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0 전선
121 전선의 선정 및 식별
121.1 전선 일반 요구사항 및 선정
1. 전선은 통상 사용 상태에서의 온도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2. 전선은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적절하고 발생할 수 있는 전기・기계적 응력에 견디는 능력이 있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3. 전선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한국산업표준(이하 “KS”라 한다)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KS가 없는 경우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IEC, EN, NEC 등의 표준을 기준으로 동등 이상의 성능을 판단한다.
121.2 전선의 식별
1. 전선의 색상은 표 121.2-1에 따른다.
표 121.2-1 전선식별
상(문자) | 색상 |
L1 | 갈색 |
L2 | 흑색 |
L3 | 회색 |
N | 청색 |
보호도체 | 녹색-노란색 |
2. 색상 식별이 종단 및 연결 지점에서만 이루어지는 나도체 등은 전선 종단부에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해야 한다.
3. 제1 및 제2를 제외한 전선의 식별은 KS C IEC 60445(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 표시 식별의 기본 및 안전원칙-장비단자, 도체단자 및 도체의 식별)에 적합하여야 한다.








=====================================
3상 4선식
3상 4선식 에서 R. S. T상은 특별한 의미는 없고, 알파벳 순서대로 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현재 한전에서는 A, B, C상(L1, L2, L3)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문자) | 색상 |
L1 | 갈색 |
L2 | 흑색 |
L3 | 회색 |
N | 청색 |
보호도체 | 녹색-노란색 |
Y결선
N상은 중성선을 나타내는 Neutral의 약자며. 3상을 Y결선하고 중성점에 중성선을 결선 하는 것이다.
각 상끼리는 상전압이 걸리고 상과 중선선은 선간전압이 걸린다.
Y결선에서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루트3배 이다.
3상 4선식은 전원선(R상), 전원선(S상), 전원선(T상), 중성선(N 상)으로 상이 세가닥이고, 선은 네가닥인 배선방식이다.
3상은 모터(Motor)를 가동한다든지, 동력전원을 얻는데 많이 사용되는데 이때 얻어지는 전압이 380V이다.
전원선 어느 것 한가닥과 중성선에서는 220V가 나온다.
3상이란 교류, 즉 일정한 파도 형식으로 타이밍이 120도 다른 3개의 파도가 각각의 선으로 들어오고, 3개를 합치면 380V전기 사용할 수 있고, N상(중성선)에 각각 하나의 선만을 사용하면 220V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델타) 결선
3상 3선식은 220V △ 결선이고 중성 점(중선선)이 없다.
3상 3선식은 Δ(델타)결선을 말하는 것으로,상 전압과 선간 전압이 동일하고, 상(相) 전류와 선(線) 전류는 루트(root) 3배 차이가 난다.
R, S, T 상
하트상은 중선선과 결합하여 전압을 만들어 내는 선으로 우리나라 표기로 R, S, T 상이라고 부른다.
하트상이라 부르는 이유는 일본에서 핫(HOT)을 하트로 발음했기 때문이다.
R S T 상은 활선이기 때문에 HOT(뜨겁다, 감전된다) 즉, 활선 상태 이란 뜻이다.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점
중성점은 하트상과 결합하여 전압을 만드는 역할이지만, 접지선은 전류가 하트상이나 N상으로 흐르지 않고 다른 곳으로 세어 나가는 누설전류를 땅속으로 흘려보내 감전을 예방한다.
중성선은 접지선과 같이 대지에 연결되는 것은 맞으나, 접지선과 중성선은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전기 내선규정에는 전압선으로 분류하고 있다.
접지선은 접지극과 중성선을 연결하는 전선이며, 접지 측 전선과 중성선을 구별하는 이유는 오조작, 오접속을 방지해 안전을 확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접지선은 기기외함 또는, 계통의 중성선과 접지극을 연결하는 전선이다. 이상전압 또는 누설전류를 방전하는 역할을 하고, 누설전류가 흐를 경우 감전을 방지한다.
하트상과 중선선의 구별법
검전기 사용 하트상 구분
◇ 접촉식 : 검전기를 피복에 벗겨진 활선 상태인 전선에 접촉시켰을 때, 검진기의 종류에 따라 소리가 나거나 램프가 켜진다. 이런 경우 하트상이다.
◇ 비접촉식 : 활선 상태인 전선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일정 거리 안에 들어가면 소리나, 램프가 켜진다.
'감리, 철도운행안전관리자 > 전기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관(일자형) 형광등, 컴팩트 형광등, LED 조명 (0) | 2024.12.17 |
---|---|
전기 회로도 기호 (0) | 2023.09.17 |
전기 감전 위험 암페어 (0) | 2023.09.14 |
암페어에서 볼트, 볼트에서 암페어 계산기 (0) | 2023.08.24 |
원격감시제어설비 (0) | 2023.05.29 |