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사주학)/사주학(사주팔자)

선천수, 후천수 구성 천간지지의 수

by 연송 김환수 2020. 3. 23.

명리학에서 사용하는 선천수, 후천수에 대한 천간과 지지의 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자연수는 1,2,3. . . 등과 같이 자연이 생기면서 만들어진 수이며, 자연수는 역(易)에서도 음양학을 중점으로 두고 있는 학문에서 사용을 한다.

 

○ 자연수

오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1

2

3

4

5

6

7

8

9

10

지지

인(寅)

묘(卯)

오(午)

사(巳)

진(辰)술(戌)

축(丑)미(未)

신(申)

유(酉)

해(亥)

자(子)

3

4

7

6

5, 11

2, 8

9

10

12

1



○ 선천수

   음양학이 중심이 된 숫자를 선천수라 하는데 4,5,6,7,8,9를 말한다.

   선천수는 천지인(三)에서 만들어졌기에 1.2.3 숫자는 없다.

   선천수는 육임부적 등에 사용되며 육효의 고수들이 사용을 많이 한다.

   (음양을 다루며 귀신을 물리치는 숫자이다)

  

   甲己子午 9  /  乙庚丑未 8  /  丙辛寅申 7

   丁壬卯酉 6  /  戊癸辰戌 5  / 巳亥 4


   선천수와 후천수역시 생성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다.

先天數(선천수)를 나타내는 干支(간지)와 數(수)

天干

甲木

乙木

丙火

丁火

戊土

 

己土

庚金

辛金

壬水

癸水

 

地支

子水

丑土

寅木

卯木

辰土

巳火

午火

未土

申金

酉金

戌土

亥水

9

8

7

6

5

4

9

8

7

6

5

4


   선천수를 가만히 살펴보면 알 수 있는 것이니, 天干(천간)은 合(합)이 되는것이며,

   地支(지지)는 沖(충)이 된다.

   선천수에는 1, 2, 3이 빠져 있다. 그 이유는 天地人(천지인)의 3(三)의 조화가 數(수)의 기본을

   이루며 이로부터, 先天數(선천수)를 生(생)했기 때문이다.

 


○ 후천수

   오행이 만들어 지면서 생긴 숫자이므로 오행의 발생 순서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후천수는 선천수 다음에 만들어진 숫자로 오행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숫자이다.

   사주학에서 특정한 날 또는 숫자를 예단할 때 활용한다.

   기문둔갑 등 궁에서 발생하는 합, 원진, 형, 충 등은 전부 후천수를 분석하여 기문을 푼다.

  

   예를 들어 용신을 중요하게 사용하여 숫자를 택할 경우에 후천수를 활용하니

   즉, 용신이 木기와 火기라면 3 과 8 그리고 2 와 7을 조합해서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 木 : 甲, 寅 3 / 乙, 卯 8

   - 火 : 丙, 午 7 / 丁, 巳 2

   - 土 : 戊, 辰,戌 5 / 己, 丑,未 10

   - 金 : 庚, 申 4 l 辛, 酉 9

   - 水 : 壬, 亥 1 / 癸, 子 6 으로 분류되고


후천수(後天數)의 활용도는 사주학에서 용신이나 기신 등의 숫자를 조합하여 활용하니 예를 들면 金기가 기신인 명(命)이 만약 49번지나 49호에 산다면 분명 폐(肺)나 대장(大腸)에 암 등의 중병으로 고생을 하거나 사망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문둔갑(奇門遁甲)에서는 궁에서 발생하는 합, 원진, 형, 충 등을 모두 후천수로 분석하며 통변에 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천수는 주역의 괘효 ,육효, 납음오행 등을 정할때 사용하고, 후천수는 주로 작명시

사용을 합니다


선천수는 양의 단위표현을 음의 원리로 표현한 것으로 천간을 수로 나타낸다.

後天數(후천수)를 나타내는 干支(간지)와 數(수)

天干

甲木

乙木

丙火

丁火

戊土

己土

庚金

辛金

壬水

癸水

地支

寅木

卯木

午火

巳火

辰土

戌土

未土

丑土

申金

酉金

子水

亥水

3

8

7

2

5

10

9

4

1

6

 

계절의 방위숫자 : (3, 8), (2, 7), (5, 10), (4, 9), (1, 6)

   - : 寅卯 / : 巳午 / : 辰戌丑未 / : 申酉 / : 亥子


후천수는 양의 원리와 양의 순환원리로 표현하는 것으로 천간을 수로 나타낸다.


변화하는 육기의 숫자 : 성명학 수리오행에서 사용

   - 목(1, 2), (3, 4), (5, 6), (7, 8), (9, 10)


()는 양수, 음수로 구분하는데 1, 3, 5, 7, 9는 양의 수이고, 2, 4, 6, 8, 10은 음의 수이다.

천간은 갑, , , , , , , , , 계를 말하며 십간이라고 부른다. 


명리학에서 사용하는 숫자는 선천수와 후천수 등이 있는데 선천수는 천간의 글자를 다섯 개씩 나열하고 순서대로 98765를 붙이게 된다.


 천간의 선천수는 합과 관련이 있다.

    갑기합은 9, 을경합은 8, 병신합은 7, 정임합은 6, 무계합은 5 이.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

     9 8 7 6 5

 

선천수는 하늘이 열리기 전의 숫자를 말하는데 천간의 글자대로 나열을 하게 되면,

9, 8, 7, 6, 5, 9, 8, 7, 6, 5 가 된다.

 

○ 지지의 글자들은 6개씩 쓰고 9 ~ 4 까지 숫자를 붙여준다.

 

   자축인묘진사

   오미신유술해

    9 8 7 6 5 4

 

지지는 충과 관련이 있는데 자오충은 9, 축미충은 8, 인신충은 7, 묘유충은 6, 진술충은 5, 사해충은 4 이다.

 

지지의 선천수를 순서대로 나열해 보면,

9 ,8, 7, 6, 5, 4, 9, 8, 7, 6, 5, 4 이다.

 

하늘이 열린 후의 숫자인 후천수는 수화목금토의 순서로 배치된다.

1, 2, 3, 4,

여기에 토에 해당하는 숫자 5를 더한 수도 후천수를 구성한다.

6, 7, 8, 9, 10

 

이렇게 되면 목은 38, 화는 27, 토는 510, 금은 49, 수는 16 이 된다.

이 숫자들 가운데 양은 홀수, 음은 짝수 이다.

  

그러므로 1은 임자, 2는 정사, 3은 갑인, 4는 신유, 5는 무 진술,6은 계해, 7은 병오, 8은 을묘, 9는 경신 10은 기 축미가 된다.


○ 선천수(하늘이 열리기 )과 후천수(하늘이 열린 )를 오행별로 정리

 

목은 3, 8 : 갑인 을묘 / 화는 2, 7 : 정사 병오 / 토는 5,10 : 무 진술 기 축미 / 금은 4, 9 : 신유 경신 / 수는 1, 6 : 임자 계해

즉, 이것은 명리학의 계절의 방위 숫자이며 목 용신이면 행운의 숫자는 3, 8을 사용한다.


오행

수(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천간

임(壬)

계(癸)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1

6

3

8

7

2

5

10

9

4


계절의 방위와 변화하는 육기에 따른 숫자는 다른 것이다.


계절의 방위숫자

   - (3,8 ), (2, 7), (5, 10), (4, 9), (1,6 )

   - : 寅卯 / : 巳午 / : 辰戌丑未 / : 申酉 / : 亥子


변화하는 육기의 숫자 : 성명학 수리오행에서 사용

   - 목(1, 2), (3, 4), (5, 6), (7, 8), (9, 10)

    ※ 육기 : . . . . . 여섯 가지 기운(곧 우주)


숫자의 쓰이는 용도에 따라 다름이 있으니 성명학 수리오행에서는 한자의 획수에 따라 목(1, 2), (3, 4), (5, 6), (7, 8), (9, 0)로 오행을 나누는데 단, 2자리 이상의 획수는 끝자리 숫자만을 사용한다.


오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1

2

3

4

5

6

7

8

9

10


성명학 수리오행

  - 목 : 1, 2

  - 화 : 3, 4

  - 토 : 5, 6

  - 금 : 7, 8

  - 수 : 9, 10

 

성명에서 획수를 판단하는방법은 필획법과 원획법이 있다.

필획법은 한자에서 실제 사용한 획수를 그대로 획수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원획법은 해당한자의 원래 획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성명학에서 획수는 원획법을 따르는데 한자는 필기의 편의성을 위해 획수를 줄이는 경향이 강하나 성명학상 한자는 원래 한자의 획수를 따지므로 옥편상의 획수와 성명학상의 획수와 다를 수 있다.


 

외부의 파란색 숫자는 계절의 방위숫자

   - (3,8), (2,7), (5,10), (4,9), (1,6)

   - : 寅卯 / : 巳午 / : 辰戌丑未 / : 申酉 / : 亥子

내부의 빨간색 숫자는 변화하는 육기의 숫자 : 성명학 수리오행에서 사용

   - 목(1,2), (3,4), (5,6), (7,8), (9,10)

   ※ 육기 : . . . . . 여섯 가지 기운(곧 우주)

 

한동석님의 "우주변화원리"의 내용의 예를 보면,

子亥인데 는 방위로는 1이지만 변화로는 2인 것이고

12의 성질를 갖고 있으니 水半 火半의 상()을 가질수 밖에 없으며,

입장에서 보면 동()할려하는 가 되는 것이고

입장에서 보면 水中에 잠복하고 있는 인 것으로

숫자로는 : 1 + 2 = 3 인데 외형은 지만 내용면에서는 이미 으로 드러나는 상()인 것이다.


오행 천간, 지지

오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

인(寅)

묘(卯)

오(午)

사(巳)

진(辰)술(戌)

축(丑)미(未)

신(申)

유(酉)

해(亥)

자(子)

음양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천간

선천수

갑기합

9

을경합

8

병신합

7

정임합

6

무계합

5

갑기합

9

을경합

8

병신합

7

정임합

6

무계합

5

지지

선천수

7

6

9

4

진5 술5

축8 미8

7

6

4

9

지지

후천수

3

8

2

7

5

10

4

9

1

6

명리학 수(방위)

3

8

2

7

5

10

4

9

1

6

성명학 수(육기)

1

2

3

4

5

6

7

8

9

10

사주

팔자

 

음양

양(陽)

+

양(陽)

+

-

음(陰)

-

음(陰)

-

남자 해당(木목, 火화)

(남자사주는 음(陰)이 한두개

많은 것이 음양에 좋고, 水수가

있으면 특히 좋다)

여자 해당(金금, 水수)

(여자사주는 양(陽)이 한두개

많은 것이 음양에 좋고, 火화가

있으면 특히 좋다)


오행도

오행(五行)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상생(相生)화(火)토(土)금(金)수(水)목(木)
상극(相剋)토(土)금(金)수(水)목(木)화(火)
오방(五方)동(東)남(南)중앙(中央)서(西)북(北)
오시(五時)춘(春)하(夏)계하(季夏)
토용(土用)
추(秋)동(東)
오기(五氣)인애(仁愛)강맹(剛猛)관굉(寬宏)살벌(殺伐)유화(柔和)
오상(五常)인(仁)예(禮)신(信)의(義)지(智)
색(色)청(靑)적(赤)황(黃)백(白)흑(黑)

오장(五臟)

간(肝)심(心)비(脾)폐(肺)신(腎)

수(數)

성명학(자연수)

3,8

1,2

2,7

3,4

5,10

5,6

4,9

7,8

1,6

9,10

음(音)각(角)징(徵)치)궁(宮)상(商)우(羽)
ㄱ ㅋ아음
(牙音)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ㅇ ㅎ후음
(喉音)
ㅅ ㅈ ㅊ
치음(齒音)

ㅁ ㅂ ㅍ

순음(脣音)


천간(天干)양음(陽陰)
갑을(甲乙)
양음(陽陰)
병정(丙丁)
양음(陽陰)
무기(戊己)
양음(陽陰)
경신(庚辛)
양음(陽陰)
임계(壬癸)
지지(地支)인(寅)묘(卯)오(午)사(巳)()  축(丑)

(()

신(申)유(酉)해(亥)자(子)


====================================================================================


선천수는 후천수를 72 도 회전한 상을 표현한다.

지구의 축이 72 도 회전하면 오행의 성분이 하나씩 이동한다.

 

목이 수로, 수가 금으로, 금이 화로, 화가 목으로 바뀌고 토는 중앙으로 본다.

음의 순환원리는 금, , , 화 네가지로 나타내는데 혼은 그에 맞는 백을 취하여 존재로 나타낸다

 

천간의 원리는 갑과 기, 을과 경, 병과 신, 정과 임, 무와 계가 서로 친하다.

갑은 기에 담고, 을은 경에 담는다. 병은 신에 담고, 정은 임에 담으며, 무는 계에 담는다.


목의 혼인 갑 (1)과 토의 백인 기 (6)로 하고 수로 성분이 바뀌므로 임과 계로 그 수를 나타낸다.

화의 혼인 병 (3)과 금의 백인 신 (8)으로 하고 목으로 성분이 바뀌므로 갑과 을로 그 수를 나타낸다.

토의 혼인 무 (5)과 수의 백인 계 (10)로 하고 중앙의 성분이므로 무와 기로 그 수를 나타낸다.

금의 혼인 경 (7)과 목의 백인 을 (2)로 하고 화로 성분이 바뀌므로 병과 정으로 그 수를 나타낸다.

수의 혼인 임 (9)과 화의 백인 정 (4)으로 하고 금으로 성분이 바뀌므로 경과 신으로 그 수를 나타낸다.

 

지축이 72 도 회전하여 금이 토로 변하지 않고 화로 나타나는 것은 음으로 현상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은정으로 보면 목(), (여름), (가을), (겨울)로 현상을 표현한다.

 

음의 순환원리에 은정은 현상을 4 가지로 표현한다.

토는 중앙으로 체를 나타낸다.

 

음은 체로 표현한다.

용은 양이고 체는 음이다.

 

선천수는 를 음의 원리로 표현한다.

그리고 그 변화는 음의 순환원리에 따르고 있다.

 

은정에서는 오행의 상생과 상극원리를 논하지 않는다.

오행은 양의 원리로 표현하는 것이다.

 

양의 원리로 현상을 표현하는 것은 은정이 아니고 태희이다.

선천수는 은정으로 수를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