 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獻官 因降復位

 헌관 인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물러가시오


 行亞獻禮

 행아헌례

 아헌례를 행합니다


 亞獻官 詣 관洗位 洗訖

 아헌관 예 관세위 세흘

 아헌관은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으시오


 獻官 因詣 香案前 궤

 헌관 인예 향안전 궤

 헌관은 이어 향안전에 나아가 끓어 앉으시오


 執事二人 詣 神位前 取奉考비位 盞盤

 집사이인 예 신위전 취봉고비위 잔반

 두집사는 신위 앞에 나아가 고비위 잔반을 받들고 오시오


 獻身先受 考位 盞盤 침酒奠酌

 헌신선수 고위 잔반 침주전작

 헌관은 먼저 고위 잔반을 받아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次受 비位盞盤 執事 침酒奠酌

 차수 비위잔반 집사 침주전작

 다음에는 비위잔반을 받아들고 집사가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執事 進饌 西炳正著

 집사 진찬 서병정저

 집사는 나아가 진찬에.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俯伏 興平身 小退 再拜

 헌관부복 흥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하고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하시오


 獻官 因降復位

 헌관 인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行終獻禮

 행종헌례

 종헌례를 행합니다


 終獻官 詣관洗位 洗訖

 종헌관 예관세위 세흘

 종헌관은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으시오


 獻官 因詣 香案前궤

 헌관 인예 향안전궤

 헌관은 이어 향안전에 나아가 끓어 앉으시오


 執事二人 詣 神位前 取奉考비位 盞盤

 집사이인 예 신위전 취봉고비위 잔반

 두집사는 신위 앞에 나아가 고비위 잔반을 받들고 오시오


 獻身先受 考位 盞盤 침酒奠酌

 헌신선수 고위 잔반 침주전작

 헌관은 먼저 고위 잔반을 받아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次受 비位盞盤 執事 침酒奠酌

 차수 비위잔반 집사 침주전작

 다음에는 비위잔반을 받아들고 집사가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執事 進饌 西炳正著

 집사 진찬 서병정저

 집사는 나아가 진찬에.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 俯伏興平身 小退 再拜

 헌관 부복흥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 후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하시오


 獻官 因降復位

 헌관 인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行 添酌 有息禮

 행 첨작 유식례

 첨작및 유식례를 행합니다


 初獻官 入就 三침添酌

 초헌관 입취 삼침첨작

 초헌관이 들어와 술을따라 종헌자의 잔에

 세번에 나누어 술잔을 체우시오


 執事 啓飯盖 揷匙 進饌 西炳正著

 집사 계반개 삽시 진찬 서병정저

 집사는 뚜껑을 열고 수저 꼽고 진찬에.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以下 皆俯復 作噫音聲 三仍 頃而興

 헌관이하 개부복 작희음성 삼잉 경이흥

 헌관이하 모두 부복했다(약3분) 기침소리 세번한후 일어나시오


 執事 撤羹

 집사 철갱

 집사는 국 그릇을 내리시오


 進熟水 點茶三抄飯

 진숙수 점다삼초반

 숭늉을 올리고 밥 세수저를 떠서 물에 마시오


 闔飯盖 下匙著

 합반개 하시저

 개를 덮고 수저와 저를 내려 놓으시오


 行 辭神禮

 행 사신례

 사신례를 행합니다


 初獻官詣東체上西向立, 祝詣西체上東向立

 초헌관예동체상서향립, 축예서체상동향립

 초헌관 동체상으로 나아가 서향해 서고 축관은 서체상으로

 올라 동쪽을 향해서 서시오(* 체상; 섬돌 위를 뜻함)


 祝 告利成而揖 獻官答揖

 축 고이성이읍 헌관답읍

 축관은 성례함을 고하고 읍하며 헌관도 답으로 읍하시오


 初獻官以下 皆再拜 辭神

 초헌관이하 개재배 사신

 초헌관 이하 참반원 모두 두번 절하고 사신하시오


 大祝焚祝

 대축분축

 대축은 축문을 사르시오(*대축; 축관을 뜻함)


 告畢禮

 고필례

 제례가 모두 끝났습니다

 

-------------------------------------------

 

 시제 홀기(笏記)  예시2

 

謹敢 請 行祀

 근감 청 행사

 삼가 재물을 갖추어 제사를 봉행합니다


 獻官以下 諸執事皆,盛服就位 西上

 헌관이하 재집사개,성복취위 서상

 헌관 이하 제집사는 성복하고 서쪽위치에 서시오


 諸執事入,관手세手

 제집사입,관수세수

 제집사자 들어와 대야에 손을 씻어 닦으시오


 執事者,淨掃 床石陳設

 집사자,정소 상석진설

 집사자는 상석을 깨끗이 쓸고 진설 하시오


 奉香奉爐 香爐香盒 故處 降復位

 봉향봉로 향로향합 고처 강복위

 봉향봉로는 향로향합을 제자리에 놓고 자리로 가시오


 贊引引 初獻官,詣祭需 陳設點視

 찬인인 초헌관,예제수 진설점시

 찬인은 초헌관을 모시고 진설된 제수의 위치와 제수를 점검 하시오


 退復位

 퇴복위

 물러서 제자리로 가시오


 行參神禮

 행참신례

 참신례를 행합니다


 獻官 以下 皆敍立 再拜

 헌관 이하 개서립 재배

 헌관이하 모두 나란히 서 재배하시오


 行降神禮

 행강신례

 강신례를 행합니다


 贊引引 初獻官,詣관洗位

 찬인인 초헌관,예관세위

 초헌관은 씻을 위치로 가시오


 西向立,관手세手

 서향립,관수세수

 서쪽을 향하여 손을 씻고 손을 닦으시오


 詣 床石前 궤

 예 상석전 궤

 상석앞에 꿇어 앉으시오


 獻官 三上香

 헌관 삼상향

 헌관은 향을 세번 피워 올리시오


 執事者進 奉盞盤,궤 授獻官

 집사자진 봉잔반,궤 수헌관

 집사는 나아가 잔반을 들어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盞盤 執事 침酒

 헌관 수잔반 집사 침주

 헌관이 잔을 받으면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獻官 注于階下,以爵授執事

 헌관 주우계하,이작수집사

 헌관이 섬돌 아래 나누어붙고 집사를 주시오


 執事者受爵.奉 전于故處

 집사자수작.봉 전우고처

 집사는 빈잔을 전의 자리에 놓으시오


 獻官 俯伏 興平身 小退 再拜

 헌관 부복 흥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 하시오


 獻官 退復位

 헌관 퇴복위

 헌관은 전의 자리로 물러가시오


 行初獻禮

 행초헌례

 초헌례를 행합니다


 初獻官 詣 香案前 궤

 초헌관 예 향안전 궤

 초헌관은 향안전에 나아가 꿇어 앉으시오


 執事二人 詣 神位前 取奉考비位 盞盤

 집사이인 예 신위전 취봉고비위 잔반

 두집사는 신위 앞에 나아가 고비위 잔반을 받들고 오시오


 獻身先受 考位 盞盤 침酒奠酌

 헌신선수 고위 잔반 침주전작

 초헌관은 먼저 고위 잔반을 받아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次受 비位盞盤 執事 침酒奠酌

 차수 비위잔반 집사 침주전작

 다음에는 비위잔반을 받아들고 집사가 술을 따르면 올리시오


 獻官以下 皆俯復

 헌관이하 개부복

 헌관 이하 모두 부복하시오


 祝進 獻官之左 讀祝

 축진 헌관지좌 독축

 축관은 헌관의 왼쪽으로 나아가 축문을 읽으시오


 祝官因 降復位

 축관인 강복위

 축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獻官 俯伏興平身 小退 再拜

 헌관 부복흥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 후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하시오


 獻官因 降復位

 헌관인 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물러가시오


 行亞獻禮

 행아헌례

 아헌례를 행합니다


 亞獻官 詣 관洗位 洗訖

 아헌관 예 관세위 세흘

 아헌관은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으시오


 獻官因 詣 香案前 궤

 헌관인 예 향안전 궤

 헌관은 이어 향안전에 나아가 끓어 앉으시오


 奠爵 進饌 西炳正著

 전작 진찬 서병정저

 술을 따라 잔을 올리시고.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俯伏 興 平身 小退 再拜

 헌관부복 흥 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하고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하시오


 獻官因 降復位

 헌관인 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行終獻禮

 행종헌례

 종헌례를 행합니다


 終獻官 詣 관洗位 洗訖

 종헌관 예 관세위 세흘

 종헌관은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으시오


 獻官因 詣 香案前 궤

 헌관인 예 향안전 궤

 헌관은 이어 향안전에 나아가 끓어 앉으시오


 奠爵 進饌 西炳正著

 전작 진찬 서병정저

 술을 따라 잔을 올리시고.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 俯伏 興 平身 小退 再拜

 헌관 부복 흥 평신 소퇴 재배

 헌관은 부복 후 일어나 조금 물러서 재배하시오


 獻官因 降復位

 헌관인 강복위

 헌관은 이어 먼저 자리로 가시오


 行 添酌 有息禮

 행 첨작 유식례

 첨작및 유식례를 행합니다


 初獻官 入就 三침添酌

 초헌관 입취 삼침첨작

 초헌관이 들어와 술을따라 종헌자의 잔에

 세번에 나누어 술잔을 체우시오


 執事 啓飯盖 揷匙 進饌 西炳正著

 집사 계반개 삽시 진찬 서병정저

 집사는 뚜껑을 열고 수저 꼽고 진찬에.저를 옮겨 가지런히 놓으시오


 獻官以下 皆俯復 作噫音聲 三仍 頃而興

 헌관이하 개부복 작희음성 삼잉 경이흥

 헌관이하 모두 부복했다(약3분) 기침소리 세번한후 일어나시오


 執事 撤羹

 집사 철갱

 집사는 국 그릇을 내리시오


 進熟水 除飯三匙

 진숙수 제반삼시

 숭늉을 올리고 밥 세수저를 떠서 물에 마시오


 闔飯盖 下匙著

 합반개 하시저

 개를 덮고 수저와 저를 내려 놓으시오


 行 辭神禮

 행 사신례

 사신례를 행합니다


 初獻官詣東체上西向立, 祝詣西체上東向立

 초헌관예동체상서향립, 축예서체상동향립

 초헌관 동체상으로 나아가 서향해 서고 축관은 서체상으로

 올라 동쪽을 향해서 서시오(체상; 섬돌 위를 뜻함)


 祝 告利成而揖 獻官答揖

 축 고이성이읍 헌관답읍

 축관은 성례함을 고하고 읍하며 헌관도 답으로 읍하시오


 初獻官以下 皆再拜 辭神

 초헌관이하 개재배 사신

 초헌관 이하 참반원 모두 두번 절하고 사신하시오


 大祝焚祝

 대축분축

 대축은 축문을 사르시오(대축; 축관을 뜻함)


 告畢禮

 고필례

 제례가 모두 끝났습니다

 

 

 

-----------------------------------------------------------------------

 

□ 시제홀기


o 사회자 시제 주재

* 사회자는 좌집사와 우집사 포함 모두를 자리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제사를

  시작.


o 강신

 - 제주 강신

* 제주가 앞으로 나와 ▲꽃을 헌화한다 ▲술 반잔을 모사기에 세 번 나누어

  붓는다 ▲술 한 잔을 올린다 ▲재배하고 물러난다.


o 참신

 - 참례자 재배

* 사회자의 주재로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o 초헌관 헌작

 - 초헌관 헌작

* 초헌관은 ▲앞으로 나가 ▲술을 올린 다음 ▲재배한다


o 계반 삽시

 - 좌집사 우집사 계반 후 삽시

* 좌집사와 우집사는 메의 뚜껑을 연다

* 메에 숟가락을 꽂고 저를 반찬 위에 올린다


o 독축

 - 제1축관 독축(한문축)

* 모두 부복



 - 제2축관 독축(한글축)


* 모두 부복

* 크고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는다.


o 행장낭독


o 아헌관 헌작

 - 아헌관 헌작

* 아헌관은 ▲ 앞으로 나가 ▲술을 올린 다음 ▲4배하고 ▲물러난다.


o 헌다

 - 좌집사 우집사 철갱

* 갱을 물린다.

 - 좌집사 우집사 헌다

* 숭늉을 올리고 ▲밥 3숫가락을 덜어 ▲숭늉에 넣는다


o 합문

* 밥뚜껑을 반만 덮는다.

* 모두 신위 쪽에 등을 돌리고 부복한다

 - 모두 부복

 - 계문

* 모두 일어선다.

* 아헌관 물러난다.


o 참석자 첨작(=유식)

 - 참례자 첨작

* 참례자들이 ▲술을 올린 다음 ▲재배하고 ▲물러난다.

* 첨작순서 : 중요참석자/며느리/손자/손부/손녀/손녀사위/증손자/기타

* 독축3헌의 원칙을 지킨다.

 아헌이 올린 술잔을 내려 ① 퇴주그릇에 따를 때 반만 따르고 ② 올릴 때는 한잔이

되도록 첨작하여 따른다.


o 제종교인 축원

 - 제종교인 축원


o 종헌관(김영목 담당) 헌작

 - 종헌관 헌작

* 종헌관은 ▲앞으로 나가 ▲술을 올린 다음 ▲재배한다.


o 철시복반

 - 좌집사 우집사 합반개

* 메의 뚜껑을 닫는다.

 - 좌집사 우집사 하시저

* 숟가락을 원위치한다

 - 제주 상헌

* 퇴주 술을 묘와 주변에 뿌린다. 음복시 일체의 술을 사용하지 않는다.


o 사신

 - 모두 재배

*모두 재배와 4배


o 기념촬영


o 철상


o 음복

 - 제사의 의미의미를 설명한다

 - 공지사항 발표

 

==================================================================================================

 

묘제(시향)때 홀기(식순)


제례(묘제포함)의 절차는 가문,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며 홀기 역시 조금씩

다릅니다. 몇개의 예문을 올리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1. 獻官以下 在立者皆 序立 (헌관이하 재립자개 서립)

    헌관 이하 모든 제관은 재배 할 정도의 간격으로 서 주십시오.

2. 贊引 引 初獻官 皆 神位前 (찬인 인 초헌관 개 신위전)

    찬인은 초헌관을 신위전에 안내하세요.

3. 點視 陳設 (점시 진설) 헌관은 진설을 점검하세요.

4. 贊引 詣 初獻官之左 謹具 請行祀 (찬인 예 초헌관지좌 근구 청행사)

    찬인은 헌관 좌측에 서서 공손히 읍하고 제사 준비 다 되었으니 행사를 시작하겠습니다.

    하고 청을 하세요.

5. 仍 降復位 (잉 강복위) 본래 자리로 돌아오세요.

6. 行 降神禮 (행 강신례) 강신례를 올리겠습니다.

7. 贊引 引 三獻官 及 諸執事 詣관洗位 관手세 手還復位

     (찬인 인 삼헌관 급 제집사 예관세위 관수세 수환복위)

     찬인은 헌관과 제집사를 관세위로 안내하고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으시고

     본래 자리로 오세요.

8. 贊引 引 初獻官 詣 神位前 궤 (찬인 인 초헌관 예 신위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신위전에 끓어 앉으세요.

9. 諸執事 就位 (제집사 취위) 집사 전원 자리로 올라가 주세요.

10. 執事 詣 獻官之 左右 進 香爐 香盒 (집사 예 헌관지 좌우 진 향로 향합)

     집사는 헌관의 좌우에 나아가 향로와 향합을 헌관에게 드리세요.

11. 헌관 삼상향 (獻官 三上香) 헌관은 향을 세 번 올리세요.

12. 獻官 俯伏興 再拜 (헌관 부복흥 재배)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세요.

13. 소 퇴위 (小 退位) 헌관은 조금만 물러서세요.

14. 獻官 詣 神位前 궤 (헌관 예 신위전 궤) 헌관은 신위전에 끓어 엎드리세요.

15. 右 執事 奉 盞盤 궤于 獻官之左 以授獻官

     (우 집사 봉 잔반 궤우 헌관지좌 이수헌관)

     우집사는 잔을 받들고 헌관의 좌측에 끓고 잔을 헌관에게 드리세요.

16. 左 執事 奉酒甁 궤于 獻官之右 拭甁口 斟酒于盞

     (좌 집사 봉주병 궤우 헌관지우 식병구 짐주우잔)

     좌 집사는 술병을 받들고 헌관의 우측에 끓어 앉아 병 입을 닦고 술을 잔에 따르세요.

17. 獻官以盞 灌祭于茅沙 三頃至盡 以虛盞授 右執事

     (헌관이잔 관제우모사 삼경지진 이허잔수 우집사)

     헌관은 잔을 모사에 세번 기우려 다 비우고 빈잔을 우 집사에게 주세요.

18. 右 執事 奉 奠于故處 (우 집사 봉 전우고처)

      우 집사는 잔을 받들어 본래 위전에 올리세요

19. 獻官 俯伏 興 再拜 (헌관 부복 흥 재배)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세요.

20. 仍 降復位 (잉 강복위) 본래 자리로 돌아오세요.

21. 行 參神禮 (행 참신례) 참신례를 올리겠습니다.

22. 獻官 以下 再拜 (헌관 이하 재배) 헌관 이하 전 제관은 창에 맞춰 재배하세요

     有唱- 鞠躬, 拜, 興, 拜, 興, 俯伏興, 平身

      (유창- 국궁, 배, 흥, 배, 흥, 부복흥, 평신)

23. 행 초헌례 (行 初獻禮) 초 헌례를 올리겠습니다.

24. 贊引 引 初獻官 詣 神位前 (찬인 인 초헌관 예 신위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신위전에 꿇어앉게 하세요.

25. 兩 執事 就位 (양 집사 취위) 좌우 집사는 제자리에 서 주세요.

26. 左 執事 奉 神位前 盞盤 궤 右 獻官 之左 以授獻官

     (좌 집사 봉 신위전 잔반 궤 우 헌관 지좌 이수헌관)

     좌집사는 신위전에 잔반을 받들고 헌관의 왼쪽에서 헌관에게 드리세요.

27. 右執事 奉 酒甁 斟酒于盞 獻官 敬奉以進 三祭 于茅沙 獻官 以授 執事

    (우집사 봉 주병 짐주우잔 헌관경봉이진 삼제 우모사 헌관 이수 집사)

    우집사는 술병을 받들고 술잔에 술을 부으시고, 헌관은 술잔을 받들고, 모사에 세 번 지우시고 집사

    에게 주십시오.

28. 左執事 奉 奠于敬處 (좌집사 봉 전우경처)

     좌집사는 술잔을 받들어 신위전에 올리세요.

29. 獻官 면 伏興 小退立 (헌관 면 복흥 소퇴립) 헌관은 일어나서 조금 물러서세요.

30. 右執事 奉 肉炙 上 啓 飯盖 (우집사 봉 육적 상 계 반개)

      우집사는 육적을 올리고 메 그릇의 복개를 여세요.

31. 獻官 以下 在位者皆 궤 祝 取祝板 궤 右獻官之左 讀祝

      (헌관 이하 재위자개 궤 축 취축판 궤 우헌관지좌 독축)

      헌관 이하 모든 제관은 꿇어앉으세요. 축은 축판을 준비하여 헌관의 왼쪽에서 축문을 읽으세요.

32. 獻官 以下 皆 俯伏興 平身 祝 降復位 獻官 再拜 仍 降復位

    (헌관 이하 개 부복흥 평신 축 강복위 헌관 재배 잉 강복위)

    헌관이하 모든제관은 일어나시고, 축은 원위치하고, 헌관은 재배하시고 돌아서 내려오세요.

33. 兩執事 下肉炙 撤酒 置盞 故處 (양집사 하육적 철주 치잔 고처)

     양 집사는 육적을 내리고 술잔을 내려 비우고 본 자리에 올리세요.

 

 행 아헌례(行 亞獻禮)

34. 贊引引 亞獻官 詣 神位前 궤, 執事 奉 盞盤 궤 于 獻官之左 以授獻官

     (찬인인 아헌관 예 신위전 궤 집사 봉 잔반 궤 우 헌관지좌 이수헌관)

      찬인은 아헌관을 신위전에 꿇어앉게 안내하세요. 집사는 잔을 받들고 헌관 왼쪽에 끓어 앉아 헌관

      에게 잔을 드리세요.

35. 左執事 奉 酒甁 斟酒于盞, 獻官敬奉以進 三祭于茅沙 小傾 獻官 以授執事

     (좌집사 봉 주병 짐주우잔 헌관경봉이진 삼제우모사 소경 헌관 이수집사)

     좌집사는 술병을 받들고 잔에 술을 부으세요. 헌관은 잔을 조심스럽게 받들고 모사에 세 번 조금씩

     지우시고, 잔을 집사에게 주세요.

36. 右執事 奉 奠于敬處 (우집사 봉 전우경처)

     우집사는 잔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세요.

37. 獻官 면 復興 小退立 (헌관 면 복흥 소퇴립) 헌관은 일어나 조금 물러나세요.

38. 左執事 奉 魚炙 上 獻官再拜 仍 降復位

    (좌집사 봉 어적 상 헌관재배 잉 강복위)

    좌집사는 어적을 올리고, 헌관은 재배하시고, 이어 원위치 하세요.

39. 兩執事 下魚炙 撤酒 置盞 故處 (양집사 하어적 철주 치잔 고처)

     양집사는 어적을 내리고 술잔을 비워 신위전에 올려 놓으세요.

 

行 終獻禮(행 종헌례)

40. 贊引引 終獻官 詣 神位前 궤 (찬인인 종헌관 예 신위전 궤)

      찬인은 종헌관을 신위전에 꿇게 하세요.

41. 左執事 奉 神位前 盞盤 궤于 獻官之左 以授獻官

     (좌집사 봉 신위전 잔반 궤우 헌관지좌 이수헌관)

     좌집사는 신위전에 잔반을 받들고 헌관의 좌측에 꿇어앉아 잔을 헌관에게 드리세요.

42. 右執事 奉 酒甁 斟酒于盞 (우집사 봉 주병 짐주우잔)

     우집사는 술병을 받들고 잔을 채우세요.

43. 獻官 敬奉以進 三祭于茅沙 小傾 獻官 以授執事

     (헌관 경봉이진 삼제우모사 소경 헌관 이수집사)

     헌관은 술잔을 받들고 모사에 조금씩 세 번 지우고 집사에게 주세요.

44. 左執事 奉 奠于 故處 (좌집사 봉 전수 고처)

      좌집사는 잔을 받들어 신위전에 올리세요.

45. 獻官 면 伏興 小退立 (헌관 면 복흥 소퇴립)

      헌관은 일어나 조금 물러나세요.

46. 右 執事 奉 菜炙 上 (우 집사 봉 채적 상)

     우집사는 채적(나물적)을 올리세요.

47. 獻官 再拜 獻官及 兩執事 降復位

     (헌관 재배 헌관급 양집사 강복위)

     헌관은 재배하세요. 헌관과 양집사는 본 위치로 내려오세요.

 

行 侑食禮(행 유식례:더 드시라고 권하는 예)-유식례를 올립니다.

48. 贊引引 初獻官 詣 神位前 궤 (찬인인 초헌관 예 신위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신위전에 꿇게 하세요.

49. 兩執事 進 奉酒甁 添酒于盞 揷匙 西柄 正箸

      (양집사 진 봉주병 첨주우잔 삽시 선악 정착)

      양집사분들은 올라오셔서 술병을 받들고 잔에 술을 가득 부으세요. 숟가락을 매 그릇 가운데

       자루가 서쪽으로 가게 꽂고 젓가락도 고쳐놓으세요.

50. 獻官 면 伏興 再拜 獻官及 兩執事 降復位

     (헌관 면 복흥 재배 헌관급 양집사 강복위)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세요. 헌관과 양 집사는 원위치 하세요.

51. 祝 就 闔門 三獻官 及 諸執事 以下 詣 俯伏

     (축 취 합문 삼헌관 급 제집사 이하 예 부복)

     축은 나가 문을 닫으세요. 삼헌관과 집사이하 모든 제관은 전원 부복하세요.

52. 食間 不喧조, 祝 噫歆 三聲 祝 啓門 降復位

     (식간 불훤조, 축 희흠 삼성 축 계문 강복위)

     식사동안 조용히 하여 주십시오. 축은 흠향을 알리는 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원위치로

     내려오세요.

53. 獻官以下 詣 俯伏 興 平身 (헌관이하 예 부복 흥 평신)

       헌관이하 제관 전원은 일어나 평신하세요.

54. 兩執事 就位 撤羹 進水 點飯 (양집사 취위 철갱 진수 점반)

      양집사는 나아가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리세요. 물에 메밥을 세 번 떠 넣으세요.

55. 兩執事 盒 飯盖 下 匙箸 降復位 (양집사 합 반계 하 시저 강복위)

      양집사는 계를 듣고 젓가락을 내리고 원위치 하세요.

 

행 음복례(行 飮福禮)-음복례를 올립니다.

56. 贊引引 初獻官 詣 神位前 궤, 祝 詣 神位前 奉 盞盤 궤于 獻官之左 以授獻官

      獻官 受 盞盤 置酒于 席前

     (찬인인 초헌관 예 신위전 궤, 축 예 신위전 봉 잔반 궤우 헌관지좌 이수 헌관

      헌관 수 잔반 치주우 석전)

     찬인은 초헌관을 신위전에 꿇게 하세요.축은 신위전에 나아가 잔반을 받들어 헌관의 좌측에 꿇고

     헌관에게 드리면 헌관은 잔을 받아 자리앞에 놓으세요.

57. 獻官 면 伏興 再拜 獻官 궤 祝 置酒 以授獻官 獻官 受盞 卒飮 獻官及祝詣 降復位(卒~)

     (헌관 면 복흥 재배 헌관 궤 축 치주 이수헌관 헌관 수잔 졸음 헌관급축 예 강복위 (졸~)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헌관은 다시 꿇어앉고, 축은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세요. 헌관은 잔을 들어

     주욱 마시세요. 헌관과 축은 원위치로 내려오세요. (졸~ 음율 줄)

58. 初獻官 詣 神位前 西向立 祝, 赤詣 神位前 東向立 告利成 獻官及 祝, 皆 降復位

      (초헌관 예 신위전 서향립 축, 적예 신위전 동향립 고이성 헌관급 축, 개 강복위)

     초헌관은 신위전에 나아가 서쪽을 향해 서고, 축은 신위전에 나가 동쪽을 향해 서서 읍 하고,

      이성을 축이 헌관에게 고하세요. 헌관과 축은 원위치로 내려오세요.

 

行 辭神禮(행 사신례)-안녕히 가시라는 別禮를 올립니다.

59. 獻官及 諸執事 以下 皆 再拜 (헌관급 재집사 이하 개 재배)

      (有唱)- 鞠躬, 拜, 興, 拜, 興, 俯伏興, 平身

      (유창)- 국궁, 배, 흥, 배, 흥, 부복흥, 평신)

      헌관과 집사이하 모든 제관은 전원 창에 맞춰 재배해 주세요.

      (크게소리침)-국궁, 배, 흥, 배, 흥, 일어나 평신하세요.)

60. 贊引引 初獻官 詣 神位前 祝 詣 獻官之左 焚 祝 紙榜 禮畢

      (찬인인 초헌관 예 신위전 축 예 헌관지좌 분 축 지방 예필)

      찬인은 헌관을 신위전으로 안내하세요. 축도 헌관 왼쪽으로 나가 축과 지방을 불사르세요.


오늘 향사를 모두 마칩니다.


****************************************************************


執禮 先 就 再排就位 (집례선취재배취위)

집례는 먼저나가 제배하고 자기 자리로 가십시오

 

獻官 以下 諸 參祭者 敍 立 于 神位前

(헌관 이하 제 참제자 서 립 우 신위전)

헌관이하 모든 참제자는 신위앞에 차례로 서십시오

 

大祝 及 諸 執事 皆 參神 再拜 (대축 급 제 집사 개 참신 재배)

대축과 제집사는 모두 참신 재배를 하십시오

 

詣 관洗位 (예 관세위) 대야 물이 있는곳에 가십시오

 

관手 洗手 (관수 세수) 손을 씻고 수건에 딱으십시오

 

各 就位(각 취위) 각자 자기 위치로 가십시오

 

行 降神禮(행 강신례) 강신례를 거행하겠습니다

 

謁者 引 初獻官 詣관洗位 (알자인 초헌관 예관세위)

알자는 초헌관을 대야물이 있는 곳에 모시십시오

 

관手 洗手 (관수 세수) 대야물에 손을씻고 수건에 닦으십시오

 

因詣 香案前 궤 (인예 향안전 궤) 향로앞에 나아가 무릎을 꿇으십시오

 

執事者 奉香 奉爐 置 於 獻官 之 前 (집사자 봉향 봉로 치 어 헌관 지 전)

집사자는 향과 향로를 헌관앞에 놓으십시오

 

三 上香 (삼 상향) 향을 세 번 피우십시오

 

執事者 擧酌酒 以授 獻官 (집사자 거작주 이수 헌관)

집사자는 술을 떠서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獻官受酒灌于茅上 (헌관 수주 관우 모상)

헌관은 술을 받아서 띠에 세 번 부으십시오

 

小退 再拜 (소퇴 재배) 조금 물러나 절을 두번하십시오

 

俯伏 興 平身 (부복 흥 평신)

몸을 조금 구부렸다가 일어서고 몸을 바로 하십시오

 

引降 復位 (인강 복위)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 參神禮 (행 참신례) 참신례를 하겠습니다

 

獻官 以下 諸 參祭者 皆 再拜 (헌관이하제참제자 개 재배)

헌관이하 참제자는 모두 재배하십시오

(국궁, 배, 흥, 배,흥,평신)

 

行 初獻禮 (행초헌례) 초헌례를 하겠습니다

 

初獻官 神位前 詭 (초헌관 신위전 궤) 초헌관을 신위앞에 꿇어 앉으시오

 

奉爵 奉考位前 盞盤斟酒授獻官 (봉작 봉고위전 잔반짐주수헌관)

봉작은 할아버지 앞의 잔을 내려 술을 부어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受之奠爵奠故處(헌관수지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奉爵奉비位前盞盤斟酒授獻官 (봉작봉비위전잔반짐주수헌관)

봉작은 비위전 잔을 내려 술을 부어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獻官受之奠爵奠故處 (헌관수지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奠爵 奉 考位前 盞盤 授獻官 (전작 봉 고위전 잔반 수헌관)

전작은 고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잔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奠爵 奉 비位前 盞盤 授獻官 (전작 봉 비위전 잔반 수헌관)

전작은 비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잔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執事進肉炙奠之 (집사진육적전지) 집사는 육적을 올리시오

 

啓飯蓋扱匙正箸 (계반개급시정저) 반개열고 급시하고 정저하시오

 

執事皆降復位 (집사 개강 복위) 집사는 다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獻官 以下 諸子孫 詭 (헌관이하 제 자손 궤) 헌관이하 모든 자손은 꿇어 앉으십시오.

 

祝詣獻官之左東向詭 讀祝 (축예헌관지좌동향궤 독축)

축관은 헌관 좌측에서 동향하여 축문을 읽으시오

 

獻官 以下 諸子孫皆興 (헌관이하 제자손개흥)

헌관이하 모든 자손들은 다 일어나시오.

 

獻官俯伏興 再拜退復位 (헌관부복흥 재배퇴복위)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가시오

 

奉爵奠爵升撤酒置盞盤于故處 (봉작전작승철주치잔반우고처)

봉작, 전작은 올라와 술을 거두고 잔을 신위전에 놓으시오

 

皆降復位 (인강복위) 모두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 亞獻禮 (행 아헌례) 아헌례를 하겠습니다

 

亞獻官 神位前 궤 (아헌관 신위전 궤) 아헌관은 신위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奉爵 奉 考位前 盞盤 斟 酒授 獻官 (봉작 봉 고위전 잔반 짐 주수 헌관)

봉작은 고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之 奠爵 奠于 故處 (헌관수지전작작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奉爵 奉 비位前 盞盤斟酒 授獻官 (봉작 봉 비위전 잔반 짐주 수헌관)

봉작은 고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之 奠爵 奠于 故處 (헌관수지전작작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奠爵 奉 考비位前 盞盤 授獻官 (전작 봉 비위전 잔반 수헌관)

전작은 비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잔을 전작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奠爵 奉 비位前 盞盤 授 獻官 (전작 봉 비위전 잔반 수 헌관)

전작은 비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전작에게 잔을 주어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집사진계적전지(집사진계적전지

 

獻官俯伏興 再拜退復位 (헌관부복흥 재배퇴복위)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가시오

 

奉爵奠爵升撤酒置盞盤于故處 (봉작전작승철주치잔반우고처)

봉작, 전작은 술을 거두고 잔은 신위전에 놓으시오

 

개강복위 (皆降復位)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行 終獻禮 (행 종헌례) 종헌례를 하겠습니다

 

終獻官 神位前 궤 (종헌관 신위전 궤) 종헌관은 신위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奉爵 奉 考位前 盞盤 斟 酒授 獻官 (봉작 봉 고위전 잔반 짐 주수 헌관)

봉작은 고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之 奠爵 奠于 故處 (헌관수지전작작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奉爵 奉 비位前 盞盤斟酒 授獻官 (봉작 봉 비위전 잔반 짐주 수헌관)

봉작은 고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 受之 奠爵 奠于 故處 (헌관수지전작작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받으시고 전작은 신위전에 올리시오

 

奠爵 奉 考비位前 盞盤 授獻官 (전작 봉 비위전 잔반 수헌관)

전작은 비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잔을 전작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奠爵 奉 비位前 盞盤 授 獻官 (전작 봉 비위전 잔반 수 헌관)

전작은 비위전 잔을내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三祭少傾于地 (헌관삼제소경우지) 헌관은 세 번 땅위에 부으십시오.

 

以盞盤授奠爵反之故處 (이잔반수전작반지고처)

헌관은 전작에게 잔을 주어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執事進魚炙奠之 (집사진어적전지) 집사는 어적을 올리시오

 

獻官俯伏興 再拜退復位 (헌관부복흥 재배퇴복위)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가시오

 

行進茶禮 (행진다례) 진다례를 행하시오

 

執事者 奉 熟水 退 羹 奠 熟水 (집사자 봉 숙수 퇴 갱 전 숙수)

집사자는 갱을 물리시고 숙수를 올리시오.

 

諸 子孫皆俯伏肅俟小傾 (제자손개부복숙사소경)

모든자손들은 부복하여 머리숙여 침묵하시오

 

執事者 下 匙盒飯蓋整箸 (집사자 하 시합반개정저)

집사는 수저를 내리고 밥뚜껑을 닫으십시오

 

行 辭神禮 (행 사신례)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獻官 以下 諸 子孫皆 再拜 拜 興 拜 興

(헌관 이하 제 자손자 사신 재배 배, 흥, 배, 흥

헌관이하 모든참제자는 절을 두번하십시오

(국궁, 배, 흥, 배, 흥)

 

祝告獻官 之左禮畢(축고헌관 지좌예필)

축관은 헌관 왼쪽에서 례를 마쳤음을 알리시오.

 

焚祝徹 (분축철) 축문과 지방을 태우십시오.

 

執禮再拜以退 (집례재배이퇴) 집례자는 두 번 절을 올리고 물러나십시오.


*******************************************************************


執禮 先 就 再排就位 (집례선취재배취위)

집례는 먼저나가 제배하고 자기 자리로 가십시오

 

獻官 以下 諸 諸子孫 皆 序 立 (헌관 이하 제 제자손 개서립)

헌관이하 모든 자손은 신위앞에 차례로 서십시오

 

三獻官執事者 관洗就位 (삼헌관집사자 관세취위) 대야 물이 있는곳에 가십시오

 

行 降神禮 (행 강신례) 강신례를 거행하겠습니다

 

初獻官 神位前 詭 (초헌관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 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三 上香 (삼 상향) 향을 세 번 피우십시오

 

獻官 俯伏 興 再拜 (헌관부복흥 재배) 헌관은 두 번 절하고 일어서십시오

 

獻官 神位前 詭 (헌관 신위전 궤) 헌관은 신위 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奉酌奉盞盤斟酒授獻官 (봉작봉잔반짐주수헌관)

봉작은 잔을 받들어 술을부어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獻官詭受三灌于地 (헌관궤수삼관우지) 헌관은 술을 받아 땅위에 세 번 부으시오

 

以盞盤還授執事奠于故處 (이잔반환수집사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집사에게 주고 집사는 신위전에 올리시오

 

獻官俯伏 興 再拜 復位(헌관 부복 흥 재배복위)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나십시오

 

行 參神禮 (행참신례) 참신례를 하겠습니다

 

獻官 以下 諸子孫 皆 再拜 (헌관이하제자손 개 재배)

헌관이하 모든 자손은 재배하십시오

 

拜, 興, 拜,興,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일어나십시오

 

行 初獻禮 (행초헌례) 초헌례를 하겠습니다

 

初獻官 神位前 詭 (초헌관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앞에 꿇어 앉으시오.

 

執事者 以酌授 獻官 執酌獻酌 (집사자 이작수 헌관 집작헌작)

집사자는 술을 떠서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을 받아서 헌작한후에 집사에게 주십시오

 

以授 執事 奠于 神位前 (이수집사 전우신위전)

집사자는 술을 받아서 신위에 올리십시오

 

大祝 進 神位前 獻官 之左 東向 궤 (대축 진 신위전 헌관 지좌 동향 궤)

축은 신위앞에 나아가 헌관의 왼편에 동향하여 무릎을 꿇고 않으십시오

 

獻官 以下 諸 參祭者 궤 (헌관이하 제참제자 궤)

헌관이하 제참제자는 모두 무릎을 꿇으십시오.

 

讀 祝文 (독축문) 축문을 읽으십시오

 

俯伏 興 平身 (부복 흥 평신) 몸을 구부렸다가 일어서서 몸을 바로 하십시오

 

獻官小退 再拜 (헌관 소퇴 재배) 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절을 두번하십시오

 

引降復位 (인강복위)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 亞獻禮 (행 아헌례) 아헌례를 하겠습니다

 

謁者 引 亞獻官 詣 관洗位 (알자인 아헌관 예 관세위)

알자는 아헌관을 모셔 대야물이 있는곳으로 가십시오

 

관手 洗手 (관수 세수) 대야물에 손을 씻고 수건에 닦으십시오

 

因 詣 神位前 궤 (인 예 신위전 궤) 신위앞에 나아가 무릎을 꿇으십시오

 

執事者 以酌授 獻官 執酌 獻酌 (집사자 이작수 헌관 집작 헌작)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잔을 받아신위를 향해 읍을 하며 올리십시오

 

以授執事 奠于 神位前 (이수집사 전우 신위전)

집사자는 잔을 받아서 신위앞에 올리십시오

 

小退 再拜 (소퇴 재배) 뒤로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십시오

 

俯伏興平身 (부복 흥 평신)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引降 復位 (인강 복위)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 終獻禮 (행 종헌례) 종헌례를 하겠습니다

 

謁者引 終獻官 詣 관洗位 (알자인 종헌관 예 관세위)

알자는 종헌관을 모시고 대야물이 있는곳으로 가십시오

 

관手 洗手 (관수 세수) 대야물에 손을 씻고 수건에 닦으십시오

 

執事者 以酌授 獻官 獻官 執酌 (집사자 이작수 헌관 헌관 집작)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잔을 받아헌작하십시오

 

獻酌 以授 執事 奠于 神位前 (헌작 이수 집사 전우 신위전)

집사자는 받아서 신위앞에 올리십시오

 

小退 再拜 (소퇴 재배) 뒤로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십시오

 

俯伏 興 平身 (부복 흥 평신)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引降 復位 (인강복위)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添酌禮 (행첨작례) 첨작례를 하겠습니다

 

謁者 引 初獻官 因詣 香案前 궤 (알자 인 초헌관 인예 향안전 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나아가 향안에 무릎을 꿇고 앉게 하십시오

 

執事者 以酌授 獻官 (집사자 이작수 헌관 )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獻官 以授 執事 三斟酒 于 盤盞 (헌관 이수 삼짐주 우 반잔)

헌관은 읍하고 집사자는잔에 술을 세 번 따르십시오

 

俯伏 興 平身 (부복흥평신)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引降 復位 (인강복위)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執事者 開飯 揷匙 飯中 (집사자 개반 삽시 반중)

집사자는 밥뚜껑을 열고숟가락을 꽂으십시오

 

西柄 正著 (서병 정저) 서편 젖가락부터 바로하여 놓으십시오

 

獻官 以下 諸 參祭者俯伏 侑食 (헌관 이하 제 참제자 부복 유식)

헌관이하 모든참제자는 꿇어앉아 묵념하십시오

 

大祝 三飮 (대축 삼음) 대축은 세 번 기침하십시오

 

俯伏 興 平身 (부복 흥 평신)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行 進茶禮 (행 진다례) 숭늉을 올리겠습니다

 

執事者 奉熟水 退 羹 奠 熟水 點飯 (집사자 봉숙수 퇴 갱 전 숙수 점반)

집사자는 숭늉을 가져과 국을 물리고 숭늉에 밥을 조금씩 세 번 말으십시오

 

獻官 以下 鞠躬 肅俟 (헌관 이하 국궁 숙사)

헌관이하 몸을 조금 구부리고 잠깐 묵념하십시오

 

平身 (평신) 몸을 바로서십시오

 

執事者 下 匙著合飯蓋 (집사자 하 시저합반개)

수저를 내리고 밥뚜껑을 닫으십시오

 

行 辭神禮 (행 사신례)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獻官 以下 諸 參祭者 辭神 再拜 (헌관 이하 제 참제자 사신 재배)

헌관이하 모든참제자는 절을 두번하십시오

(국궁, 배, 흥, 배, 흥)

 

行 飮福禮 (행 음복례) 음복례를 올리겠습니다

 

謁者引 初獻官 詣 飮福位 西向 궤 (알자인 초헌관 예 읍복위서향 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음복할 위치에 나가서 서쪽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앉으십시오

 

大祝 進 獻官 之左 以酌 授酒 (대축 진 헌관 지좌 이작 수주)

대축은 헌관의 좌측으로 가서 술을 드리십시오

 

獻官 受酒 飮 卒酌 受 俎肉 (헌관 수주 음 졸작 수 조육)

헌관은 술을 받아 조금 마시고 안주를 드십시오

 

引降 復位 (인강복위)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大祝 取 祝板 降西階 可燎 置 於坎 (대축 취 축판 강서계 가료 치 어감)

대축은 축판을 가지고 서쪽계단을 내려가서 축문을 태우고 구덩이에 묻으십시오

 

白 畢禮 (백 필례) 행사가 마쳤음을 알리십시오


************************************************************************


1.獻官及諸執事 皆詣 (헌관 급제집사 개예) 헌관 및 모든 집사들은 앞으로 나오시오

2.관洗位 洗手 拭手訖 (관세위세수식수흘) 세수그릇 앞으로 가서 손을 씻고 닦으시오

3.諸執事 各就位 (제집사각취위) 모든 집사는 각각의 자리로 가시오

4.開독(개독) 위패의 덮개를 열으시오

5.行 降神禮 (행 강신례)

6.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궤 (찬인 인초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으로

   가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7.奉香進香 奉爐進爐 獻官三上香 少退再拜(봉향진향 봉로진로 헌관삼상향 소퇴재배)

   봉향은 향을 받들고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나아 가며, 헌관은 향을 세 번 사르고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8.奉爵 奉出降神盞盤 궤于獻官之左 (봉작 봉출강신잔반 궤우헌관지좌)

   봉작은 강신잔을 받들고 헌관의 왼쪽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9.司樽 斟酒以爵 授獻官 (사준 침주이작 수헌관)

   사준은 잔에 술을 따라서 헌관에게 주시오

10.獻官受爵 三除于地上 (헌관수작 삼제우지상)

    헌관은 잔을 받아 땅위에 세 번 지우시오)

11.以虛爵 授奠爵 奠爵奠于故處 (이허작 수전작 전작전우고처)

    헌관은 빈잔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원자리로 물리시오

12.獻官俯伏 少退再拜 (헌관부복 소퇴재배)

     헌관은 잠시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13.贊引引降復位 (찬인인강복위) 찬인은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14.行 參神禮 (행 참신례)

15.獻官 及在位者皆再拜 (헌관 급재위자 개재배)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두 번 절하시오. *女子는 四拜

16.行 初獻禮 (행 초헌례)

17.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궤 (찬인 인초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향안앞으로 모시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18.奉爵 奉出 庇安公 考女比位前盞盤 궤于獻官之左右(봉작 봉출 비안공 고비위 전잔반

     궤우헌관지좌우)

     봉작은 고비위전의 술잔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19.司樽 斟酒以爵 授獻官 (사준 침주이작 수헌관)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시오

20.獻官 受以 授奠爵 (헌관 수이 수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21.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술잔을 ㅇㅇ공 고비위전에 올리십시오

22.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술잔을 ㅇㅇ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23.奉爵 奉毛炙(肉炙) 授獻官 (봉작 봉모적 수헌관)

     봉작은 모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24.獻官 受炙 授奠爵 (헌관 수적 수전작) 헌관은 적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25.奠爵 奠于盞盤前 (전작 전우잔반전) 전작은 육적을 술잔앞에 올리시오

26.左右執事 各詣 考位前女比位前 啓飯盖 正匙箸 (좌우집사 각예 고위전 비위전 계반개정시저)

     좌우 집사들은 각 고위와 비위 앞에 나아가 메뚜껑을 열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27.祝官 陞 궤于獻官之左 (축관 승 궤우헌관지좌)

     축관은 올라가 헌관의 왼쪽에 꿇어 앉으시오

28.在位者 皆俯伏 (재위자 개부복) 자리한 모든 사람들은 엎드리시오

29.祝官 讀祝 (축관독축) 축관은 축문을 읽으시오

30.獻官 及在位者皆興 (헌관 급재위자 개흥)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일어서시오

31.獻官 少退 再拜 (헌관 소퇴 재배) 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32.贊引引 降復位 (찬인인 강복위) 찬인은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33.執事者 撤酒 (집사자 철주) 집사들은 술을 거두시오

34.行 亞獻禮(행 아헌례)

35.贊引 引亞獻官 詣香案前 궤 (찬인인 아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고 헌관은 향안전으로 나아가서 꿇어 앉으시오

36.奉爵 奉出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궤于獻官之左右 (봉작 봉출 ㅇㅇ공 고 비위전 잔반궤우

     헌관지좌우)

     봉작은 ㅇㅇ공 고비위전의 술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에 꿇어 앉으시오

37.司樽 斟酒以爵 授獻官 (사준 침주 이작 수헌관)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시오

38.獻官 受以 授奠爵 (헌관 수이 수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39.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술잔을 ㅇㅇ공의 고비위전에 올리시오

40.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술잔을 ㅇㅇ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41.奉爵 奉羽炙(鷄炙) 授獻官 (봉작 봉우적 수헌관)

     봉작은 우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42.獻官 受炙 授奠爵 奠爵 奠于盞盤前 (헌관 수적 수전작 전작 전우 잔반전)

     헌관은 적을 받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이를 술잔 앞에 올리시오

43.獻官 俯伏 興 少退 再拜 (헌관 부복 흥 소퇴 재배)

     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시오

44.贊引引降復位 (찬인인강복위) 찬인은 헌관을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45.行 終獻禮(행 종헌례)

46.贊引 引終獻官 詣香案前 궤 (찬인 인종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종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47.奉爵 奉出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궤于獻官之左右 (봉작 봉출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궤우

     헌관지 좌우)

     봉작은 ㅇㅇ공 고비위전의 술잔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로 가서 꿇어 앉으시오

48.司樽 斟酒以爵 授獻官 (사준 침주이작 수헌관)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서 헌관에게 주시오

49.獻官 受以 授奠爵 (헌관 수이 수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50.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이를 ㅇㅇ공 고비위전에 올리시오

51.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술잔을 ㅇㅇ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52.奉爵 奉鱗炙(漁炙) 授獻官 (봉작 봉린적 수헌관)

    봉작은 인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53.獻官 受炙 授奠爵, 奠爵 奠于 盞盤前 (헌관 수적 수전작, 전작 전우 잔반전)

     헌관은 적을 받 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술잔 앞에 이를 올리시오

54.獻官 少退再拜 (헌관 소퇴 재배) 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55.贊引 引降復位 (찬인인 강복위) 찬인은 헌관을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56.左右執事 各詣 考位前 女比位前 揷匙正箸 (좌우집사 각예 고위전 비위전 삽시정저)

     좌우집사는 각 고위와 비위전에 나아가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57.行侑食禮(행유식례)

58.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궤 (찬인인 초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 으로 나아 가게 하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59.奉爵 取空盞 궤于 獻官之左 (봉작 취공잔 궤우 헌관지좌)

     봉작은 빈 잔을 들고 헌작의 왼쪽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60.司樽 斟酒于空盞 授獻官 (사준 침주우공잔 수헌관)

     사준은 빈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시오

61.獻官 受以 授奠爵 (헌관 수이 수 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62.奠爵 奠于 ㅇㅇ公 考女比位前 盞盤 滿斟 (전작 전우 ㅇㅇ공 고비위전 잔반 만침)

     전작은 술을 ㅇㅇ공 고비위전의 술잔에 가득 채우시오

63.獻官及 諸執事 在位者 皆再拜 (헌관급 제집사 재위자 개재배)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두 번 절하시오

64.左右執事 各詣 考女比位前 揷匙正箸 (좌우 집사 각예 고비위전 삽시정저)

     좌우집사는 각 고비위전에 나아가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65.行 進茶禮(행 진다례)

66.左右 執事 進于神位前 撤羹 進熟水 (좌우 집사 진우신위전 철갱진 숙수)

     좌우 집사들은 신위 앞에 나아가 국을 철하고 숭늉을 올리시오

67.點茶 (점다) 좌우 집사들은 숭늉에 밥을 세 번 떠서 말으시오

68.獻官及 在位者 皆俯伏--興(헌관급 재위자 개부복-흥)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엎드리시오.--일어서시오

69.行 辭神禮(행 사신례)

70.左右執事 進于神位前 撤匙箸 合飯盖 退盞盤 (좌우집사 진우신위전 철시저 합반개 퇴잔반)

     좌우집사들은 신위앞에 나아가 숟가락과 젓가락은 철하고 메뚜껑을 덮고 술잔을 물리시오

71.閉독龕 (폐독감) 위패의 덮개를 닫으시오

72.初獻官 西向立 祝官 東向立 告 禮成 (초헌관 서향립 축관 동향립 고예성)

     초헌관은 서쪽으로 서고, 축관은 동쪽으로 서서 '예성'이라고 고하시오

73.獻官 及諸執事 在位者 皆再拜 (헌관 급제집사 재위자 개재배)

     헌관 및 집사와 모든 사람들은 재배하시오. *여자는 四拜


74.祝官 陞焚祝 訖 (축관 승분축 흘) 축관은 축문을 사르시오

75.左右 執事 撤饌 (좌우 집사 철찬) 좌우의 집사들은 제수를 내리시오

76.行 福飮禮 (행 복음례)

77.獻官 及執事 飮福 (헌관 급 집사 음복) 헌관 및 집사는 음복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